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748B1 -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 Google Patents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748B1
KR101177748B1 KR1020100004760A KR20100004760A KR101177748B1 KR 101177748 B1 KR101177748 B1 KR 101177748B1 KR 1020100004760 A KR1020100004760 A KR 1020100004760A KR 20100004760 A KR20100004760 A KR 20100004760A KR 101177748 B1 KR101177748 B1 KR 10117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urniture
charcoal
plate
charco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144A (ko
Inventor
배경봉
Original Assignee
배경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봉 filed Critical 배경봉
Priority to KR102010000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7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4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 판재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탄화시켜 숯층을 형성시킨 다음 숯층 표면의 탄화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표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숯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공에 의해 실내의 습기가 자동조절되고, 탈취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고, 합성 화학물질의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한 친환경적 가구로서, 특히 고풍스러운 외관을 표출하는 새로운 타입의 가구인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Panel furniture formed charcoal lay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rniture manufacture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 판재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탄화시켜 숯층을 형성시킨 다음 숯층 표면의 탄화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표면처리하여 가구를 제조함으로써, 숯층 표면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 및 실내 습도의 자연 조절에 의해 실내 환경이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사람들이 주거하는 공간인 주택은 건축시에 사용한 각종 건자재나 또는 내부의 벽을 도배하는 벽지나 또는 방한용 커텐, 가구 등에 각종 유독성 합성화학물질이 사용되어져 왔지만 최근 국민들의 소득 증대와 함께 문화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웰빙을 추구함에 따라 종래의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생활용품을 회피하고, 친환경적인 의식주의 생활 수단들을 선호하고 있다.
주거공간의 실내에 배치하는 가구의 경우에는 주로 목재 찌거기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MDF 합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저렴한 가구나 또는 원목을 이용한 가구라고 할지라도 바니쉬, 옻, 에나멜, 래커 등과 같은 가구용 도료를 도포한 가구로서,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가구로부터 발생하는 유독성 유기휘발성 가스에 의해 특히 유아나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 악성 피부질환인 아토피 피부염 등에 의해 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구는 본체가 목재로 이루져 있기 때문에 습기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밀폐된 가구 내부의 공간에 습기가 찰 경우 곰팡이나 진드기 등이 번식하게 되고, 가구 내부에 보관하는 의류, 이불 등에 상기와 같은 해충류가 서식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 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구들 중 숯을 이용한 가구들의 개발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329816호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7660호에 가구 내부에 숯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숯 수납부가 구비된 가구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가구들의 경우에는 단순히 가구 내부에 숯을 비치하여 가구 내부의 습기를 자동조절하여 곰팡이나 또는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류가 가구 내부에서 제대로 서식하지 못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불과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구에서 더욱 개량된 가구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553997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중앙판재에 제1 숯 시트층(121)과, 부직포(130)와, 제2 숯 시트층(122)과, 마감용 판재(140)와, 표면재(150)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는 가구가 알려져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5210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측 가이드레일(2,3)의 사이에 접착층(6)을 통해 부착되는 폼 보드판(5), 및 폼 보드판(5)의 전방에 접착층(6)을 통해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압축숯판(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부착용 숯 판넬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가구들의 경우에도 가구의 구성부재 중 일부분의 부재만이 숯 시트층 또는 압축숯판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구 내부의 습기 등을 조절한다고는 하지만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숯 시트층 또는 압축숯판으로 구성된 부재 이외의 부재에 도포된 가구용 도료 등에 의해 유독성 유기용제의 가스가 휘발하여 여전히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구용으로 사용하는 목재는 원목의 연륜(年輪)에 의해 구분되는 경질부와 연질부의 차이에 의한 목재 특유의 나뭇결, 모양 및 촉감등과 같은 자연 고유의 아름다움을 표출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 특허공보 특2003-51525호에 목재의 결을 입체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목재 표면을 태우는 열처리 단계와 목재결에 따라 연마시키는 단계와 목재 표면을 염색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결을 입체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과,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6-37232호에 나무 나이테를 입체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에 고무판 또는 라텍스액으로 무늬를 형성시켜 쇼팅 가공한 후 나무 판재의 표면을 소각시켜 광택 브라쉬로 연마한 후 나무 판재의 표면에 임의의 색상으로 도색한 후 바니쉬를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장식 판재의 가공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판재의 표면에 용접용 토치를 이용하여 700~800℃의 화염을 가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태워 나무 나이테에 의하여 발생되는 나무의 결 부분과 연질부분의 질감 차이를 증폭시켜 나무결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다음 판재의 표면에 염색 또는 바니쉬 등을 사용하여 임의의 색상으로 도색하기 때문에 나무결 고유의 자연적인 색상을 표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나무 판재의 표면에 600~700℃의 화염을 가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태워 나무결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기술에 착안하여 1,800~2,000℃ 온도의 화염을 나무 판재에 짧은 