KR101095067B1 -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 Google Patents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067B1
KR101095067B1 KR20100039793A KR20100039793A KR101095067B1 KR 101095067 B1 KR101095067 B1 KR 101095067B1 KR 20100039793 A KR20100039793 A KR 20100039793A KR 20100039793 A KR20100039793 A KR 20100039793A KR 101095067 B1 KR101095067 B1 KR 10109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comparative example
welding
weld me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399A (ko
Inventor
전봉석
김종률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3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067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금속의 인장강도를 적정수준으로 확보하고, 저온 충격인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접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강제 외피내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플럭스 자체의 중량%로, C: 0.20~0.50%, Si: 1.0~5.0%, Mn: 7.0~12.0%, Ni: 6.0~14.0%, Mg: 0.5~2.5%, Mo: 1.0~3.0%, Ca: 2.0~5.0%, Ti: 0.25~0.50%, FeB: 3.0~6.0%, 불화물: F환산치로 2.5~6.0%, 나머지는 철분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FeB는 FeB 전중량에 대해 B를 0.8~1.0% 포함하며, Ca/Ti의 중량비가 6~11인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FLUX CORED WIRE FOR ELECTROGAS ARC WELDING}
본 발명은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강판의 대입열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시 용접금속의 인장강도를 적정수준으로 확보하고, 저온 충격인성 및 용접작업성을 향상시킨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법은 일반적으로 조선, 대형 저장탱크 및 철구조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특히 최근에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등으로 인해 고강도 후강판의 용접시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입열 용접개소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경우, 비교적 입열량이 낮은 경우에는 인성의 문제가 없었으나, 200KJ/㎝ 이상의 대입열 용접시에는 용접금속이 열화되어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경우에는 후강판 대입열 용접시 장시간 용접으로 인한 과도한 슬래그 형성으로 인해 아크 안정성이 저하되는 등 전반적으로 용접작업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대입열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시, 적정 수준의 용접금속 인장강도와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 및 용접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강제 외피내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플럭스 자체의 중량%로, C: 0.20~0.50%, Si: 1.0~5.0%, Mn: 7.0~12.0%, Ni: 6.0~14.0%, Mg: 0.5~2.5%, Mo: 1.0~3.0%, Ca: 2.0~5.0%, Ti: 0.25~0.50%, FeB: 3.0~6.0%, 불화물: F환산치로 2.5~6.0%, 나머지는 철분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FeB는 FeB 전중량에 대해 B이 0.8~1.0%를 포함하며,
Ca/Ti의 중량비가 6~11인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00KJ/㎝ 이상의 대입열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시, 우수한 용접작업성과 적정 수준의 용접금속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금속의 저온 충격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후강판의 대입열 용접시에 사용되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플럭스의 조성 및 조성비를 제어함으로서, 적정 수준의 용접금속 인장강도를 확보하고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과 양호한 용접작업성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플럭스의 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성분의 함량은 플럭스 자체의 중량%이다.
탄소(C)는 0.20~0.50%를 포함한다. C는 용접금속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20% 미만이며 용접금속의 조직이 연화되어 강도 및 충격인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50%를 초과하면 스패터가 증가하여 용접작업성이 저하되고 용접금속의 조직이 취화되어 균열감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충격인성이 또한 열화된다.
실리콘(Si)은 1.0~5.0%를 포함한다. Si는 탈산제로 작용할 뿐 아니라,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1.0% 미만이면 탈산력이 부족하여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열화되고, 그 함량이 5.0%를 초과하면 용접금속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충격인성이 열화되며 용융 슬래그의 점도가 높아져 비드 형상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망간(Mn)은 7.0~12.0%를 포함한다. Mn은 Si와 마찬가지로 탈산제로 작용하며, 용접금속의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7.0% 미만이면 탈산력이 저하되어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12.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금속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충격인성이 열화된다.
