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439B1 -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439B1
KR101180439B1 KR1020100130152A KR20100130152A KR101180439B1 KR 101180439 B1 KR101180439 B1 KR 101180439B1 KR 1020100130152 A KR1020100130152 A KR 1020100130152A KR 20100130152 A KR20100130152 A KR 20100130152A KR 101180439 B1 KR101180439 B1 KR 10118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landing page
content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611A (ko
Inventor
김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Priority to KR102010013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웹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노출되는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도록 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켜, 각 광고 컨텐츠마다 클릭에 따른 패턴분석을 통해 높은 효율의 반응을 나타내는 광고 컨텐츠만으로 광고를 구성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방식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검출되는 전환율, 클릭율, 클릭 위치, 최초 클릭 시간 등과 같은 결과정보를 매칭하여 매칭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랜딩 페이지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해당 결과정보를 소팅하여 최적의 광고 효율을 나타내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랜딩 페이지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optimizing landing p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랜딩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노출되는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도록 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켜, 각 광고 컨텐츠마다 클릭에 따른 패턴분석을 통해 높은 효율의 반응을 나타내는 광고 컨텐츠만으로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각종 무선기기의 발달과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으로 온라인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 지금, 오프라인의 광고는 점점 그 빈도가 줄어들고 있으며 단지 컴퓨터 또는 각종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의 웹페이지에 광고를 올리는 것으로서 시간, 장소, 대상에 대한 제한없이 실시간으로 광고를 노출시켜 높은 광고 효과를 얻어내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광고(Internet advertising)은 인터넷이란 매체의 장점을 극대화한 것이며, 이러한 인터넷 광고를 통해서 기업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대한 많은 고객들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광고는 웹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노출되며, 그 형태는 문자부호, 이미지 및 영상 등의 소재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광고 게시자의 자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음향 및 음성까지 추가하여 광고 컨텐츠를 접촉하는 소비자의 관심을 최대한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인터넷 광고는 동일한 광고 대상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컨텐츠를 배치하는 방식이나 각 단위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소재를 구비하여 각 단위 컨텐츠에 적용되는 소재를 랜덤하게 적용하는 방식을 통해 소비자의 반응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다.
결국, 인터넷 광고의 목적은 소비자의 관심을 최대한 유도하여 광고 게시자가 의도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등에 접촉토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광고컨텐츠 게시자는 상기와 같은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양한 소재들을 적절히 접목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가장 효율적인 광고컨텐츠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광고 게시자의 효율적인 광고컨텐츠 구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광고 게시자가 제공한 단위 컨텐츠의 배치나 소재 구성이 달리 적용되어 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어떤 광고컨텐츠에 소비자가 적극적이니 관심을 보이는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상기 객관적인 자료를 지원하기 위해,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컨텐츠에 대하여 최근 아이 트랙킹 기법을 이용한 광고 효율 측정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아이트랙킹 기법은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응시 패턴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적외선을 방출하고, 안구에서 반사되는 상기 적외선의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닿는 지점인 응시 지점을 파악하는 눈동자 추적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트랙킹 기법은 일반적인 소비자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하기엔 한계가 있으므로, 한정된 시험 대상자들을 상대로 광고 효율성 정보의 수집이 실행되어, 수집된 광고 효율성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아이트랙킹 장치가 시험 대상자의 수에 따라 배치되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수의 일반적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광고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광고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더 나아가 최적의 광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랜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에 적용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배치 방식 및 다양한 소재들의 변경 및 조합을 통해 소비자가 가장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랜딩 페이지 구성을 용이하게 취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용이하게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최적화된 랜딩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정보에 대한 가시적이고 편리한 소팅을 통해 높은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웹페이지의 광고 컨텐츠 구성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클릭정보만으로 가장 높은 효율의 광고 컨텐츠만으로 구성되도록 랜딩 페이지를 최적화하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은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부와, 복수의 광고 컨텐츠와,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재와, 동일한 종류의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재 또는 서로 다른 위치나 크기에 대한 배치 정보가 적용되어 마련된 복수의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포함하는 DB부와, 상기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로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제공하며, 제공된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 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행동패턴을 검출하여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정보로 생성하고, 랜딩 페이지에 적용된 소재 및 배치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된 매칭정보를 상기 DB부에 저장하는 광고 효율 측정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된 정렬 기준에 따라 상기 DB부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재 및 배치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와 함께 정렬하여 제공하는 광고 효율 분석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재는 텍스트, 이미지, 음향 및 음성 또는 영상일 수 있으며,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적어도 둘 이상의 소재로 조합하여 구성하여 동일 광고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의 배치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랜딩 페이지로부터 각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하여 소재 및 