시간에 분사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탄화시켜 숯층을 형성시킨 판재를 사용하여 가구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접용 토치 등을 사용하여 1,800~2,000℃의 고온의 화염을 나무 판재의 표면에 짧은 시간에 분사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탄화시키고, 내부의 숯층이 표면에 드러날 때까지 표면층의 탄화찌꺼기는 연마하여 제거한 다음 숯층의 표면에 밀납과 같은 천연왁스나 피마자유, 해바라기씨유 등과 같은 천연오일 등을 사용하여 표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 및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나무 판재의 주성분이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나무 판재의 표면에 1,800~2,000℃의 고온의 화염을 가하면, 리그닌 성분은 재가 되어버리고, 셀룰로오스 성분이 탄화되면서 탄화층의 외부는 탄화찌거기층이 형성되고, 내부에 숯층이 형성되어지는 원리를 적용시킨 것이 특징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사용하여 가구를 제조함으로써,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숯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공에 의해 실내의 습기가 자동조절되고, 탈취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며, 합성 화학물질의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한 친환경적 가구로서, 특히 고풍스러운 외관을 표출하는 새로운 타입의 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를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무 판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공정(P100)과;
재단한 나무판재 표면에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화염을 분출하여 열처리하는 탄화공정(P200)과;
탄화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는 연마공정(P300) 및;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한 다음 표출되는 숯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표면처리공정(P400);
을 거쳐서 나무 판재의 표면에 숯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탄화공정(P200)은 1,800~2,000℃ 화염을 나무 판재의 표면에 0.5~1초간의 분사되도록 균일하게 화염을 가하여 탄화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공정(P300)은 나무 판재의 탄화층에서 외부의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내부에 형성된 숯층이 표면에 노출될 때까지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처리공정(P400)은 숯층의 표면에 밀납과 같은 천연왁스나 피마자유, 해바라기씨유 등과 같은 천연오일 등을 도포하여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상기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는 판재의 표면에 1~5mm의 탄화찌꺼기층과 그 내부에 1~15mm의 숯층이 형성된 탄화층으로부터 외부의 탄화찌꺼기층만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를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종래의 나무 표면에 열을 가하여 나무결을 살린 원목을 이용한 가구와는 달리, 판재 표면에 숯층을 형성시킨 판재를 사용하여 가구를 제조함으로써,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숯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공에 의해 실내의 습기가 자동조절되고, 탈취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며, 합성화학물질의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한 친환경적 가구로서, 특히 고풍스러운 외관을 나타내는 가구로서 실내 환경의 장식효과가 높은 새로운 타입의 가구로서 그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로서, 캐비넷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중앙판재로 사용하는 숯시트을 분리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가구용 판재인 숯 판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기술로서, 나무 판재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나무결의 문양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판재를 찍은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에 숯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블럭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방법에 따라 나무 판재의 표면에 화염을 가하여 탄화시킨 다음 숯층을 형성시킨 상태를 찍은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따라 탄화찌꺼기층과 숯층으로 구성된 탄화층을 형성시킨 나무 판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화층을 형성시킨 나무 판재에서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한 나무 판재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8의 도면과 같이 나무 판재의 표면에서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숯층만 형성된 나무 원목의 단면을 찍은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숯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들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들을 찍은 사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원목가구의 제조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에 숯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블럭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방법에 따라 나무 판재의 표면에 화염을 가하여 탄화시킨 다음 숯층을 형성시킨 상태를 찍은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따라 탄화찌꺼기층과 숯층으로 구성된 탄화층을 형성시킨 나무 판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화층을 형성시킨 나무 판재에서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한 나무 판재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숯을 형성시키기 위한 판재로서 사용 가능한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 등과 같은 침엽수와 참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벗나무, 느티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 등이 모두 적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에 숯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도 4에 도시된 공정블럭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숯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가 제조되어지며, 구체적인 제조공정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은 나무 판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공정(P100)과;
재단한 나무판재 표면에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화염을 분출하여 열처리하는 탄화공정(P200)과;
탄화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는 연마공정(P300) 및;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한 다음 표출되는 숯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표면처리공정(P400);
을 거쳐서 숯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단공정(P100)은 전기 회전톱 등과 같은 목재 가공수단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가구의 제작에 적합하게 도 5a에 나타낸 사진의 내용과 같이 패널 형태의 판재,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각목 또는 원목 상태에서 절단하여 재단하는 공정으로 다양한 형상에 의해 재단되어질 수 있다.