니켈(Ni)은 6.0~14.0%를 포함한다. Ni는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충격 천이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6.0% 미만이면 용접금속의 충격인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고, 그 함량이 14.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충격인성이 열화되며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마그네슘(Mg)은 0.5~2.5%를 포함한다. Mg은 강력한 탈산제로서 용접금속의 산소량을 저감하여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0.5% 미만에서는 충격인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그 함량이 2.5%를 초과하면, 과도한 탈산효과로 인해 용접시 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스패터 및 흄발생량이 증가하여 용접작업성이 저하된다.
몰리브덴(Mo)은 1.0~3.0%를 포함한다. Mo는 용접금속의 조직을 미세화시켜 충격인성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이 1.0% 미만에서는 상기 강도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고, 그 함량이 3.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다해져 충격인성이 열화된다.
칼슘(Ca)은 2.0~5.0%를 포함한다. Ca는 강탈산제로서 용접금속의 용존 산소량을 저감하여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이 2.0% 미만에서는 충격인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0%를 초과하면 고점도의 슬래그가 과잉으로 생성되어 아크가 불안정해지며 비드외관 또한 불량해진다.
티타늄(Ti)은 0.25~0.50%를 포함한다. Ti는 용접금속의 조직을 미세화하여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이 0.25% 미만에서는 충격인성 향상효과가 불충분하고, 0.5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충격인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Ca와 Ti의 개별함량은 상기와 같으나, 본 발명에서 대입열에서의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Ca와 Ti의 중량비인 Ca/Ti가 6~11을 만족한다. Ca/Ti의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아크 안정성이 양호하며, 용접금속 조직 미세화 및 산소량 저감으로 인한 충격인성 향상 효과가 발휘되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양호한 아크 안정성 및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FeB는 3.0~6.0%를 포함한다. B는 용접조직내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며 이로 인해 강도와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정 함량을 초과하면 편석이 발생하면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열화되고 고온균열이 유발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FeB 전중량에 대해 B를 0.8~1.0% 함유한 FeB를 사용하여 용접금속의 저온인성을 확보한다. 상기 FeB의 함량이 3.0% 미만이면 상기와 같은 B첨가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6.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인성이 열화되며,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F 환산치로 2.5~6.0%의 불화물을 포함한다. 불화물은 용융 슬래그의 점도를 감소시켜, 용접시 슬래그가 배출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2.5% 미만이면 슬래그의 배출 능력이 떨어져 아크가 슬래그의 간섭을 받게 되므로, 스패터가 증가하고 아크가 불안정해진다. 