배치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DB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의 IP를 근거로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는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로부터 사용자의 쿠키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접속경로 또는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칭정보에 추가 매칭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는 노출횟수 대비 클릭수를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기 클릭률로 생성하되, 접속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클릭만을 상기 클릭수에 누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랜딩 페이지의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기설정된 노출 시간에 대한 클릭수를 측정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링크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된 웹페이지를 통해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때마다 카운트하여 상기 클릭수 대비 카운트 횟수를 상기 전환율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매칭정보를 근거로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진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가 포함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로 상기 DB부에 저장된 랜딩 페이지를 대체하여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를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며, 상기 웹페이지의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에 높은 효율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가하여 구성된 최종 랜딩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에 제공하여 랜딩 페이지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가진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다른 하나를 추가 비교하여 높은 값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은 광고 효율을 측정하는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재 또는 배치정보를 적용한 복수의 광고 컨텐츠로 구성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사용자의 IP 및 쿠키를 인식하여, 사용자마다 웹페이지를 통해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다라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제공한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행동패턴을 검출한 후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대응 랜딩 페이지에 적용된 상기 소재 및 배치 정보와 매칭하여 DB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랜딩 페이지로부터 각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하여 소재 및 배치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DB부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DB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근거로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값이 매칭된 소재 및 배치정보를 가진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로 상기 제 1단계의 랜딩 페이지를 대체하는 제 5단계와,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기설정된 웹페이지 공간 내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5단계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에 높은 효율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가하여 랜딩페이지를 최적화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는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가진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다른 하나를 추가 비교하여 높은 값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아이트랙킹과 같이 별도의 추가장비 없이 사용자의 접속 및 클릭 정보에 따른 행동 패턴을 검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최적의 랜딩 페이지 구성에 대한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방식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검출되는 전환율, 클릭율, 클릭 위치, 최초 클릭 시간 등과 같은 결과정보를 매칭하여 매칭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랜딩 페이지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해당 결과정보를 소팅하여 최적의 광고 효율을 나타내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랜딩 페이지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랜딩 페이지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랜딩 페이지의 광고 효율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사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은 광고 컨텐츠만으로 광고 컨텐츠를 자동 추출하여 다수의 랜딩 페이지를 가장 효율이 높은 상태로 실시간 유지할 수 있어 광고 효율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컨텐츠 DB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조합에 따른 광고 컨텐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컨텐츠에 적용되는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한 복수의 소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수 및 조합에 따라 생성되는 랜딩 페이지의 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컨텐츠의 배치방식에 따른 랜딩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효율 측정부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사용자의 접속정보 검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의 전환율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이 생성한 소재별 전환율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이 생성한 매체와 소재별 전환율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이 생성한 키워드와 소재별 전환율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이 생성한 랜딩 페이지에 대한 복수 사용자의 클릭 패턴 분석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의 랜딩 페이지 자동 최적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의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의 자동 최적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검색엔진이나 키워드 광고를 통해 광고 웹페이지를 클릭했을 경우 처음 만나게 되는 웹페이지인 랜딩 페이지에 대한 것으로서, 랜딩 페이지를 접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랜딩페이지를 구성하는 광고 컨텐츠에 사용된 소재와, 해당 광고 컨텐츠의 효율적인 배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랜딩 페이지의 구성을 최적화하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은 웹페이지 생성부(110), 광고 효율 측정부(120), 광고 효율 분석부(130) 및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DB부는 광고 컨텐츠 DB부(200)와, 광고 효율 DB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에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이나 키워드 광고를 통해 처음 접하게 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110)에 제공하여 랜딩 페이지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웹페이지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 저장된 랜딩 페이지를 선택하여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11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 저장된 정보를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랜딩 페이지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포함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향 및 음성, 영상 등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재의 종류별로 구분된 복수의 DB(210, 220, 230, 240, 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문자 DB(210), 이미지 DB(220), 음향 및 음성 DB(230), 영상 DB(240) 이다.
