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57B1 -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57B1
KR102200557B1 KR1020130163638A KR20130163638A KR102200557B1 KR 102200557 B1 KR102200557 B1 KR 102200557B1 KR 1020130163638 A KR1020130163638 A KR 1020130163638A KR 20130163638 A KR20130163638 A KR 20130163638A KR 102200557 B1 KR102200557 B1 KR 10220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information
content
unit time
inqui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297A (ko
Inventor
김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의 조회(클릭)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업로드 시간을 리포트할 수 있는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Contents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 of Clicks through Report of Optimal Upload Time}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업로드되는 동영상 콘텐츠 등에 대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의 조회(클릭)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업로드 시간을 리포트할 수 있는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콘텐츠를 비롯한 대부분의 가상 재화(Virtual Goods)의 경우 단시간에 소비가 증가했다가 소멸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는 단시간에 최대의 방문자를 확보해야 높은 수익 등의 기대효과가 예상되는 속성을 가진다.
이러한 높은 수익의 최대 기대효과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콘텐츠의 품질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에 대하여 많은 방문자를 확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 10-2011-0053185호 (2011년05월19일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 10-2008-0028687호 (2008년04월01일 공개)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업로드되어 최신 업로드 순으로 정렬된 콘텐츠들의 조회(클릭) 기록과 태그 등의 분석을 통해 소비층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업로드 시간을 리포트할 수 있는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콘텐츠들을 분석하여 대상 콘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들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탐색하는 단계에서, 콘텐츠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태그 또는 제목에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콘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로부터 해당 콘텐츠들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를 합산한 값들을 기초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로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는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해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그래피컬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해당 시간대의 대표 조회 정보를 다른 조회 정보와 구분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상의 동일 서버 또는 다른 싸이트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콘텐츠들을 분석하여 대상 콘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분석 장치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검색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하는 콘텐츠 탐색부;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들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패턴 분석부; 및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리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분석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조회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와 유사한 성격의 콘텐츠들의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조회수를 받을 수 있는 시간에 업로드를 통해 단시간에 최대 접속자의 방문이 가능하게 하여 콘텐츠를 통한 최대수익 및 광고와 연계한 2차 수익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장치에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구성과 데이터베이스에 통계적으로 관리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래피컬하게 리포트되는 요일별 조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래피컬하게 리포트되는 월별 조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래피컬하게 리포트되는 시간별 조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장치(100)는, 제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콘텐츠 탐색부(130), 패턴 분석부(140), 리포트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장치(100)는 이미 업로드되어 최신 업로드 순으로 정렬된 콘텐츠들의 조회(클릭) 기록과 태그 등의 분석을 통해 소비층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업로드 시간 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WCDMA, LTE, WiBro, WiFi, 인터넷 등 유무선 통신에 기반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부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는 동영상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 등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든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미 업로드되어 있는 콘텐츠들 역시 위와 같은 다양한 모든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 또는 이미 업로드되어 있는 콘텐츠들은 콘텐츠 분석 장치(100)에 업로드되거나 업로드 되어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른 외부의 다른 서버에 업로드되거나 업로드 되어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제어부(110)는 콘텐츠 분석 장치(100)의 각부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부 구성요소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의 흐름도와 도 3내지 도 6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조회, 재생 등을 할 수 있도록 업로드되는 콘텐츠들은 데이터베이스(161)에 관리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업로드되는 콘텐츠들은 각각의 제목, 제작자, 태그 등 관련 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또한, 조회 정보 관리부(160)는 데이터베이스(161)에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 즉,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업로드되는 콘텐츠들을 방문자가 조회, 재생 등 조회수(클릭수)에 대하여 관리하되, 위와 같은 단위 시간별로 통계적인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조회 정보 관리부(160)와 데이터베이스(161)는 동일 서버의 콘텐츠 분석 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의 다른 싸이트 서버인 해당 동영상 관리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대상 콘텐츠를 업로드할 사용자 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S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사이트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웹페이지 상에 구현된 검색어 입력창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된 검색어의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대상 콘텐츠의 태그나 제목(예, 게임, 교육, 음악, 가수명 등)을 고려하여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태그나 제목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탐색부(130)는 입력된 검색어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한다(S120).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61)에 콘텐츠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태그 또는 제목에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 즉,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61)가 외부 서버에서 관리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탐색부(130)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기동하여 외부 서버로 해당 검색어에 대한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조회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대하여 태그 또는 제목에서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조회 정보에는 콘텐츠들의 태그 또는 제목에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 즉,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수 통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수 통계 정보는,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해당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일 수 있다.
