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684B1 - 낚싯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684B1
KR101179684B1 KR1020110141371A KR20110141371A KR101179684B1 KR 101179684 B1 KR101179684 B1 KR 101179684B1 KR 1020110141371 A KR1020110141371 A KR 1020110141371A KR 20110141371 A KR20110141371 A KR 20110141371A KR 101179684 B1 KR101179684 B1 KR 10117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unit
base
bel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회
Original Assignee
구태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회 filed Critical 구태회
Priority to KR102011014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84B1/ko
Priority to PCT/KR2012/009283 priority patent/WO20130948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사용자의 벨트에 장착하여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낚싯대 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벨트 지지유닛과,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에 설치되어 낚싯대를 탄력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낚싯대 지지장치{AN APPARATUS FOR SUPPORTING FISHING POLE}
본 발명은 낚싯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는 낚싯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레저 향유를 위한 장비 수요도 대폭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동적인 레저활동뿐만 아니라 정적인 레저활동에서도 기구가 필요한 레저가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이 낚시라 할 수 있다.
낚시는 사용자가 낚싯대를 장시간 파지하고 물고기 등이 낚일 때까지 기다리다가 물고기 등이 낚일 경우, 낚인 물고기를 끌어올려서 낚시 바늘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낚시 바늘로부터 물고기를 빼내기 위해서는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낚싯대를 잡고 있던 손을 놓아야 한다.
그런데 낚싯대를 놓을 곳이 마땅치 않은 장소나, 위치에서는 낚싯대를 내려놓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며, 내려놓은 낚싯대가 부주의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또는 물로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뜰채를 사용할 때 낚싯대를 다리 사이에 끼우고 고정한 상태에서 두손으로 뜰채를 사용하여 낚은 고기를 끌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되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낚싯대를 들고 낚시를 하다 보면 사용자가 팔이나 손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데, 이 경우 낚싯대를 잠시라도 거치하여 피로감을 덜어줄 만한 지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낚싯대 지지장치의 경우에는 공개 실용신안 제20-2008-00040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대부분이므로, 바다낚시나 배 낚시 등과 같이 지면에 고정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낚싯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싯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싯대 지지장치는, 사용자의 벨트에 장착하여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낚싯대 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벨트 지지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낚싯대를 탄력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의 일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클램핑하여 결합하기 위한 벨트 클램핑부와; 상기 벨트 클램핑부를 상기 유닛 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도록 상기 유닛 몸체에 설치되는 로킹/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낚싯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집게부와; 상기 회전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낚싯대를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방지하기 위한 잠금/해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유닛은, 상기 회전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마찰부가 상기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동작시 상기 마찰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낚싯대 지지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낚싯바늘에서 잡힌 물고기를 뺄 때, 또는 뜰채를 사용할 때 간편하게 낚싯대를 고정시킨 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싯대의 고정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공간이 제약된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벨트(허리띠)에 고정시킬 수 있어 다른 고정도구를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의 잠금/해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몸체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를 벨트에 장착하고 낚싯대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는, 베이스(10)와, 벨트 지지유닛(20)과, 회전 몸체(30)와, 클램핑부(40)와, 잠금/해제유닛(5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그 일면에 상기 회전 몸체(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10)의 일단 부에 상기 벨트 지지유닛(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벨트 지지유닛(20)은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즉, 베이스(10)의 일단부에 힌지 연결된 유닛 몸체(21)와, 유닛 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클램핑부(22)와, 벨트 클램핑부(22)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해제시키는 로킹/해제부(23)를 구비한다.