이때, 각 DB에는 동일한 광고 대상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특정 회사의 광고에 대하여 이미지 DB(220)에 복수의 서로 다른 소재가 존재하거나, 이미지 DB(220)와 영상 DB(240)에 소재의 종류는 이미지와 영상으로 다르지만 상기 특정 회사의 광고를 의도하는 소재로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재들은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랜딩 페이지의 크기나 위치가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랜딩 페이지에서 광고 컨텐츠가 차지하는 크기와 위치에 대한 정보가 배치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랜딩 페이지는 광고 컨텐츠 구성시 적용되는 소재와 배치정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여 하나의 랜딩 페이지를 구성한다.
또한,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소재의 변경이나 배치정보의 변경을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 기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 페이지 DB(250)에 별도 저장 관리 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효율 측정부(120)가 랜딩 페이지(100)를 생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소재가 저장된 각 DB부로부터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조합하여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한 서로 다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100)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로 들면,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와 음향 및 음성을 결합하거나, 이미지와 동영상을 조합 또는 결합하거나, 이미지와 영상과 음향 및 음성을 동시 결합하여 광고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플래쉬와 같은 포맷의 경우 영상만으로 구성하거나, 영상과 음향 및 음성으로 광고 컨텐츠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종류가 서로 다른 소재로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여, 소재의 변경만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일한 소재라도 소재의 종류를 상이하게 하거나, 소재의 조합을 상이하게 구성하거나, 소재의 위치 및 크기와 같은 배치정보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생성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각 랜딩 페이지에 적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랜딩 페이지 구성의 실시예로서,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이미지 DB(220)에는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이 기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이 기설정된 배분 방식 또는 관리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랜딩 페이지(100)에 각각 광고 컨텐츠(221)로 적용될 수 있어,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한 서로 다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는 도 2의 랜딩 페이지 DB(2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각 소재의 DB에는 동일 광고 대상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복수의 광고 대상에 대한 소재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각 광고 대상은 복수의 서로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대상의 수와, 광고 대상이 포함하는 소재의 수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 페이지는 서로 다른 광고 대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광고 컨텐츠(221)는 4개의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 2 광고 컨텐츠(222)에는 3개의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 3 광고 컨텐츠(223)는 2개의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 4 광고 컨텐츠(224)는 2개의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는 경우, 4*3*2*2=48 이므로, 이미지 소재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48개의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광고 컨텐츠를 랜딩 페이지에 적용하여 서로 다른 48개의 랜딩 페이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이미지 이외에도 각 광고 컨텐츠를 음향 및 음성중 어느 하나와 이미지로 구성하거나, 음향 및 음성 중 어느 하나와 영상으로 구성하거나, 영상 만으로 구성하는 경우 등과 같이 소재의 종류를 상이하게 또는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합의 수는 배수로 늘어나며 구성할 수 있는 랜딩 페이지의 수도 상기 조합의 수에 대응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광고 컨텐츠를 서로 다른 소재의 종류의 적용 또는 동일 소재 종류 내에서 서로 다른 소재의 적용 및 서로 다른 소재 종류의 조합하여 구성하는 방식 이외에도, 광고 컨텐츠의 배치를 랜딩 페이지마다 다르게 구성하여 상기 배치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서로 다른 랜딩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복수의 광고 대상에 대하여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 제 5 및 제 6 광고 컨텐츠(225, 226)를 포함하고 있는 랜딩 페이지에서, 제 5 광고 컨텐츠(225)와 제 6 광고 컨텐츠(226)의 배치가 각 랜딩 페이지에서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 컨텐츠의 배치는 배치정보로 설정되며, 랜딩 페이지는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한 배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치정보는 랜딩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가 차지하는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광고 효율 측정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구성을 도 8 내지 9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120)는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와, 전환 정보 수집부(122)와,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와, 매체 확인부(124)와, 클릭 위치 감지부(125)와, 시간 확인부(127) 및 제어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는 사용자의 접속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광고 컨텐츠 DB부(200)로부터 복수의 랜딩 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웹페이지 생성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기존에 제공된 랜딩 페이지와 동일한 랜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홈페이지 재접속시 랜딩 페이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는 사용자 1에 대해서 IP정보(IP1)와 쿠키 정보를 수신하여 랜딩 페이지(랜딩 페이지 정보1)를 매칭시키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2에 대해서는 역시 IP정보(IP2)와 쿠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1의 랜딩 페이지(랜딩 페이지 정보1)와 다른 랜딩 페이지(랜딩 페이지 정보2)를 매칭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이 재접속하는 경우 IP정보(IP1)와 쿠키 정보를 근거로 도 8(a)에서 제공된 랜딩 페이지(랜딩 페이지 정보1)와 동일한 랜딩 페이지(랜딩 페이지 정보1)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IP정보와 랜딩페이지의 매칭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페이지 분산 제공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200)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근거로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 랜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로부터 접속 확인이 이루어진 사용자의 IP와 쿠키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IP에 매칭되는 랜딩 페이지를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에 제공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는 상기 랜딩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클릭 정보를 확인하여,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중에서 클릭이 이루어진 광고 컨텐츠를 검출하여 해당 광고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전환 정보 수집부(122) 및 제어부(126)에 제공할 수 있다(①).
