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108B1 -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108B1
KR101178108B1 KR20100077952A KR20100077952A KR101178108B1 KR 101178108 B1 KR101178108 B1 KR 101178108B1 KR 20100077952 A KR20100077952 A KR 20100077952A KR 20100077952 A KR20100077952 A KR 20100077952A KR 101178108 B1 KR101178108 B1 KR 10117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delete delete
catalyst
ch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676A (ko
Inventor
송충의
박상은
남은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07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1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08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학식 2의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제공하고, 화학식 1 또는 2의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높은 입체선택성을 갖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온에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높은 광학 순도를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NEW BIFUNCTIONAL CHIRAL ORGANO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CHIRAL HEMIESTERS FROM MESO-CYCLIC ANHYDRI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를 이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랄성 헤미에스터는 다양한 의약품들을 제조하는 데 중요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약업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키랄성 헤미에스터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상온에서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수율과 높은 거울상 입체 선택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여러 유기 촉매들을 이용하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이 알려져 있다.
신코나 알칼로이드인 (+)-신코닌을 촉매량(10 mol%) 사용하여 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 열림 반응을 진행하여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4일간의 오랜 반응시간과 거울상 입체선택성이 낮은 (최대 69% ee) 문제가 있다.
퀴니딘을 사용하여 10 mol% 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열림반응을 진행하여 최대 91% ee의 거울상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 역시 고가인 펨피딘을 1당량 사용해야 하고 -55℃에서 최대 6일간 반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유기촉매를 이용한 키랄성 헤미에스터 제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변형된 신코나 알칼로이드, 예컨대 (DHQD)2AQN을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촉매를 사용할 경우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으로 반응을 성공적으로 종결 시킬 수 있지만, 장시간의 반응시간(최대 140시간)이 필요하고 저온(-20℃~-40℃)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저온에서 장시간 반응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득되는 화합물의 광학 선택성 역시 산업화에 적용시키기엔 부족하였다. 상온에서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수율과 높은 입체 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고, 보다 효율적인 촉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카로이드 촉매 화합물의 존재 하에 메소-고리형 산무수물과 친핵체를 반응시켜 상온에서 빠른 시간 내에 높은 거울상 입체 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과 친핵체인 알콜이나 티올을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로서 새로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신코나 알카로이드의 구조를 변형시킨 키랄성 유기 촉매 화합물을 이용한 효율적인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 제조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한 키랄성 유기 촉매 화합물은, 염기 부분인 퀴누클리딘 작용기와 산성부분인 스퀘어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카로이드 촉매 화합물로서 메소-고리형 산무수물과 알코올 또는 티올 같은 친핵체를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이작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이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다양한 구조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상온에서 빠른 시간 내에 매우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촉매 존재 하에 친핵체로써 알코올을 이용하여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수행하면, 상온에서 1 내지 10시간이라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높은 광학 순도를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저온에서 장시간 반응시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이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친핵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1
화학식 1에 있어서, Y 와 Y'는 퀴누클리딘 잔기를 포함하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Z 와 Z'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퀴놀린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2
화학식 2에 있어서, Y는 퀴누클리딘 잔기를 포함하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Z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퀴놀린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Ar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다. 아릴기의 탄소 수는 6 내지 18이고, 헤테로아릴기의 탄소 수는 6 내지 16이다. n은 1~6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다.
