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210B1 -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210B1
KR100845210B1 KR1020070038850A KR20070038850A KR100845210B1 KR 100845210 B1 KR100845210 B1 KR 100845210B1 KR 1020070038850 A KR1020070038850 A KR 1020070038850A KR 20070038850 A KR20070038850 A KR 20070038850A KR 100845210 B1 KR100845210 B1 KR 10084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advertisement
efficiency
measuring
g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정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3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너광고(banner advertisement), 웹 페이지, 아이트래킹(eyetracking), 버킷 테스트(bucket test)

Description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FOR SURVEYING EFFICIENCY OF ADVERTISING ACCODING TO COMPOSITION IN WEB PAG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도 1a는 웹 페이지의 우측에 게재된 배너광고의 일례이다.
도 1b는 웹 페이지의 중앙에 게재된 배너광고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응시 횟수 및 응시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크기의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5a 및 5b는 서로 다른 위치에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6은 동일 소재의 광고에 대해 서로 다른 개수의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7은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에 따른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
801: 웹 페이지 생성부
802: 웹 페이지 제공부
803: 광고 효율 측정부
본 발명은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웹 페이지에 게재되는 광고의 크기 및 위치 등의 다양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광고(internet advertising)는 말 그대로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로서 이러한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장점을 활용한 광고를 통해서 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소비자를 만날 수 있으며, 고객의 반응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크게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인터렉티브 미디어(Interactive Media) 모델과 배너광고(Banner Advertising)를 조합한 모델로 나뉜다.
인터액티브 미디어 광고는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해서 차별적으로 광고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기업은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 광고에 비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너광고는 화면 한구석에 나와 있는 띠 광고로, 도로광고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장소에 배너광고를 띄워놓고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이것을 클릭하여 자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인다.
이러한 배너광고는 인기 있는 홈페이지의 한쪽에 특정 웹사이트의 이름이나 내용을 부착하여 홍보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의미한다. 마치 현수막처럼 생겨 배너(banner)란 명칭으로 불리고, 미리 정해진 규격에 동영상 파일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내고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광고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배너가 사용자들에게 보여진 횟수나 일정 기간 동안 배너 그래픽이 다운로드된 횟수를 세어 광고주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처음에는 사각형 모양에 도메인과 사업내용을 알리는 단순한 형태로 시작했으나, 요즘에는 동영상을 넣거나 홈페이지를 열면 화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도 1a 및 도 2a는 웹 페이지에 게재된 배너광고의 위치에 따른 두 가지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웹 페이지(110)에서 배너광고(111)는 웹 페이지(110)의 우측에 존재하고, 웹 페이지(120)에서 배너광고(121)는 웹 페이지(1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이러한 광고의 위치는 사용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글을 읽는 나라의 사용자들은 좌측에 게 재된 광고를 우측에 게재된 광고보다 먼저 인식할 수 있고, 이는 광고의 효율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면, 단순히 광고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즉,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아이트래킹(eyetracking) 및 버킷 테스트(bucket test)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 횟수 및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기 응시 시간, 상기 응시 횟수 및 상기 클릭률을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간에 비교함으로써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및 응시 횟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각각에서 아이트래킹(eyetracking)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 전체에 대한 제1 응시시간 및 제1 응시 횟수간의 제1 비교 및 상기 광고에 대한 제2 응시시간 및 제2 응시횟수간의 제2 비교를 통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광고의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릭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별 로 상기 클릭률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릭률은 버킷 테스트(bucket test)를 통해 제공된 웹 페이지의 노출 횟수 및 클릭 횟수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성은 상기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또는 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수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동일 소재 광고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시스템은,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효율 측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너광고와 같은 인터넷 광고의 클릭 및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사용자들의 방문 목적, 광고의 위치, 광고의 크기, 광고의 노출 방식, 웹 페이지의 성격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들 중에서 일부는 웹 페이지의 구성 당시 제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및 이미지의 존재 여부 등의 요소들은 최초 웹 페이지를 구성할 때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면,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 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01)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구성은 상기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또는 웹 페이지의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수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동일 소재 광고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기선정된 수만큼 서로 다른 크기의 광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40*34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1 웹 페이지, 240*24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2 웹 페이지 및 120*12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3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동일한 크기의 광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 페이지의 상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4 웹 페이지, 중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5 웹 페이지 및 하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6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하거나, 상기 웹 페이지의 좌측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7 웹 페이지, 중앙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8 웹 페이지 및 우측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9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동일 소재의 광고를 서로 다른 개수로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 소재의 광고를 1개만 포함하는 제10 웹 페이지 및 상기 동일 소재의 광고를 2개 포함하는 제11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생성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와 연관된 문서의 