한편, 상기 전환정보 수집부(122)는 상기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에서 제공한 광고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광고 컨텐츠 정보가 링크하는 광고 대상 서버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광고 대상 서버는 상기 광고 컨텐츠 정보와 링크된 상기 광고 대상 서버의 웹페이지에서 기설정된 행동을 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②),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광고 대상 서버는 전환정보 수집부(122)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③).
이때, 기설정된 행동이란 일례로 회원가입이나 상품 구매 또는 광고 대상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서의 클릭 등과 같이 광고 대상 서버를 제공하는 관리자가 의도하는 행동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전환 정보 수집부(122)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벤트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어부(12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6)는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로부터 광고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의 클릭 횟수를 누적한다.
즉, 상기 제어부(126)는 사용자마다 제공된 랜딩 페이지에서 동일 소재 및 동일 배치정보로 구성된 상기 광고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환 정보 수집부(122)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의 수신 횟수를 누적한 후 기설정된 노출 시간 동안에 상기 클릭 횟수 대비 상기 수신 횟수를 연산하여 전환율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광고 효율 DB부(300)에 상기 전환율을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재정보 및 배치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④). 이때, 상기 소재 정보는 광고 컨텐츠 구성에 사용된 모든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페이지 분산 제공부(121)로부터 수신한 쿠키 정보를 상기 매체 확인부(124)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 확인부(124)는 상기 쿠키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랜딩 페이지에 접속한 경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경로 정보는 검색 엔진이나 검색 키워드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클릭 위치 감시부(125)는 랜딩 페이지에서 클릭이 이루어진 위치를 감시하여 클릭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릭 위치정보 생성시 상기 매체 확인부(124)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클릭 위치정보와 경로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클릭이 어떤 매체를 경유하여 이루어진 클릭인지가 상호 매칭되어,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 또는 검색 엔진과, 랜딩 페이지의 관심 위치가 상호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26)는 쿠키 정보를 클릭 위치 감시부(125)에 제공할 때 시간확인부(127)에 동시 전송할 수 있으며, 시간 확인부(127)는 쿠키 정보 수신시 시간을 카운트 하여 시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클릭 위치 감지부(125)는 사용자의 클릭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상기 시간확인부(127)에 현재까지 카운트된 시간정보를 요청하여, 시간정보와 클릭 위치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26)는 매체확인부와 클릭 위치감지부(125)가 생성한 경로정보, 시간정보 클릭 위치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광고 효율 DB부(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한 경로와, 최초 클릭이 이루어진 랜딩 페이지의 영역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연관성 있게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클릭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광고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배치정보와 비교하여 광고 컨텐츠의 클릭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광고 컨텐츠 정보, 전환율 정보, 시간정보, 경로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광고 효율 DB부(3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클릭 위치정보를 근거로 광고 컨텐츠의 클릭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마다 제공된 랜딩 페이지에서 동일 소재 및 동일 배치정보로 구성된 광고 컨텐츠의 노출횟수와 클릭횟수를 누적하여, 상기 노출횟수 대비 클릭횟수를 연산함으로써 클릭률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율을 측정하는 단위로서 클릭율 또는 전환율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 컨텐츠 클릭 확인부(123)와 클릭 위치 감시부(125)는 클릭 위치의 검출 없이 광고 컨텐츠만의 전환율 또는 클릭율을 측정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상기 전환정보 수집부(122), 클릭 위치 감시부(125), 시간확인부(127) 및 제어부(126)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상기 광고 효율 DB부(30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누적 연산하여 관리자 단말에 분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하여, 관리자 단말로 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소팅 기준에 따라 정렬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소재별, 매체별, 전환율, 클릭율 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를 도 10 내지 도 14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도 10은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적용된 복수의 서로 다른 소재에 대한 전환율이 매칭된 리스트로서,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최종 업데이트된 전환율에 대한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소재별로 업데이트된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높은 효율을 가진 소재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더하여, 도 11 및 12는 경로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랜딩 페이지에 적용된 광고 컨텐츠의 구성 소재별로 전환율을 업데이트하여, 경로정보 및 이에 매칭되는 소재별 전환율에 대하여 높은 전환율을 가진 매체 및 소재 순으로 분석 리스트를 정렬할 수도 있다.