또한, 그 함량이 6.0%를 초과하면 용융 슬래그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슬래그 응고 속도가 낮아지므로 용접시 용융금속의 용락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불화물로는 CaF2, NaF, LiF, Na3AlF6, K3AlF6, AlF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는 철분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렉트로가스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강제 외피와 상기 강제 외피에 상기 조성을 만족하는 플럭스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강제 외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렉트로가스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상기 조성을 만족하는 플럭스가 와이어 전중량에 대해 15~25%의 충전율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표 1의 강제 외피 조성을 만족하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준비하고, 표 2의 조성을 만족하는 플럭스(플럭스 자체의 중량%)를 강제 외피내에 20%의 충전율로 충전하여, 선경 1.6㎜의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플럭스의 잔부는 철분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구분 C Si Mn P S Fe
강제외피 0.025 0.002 0.2 0.01 0.009 잔부
구분 C Si Mn Ni Mg Mo F Ca Ti FeB Ca/Ti
발명예1 0.20 2.0 10.0 8.0 1.0 1.5 3.0 3.5 0.45 5.0 7.8
발명예2 0.50 2.5 10.0 8.0 1.0 2.0 3.0 2.5 0.30 5.0 8.3
발명예3 0.30 1.0 9.8 7.5 0.8 1.5 3.5 2.5 0.30 4.5 8.3
발명예4 0.30 5.0 9.8 7.5 0.8 1.5 3.0 3.0 0.28 4.5 10.7
발명예5 0.25 2.0 7.0 7.5 1.5 2.5 3.0 4.0 0.45 5.5 8.9
발명예6 0.40 3.0 12.0 10.0 1.5 2.5 3.5 3.0 0.35 5.5 8.6
발명예7 0.30 2.5 11.5 6.0 1.5 1.5 3.5 2.5 0.30 5.5 8.3
발명예8 0.20 2.5 11.5 14.0 1.0 1.5 3.5 3.5 0.45 5.5 7.8
발명예9 0.30 3.0 10.5 12.0 0.5 1.5 3.0 4.5 0.50 4.5 9.0
발명예10 0.40 3.0 9.8 12.0 2.5 1.0 3.0 4.0 0.45 4.0 8.9
발명예11 0.25 4.2 10.0 10.0 2.0 1.0 3.0 2.8 0.30 5.5 9.3
발명예12 0.32 2.0 10.0 12.0 2.0 3.0 3.0 3.0 0.28 5.0 10.7
발명예13 0.32 3.0 10.0 9.0 2.0 2.0 2.5 2.8 0.30 4.0 9.3
발명예14 0.32 3.0 10.0 9.0 2.0 2.0 6.0 3.5 0.50 4.0 7.0
발명예15 0.30 2.5 8.5 13.0 1.5 1.5 3.5 2.0 0.30 5.0 6.7
발명예16 0.30 2.0 8.5 13.0 1.5 1.5 3.5 5.0 0.50 5.0 10.0
발명예17 0.30 4.5 11.0 9.5 1.0 1.5 3.0 2.2 0.25 4.5 8.8
발명예18 0.30 3.0 11.5 9.5 1.0 2.0 3.0 4.0 0.50 4.0 8.0
발명예19 0.25 2.5 11.5 11.0 1.5 1.5 3.0 3.5 0.50 3.0 7.0
발명예20 0.25 2.5 10.5 11.0 1.5 1.5 2.9 2.5 0.40 6.0 6.3
발명예21 0.35 2.5 10.5 8.0 1.0 2.0 2.9 2.9 0.48 5.0 6.0
발명예22 0.30 3.0 10.0 8.0 1.5 1.5 2.9 4.9 0.45 5.0 10.9
비교예1 0.11 3.0 10.0 9.0 1.0 1.5 3.0 3.0 0.30 5.0 10.0
비교예2 0.62 3.0 10.0 9.0 1.5 2.0 3.0 3.0 0.28 5.0 10.7
비교예3 0.30 0.6 10.0 8.5 1.5 1.5 4.0 3.2 0.35 4.5 9.1
비교예4 0.30 6.1 11.0 8.5 1.5 1.5 4.0 3.2 0.35 4.5 9.1
비교예5 0.30 2.0 6.2 8.5 1.0 2.5 4.5 3.5 0.50 5.5 7.0
비교예6 0.40 2.0 13.2 8.5 1.0 2.5 4.5 3.5 0.50 5.5 7.0
비교예7 0.40 2.5 11.5 5.1 1.0 1.5 3.5 4.5 0.45 5.5 10.0
비교예8 0.40 2.5 11.5 15.2 1.0 1.5 3.5 4.0 0.45 5.0 8.9
비교예9 0.35 2.5 10.0 9.0 0.2 1.5 3.5 4.5 0.50 4.0 9.0
비교예10 0.35 2.5 10.0 9.0 3.2 1.0 3.0 4.0 0.45 4.0 8.9
비교예11 0.35 3.0 10.0 9.0 1.0 0.6 3.0 2.8 0.28 5.5 10.0
비교예12 0.35 3.0 10.0 8.0 1.0 3.5 3.0 2.8 0.28 5.0 10.0
비교예13 0.32 3.5 10.0 9.0 2.0 2.0 2.1 3.0 0.50 4.0 6.0
비교예14 0.32 3.0 9.0 9.0 2.0 2.0 6.8 3.0 0.50 4.0 6.0
비교예15 0.40 2.5 9.5 8.0 1.0 1.5 3.0 1.5 0.25 5.0 6.0