화학식 1의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3
화학식 3에 있어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기가 치환된 엑소 메틸렌기,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질소, 산소 또는 황이 치환된 알킬기이고, R'은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에틸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CH=CH2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CH≡CH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CH(CH3)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수소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R'이 메톡시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4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5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6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7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8
상기 식에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기가 치환된 엑소 메틸렌기,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질소, 산소 또는 황이 치환된 알킬기이고, R'은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에틸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CH=CH2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CH≡CH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CH(CH3)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수소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R'이 메톡시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09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0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1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2
또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3
화학식 13에 있어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기가 치환된 엑소 메틸렌기,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질소, 산소 또는 황이 치환된 알킬기이고, R'은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다. Ar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다. n은 1~6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에틸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CH=CH2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CH≡CH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CH(CH3)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수소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R'이 메톡시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Ar이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또는 피렌인 화합물이다. 여기서,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및 피렌은 비치환될 수 있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Ar이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4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5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6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7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8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19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0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1
또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2
화학식 22에 있어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기가 치환된 엑소 메틸렌기,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질소, 산소 또는 황이 치환된 알킬기이고, R'은 수소 또는 알콕시기이다. Ar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다. 아릴기의 탄소 수는 6 내지 18이고, 헤테로아릴기의 탄소 수는 6 내지 16이다. n은 1-6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에틸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CH=CH2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CH≡CH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CH(CH3)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수소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R'이 메톡시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Ar이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또는 피렌인 화합물이다. 여기서,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및 피렌은 비치환될 수 있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Ar이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인 화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3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4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5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6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7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8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8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29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29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은 화학식 3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0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은 글루타릭 산무수물, 치환된 숙시닉 산무수물 또는 치환된 프로키랄 고리형 산무수물, 예컨대, 바이 고리형 산무수물 또는 트라이 고리형 산무수물일 수 있다.
다음의 반응식들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들로부터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해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의 구체예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1
반응식 1의 반응물은 치환된 글루타릭 산무수물을 나타내며, R1 또는 R2는 알킬기, 아릴기, -OSi(R)3기 또는 수소이고,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A는 산소 혹은 황 원자이다.
[반응식 2]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2
반응식 2의 반응물은 치환된 숙시닉 산무수물을 나타내며,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다.
[반응식 3]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3
반응식 3의 반응물은 바이 고리형 산무수물을 나타내며,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다.
[반응식 4]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4