즉, 도 11은 검색엔진과, 해당 검색엔진에 매칭되어 클릭된 광고 컨텐츠의 소재와, 해당 검색엔진 및 광고 컨텐츠의 소재와 매칭되어 업데이트된 전환율에 대한 정보를 높은 광고 효율 순으로 정렬한 리스트이며, 도 12는 검색 키워드와, 해당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어 클릭된 광고 컨텐츠의 소재와, 해당 검색키워드 및 광고 컨텐츠의 소재와 매칭되어 업데이트된 전환율에 대한 정보를 높은 광고 효율 순으로 정렬한 리스트이다.
이때,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낮은 클릭율 또는 전환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우선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낮은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효율 DB부(300)에 저장된 클릭 위치정보를 근거로 랜딩 페이지에 가시적으로 클릭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클릭이 이루어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위치의 누적횟수 및 최초 클릭 시점이 색상별로 분류된 클릭포인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상기 클릭포인터 정보의 클릭위치와 대응되는 각 랜딩페이지의 광고컨텐츠별 배치정보 및 소재를 매칭한 후 클릭횟수를 누적하여 클릭횟수가 높은 배치정보 및 소재의 순서대로 정렬된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최초 클릭이 이루어진 시점을 시간별로 분류하고 각 시간대별로 누적된 클릭횟수가 높은 배치정보 및 소재의 순서대로 정렬된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리스트를 통해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130)는 가장 클릭횟수가 높거나, 최초 클릭이 이루어진 시점이 빠르면서 클릭횟수가 많은 배치정보 및 소재로 각 랜딩페이지의 영역별로 광고컨텐츠를 구성하여 랜딩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최적화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광고 효율 분석부(130)의 다양한 분석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높은 효율과 낮은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를 구분할 수 있어, 최적화된 랜딩 페이지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랜딩 최적화 시스템은 최적화된 랜딩 페이지를 자동 구성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랜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4의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구성된 사용자 A군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 DB부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를 통해 제공하여 생성된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광고 효율 DB부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A군에 포함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가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제공되며, 랜딩 페이지가 동일한 사용자가 당연 발생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 상호간 광고 컨텐츠 중 일부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광고 효율 DB부로부터 사용자 A군에 대하여 제공된 복수의 랜딩 페이지에서 적용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에서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광고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 A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서로 다른 광고 컨텐츠들 중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광고 효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다른 하나를 기준으로 추가 비교하여 더 높은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소재 및 배치 정보로 구성된 광고 컨텐츠 A를 고정하고, 나머지 광고 컨텐츠를 상이하게 구성한 랜딩 페이지를 복수로 생성하여 광고 컨텐츠 DB부에 저장하고, 사용자 A군과 별개의 복수의 사용자로 구성된 사용자 B군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 A가 고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광고 컨텐츠 DB부로부터 기설정된 분산방식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 B군으로부터 사용자 A군에서 광고 컨텐츠 A를 추출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광고 컨텐츠 E'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A를 제외한 나머지 광고 컨텐츠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이 높은 광고 컨텐츠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 A군 및 사용자 B군과 별개의 사용자 집단인 사용자 C에 대하여, 사용자 A군과 B군에서 추출된 광고 컨텐츠 A와 광고 컨텐츠 E'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광고 컨텐츠를 서로 달리 구성하여 생성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 A와 E'를 제외한 나머지 광고 컨텐츠 중에서 가장 효율이 높은 광고 컨텐츠 F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 B군에 포함된 사용자에게는 접속 정보를 근거로 광고 컨텐츠 F를 추출하기 이전과 동일한 랜딩페이지(광고 컨텐츠 A가 고정된 랜딩 페이지)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광고 컨텐츠 F까지 추출하여,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웹페이지의 기설정된 공간 내에 추가적인 광고 컨텐츠를 적용할 공간이 없는 경우 광고 컨텐츠 A, 광고 컨텐츠 E' 및 광고 컨텐츠 F로 구성된 최종 랜딩 페이지를 확정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DB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A군, B군 및 C군을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최종 랜딩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적화 방식을 통해, 가장 광고 효율이 높은 광고 컨텐츠만으로 구성된 랜딩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광고 효율 측정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의 IP 및 쿠키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웹페이지 생성부를 통해 제공한다.