이미지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서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광고와 함께 포함하는 제12 웹 페이지 및 상기 이미지 없이 상기 광고만을 포함하는 제13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임의로 서버에 접근하는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선정된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처리정보를 생성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S202)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203)에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아이트래킹 또는 버킷 테스트를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단계(S202)에서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 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아이트래킹 또는 상기 버킷 테스트 중 어떠한 방법을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가에 따라 임의로 서버에 접근하는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선정된 사용자단말기로 각각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아이트래킹을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및 응시 횟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각각에서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수신하여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웹 페이지 전체에 대한 제1 응시시간 및 제1 응시 횟수간의 제1 비교 및 상기 광고에 대한 제2 응시시간 및 제2 응시횟수간의 제2 비교를 통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버킷 테스트를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광고의 클릭률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클릭률은 버킷 테스트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킷 테스트는 상기 웹 페이지를 무작위로 배포해 그 반응을 점검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통해, 상기 웹 페이지의 노출 횟수와 상기 광고의 클릭 횟수간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릭률을 수신하여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클릭률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단계(S203)에서 위의 두 가지 방법 각각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응시 횟수 및 응시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웹 페이지(300)에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응시 패턴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적외선을 방출하고, 안구에서 반사되는 상기 적외선의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닿는 지점인 응시 지점을 파악하는 눈동자 추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웹 페이지(300)에서 이러한 상기 응시 지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원의 크기는 상기 응시 지점에 대한 응시 시간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원 내부의 숫자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한 이동 순서를 의미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300)에 대한 응시 시간 및 동일한 지점에 대한 응시 횟수를 웹 페이지(300)에 대한 처리정보로서 생성하여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서로 다른 크기의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여기서, 웹 페이지(410)는 340*340 크기의 광고(411)를, 웹 페이지(420)는 240*240 크기의 광고(421)를, 웹 페이지(430)는 120*120 크기의 광고(431)는 각각 포함하고, 이와 같은 웹 페이지(410) 내지 웹 페 이지(43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410) 내지 웹 페이지(430)에 대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처리정보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의 크기에 따른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트래킹을 통해 생성된 처리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광고(411) 내지 광고(431)에 대해 응시 횟수의 평균이 각각 '2.7'회, '0.4회' 및 '0.5회'이고, 응시 시간의 평균이 각각 '0.6초', '0.1초' 및 '0.2초'인 경우, "단순히 광고의 크기가 클수록 광고 효과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주목도가 급증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위치에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여기서, 웹 페이지(501) 내지 웹 페이지(506)는 상단, 중단, 하단, 좌측, 중앙, 우측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광고(507) 내지 광고(512)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웹 페이지(501) 내지 웹 페이지(506)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501) 내지 웹 페이지(506)에 대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처리정보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의 크기에 따른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버킷 테스트를 통해 생성된 처리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광고(507) 내지 광고(509)에 대해 클릭률이 각각 '0.054%', '0.084%', '0.072%' 인 경우, 단순히 상단에 위치하는 광고의 광고 효과가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상기 클릭률이 '0.084%', '0.072%', '0.054%'와 같이 나타난다면, 상단에 위치 하는 광고의 광고 효과가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510) 내지 광고(512)에 대해 상기 클릭률이 각각 '0.205%', '0.144%', '0.098%'와 같이 나타난다면, 광고가 좌측에 위치할수록 더 광고 효과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클릭률이 이와 반대로 '0.098%', '0.144%', '0.205%'와 같이 측정됐다면 상기 광고가 우측에 위치할수록 더 광고 효과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광고의 웹 페이지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고, 위의 두 클릭률을 모두 이용하여 광고 효과가 가장 높은 최적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도 6은 동일 소재의 광고에 대해 서로 다른 개수의 광고를 게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여기서, 웹 페이지(601) 및 웹 페이지(602)는 각각 2개의 동일 소재 광고(603,604) 및 1개의 동일 소재 광고(605)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웹 페이지(601) 및 웹 페이지(602)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601) 및 웹 페이지(602)에 대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처리정보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의 크기에 따른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603, 604)에 대한 제1 응시 횟수 및 제1 응시 시간이 광고(605)에 대한 제2 응시 횟수 및 제2 응시 시간보다 각각 큰 경우 동일 소재 광고의 중복 노출이 단일 노출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작은 경우 상기 단일 노출이 상기 중복 노출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수의 동일 소재 광고를 동시에 노출시켜 광고에 대한 효율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에 따른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여기서, 웹 페이지(701) 및 웹 페이지(702)는 각각 문서(703)에 이미지(704)가 포함된 경우의 광고(705) 및 문서(706)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의 광고(707)를 각각 포함하고, 이와 같은 웹 페이지(701) 및 웹 페이지(702)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701) 및 웹 페이지(702)에 대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처리정보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의 크기에 따른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광고(705) 및 광고(707)에 대한 응시 횟수, 응시 시간 또는 클릭률을 비교함으로써 이미지(704)의 포함여부가 광고(705, 707)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각각의 요소(광고의 크기, 위치, 동일 소재 광고의 개수 및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각각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측정된 광고의 효율을 종합하여 분석하면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효율 측정 방법을 이용하면 아이트래킹 및 버킷 테스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 횟수 및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기 응시 시간, 상기 응시 횟수 및 상기 클릭률을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간에 비교함으로써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800)은 웹 페이지 생성부(801), 웹 페이지 제공부(802) 및 광고 효율 측정부(803)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생성부(801)는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구성은 