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61B1 -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61B1
KR101177861B1 KR1020110090241A KR20110090241A KR101177861B1 KR 101177861 B1 KR101177861 B1 KR 101177861B1 KR 1020110090241 A KR1020110090241 A KR 1020110090241A KR 20110090241 A KR20110090241 A KR 20110090241A KR 101177861 B1 KR101177861 B1 KR 10117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fingerprint
image
ref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용
신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1009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61B1/ko
Priority to CN201210302915.9A priority patent/CN10288086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61B1/ko
Priority to US13/597,841 priority patent/US93723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광학 렌즈부를 개선하여 광 굴절기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학 렌즈부는 입사되는 광축과 렌즈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된 2개의 원통형 렌즈를 포함한다. 광학 렌즈부는 광 굴절기에서 직사각형으로 왜곡되어 출사되는 영상을 정사각형으로 다시 보정한다.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손가락 한 마디의 지문영상을 획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 개 손가락의 지문들을 동시에 획득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리즘과 같은 광 굴절기를 이용한 광학식 지문 영상 획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사각형 변형과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하여 왜곡이 없는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생체 정보는 그 불변성과 유일성이 뛰어나 정보기기를 이용한 개인 인증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은 간단한 구조와 편리성 때문에 다른 수단에 비해 가장 주목되고 일반화된 인증수단이 되고 있다.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인증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영상(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를 말하며, 통상은 획득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단이 함께 결합된다. 예컨대, 지문인증에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특징점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지문영상 획득 방법에는, 다른 방법도 있으나, 프리즘과 같은 광학 장치를 이용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나아가,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방법은 지문의 융선에서의 광의 흡수에 따라 지문 영상이 결정되는 방식(소위, '흡수식'이라 함)과, 융선에서 산란된 광에 의해 지문 영상이 형성되는 방식(소위, '산란식'이라 함)으로 크게 나뉜다.
도 1은 프리즘을 이용한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문영상 획득장치(100)는 사용자 지문이 접촉하는 프리즘(10)과, 프리즘(10)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11)과, 최종적으로 지문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센서(13)와, 프리즘(10)으로부터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영상 센서(13)로 결상하는 렌즈(15)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프리즘(10)의 지문접촉면(10a)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이 프리즘(10)을 관통하여 지문접촉면(10a)으로 입사된다. 지문접촉면(10a)에 접촉한 지문의 형상에 따라 반사, 산란 또는 굴절된 광은 렌즈(15)로 출사되면서 결상되어 영상 센서(13)로 입력된다.
지문영상 획득장치(100)가 산란식인 경우,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은 직각 또는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지문접촉면(10a)에 입사된다. 따라서 지문의 골에서는 전반사없이 굴절되어 진행하고, 지문의 융선에서는 산란이 발생하므로, 지문의 융선이 밝고 골이 어두운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지문영상 획득장치(100)가 흡수식인 경우,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은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지문접촉면(10a)에 입사되어 골에서 전반사를 일으키므로, 지문의 골이 밝고 융선이 어두운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프리즘(10)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에는 다양한 왜곡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지문접촉면(10a) 상의 한 변의 길이가 2×a인 정사각형 이미지는 프리즘(10)을 통과하면서 상하방향(세로방향)으로 현저하게 작아져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것은, 굴절 등의 이유로 렌즈(15)에 결상되는 영상의 겉보기 영상(Apparent Image)이 왜곡되기 때문이다. 프리즘(10)의 지문접촉면(10a)에서 반사된 광은 출사면(10b)에서 굴절되어 렌즈(15)에 결상된다. 따라서 지문접촉면(10a) 상에서 동일한 간격 a로 이격되어 배치된 물점(Object Point) A, B, C를 포함하는 영상이 렌즈(15)에 실제로 결상될 때는 동일한 간격 b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허의 물점(Virtual Object Point) A1, B1, C1이 형성하는 겉보기 영상이 결상된 것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a > b1이 되므로, 지문 영상의 세로방향 길이는 2×b1이 되어 실제 길이 2a보다 작게 보인다. 