비교예16 0.40 2.5 9.5 8.0 1.5 1.5 3.5 5.5 0.50 5.0 11.0
비교예17 0.40 2.0 9.5 8.0 1.5 1.5 3.0 2.0 0.20 4.5 10.0
비교예18 0.40 2.0 10.0 9.5 0.8 2.0 3.0 4.5 0.55 4.0 8.2
비교예19 0.30 2.0 10.0 9.0 0.8 1.5 3.0 3.5 0.50 2.5 7.0
비교예20 0.30 3.5 10.5 9.0 1.0 1.5 3.5 3.5 0.50 6.5 7.0
비교예21 0.35 3.5 8.5 8.0 1.0 2.0 3.5 2.2 0.50 3.5 4.4
비교예22 0.40 4.0 9.0 13.5 1.5 2.0 4.0 2.5 0.45 4.5 5.6
비교예23 0.40 4.0 9.5 12.0 1.5 1.5 4.0 4.0 0.32 4.5 12.5
비교예24 0.35 3.5 10.0 8.8 1.0 1.5 3.5 5.2 0.45 5.0 11.6
상기 표 1 및 2의 일렉트로가스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용접조건으로 용접을 실시하고, 용접작업성과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용접조건
모재 종류 EH36-TM
모재 두께 40㎜
용접 길이 600㎜
개선 각도 30°
루트갭 6㎜
용접 전류×전압 380A×38V
용접속도 3.2㎝/min
용접 입열량 271kj/㎝
용접자세 입향상진(1pass 용접)
보호가스 및 유량 100% CO2 실드가스, 25ℓ/min
하기 표 4에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은 -60℃에서 50J(Joule) 이상, 인장강도는 550~700MPa 인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용접작업성은 작업자의 관능평가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4에서 ◎은 매우 양호, ○은 양호, △은 보통, ×은 불량을 나타낸다.
구분 용접작업성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
[-60℃] (J)
용접금속 인장강도
(MPa)
종합평가
발명예1 81 625
발명예2 80 648
발명예3 70 615
발명예4 75 660
발명예5 95 620
발명예6 80 665
발명예7 85 640
발명예8 75 650
발명예9 90 630
발명예10 101 635
발명예11 98 620
발명예12 70 655
발명예13 75 645
발명예14 60 640
발명예15 81 625
발명예16 98 640
발명예17 80 615
발명예18 85 660
발명예19 75 620
발명예20 91 665
발명예21 98 635
발명예22 90 630
비교예1 65 535 △(강도 부족)
비교예2 × 51 722 ×(스패터과다, 강도과다)
비교예3 32 612 ×(인성부족)
비교예4 20 733 ×(인성부족, 강도과다)
비교예5 25 555 ×(인성부족)
비교예6 18 752 ×(인성부족, 강도과다)
비교예7 21 615 ×(인성부족)
비교예8 75 741 ×(강도과다)
비교예9 38 628 ×(인성부족)
비교예10 × 72 655 ×(스패터과다)
비교예11 52 512 △(강도부족)
비교예12 35 755 ×(인성부족, 강도과다)
비교예13 × 21 655 ×(스패터과다)
비교예14 × 62 645 ×(스패터과다)
비교예15 39 640 △(인성부족)
비교예16 × 55 612 ×(스패터과다)
비교예17 22 605 ×(인성부족)
비교예18 43 722 △(인성부족, 강도과다)
비교예19 21 622 ×(인성부족)
비교예20 38 741 ×(인성부족, 강도과다)
비교예21 25 640 ×(인성부족)
비교예22 32 689 ×(인성부족)
비교예23 × 28 692 ×(인성부족)
비교예24 31 625 ×(인성부족)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럭스 조성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22에서는 각각 양호한 용접작업성 및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플럭스 조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 내지 24에서는 용접작업성이 양호하지 못하거나 용접금속의 충격인성 또는 인장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비교예 1 및 2는 C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난 것으로서, 미달되는 비교예 1에서는 만족스런 인장강도를 얻을 수 없었으며, 초과되는 비교예 2에서는 용접시 스패터가 다발하는 등 용접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3은 Si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하는 것으로서, 만족스런 저온 충격인성을 얻을 수 없었으며, 비교예 4는 Si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서, 용접금속의 인장강도가 과다하고, 저온인성이 기준치에 미달하였다.