상기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또는 웹 페이지의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수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동일 소재 광고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 생성부(801)는 상기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기선정된 수만큼 서로 다른 크기의 광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40*34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1 웹 페이지, 240*24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2 웹 페이지 및 120*120 크기의 광고를 포함하는 제3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생성부(801)는 동일한 크기의 광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 페이지의 상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4 웹 페이지, 중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5 웹 페이지 및 하단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6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하거나, 상기 웹 페이지의 좌측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7 웹 페이지, 중앙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8 웹 페이지 및 우측에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제9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 생성부(801)는 동일 소재의 광고를 서로 다른 개수로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 소재의 광고를 1개만 포함하는 제10 웹 페이지 및 상기 동일 소재의 광고를 2개 포함하는 제11 웹 페이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웹 페이지 생성부(801)는 생성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와 연관된 문서의 이미지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서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광고와 함께 포함하는 제12 웹 페이지 및 상기 이미지 없이 상기 광고만을 포함하는 제13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802)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웹 페이지 제공부(802)는 임의로 서버에 접근하는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선정된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처리정보를 생성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802)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광고 효율 측정부(803)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다. 이때, 광고 효율 측정부(803)는 아이트래킹 또는 버킷 테스트를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웹 페이지 제공부(802)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아이트래킹 또는 상기 버킷 테스트 중 어떠한 방법을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가에 따라 임의로 서버에 접근하는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선정된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아이트래킹을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및 응시 횟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각각에서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효율 측정부(80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응시시간 및 상기 응시횟수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시간 및 상기 응시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는 상기 웹 페이지 전체에 대한 제1 응시시간 및 제1 응시 횟수간의 제1 비교 및 상기 광고에 대한 제2 응시시간 및 제2 응시횟수간의 제2 비교를 통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버킷 테스트를 통해 생성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광고의 클릭률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클릭률은 버킷 테스트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킷 테스트는 상기 웹 페이지를 무작위로 배포해 그 반응을 점검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통해, 상기 웹 페이지의 노출 횟수와 상 기 광고의 클릭 횟수간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효율 측정부(80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릭률을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클릭률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효율 측정부(803)는 위의 두 가지 방법 각각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면 아이트래킹 및 버킷 테스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 횟수 및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기 응시 시간, 상기 응시 횟수 및 상기 클릭률을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간에 비교함으로써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너광고와 같은 인터넷 광고의 클릭 및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서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및 이미지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예를 들었을 뿐 또 다른 요소인 색상, 광고의 모양, 텍스트의 크기 등과 같이 그 구성을 서로 달리하여 상기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많은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트래킹(eyetracking) 및 버킷 테스트(bucket test)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 횟수 및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기 응시 시간, 상기 응시 횟수 및 상기 클릭률을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간에 비교함으로써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5)

  1.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은 상기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또는 웹 페이지의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수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동일 소재 광고 개수를 의미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 시간 및 응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각각에서 아이트래킹(eyetracking)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 시간 및 상기 응시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 전체에 대한 제1 응시시간 및 제1 응시 횟수간의 제1 비교 및 상기 광고에 대한 제2 응시시간 및 제2 응시횟수간의 제2 비교를 통해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광고의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릭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클릭률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률은 버킷 테스트(bucket test)를 통해 제공된 웹 페이지의 노출 횟수 및 클릭 횟수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기선정된 수만큼 서로 다른 크기의 광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동일한 크기의 광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동일 소재의 광고를 서로 다른 개수로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생성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와 연관된 문서의 이미지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광고 효율 측정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 페이지 각각의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광고 효율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은 상기 광고의 크기, 위치, 개수 또는 웹 페이지의 문서와 연관된 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수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동일 소재 광고 개수를 의미하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응시시간 및 응시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응시시간 및 상기 응시횟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응시시간 및 상기 응시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는 버킷 테스트(bucket test)를 통해 제공된 웹 페이지의 노출 횟수 및 클릭 횟수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클릭률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효율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클릭률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웹 페이지별로 상기 클릭률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광고 효율 측정 시스템.