반면, 지문 영상의 가로 방향의 길이 2a는 거의 변하지 않고 그대로 결상되기 때문에, 지문접촉면(10a) 상의 정사각형 이미지는 프리즘(10)을 통과하면서 상하방향(세로방향)으로 현저하게 작아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는 또 다른 광학적 원인으로 인하여 세로축의 길이만 짧아진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로 보이는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한번에 손가락 하나의 지문을 획득할 수도 있으나 한번에 손가락 전체의 지문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리즘(10)의 크기도 비례적으로 커지게 되지만, 지문 영상의 왜곡도 손가락 하나의 지문을 획득할 때보다 훨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과 같은 광 굴절기를 이용한 광학식 지문 영상 획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사각형 변형과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하여 왜곡이 없는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광 굴절기와 영상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광 굴절기의 지문 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 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영상 센서에 결상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상기 가상의 축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가 편심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은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상부로 편심되어 입사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 센서는 상기 제2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맞추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상기 제2 렌즈와 영상 센서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3 렌즈와 제4 렌즈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영상 센서에 결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센서의 크기로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렌즈는 입사면이 볼록렌즈이고 출사면이 오목렌즈이며, 상기 제4 렌즈는 입사면 출사면이 모두 볼록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가로와 세로 방향의 배율이 서로 다른 원통형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는 입사면이 양의 배율을 가지고 출사면은 평편한 렌즈이며, 예컨대 상기 제1 렌즈의 입사면은 상기 가상의 축에 수직한 세로 방향의 단면(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볼록 렌즈로 작용하고, 상기 가상의 축에 수평인 가로 방향의 단면(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함으로써 가로 세로 방향의 배율이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렌즈는 입사면이 평편하고 출사면은 음의 배율을 가지는 렌즈이며, 예컨대 상기 제2 렌즈의 입사면은 상기 가상의 축에 수직한 세로 방향의 단면(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오목 렌즈로 작용하고, 상기 가상의 축에 수평인 가로 방향의 단면(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함으로써 가로 세로 방향의 배율이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영상 획득장치는 광굴절기를 통과하면서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여 정사각형의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별히,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복수 개의 손가락의 지문들을 동시에 획득하는 과정에서 사다리꼴로 왜곡됨에 따라 일부 지문을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종래의 지문 영상 획득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영상 획득장치를 도시한 개념도(Y 단면 광학계),
도 3은 도 2의 지문 영상 획득장치의 X 단면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지문입력창의 접촉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는 프리즘(Prism)과 같은 광 굴절기를 이용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에 적용되며, 산란식 또는 흡수식과 같은 특정 지문 영상 획득 메커니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영상 획득장치(200)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세로 방향(Y축 방향)의 측단면도로서 "Y 단면 광학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지문영상 획득장치(200)의 평면도로서 "X 단면 광학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200)는 광 굴절기(10)와, 지문 영상을 결상하기 위한 광학 렌즈부(210)와, 영상 센서(230)를 포함한다.
당연히, 지문영상 획득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지문영상 획득을 위한 내부의 광원, 기타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광원(11)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위치와 형태는 지문인식방식 및 광 굴절기(10)의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에는 중요한 부분이 아니므로,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광 굴절기(10)는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출사시키는 장치로서, 광 굴절기(10)로 입사된 광은 광 굴절기(10)의 일측에 접촉한 지문에 대한 지문 영상을 포함하게 된다. 광 굴절기(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도 1의 프리즘(Prism)과 같이 삼각형일 수도 있고, 사다리꼴, 이등변삼각형과 같은 사각형일 수도 있다.
광 굴절기(10)는 지문이 접촉되는 지문접촉면(10a)과, 지문접촉면(10a)에서 반사 또는 산란된 광(지문 영상)이 출사되는 출사면(10b)을 포함한다. 또한, 광 굴절기(10)는 내부 광원(11)의 위치에 따라 지문획득용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광 굴절기(10)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0c)을 구비한 예이다.