패턴 분석부(140)는 콘텐츠 탐색부(130)가 탐색한 위와 같은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분석하여 업로드할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들 전체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30).
탐색된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수 통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패턴 분석부(140)는 해당 관련 콘텐츠 전체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콘텐츠들 전체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를 합산한 값들이 포함되는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도 4,5,6 참조).
또한, 탐색된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는,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해당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패턴 분석부(140)는 이를 반영하여 콘텐츠들 전체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 경로는, 방문하여 콘텐츠를 조회한 자의 소속 국가, 검색사이트, SNS(페북, 트윗 등), 홈페이지 추천 등 콘텐츠를 방문하게 된 경로를 나타내는 트래픽 소스, 콘텐츠를 조회한 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gender), 콘텐츠를 조회한 자의 연령대(agegrou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회 디바이스는, DESKTOP PC, MOBILE Phone(스마트 폰 등), TABLET PC, TV(인터넷 TV 등), GAME_CONSOLE, UNKNOWN_PLATFORM 등 디바이스 타입이나, ANDROID, WINDOWS, BADA, BLACKBERRY, LINUX, PLAYSTATION, SYNBIAN, WEBOS, XBOX 등 조회 디바이스의 OS(Operating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140)는 해당 관련 콘텐츠 전체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콘텐츠들 전체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를 합산한 값들이 포함되는 단위 시간별(예,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되, 위와 같은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해당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도 4,5,6 참조). 예를 들어, MOBILE Phone(스마트 폰 등)으로 조회한 관련 콘텐츠들 전체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 ANDROID OS로 조회한 관련 콘텐츠들 전체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 또는 MOBILE Phone(스마트 폰 등)에서 ANDROID OS를 이용하여 조회한 관련 콘텐츠들 전체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리포트부(150)는 위와 같이 패턴 분석부(140)가 분석하여 추출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40). 리포트부(150)는 텍스트 형태로도 결과를 출력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의미 파악이 용이하도록 도 4,5,6과 같이, 그래피컬한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그래피컬한 그래프 형태로 리포트되는 요일별 조회 정보로서, 리포트부(150)는 미리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해당 시간대(Saturday, Sunday)의 대표 조회 정보를 다른 조회 정보와 구분되는 형태(예, 다른 색상, 다른 해치, 플래시 등)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그래피컬한 그래프 형태로 리포트되는 월별 조회 정보로서, 리포트부(150)는 미리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해당 시간대(Jun, Jul, Aug)의 대표 조회 정보를 다른 조회 정보와 구분되는 형태(예, 다른 색상, 다른 해치, 플래시 등)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그래피컬한 그래프 형태로 리포트되는 시간별 조회 정보로서, 리포트부(150)는 미리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해당 시간대(PM 6시 ~ 10시)의 대표 조회 정보를 다른 조회 정보와 구분되는 형태(예, 다른 색상, 다른 해치, 플래시 등)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 동영상을 업로드할 예정인 경우에, 도 4, 5, 6과 같은 리포트를 바탕으로, 최적의 업로드 시간이 주말, 오후 6~10까지, 계절상으로는 여름이 높은 조회를 기록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사한 유형의 비슷한 콘텐츠로 최대의 수익을 받기 위해서는 가장 최적의 시간에 업로드 하는 것이 확률이 높을 것이므로,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되는 최적의 업로드 시간을 활용하여 최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리포트부(150)는 위와 같이 패턴 분석부(140)가 분석하여 추출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에 대한 결과와,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반영한 해당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위와 같은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조회 경로, 특정 조회 디바이스를 예상하여 그에 맞는 대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와 유사한 성격의 콘텐츠들의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조회수를 받을 수 있는 시간에 업로드를 통해 단시간에 최대 접속자의 방문이 가능하게 하여 콘텐츠를 통한 최대수익 및 광고와 연계한 2차 수익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콘텐츠들을 분석하여 대상 콘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들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콘텐츠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태그 또는 제목에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하는 단계에서,