  15. 삭제
KR1020070038850A 2007-04-20 2007-04-20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084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50A KR100845210B1 (ko) 2007-04-20 2007-04-20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50A KR100845210B1 (ko) 2007-04-20 2007-04-20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210B1 true KR100845210B1 (ko) 2008-07-10

Family

ID=3982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50A KR100845210B1 (ko) 2007-04-20 2007-04-20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41B1 (ko) * 2009-08-31 2012-03-12 주식회사 나스미디어 인터넷 광고 시청률 제공 방법
KR101180439B1 (ko) 2010-12-17 2012-09-06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76173B1 (en) * 2022-04-27 2023-06-13 Content Square SAS Webpage zone exposure rate optimiz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12A (ko) * 2000-06-17 2001-02-05 이상준 광고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광고 방법
KR20010089970A (ko) * 2000-03-27 2001-10-17 강양선 웹사이트 방문자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970A (ko) * 2000-03-27 2001-10-17 강양선 웹사이트 방문자 추적 방법
KR20010007712A (ko) * 2000-06-17 2001-02-05 이상준 광고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광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41B1 (ko) * 2009-08-31 2012-03-12 주식회사 나스미디어 인터넷 광고 시청률 제공 방법
KR101180439B1 (ko) 2010-12-17 2012-09-06 주식회사 에코마케팅 랜딩 페이지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76173B1 (en) * 2022-04-27 2023-06-13 Content Square SAS Webpage zone exposure rate optimization
US11887152B2 (en) * 2022-04-27 2024-01-30 Content Square SAS Webpage zone exposure rate optim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30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p address traffic based detection of fraud
US201502369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ctionable object within a third-party content slot of an information resource of a content publisher
US20130196689A1 (en) Location Analytics Systems and Methods
KR20090046670A (ko) 콘텐츠 히트맵 프레임별 매칭에 의한 키워드 인사이트인터랙티브 광고시스템
Rosenkrans et al. Mobile advertising effectiveness.
Zorn et al. Impact of animation and language on banner click-through rates
KR100845210B1 (ko) 웹 페이지에서 구성에 따른 광고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Bhatnagar et al. Customer-initiated and firm-initiated online shopping visits under competition for attention: A conceptual model and empirical analysis
US116154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digital advertising
KR101919137B1 (ko) 광고 영역의 가치지수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 단가 산출 방법 및 시스템
JP2007334661A (ja)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059480B1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US111516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ick to install behavior based detection of fraud
Expósito-Ventura et al. Measuring online advertising viewability and analyzing its variability across different dimensions
KR101517486B1 (ko) 뉴스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웹/앱사의 광고수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231251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platform for increasing advertisement engagement with users
KR20090119490A (ko) 광고 소재 분석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71259A1 (en) Local analytics
KR102328798B1 (ko) 마우스 커서 기반 인터렉티브 광고 배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2615B1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85971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za'Atreh The impact of internet advertising on the process of web pages designing
US20190333098A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ct advertisement fraud
Castaldo Marketing electronic resources from the academic library homepage
Jamwal EXPLORING THE PROMINENT FACTORS OF ONLINE ADVERTISING THAT INFLUENCES THE CONSUMER BEHAVIOUR AND SHOPPING TR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