광 굴절기(10)의 지문접촉면(10a)은 영상 센서(230)에 의해 최종적으로 이미지화되는 정사각형 형태의 '영상 영역'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광 굴절기(10)의 지문접촉면(10a)은 '영상 영역'과 같거나 큰 크기를 가진다. 한편, 지문접촉면(10a) 또는 그 영상 영역은 통상의 지문입력장치처럼 손가락 한 마디가 접촉할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복수 개 손가락의 마디들이 한꺼번에 접촉할 만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광 굴절기(10)의 영상 영역(4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정사각형 영상 영역(400)의 한 변의 길이는 (2a)라고 가정하고, 각 변을 각각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및 제4 변(L4)이라 한다. Y축 방향(세로 방향)의 제1 중심선(LC1)과 X축 방향(가로 방향)의 제2 중심선(LC2)이 중심점(B)에서 서로 직교하여 영상 영역(400)을 4 등분한다. 제1 중심선(LC1)은 제1 변(L1)과 물점(Object Point) A에서 만나 제1 변(L1)을 양분하고 제3 변(L3)과 물점 C에서 만나 제3 변(L3)을 양분한다. 제2 중심선(LC2)은 제2 변(L2)과 물점 D에서 만나 제2 변(L2)을 양분하고 제4 변(L4)과 물점 E에서 만나 제4 변(L4)을 양분한다.
Y 단면 광학계에서, 도 2의 광 굴절기(10)는 도 1의 광 굴절기(10)와 동일한 상태에 있으므로, 광학 렌즈부(210)로 입사되는 영상은 영상 영역(400) 그대로의 영상이 아닌 겉보기 영상이 된다. 영상 영역(400) 상의 물점 A, B, C는 겉보기 영상 상의 허의 물점 A1, B1, C1으로 왜곡되어 a > b1인 상태가 된다. 이때, b1은 허의 물점 A1과 B1(또는 B1과 C1) 사이의 간격이다.
X 단면 광학계에서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 영역(400) 상의 물점 D, B, E는 겉보기 영상 상의 허의 물점 D1, B1, E1으로 왜곡되지만 a≒c1인 상태가 되어 거의 왜곡되지 않는다. 여기서, c1은 허의 물점 D1과 B1(또는 B1과 E1) 사이의 간격이다.
따라서 2a×2a 크기의 정사각형 영상 영역(400)을 대신하여, 2a×2b1(=2c1×2b1)크기의 겉보기 영상이 광 굴절기(10)의 출사면을 통해 광학 렌즈부(210)로 출사된다.
광학 렌즈부(210)는 광 굴절기(10)에서 출사되는 영상을 영상 센서(230)로 결상함과 동시에, 광 굴절기(10)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보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광학 렌즈부(210)는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를 포함한다.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임의의 Z 축 상에 그 렌즈의 중심이 지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다만, 본 발명의 지문영상 획득장치(200)의 Z 축은 광 굴절기(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과 일치하지 않도록, 다시 말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정된다. 도 1의 획득장치(100)에서 렌즈(15)의 중심이 광축 상에 배치된 것과 다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2의 Y 단면 광학계를 기준으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중심을 통과하지 않도록 편심되어 배치된다. 다시 말해, Y 단면 광학계를 기준으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그 렌즈 면 전체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 또는 하측 중에서 일 측만을 사용한다. 예컨대, 도 2는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상측만이 사용되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중심이 아닌 상부를 통과하는 예이다.
다른 예로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하측만이 사용되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하부를 통과할 수도 있다.
한편, X 단면 광학계에서 광의 광축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중심을 통과한다.
따라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완전한 형태의 렌즈일 필요가 없게 되므로, 실시 예에 따라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Y 단면 광학계에서 보아 그 하단이 절단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원통형(Cylindrical) 렌즈로서, 소위 '아나모픽 렌즈 시스템(Anamorphic Lens System)'을 구성한다.
제1 렌즈(G1)는 입사면이 양의 배율을 가지고 출사면은 평편한 렌즈이다. 제1 렌즈(G1)의 입사면은 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볼록 렌즈로 작용하고 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의 배율이 서로 다르다.