유닛 몸체(21)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벨트 클램핑부(22)는 상기 유닛 몸체(21)의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클램핑부재(22a)와, 제1클램핑부재(22a)를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22b)와, 상기 제1클램핑부재(22a)와 마주하도록 유닛 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클램핑부재(22c)를 구비한다. 제1클램핑부재(22a)는 유닛 몸체(21)의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소정 길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유닛 몸체(21)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22b)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 즉, 제2클램핑부재(2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상기 제2클램핑부재(22c)는 일단이 유닛 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클램핑부재(22a)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클램핑부재(22c)의 타단은 상기 로킹/해제부(23)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결합되거나, 로킹해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클램핑부재(22c)를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제1클램핑부재(22a)와의 사이에 벨트(101)를 위치시키고, 다시 제2클램핑부재(22c)를 닫아서 로킹/해제부(23)에 의해 타단이 로킹결합되어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면, 벨트(101)는 제1 및 제2클램핑부재(22a,22c)에 의해 강하게 클램핑되고, 클램핑 상태는 제1탄성부재(22b)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벨트(101)에 대해서 벨트 지지유닛(20)이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킹/해제부(23)는 유닛 몸체(21) 내외로 출몰되게 설치되는 로킹부재(23a)와, 로킹부재(23a)를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23b)와, 유닛 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해제버튼(23c)과, 해제버튼(23c)에 연동하여 상기 로킹부재(23a)를 이동시키는 연동부재(23d)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부재(23a)는 유닛 몸체(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이 유닛몸체(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클램핑부재(22c)의 타단을 간섭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클램핑부재(22c)가 유닛 몸체(21)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로킹부재(23a)가 유닛 몸체(21) 외부로 돌출되면, 제2클램핑부재(22c)의 타단이 로킹부재(23a)에 걸려서 제2클램핑부재(22c)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억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부재(23a)는 제2탄성부재(23b)에 의해 유닛 몸체(21)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된다. 이러한 로킹부재(23a)는 유닛 몸체(21)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클램피부재(22c)를 강제로 누를 경우,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로킹부재(23a)가 유닛 몸체(21)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제2클램핑부재(22c)가 유닛몸체(21)에 밀착되게 위치되도록 지난 후에 로킹부재(23a)가 다시 돌출되어 제2클램핑부재(22c)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해제버튼(23c)은 유닛 몸체(21)의 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제버튼(23c)을 누르게 되면, 연동부재(23d)를 간섭하게 되어 연동부재(23d)가 회전된다. 그리고 연동부재(23d)는 회전되면서 로킹부재(23a)를 연동시켜서 유닛 몸체(21) 내부로 삽입되어 제2클램핑부재(22c)의 로킹을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연동부재(23d)는 유닛 몸체(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해제버튼(23c)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로킹부재(23a)에 접촉되게 설치됨으로써, 해제버튼(23c)의 움직임에 의해 로킹부재(23a)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가지는 로킹/해제부(23)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클램핑부재(22c)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몸체(30)는 베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은 상기 잠금/해제유닛(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허용되고,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에는 회전몸체(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1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몸체(3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클램핑부(40)가 설치되는 함몰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40)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위치에 따라서 낚싯대(102)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집게부(41)와, 한 쌍의 집게부(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43)를 구비한다. 집게부(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41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낚싯대(102)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접촉부(41b)와, 접촉부(41b)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낚싯대(102)에 의해 눌리는 간섭부(41c)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집게부(41)가 벌어진 상태에서 낚싯대(102)를 집게부들(41) 사이로 집어넣어서 간섭부(41c)를 강제로 누르게 되면, 눌리는 힘에 의해 집게부(41)가 회동되어 낚싯대(102)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3탄성부재(43)는 집게부(41) 각각의 회동축(41a)을 기준으로 하여 집게부(41)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41a)보다 낮은 위치 즉, 접촉부(41b)의 반대측을 탄성가압하게 되게 위치되어, 집게부(41)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집게부(41)에 의해 낚싯대(102)가 클램핑되는 상태에서는 집게부(41)가 닫히게 되며, 이때 제3탄성부재(43)의 양단부는 회동축(41a)보다 상부쪽에 해당되는 부분을 접촉가압하게 됨으로써, 집게부(41)가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집게부(41)가 어정쩡한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도 8의 (a) 상태 또는 (b) 상태 각각을 유지하도록 제3탄성부재(43)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탄성부재(43)는 회전 몸체(30)의 함몰부(31)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제3탄성부재(43)의 양단부(탄성부)는 집게부(41) 각각에 결합되어 집게부(41)를 지지하면서 탄성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부(41)가 벌어진 상태에서 낚싯대(102)를 집게부들(41) 사이에 집어넣고 손을 이용하여 집게부(41)를 강제로 밀어서 닫히도록 하여 낚싯대(102)를 클램핑하도록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잠금/해제유닛(50)은 작동버튼(51)과, 작동버튼(51)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마찰부(52) 및 제4탄성부재(53)를 구비한다. 