    콘텐츠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태그 또는 제목에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콘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로부터 해당 콘텐츠들의 단위 시간별 조회수를 합산한 값들을 기초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로서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또는 년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는 조회 경로, 조회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그래피컬한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해당 시간대의 대표 조회 정보를 다른 조회 정보와 구분되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상의 동일 서버 또는 다른 싸이트 서버에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0.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콘텐츠들을 분석하여 대상 콘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분석 장치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검색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탐색하는 콘텐츠 탐색부;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와 유사한 이미 업로드된 콘텐츠들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추출하는 패턴 분석부; 및
    상기 단위 시간별 조회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리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콘텐츠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태그 또는 제목에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들의 조회 정보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별 조회수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조회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 장치.
KR1020130163638A 2013-12-26 2013-12-26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0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38A KR102200557B1 (ko) 2013-12-26 2013-12-26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38A KR102200557B1 (ko) 2013-12-26 2013-12-26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297A KR20150076297A (ko) 2015-07-07
KR102200557B1 true KR102200557B1 (ko) 2021-01-12

Family

ID=5378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638A KR102200557B1 (ko) 2013-12-26 2013-12-26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29B1 (ko) * 2021-03-23 2023-11-08 아도바 주식회사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1774A1 (en) 2006-07-21 2008-01-24 Verona Steven N Media popularity contest method
JP2013206434A (ja) 2012-03-29 2013-10-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時間条件提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785A (ko) * 2005-03-18 2006-09-21 구성진 웹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20066256A (ko) * 2010-12-14 2012-06-22 (주)리차드캐서린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101180439B1 (ko) * 2010-12-17 2012-09-06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1774A1 (en) 2006-07-21 2008-01-24 Verona Steven N Media popularity contest method
JP2013206434A (ja) 2012-03-29 2013-10-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時間条件提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297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050B2 (en) Assigning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s to households
Enoch et al. When COVID-19 came to town: Measuring the impac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on footfall on six high streets in England
US117560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ctronic billboards
US9860148B2 (en) Geographic se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9854450B2 (en) Enhanced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nalysis facilities
US20210174234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US20150339686A1 (en) Enhanced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nalysis
CN109688479B (zh) 一种弹幕显示方法、弹幕显示装置和弹幕显示服务器
CN104488277A (zh) 用于监测媒体呈现的方法和装置
US1059291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determining programmatically expected performances
US10120888B2 (en) Automated task execution based on task criteria
US11775994B2 (en) Distributing electronic surveys via third-party content
CN104881774A (zh) 一种自动建立日程的方法和装置
JP2014532202A (ja) 仮想広告プラットフォーム
US11257000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Piccardi et al. On the Value of Wikipedia as a Gateway to the Web
US2013021191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user interest information
KR102200557B1 (ko) 최적의 업로드 시간의 리포트를 통해 콘텐츠 조회수 증가를 위한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US201400061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KR1025064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및 쇼핑몰 생성 및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40101242A1 (en) Export permissions in a claims-based social networking system
De Prato et al. The next wave:" big data"?
JP5856010B2 (ja) 広告提供装置、広告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35661A1 (en) Tracking virality of media content by monitoring sharing habits of viewers
CN113010795A (zh) 用户动态画像生成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