반응식 4의 반응물은 트라이 고리형 산무수물 나타내며,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 열림 반응을 위한 친핵체로서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5
화학식 31에서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A는 산소 또는 황원자이고, B는 수소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친핵체는 화학식 32로 표시되는 알코올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6
화학식 32에 있어서,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차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벤질 알코올, 알릴 알코올, 신나밀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벤질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알코올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 화합물에 대하여 1 내지 10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당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친핵체는 화학식 33으로 표시되는 티올이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7
화학식 33에 있어서, 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머캅탄, 에틸머캅탄, 프로필머캅탄, 벤질머캅탄, 벤젠티올, 2-나프탈렌티올, 오쏘톨루엔티올, 메타톨루엔티올, 파라톨루엔티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촉매와 화학식 32의 알코올 또는 화학식 33의 티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응식 1과 같은 반응을 수행한다. 교반 공정은 상온에서 1 내지 30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비양자성 용매인 에틸비닐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다이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산, 다이클로로 메테인, 톨루엔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에틸 에테르, 1,4-다이옥산, 메틸 t-부틸 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유기촉매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 화합물에 대해서 0.01 내지 200 mol%,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mol%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반응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유기촉매의 제조 방법>
9-아미노(9-데옥시)에피신코나 알카로이드 유기 촉매의 제조 방법은 공지 문헌 [Organic Letters 2005,7,1967]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이하이드로 퀴닌 또는 퀴닌을 트리페닐 포스핀과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이페닐 포스포릴 아자이드와 반응시켜 하이드록시기를 아민으로 치환한다.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7 또는 화학식 9 내지 화학식 12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유기 촉매의 경우 실온에서 메탄올 중의 9-아미노(9-데옥시)아민 용액에 3,4-디메톡시-3-사이클로부텐-1,2-디온을 첨가하고, 철야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유기 촉매를 백색 고체로 수득한다. 화학식 14 내지 화학식 17 또는 화학식 23 내지 화학식 26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경우 먼저 실온에서 다이콜로로메테인 중의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아민 용액에 3,4-디메톡시-3-사이클로부텐-1,2-디온을 첨가하고 철야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건조하여 생성물을 수득한 후에 실온에서 메탄올에 생성물과 9-아미노(9-데옥시)아민을 첨가하고 철야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유기 촉매를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1 또는 화학식 27 내지 화학식 30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경우 먼저 실온에서 다이콜로로메테인 중의 1-피렌메틸아민과 3,4-디메톡시-3-사이클로부텐-1,2-디온을 첨가하고 철야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생성물을 수득한 후에 80℃에서 메탄올에 생성물과 9-아미노(9-데옥시)아민을 첨가하고 철야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유기 촉매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촉매는 다른 촉매와 달리 녹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이 진행된다. 따라서 반응이 끝난 후에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계속해서 재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매우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수율과 거울상 입체 선택성을 갖는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7 또는 화학식 9 내지 화학식 12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촉매는 NMR등의 분광 분석 결과 공지 문헌 KR-2009-0041195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고 상기 화학식 14 내지 화학식 17 또는 화학식 23 내지 화학식 26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촉매는 NMR 등의 분광 분석 결과 공지 문헌 [J. Am . Chem . Soc . 2008, 130, 14416-14417과 Chem Commun. 2009, 7224-7226]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8 내지 화학식 21 그리고 화학식 24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촉매의 NMR등의 분광 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8
Figure 112010052005119-pat00039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52005119-pat00040
Figure 112010052005119-pat00041
Figure 112010052005119-pat00042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키랄성 헤미에스터는 성격이 다른 두 개의 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입체화학적 또는 제약학적으로 유용한 키랄성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23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페닐 실릴옥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tert-부틸 다이페닐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8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하기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omer)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enantiomeric excess)를 측정하였다.
[반응식 5]
Figure 112010052005119-pat00043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2: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tert-부틸 다이페닐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3: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tert-부틸 다이페닐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4: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tert-부틸 다이페닐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5: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페닐 실릴 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6: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페닐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4 (s, 9H), 2.54-2.70 (m, 4H), 3.57 (s, 3H), 4.50-4.58 (m, J=6.1 Hz, 1H), 7.35-7.45 (m, 6H), 7.68-7.70 (m, 4H); 13C NMR(75 MHz, CDCl3) δ 19.14, 26.72, 41.40, 51.51, 66.81, 127.58, 129.78, 133.09, 133.20, 135.75, 135.77, 171.08, 177.0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8.5:1.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0.5mL/분, t(주생성물) = 21.27 분, t(부생성물) = 23.29 분)