제2 렌즈(G2)는 입사면이 평편하고 출사면은 음의 배율을 가지는 렌즈이다. 제2 렌즈(G2)의 출사면은 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오목 렌즈로 작용하고, 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2의 Y 단면 광학계에서, 제2 렌즈(G2) 후면에서의 출사각이 제1 렌즈(G1)의 전면에서의 입사각보다 크게 된다. 반면에, 도 3의 X 단면 광학계에서, 제1 렌즈(G1) 전면에서의 입사각과 제2 렌즈(G2)의 후면에서의 출사각은 변화가 없이 동일하다.
도 2의 Y 단면 광학계에서, 광 굴절기(10)의 출사면(10b)을 통해 출사된 영상은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를 통과하면서 다시 굴절되기 때문에, 원래의 물점 A1, B1, C1에 대응되는 새로운 허의 물점 A2, B2, C2가 형성된다. 허의 물점 A2, B2, C2는 제2 렌즈(G2)에서 출사되는 광을 역으로 진행시켰을 때의 교점이다. A2-B2 사이의 각도(α1)는 렌즈의 편심에 의해 B2-C2 사이의 각도(α2)와 미소한 차이가 있다.
한편, 도 2의 Y 단면 광학계의 허의 물점 B2와 동일한 위치에 X 단면 광학계의 물점 B2를 설정함으로써, 도 3과 같이 X 단면 광학계 상에 허의 물점 D2, B2, E2를 도시할 수 있다. 허의 물점 D2, B2, E2는 원래 허의 물점 D1, B1, E1에 대응된다. D2-B2 사이의 각도와 E2-B2 사이의 각도는 거의 동일하므로, 허의 물점 D2, B2, E2는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별다른 왜곡이 없다.
여기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A2-B2 사이의 각도(α1)와 B2-C2 사이의 각도(α2)를 D2-B2 사이의 각도(α3)와 E2-B2 사이의 각도(α4)에 근사시킴으로써 허의 물점 A2, B2, C2, D2 및 E2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은 직사각형이 아닌 정사각형으로 되돌려지고 왜곡이 보정된다.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에 기초한 왜곡의 정확한 보정에는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촛점거리, 곡률, 반지름의 크기, Z 축과 광축의 위치 등 그 광학적 인자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광학적 인자들에 대한 고려가 더해진다면,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편심 배치,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왜곡 보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가 Z 축 상에 배치된 도 2의 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광학적으로 동일한 기능 또는 배치로 이해될 수 있다면 반드시 하나의 Z축 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 사이에 다른 광학적 장치가 배치될 경우,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는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광학렌즈부(210)는 제1 렌즈(G1)와 제2 렌즈(G2) 이외에 다른 렌즈를 당연히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서처럼, 광학렌즈부(210)는 제2 렌즈(G2)와 영상 센서(230) 사이에 마련되어 왜곡이 보정된 영상을 영상 센서(230)로 축소하여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3 렌즈(G3)와 제4 렌즈(G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G3)는 입사면이 볼록렌즈(Convex Lens)이고 출사면이 오목렌즈(Concave Lens)인 볼록-오목 렌즈(Convex-Concave Lens)이다. 제4 렌즈(G4)는 일반적인 볼록렌즈이다.
제3 렌즈(G3)와 제4 렌즈(G4)도 그 렌즈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Z축과도 편심될 수 있다. 광 또는 영상의 입장에서, 제3 렌즈(G3)와 제4 렌즈(G4)도 한쪽으로 치우쳐 진 상태에 있는 것이다.