비교예 5는 Mn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미달하는 것으로 저온인성이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비교예 6은 Mn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저온인성이 저하되고, 인장강도도 과다하였다.
비교예 7은 Ni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하여 저온인성이 저하되었고, 비교예 8은 Ni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고하여 용접금속의 인장강도가 과다하였다.
비교예 9는 Mg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하여 탈산효과 부족에 따른 용접금속의 충격인성 저하가 나타났으며, 비교예 10은 Mg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스패터가 다발하는 등 전반적인 용접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11은 Mo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하여 용접금속의 강도가 저하되었고, 비교예 12는 Mo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한 인장강도 상승과 저온인성의 저하가 나타났다.
비교예 13은 F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된 것으로 과도한 슬래그 점도로 인해 아크가 불안하여 스패터가 증가하는 등 전반적인 용접작업성이 불량하였으며, 비교예 14는 F 함량이 초과되는 것으로, 용접시 스패터가 과다하였고, 용융금속의 용락이 발생하여 용접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15는 Ca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된 것으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기준치에 미달하였고, 비교예 16은 Ca 함량이 초과되는 것으로, 용접시 스패터 다발로 인한 슬래그 포피 불량 등으로 전반적인 용접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17은 Ti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된 것으로 용접금속의 인성이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비교예 18은 Ti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서, 용접금속의 과도한 인장강도 상승 및 저온인성 저하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19는 FeB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되는 것으로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저하되었고, 비교예 20은 FeB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인장강도가 상승하고 저온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21 내지 24는 Ca/Ti의 비가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 본 발명에서의 Ca/Ti 비 제어에 따른 저온 충격인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용접금속의 저온인성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Claims (2)

  1. 강제 외피내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플럭스 자체의 중량%로, C: 0.20~0.50%, Si: 1.0~5.0%, Mn: 7.0~12.0%, Ni: 6.0~14.0%, Mg: 0.5~2.5%, Mo: 1.0~3.0%, Ca: 2.0~5.0%, Ti: 0.25~0.50%, FeB: 3.0~6.0%, 불화물: F환산치로 2.5~6.0%, 나머지는 철분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FeB는 FeB 전중량에 대해 B이 0.8~1.0%를 포함하며,
    Ca/Ti의 중량비가 6~11인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화물은 CaF2, NaF, LiF, Na3AlF6, K3AlF6, AlF3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00039793A 2010-04-29 2010-04-29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09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793A KR101095067B1 (ko) 2010-04-29 2010-04-29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793A KR101095067B1 (ko) 2010-04-29 2010-04-29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99A KR20110120399A (ko) 2011-11-04
KR101095067B1 true KR101095067B1 (ko) 2011-12-20

Family

ID=4539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9793A KR101095067B1 (ko) 2010-04-29 2010-04-29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06A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17B1 (ko) * 2013-10-29 2015-03-1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대입열 플럭스 충전 와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262A (ja) 2006-11-20 2008-06-05 Kobe Steel Ltd 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金属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262A (ja) 2006-11-20 2008-06-05 Kobe Steel Ltd 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金属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06A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KR101971856B1 (ko) * 2016-10-28 2019-04-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99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7164B (zh) 高张力钢用气体保护弧焊药芯焊丝
WO2018051823A1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ワイヤ、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フラックス及び溶接継手
KR102208029B1 (ko)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와이어,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및 용접 이음
JP4209913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WO2017013965A1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US20030015257A1 (en) Flux cored wire for gas shielded arc welding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
KR101095067B1 (ko)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775600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265097B1 (ko)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065222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와이어
JP4486528B2 (ja) 溶接部の耐脆性破壊発生特性に優れた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方法
KR101624886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H09253886A (ja) 690MPa級高張力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309172B2 (ja) 低合金耐熱鋼用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KR102056637B1 (ko) 가스 쉴드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859373B1 (ko) 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286502B1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6786431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メタル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0909022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494010B1 (ko) 가스실드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
CN111886110B (zh) 药芯焊丝
KR101264606B1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670740B1 (ko) 고전압 조건에서 내결함성이 우수한 전자세용 셀프실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058102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3345295B2 (ja) 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