실시예 7: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메틸 실릴옥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tert-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을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0.50-0.60 (d, J=2.7 Hz, 6H), 0.83 (s, 9H), 2.52-2.66 (m, 4H), 3.67 (s, 3H), 4.50-4.58 (m, J=6.2 Hz, 1H); 13C NMR(75 MHz, CDCl3) δ -5.02, -5.01, 17.81, 25.55, 42.17, 42.22, 51.62, 66.02, 171.36, 177.13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7.63 분, t(부생성물) = 11.86 분)
실시예 8: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tert-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0.50-0.60 (d, J=2.7 Hz, 6H), 0.83 (s, 9H), 2.52-2.66 (m, 4H), 3.67 (s, 3H), 4.50-4.58 (m, J=6.2 Hz, 1H); 13C NMR(75 MHz, CDCl3) δ -5.02, -5.01, 17.81, 25.55, 42.17, 42.22, 51.62, 66.02, 171.36, 177.13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7.63 분, t(부생성물) = 11.86 분)
실시예 9: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tert-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용해시킨 후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0.50-0.60 (d, J=2.7 Hz, 6H), 0.83 (s, 9H), 2.52-2.66 (m, 4H), 3.67 (s, 3H), 4.50-4.58 (m, J=6.2 Hz, 1H); 13C NMR(75 MHz, CDCl3) δ -5.02, -5.01, 17.81, 25.55, 42.17, 42.22, 51.62, 66.02, 171.36, 177.13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7.63 분, t(부생성물) = 11.86 분)
실시예 10: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tert -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tert-부틸 다이메틸 실릴옥시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에 용해시킨 후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0.50-0.60 (d, J=2.7 Hz, 6H), 0.83 (s, 9H), 2.52-2.66 (m, 4H), 3.67 (s, 3H), 4.50-4.58 (m, J=6.2 Hz, 1H); 13C NMR(75 MHz, CDCl3) δ -5.02, -5.01, 17.81, 25.55, 42.17, 42.22, 51.62, 66.02, 171.36, 177.13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7.63 분, t(부생성물) = 11.86 분)
실시예 11: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4-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4-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enantiomeric excess)를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60-2.81 (m, 4H), 3.57-3.68 (m, 4H), 7.20-7.32 (m, 5H); 13C NMR(75MHz, CDCl3) δ 37.81, 40.13, 40.36, 51.61, 126.98, 127.09, 128.59, 142.19, 172.05, 177.74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21.48 분, t(부생성물) = 53.16 분)
실시예 12: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4- 플루오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4-페닐 플루오로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enantiomeric excess)를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57-2.79 (m, 4H), 3.58-3.67 (m, 4H), 6.95-7.00 (m, 2H), 7.16-7.21 (m, 2H); 13C NMR (75 MHz, CDCl3) δ 37.17, 40.23, 40.41, 51.66, 115.44 (d, J=21.3 Hz), 128.68 (d, J=8.0 Hz), 137.83 (d, J=3.2 Hz), 161.69 (d, J=245.3 Hz), 171.88, 177.53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0.5:9.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9.13 분, t(부생성물) = 16.14 분)
실시예 13: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4- 메톡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4-메톡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을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57-2.78 (m, 4H), 3.58 (s, 4H), 3.78 (s, 3H), 6.81-6.84 (m, 2H), 7.12-7.15 (m, 2H); 13C NMR (75 MHz, CDCl3) δ 37.2, 40.3, 40.6, 51.6, 55.1, 113.9, 128.1, 134.2, 157.3, 172.0, 177.5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2.5:7.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7.68 분, t(부생성물) =13.75 분)
실시예 14: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4- 클로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4-클로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enantiomeric excess)를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56-2.78 (m, 4H), 3.55-3.65 (m, 4H), 7.13-7.16 (m, 2H), 7.24-7.27 (m, 2H); 13C NMR (75 MHz, CDCl3) δ 37.25, 40.00, 40.19, 51.70, 128.56, 128.74, 132.71, 140.63, 171.80, 177.22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0.5:9.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9.38 분, t(부생성물) = 17.40 분)
실시예 15: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4- 다이클로로 페닐 글루타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4-다이클로로 페닐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을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57-2.80 (m, 4H), 3.54-3.60 (m, 4H), 7.06-7.10 (m, 1H), 7.32-7.38 (m, 2H); 13C NMR (75 MHz, CDCl3) δ 37.02, 39.76, 39.95, 51.81, 126.75, 129.28, 130.57, 131.06, 132.57, 142.46, 171.53, 177.09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0.5:9.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9.23 분, t(부생성물) = 17.17 분)
실시예 16: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3- 메틸 글루타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3-메틸 글루타릭 산무수물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을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0.99-1.01 (d, J=6.4 Hz, 3H), 2.21-2.44 (m,5H), 3.63 (s, 3H); 13C NMR (75MHz, CDCl3) δ 19.75, 27.09, 40.43, 40.43, 51.52, 172,77, 178.6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주생성물) = 30.32 분, t(부생성물) = 33.57 분)