영상 센서(230)도 광축에 맞추어 다소 기우러진 상태를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2의 Y 단면 광학계에서, A2-B2-C2 면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의 촛점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프리즘, 광 굴절기 10a : 지문접촉면
10b : 출사면 13: 영상 센서
15: 렌즈 G1 : 제1 렌즈
G2 : 제2 렌즈 G3 : 제3 렌즈
G4 : 제4 렌즈 210 : 광학 렌즈부
230 : 영상 센서 400 : 지문접촉면 상의 영상 영역
A, B, C, D, E : 영상 영역 상의 물점
A1, B1, C1, D1, E1 : 물점 A, B, C, D, E에 대응되는 허의 물점
A2, B2, C2, D2, E2 : 물점 A1, B1, C1, D1, E1에 대응되는 허의 물점
α1: A2-B2 사이의 각도 α2: C2-B2 사이의 각도
α3: D2-B2 사이의 각도 α4: E2-B2 사이의 각도

Claims (7)

  1. 광 굴절기와 영상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광 굴절기의 지문 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지문영상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 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영상 센서에 결상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상기 가상의 축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가 편심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은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상부로 편심되어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센서는 상기 제2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맞추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영상 센서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3 렌즈와 제4 렌즈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영상 센서에 결상시키고,
    상기 제3 렌즈는 입사면이 볼록렌즈이고 출사면이 오목렌즈이며, 상기 제4 렌즈는 입사면 출사면이 모두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가로와 세로 방향의 배율이 서로 다른 원통형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입사면이 양의 배율을 가지고 출사면은 평편한 렌즈로서,
    상기 제1 렌즈의 입사면은 상기 가상의 축에 수직한 세로 방향의 단면(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볼록 렌즈로 작용하고, 상기 가상의 축에 수평인 가로 방향의 단면(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입사면이 평편하고 출사면은 음의 배율을 가지는 렌즈로서,
    상기 제2 렌즈의 입사면은 상기 가상의 축에 수직한 세로 방향의 단면(Y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오목 렌즈로 작용하고, 상기 가상의 축에 수평인 가로 방향의 단면(X 단면 광학계)에 대하여 평면 렌즈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KR1020110090241A 2011-09-06 2011-09-06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KR10117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241A KR101177861B1 (ko) 2011-09-06 2011-09-06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CN201210302915.9A CN102880867B (zh) 2011-09-06 2012-08-23 光学指纹采集装置
US13/597,841 US9372342B2 (en) 2011-09-06 2012-08-29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241A KR101177861B1 (ko) 2011-09-06 2011-09-06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61B1 true KR101177861B1 (ko) 2012-08-28

Family

ID=468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241A KR101177861B1 (ko) 2011-09-06 2011-09-06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339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다모아텍 위조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지문 인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459A (ja) 1997-09-01 1999-03-26 Fujitsu Ltd 凹凸面情報検出装置
JP2005503225A (ja) 2001-09-17 2005-02-03 ニトゲ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学式の指紋取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459A (ja) 1997-09-01 1999-03-26 Fujitsu Ltd 凹凸面情報検出装置
JP2005503225A (ja) 2001-09-17 2005-02-03 ニトゲ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学式の指紋取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339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다모아텍 위조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지문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894B2 (en) Folded camera lens designs
JP4800713B2 (ja)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認証装置
US6429927B1 (en) Imaging device, especially for optical fingerprinting
JP3780785B2 (ja) 凹凸パターン検出装置
US77470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mages using a prism
US9372342B2 (en)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JPH1183459A (ja) 凹凸面情報検出装置
KR20170114751A (ko) 촬상 광학계
JP2001527658A (ja) 指紋検出で使用するためのレンズシステム
JP2006268878A (ja) ハイ・コントラスト、ロー・歪みの映像キャプチャー光学システム
JP2003506798A (ja) 光学撮像システムにおける台形歪みの軽減および像の鮮明化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装置
US11295548B2 (en) Display having integrated matrix sensor and method for optically capturing the papillary structure of at least one finger by means of the display
JP4060908B2 (ja) 指紋読取光学系
US6414749B1 (en) Uneven-pattern reading apparatus
JP4969206B2 (ja) 生体認証装置
US20120287254A1 (en) Skin pattern image collection device, collection method and skin pattern matching system
KR101070583B1 (ko) 지문획득을 위한 광학구조
KR101463445B1 (ko) 홍채인식 프리즘 및 이를 구비한 홍채인식 카메라
KR101177861B1 (ko)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KR101298123B1 (ko) 광학식 지문영상 획득장치
JPH08334691A (ja) 結像レンズ装置
RU2261475C2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анирования кожного рисунка
US20220252847A1 (en) Optical imaging system
US11892707B2 (en) Imaging lens assembly and optical verification system
JP2004086553A (ja) 光学素子および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