이후,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검출에 따라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율인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랜딩 페이지의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정보와 상기 광고 효율을 매칭하여 DB에 저장한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로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의 IP 및 쿠키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웹페이지 생성부를 통해 제공한다.
이후,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검출에 따라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효율인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높은 광고 효율을 가진 광고 컨텐츠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추출된 광고 컨텐츠가 고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DB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랜딩 페이지에 적용시 기설정된 웹페이지의 여분 공간을 검출하여 여분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가 고정된 랜딩 페이지에 서로 다른 광고 컨텐츠를 추가하여 생성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기존에 접속하여 랜딩 페이지가 매칭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랜딩 페이지에 추출된 광고 컨텐츠의 지속적인 적용으로 기설정된 웹페이지 공간에 여분 공간이 없는 경우 최종 랜딩 페이지를 확정하고, 기존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추출된 광고 컨텐츠만으로 구성된 상기 최종 랜딩 페이지를 제공한다.
100: 랜딩 페이지 110: 웹페이지 생성부
120: 광고효율 측정부 121: 페이지 분산 제공부
122: 전환 정보 수집부 123: 컨텐츠 클릭 확인부
124: 매체 확인부 125: 클릭 위치 감시부
126: 제어부 127: 시간확인부
130: 광고효율 분석부 200: 광고 컨텐츠 DB부
221: 제 1 광고 컨텐츠 222: 제 2 광고 컨텐츠
223: 제 3 광고 컨텐츠 224: 제 4 광고 컨텐츠
225: 제 5 광고 컨텐츠 226: 제 6 광고 컨텐츠
210: 문자 DB 220: 이미지 DB
230: 음향 및 음성 DB 240: 영상 DB
250: 랜딩 페이지 DB 300: 광고 효율 DB부

Claims (15)

  1.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부;
    복수의 광고 컨텐츠와, 상기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재와, 동일한 종류의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재 또는 서로 다른 위치나 크기에 대한 배치 정보가 적용되어 마련된 복수의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포함하는 DB부;
    상기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로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따라 제공하며, 제공된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 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행동패턴을 검출하여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정보로 생성하고, 랜딩 페이지에 적용된 소재 및 배치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된 매칭정보를 상기 DB부에 저장하는 광고 효율 측정부;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된 정렬 기준에 따라 상기 DB부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재 및 배치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와 함께 정렬하여 제공하는 광고 효율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매칭정보를 근거로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진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가 포함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로 상기 DB부에 저장된 랜딩 페이지를 대체하여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를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며, 상기 웹페이지의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에 높은 효율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가하여 구성된 최종 랜딩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에 제공하여 랜딩 페이지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텍스트, 이미지, 음향 및 음성 또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적어도 둘 이상의 소재로 조합하여 구성하여 동일 광고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의 배치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랜딩 페이지로부터 각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하여 소재 및 배치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DB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사용자의 IP를 근거로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는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로부터 사용자의 쿠키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접속경로 또는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칭정보에 추가 매칭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분석부는 노출횟수 대비 클릭수를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기 클릭률로 생성하되, 접속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클릭만을 상기 클릭수에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랜딩 페이지의 각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기설정된 노출 시간에 대한 클릭수를 측정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링크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된 웹페이지를 통해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때마다 카운트하여 상기 클릭수 대비 카운트 횟수를 상기 전환율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가진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다른 하나를 추가 비교하여 높은 값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11. 광고 효율을 측정하는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동일 광고 대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재 또는 배치정보를 적용한 복수의 광고 컨텐츠로 구성된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사용자의 IP 및 쿠키를 인식하여, 사용자마다 웹페이지를 통해 기설정된 분산 방식에 다라 서로 다른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제공한 랜딩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재 및 배치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행동패턴을 검출한 후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대응 랜딩 페이지에 적용된 상기 소재 및 배치 정보와 매칭하여 DB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DB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근거로 전환율 또는 클릭률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값이 매칭된 소재 및 배치정보를 가진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랜딩 페이지로 상기 제 1단계의 랜딩 페이지를 대체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기설정된 웹페이지 공간 내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5단계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에 높은 효율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가하여 랜딩페이지를 최적화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향 및 음성,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가 상기 랜딩 페이지로부터 각 광고 컨텐츠의 소재 및 배치정보를 추출하여 소재 및 배치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광고 효율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DB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서버는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가진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환율 또는 클릭율 중 다른 하나를 추가 비교하여 높은 값을 가진 상기 최우선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페이지 최적화 방법.