작동버튼(51)은 회전몸체(30)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탄성부재(53)가 작동버튼(51)을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 즉, 상기 마찰부(52)에 마찰력에 발생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마찰부(52)는 작동버튼(51)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의 축부(11)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마찰부(52)와 축부(11)의 상호 접촉되는 면 각각에는 요철이 형성되거나, 또는 기어이가 형성됨으로써, 상호 접촉시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회전몸체(30)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6a의 상태에서는 마찰부(52)와 축부(11)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제4탄성부재(53)에 의해 밀착된 상태이므로,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전몸체(3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버튼(51)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52)가 축부(11)에서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몸체(30)를 회전시키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30)가 회전되어 그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대(102)를 클램핑부(40)에 다양한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회전몸체(30)의 함몰부(31)의 내벽의 경사면(31a)은 집게부(41)의 외측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상호 형성됨으로써, 집게부(41)가 벌어진 상태에도 도 8과 같이, 경사면(31a)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집게부(41)를 벌어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벨트(101)에 벨트 지지유닛(20)을 고정시킨 상태로 안정되게 휴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낚시를 하다가 고기가 낚인 경우에, 낚싯대(102)를 클램핑부(40)에 클램핑시켜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낚인 고기를 바늘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낚싯대(102)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또는 다리 사이 또는 팔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불편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낚싯대(102)를 사용자의 몸에서 벗어지지 않도록 벨트(102)에 설치한 낚싯대 지지장치에 거치시킨 후 낚은 고기를 처리하거나 또는 바늘에 미끼를 다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베이스 20..벨트 지지유닛
30..회전몸체 40..클램핑부
50..잠금/해제유닛

Claims (5)

  1. 사용자의 벨트에 장착하여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낚싯대 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벨트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벨트 지지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낚싯대를 탄력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서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낚싯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집게부와; 상기 회전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낚싯대를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낚싯대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낚싯대에 의해 눌리는 간섭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부 반대쪽을 탄성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의 일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클램핑하여 결합하기 위한 벨트 클램핑부와;
    상기 벨트 클램핑부를 상기 유닛 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도록 상기 유닛 몸체에 설치되는 로킹/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지지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방지하기 위한 잠금/해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유닛은,
    상기 회전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마찰부가 상기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동작시 상기 마찰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지지장치.
KR1020110141371A 2011-12-23 2011-12-23 낚싯대 지지장치 KR10117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71A KR101179684B1 (ko) 2011-12-23 2011-12-23 낚싯대 지지장치
PCT/KR2012/009283 WO2013094874A1 (ko) 2011-12-23 2012-11-06 낚싯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71A KR101179684B1 (ko) 2011-12-23 2011-12-23 낚싯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684B1 true KR101179684B1 (ko) 2012-09-05

Family

ID=4707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371A KR101179684B1 (ko) 2011-12-23 2011-12-23 낚싯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9684B1 (ko)
WO (1) WO2013094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680B (zh) * 2014-09-05 2016-03-02 钮爱辉 一种钓鱼线锁
CN114342889B (zh) * 2021-12-20 2023-02-03 界首市超强渔具有限公司 一种带渔具夹紧装置的伸缩折叠鱼竿架
WO2024044808A1 (en) * 2022-08-29 2024-03-07 Beaumont Jones James A compact rod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3162A (en) * 1997-01-21 1998-09-29 Tse; Steven Portable handsfree fishing rod supporting device
US20020189149A1 (en) * 2001-06-18 2002-12-19 Louis Borgeat Fly fishing rod having a detachable reel seat and waist holder therefor
KR20050094974A (ko) * 2004-03-24 2005-09-29 (주)해양레저 낚싯대 거치구
KR20100007845A (ko) * 2009-12-28 2010-01-22 박흥준 낚시대 거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874A1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66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ешивания
KR101179684B1 (ko) 낚싯대 지지장치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KR20120104174A (ko) 피트니스 바벨
JP7288507B2 (ja) 巻尺用ベルトホルダー
US10226117B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EP3462975B1 (en) Bead
KR101289476B1 (ko) 보트용 낚싯대 받침틀 어셈블리
KR20190014609A (ko) 비늘 제거가 가능한 어류 파지용 집게
US8112917B1 (en) Ironing aid
US7559115B2 (en) Retractable luggage pull rod with rotating hook
KR101403278B1 (ko) 볼 헤드
TW202017526A (zh) 清掃具用清掃頭、具備前述清掃頭的清掃具、清掃薄片使用於前述清掃具的使用方法、及前述清掃具用清掃薄片
JP3180617U (ja) 衣類用ハンガー
TWI818100B (zh) 清掃具用清掃頭、具備前述清掃頭的清掃具、清掃薄片使用於前述清掃具的使用方法及前述清掃具用清掃薄片
KR101129081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지퍼의 작동체 구조
JPS588211Y2 (ja) ズボンハンガ−
CN211155613U (zh) 清洁工具
CN210353618U (zh) 一种多功能行李箱拉杆把手
JPS6322770Y2 (ko)
KR200159433Y1 (ko)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TW201109199A (en) Hand puller capable of stabilizing ratchet wheel
JPS635311Y2 (ko)
JPS635310Y2 (ko)
EP3150098B1 (en) Mop frame and a m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