실시예 17: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다이 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4의 유기촉매를 5 mol% 사용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촉매를 분리한 후에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변화시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을 측정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18: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15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19: 화학식 18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2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18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20: 화학식 19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2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19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21: 화학식 20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2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20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22: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2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21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실시예 23: 화학식 24의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한 시스 - 사이클로헥산 -1,2- 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시스-사이클로헥산-1,2-다이카복실릭 산무수물의 메타놀리시스 0.2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용해시킨 후 화학식 24의 유기촉매를 10 mol% 사용하고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6-1.62 (m, 4H), 1.72-1.84 (m, 2H), 1.96-2.10 (m, 2H), 2.80-2.92 (m, 2H), 3.6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23.76, 23.89, 26.08, 26.38, 42.45, 42.65, 51.87, 174.20, 180.26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97.5:2.5, 헥산:이소프로필 알콜, 1mL/분, t(부생성물) = 7.10 분, t(주생성물) = 9.41 분)

Claims (34)

  1. 유기 용매 중에서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의 존재 하에 친핵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는 하기 표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12019623097-pat00083

    상기 친핵체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 -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벤질 알코올, 알릴 알코올 및 신나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30. 삭제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기준으로 1 내지 20 당량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작용성 유기 촉매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기준으로 0.01 몰% 내지 30 몰% 범위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33. 삭제
  34. 하기 표에 기재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Figure 112012019623097-pat00084
KR20100077952A 2010-08-12 2010-08-12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KR10117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952A KR101178108B1 (ko) 2010-08-12 2010-08-12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952A KR101178108B1 (ko) 2010-08-12 2010-08-12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76A KR20120021676A (ko) 2012-03-09
KR101178108B1 true KR101178108B1 (ko) 2012-08-30

Family

ID=461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7952A KR101178108B1 (ko) 2010-08-12 2010-08-12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5897A (zh) * 2016-06-08 2016-10-26 遵义医学院 一种具有光学活性的3,α‑二氨基氧化吲哚类化合物的制备方法
CN106008310A (zh) * 2016-06-08 2016-10-12 遵义医学院 一种手性3-羟基-α-氨基氧化吲哚类化合物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79B1 (ko) 2008-11-20 2011-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지지된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입체선택적인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79B1 (ko) 2008-11-20 2011-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지지된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입체선택적인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rg. Biomol. Chem., 2010, 8, 3918-39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76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335B1 (ko)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CN112898192B (zh) 一种n-酰基吲哚化合物的制备方法
CN107473982B (zh) 端位取代高烯丙基胺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11246366A (ja) 有機アルミニウム化合物
JPWO2006093269A1 (ja) 光学活性アンモニウム塩化合物、その製造中間体および製造方法
WO2003064420A1 (fr) Nouveaux composes optiquement actifs, procede de resolution optique cinetique de derives d&#39;acide carboxylique, et catalyseurs y relatifs
KR101178108B1 (ko)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CN113735894A (zh) 一类同时含有轴手性和中心手性的2,3-联烯醇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18372B (zh) 一种轴手性膦-烯配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130818B1 (ko) 이작용성 비스 신코나 알칼로이드 티오우레아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을 이용한 아즈락톤으로부터의 키랄 아미노산 제조방법
JP4649645B2 (ja) 光学活性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法
CN114773285A (zh) 一种高效的α-胺基噁唑啉化合物的制备方法
CN109970560B (zh) 一种三取代的1,3二烯烃类化合物的制备方法
EP3606907B1 (en) Racemic beta-aminosulfone compounds
JP2018525376A (ja) クロマノール誘導体の新規な製造方法
KR101073679B1 (ko) 고분자 지지된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입체선택적인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CN111560006A (zh) 一种制备多取代噻吩的方法
CN113735867B (zh) 一种手性吲哚并氧杂七元环化合物及其合成方法
CN114835646B (zh) 一种咪唑三氟甲硫基试剂及其合成应用
JP4481589B2 (ja) ビスホスフィンの製造方法
JP6085952B2 (ja) 2−オキソプロパンスルト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4572372B2 (ja) 光学活性4級炭素含有化合物の製法
JP5158926B2 (ja) 不斉マンニッヒ型反応用キラルジルコニウム触媒の製造方法
US20030236226A1 (en) Catalytic asymmetric cyanosilylation of ketones, aldehydes, thioketones, thioaldehydes, imines and hydrazones
CN116410218A (zh) 一种单氟烯基硅的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