KR1020100130152A 2010-12-17 2010-12-17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52A KR101180439B1 (ko) 2010-12-17 2010-12-17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52A KR101180439B1 (ko) 2010-12-17 2010-12-17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611A KR20120075611A (ko) 2012-07-09
KR101180439B1 true KR101180439B1 (ko) 2012-09-06

Family

ID=4670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152A KR101180439B1 (ko) 2010-12-17 2010-12-17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38A1 (ko) * 2018-01-10 2019-07-18 (주) 알트소프트 지역사회 구조에 특화된 기준 영역에 의해 배너 광고별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배너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220134251A (ko) * 2021-03-26 2022-10-05 엔에이치엔애드 (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US11921801B2 (en) 2021-04-09 2024-03-05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keyword management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57B1 (ko) * 2013-12-26 2021-01-12 주식회사 케이티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684582B1 (ko) * 2015-07-30 2016-12-08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키워드 광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42654B (zh) * 2018-11-28 2021-04-3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生成广告图片的方法和系统
KR102311295B1 (ko) * 2020-06-22 2021-10-14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고객정보 수집 자동화를 위한 랜딩 페이지 및 crm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3228B1 (ko) 2021-04-13 2022-01-20 쿠팡 주식회사 랜딩 페이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3190316A (zh) * 2021-04-29 2021-07-30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互动内容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504344B1 (ko) * 2021-05-07 2023-02-28 (주)빅인사이트 자동 광고 대행 서버, 광고 대상, 사용자, 또는 매체 정보에 대응하여 랜딩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10B1 (ko) 2007-04-20 2008-07-10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10B1 (ko) 2007-04-20 2008-07-10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38A1 (ko) * 2018-01-10 2019-07-18 (주) 알트소프트 지역사회 구조에 특화된 기준 영역에 의해 배너 광고별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배너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220134251A (ko) * 2021-03-26 2022-10-05 엔에이치엔애드 (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KR102633095B1 (ko) * 2021-03-26 2024-02-05 엔에이치엔애드 (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US11921801B2 (en) 2021-04-09 2024-03-05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keyword managemen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611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439B1 (ko)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80414B2 (en) Generating structured classification data of a website
US10127574B2 (en) Internet marketing analytics system
US8738426B2 (en) Taxonomy based targeted search advertising
KR100893222B1 (ko) 입력되는 검색 쿼리 패턴을 고려한 무효 쿼리 검출 장치 및그 방법
KR102073352B1 (ko) 콘텐츠 성능 최적화를 위한 자동화된 클릭 타입 선택
AU2008343242B2 (en) Video quality measures
KR101419504B1 (ko) 사용자 성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803190A (zh) 一种广告个性化推送系统及方法
US20100036726A1 (en) Method of reducing cost per action of an internet advertisement campaign, and optimizing to the maximum the number of actions performed by web surfers
US20140258002A1 (en) Semantic model based targeted search advertising
US20170109762A1 (en) Omni-channel marketing cur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KR10204455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US202001755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remarketing lists
KR102252188B1 (ko) 사용자 구매 기준을 반영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46312B1 (ko) 개인행동기반 관심 대상 및 선호 분야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572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Level Reporting
KR101441164B1 (ko) 오브젝트 커스터마이제이션 및 관리 시스템
US8868565B1 (en) Calibrating click duration according to context
US20110282741A1 (en) Method for offering advertisement according to search intention segmentation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423558B2 (en) Targeting online ads by grouping and mapping user properties
JP2019219774A (ja) コンバージョンレポート表示装置、そ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209853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210029006A (ko) 제품 평가 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28356B1 (ko) 코멘트 기반의 광고 추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