상기 탄화공정(P200)은 일반적인 원목가구에서 나무결을 살리기 위해 나무 판재의 표면에 600~700℃ 온도의 화염을 가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태워 나무결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1,800~2,000℃ 화염을 나무 판재의 표면에 0.5~1초간의 분사되도록 균일하게 화염을 가하여 도 5b에 나타낸 사진의 내용과 같이 탄화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탄화공정의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온도나 화염분사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숯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탄화공정의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온도나 화염분사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나무 판재의 표면에 탄화찌꺼기층의 두께만 두껍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나무 판재 표면의 나무결의 문양을 살리기 위한 방법의 경우에는 나무 판재의 표면에 600~700℃ 온도의 화염을 가하여 나무 판재의 표면을 태울 경우에는 나무 표면에 탄화찌꺼기층만 형성되어지고, 이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할 경우 나무결의 문양이 살아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탄화층'이라 함은 나무의 구성성분 중 셀룰로오스가 탄화되면서 형성되는 층으로 내부층인 숯층과 숯층의 외부층인 탄화찌꺼기층으로 구분되어진다. 그리고 '탄화찌꺼기층'이라 함은 나무 판재의 표면에 화염을 가하여 태울 경우 탄화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탄화된 찌꺼기들로 형성된 층으로 손가락으로 힘껏 눌러 문지르면 분말화되면서 문드러지는 층이고, 숯층이라 함은 외부층인 탄화찌꺼기층에서 셀루로오스가 타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층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하게 되므로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셀룰로오스가 연소되므로 숯화된 층을 말한다.
따라서, 나무 판재에 고온의 화염을 가하게 되면 외부층에서 나무의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타게 되므로 숯화되지 아니하고, 탄화된 상태로서 손가락으로 힘껏 눌러 문지르면 분말화되면서 문드러지는 층인 탄화찌거기층이 형성되어지고, 이 탄화찌거기층의 내부층은 외부층인 탄화찌꺼기층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층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하게 되므로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셀룰로오스가 연소되므로 숯층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연마공정(P300)은 나무 판재의 탄화층에서 외부의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도 5c에 나타낸 사진의 내용과 같이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표면에 숯층이 노출될 때까지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나무 판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탄화층과 탄화찌거기층 및 숯층은 나무 소재의 종류와 나무 판재의 표면에 가하는 열의 온도 및 시간에 따라 형성되는 두께가 상이하다.
상기 표면처리공정(P400)은 상기와 같이 나무 판재의 표면에 형성시킨 숯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숯층의 표면을 코팅처리하는 공정으로, 숯층의 표면에 천연왁스인 밀납 또는 천연오일인 피마자유, 해바라기씨유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 도포하여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한정한 천연 표면처리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천연 표면처리제일 경우에는 모두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판재(10)의 표면에 1~5mm 두께의 탄화찌꺼기층(22)과 그 내부에 1~15mm 두께의 숯층(21)으로 구비된 탄화층이 형성되어지고, 연마기를 사용하여 탄화찌꺼기층(22)만을 연마하여 제거한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층(21)만을 형성시킨 나무 판재를 사용하여 가구를 제조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가구용 나무 판재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숯층(21)의 두께는 상기에서 한정한 바와 같이 1~15mm 두께의 숯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자의 필요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에서 한정한 두께보다 두꺼운 숯층(21)을 형성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나무 판재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숯층의 표면은 제조자의 필요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판재의 일측면만을 형성시키거나 양측면을 모두 형성시키거나 또는 육면체의 면을 모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도 9는 상기 도 8의 도면과 같이 나무 판재의 표면에서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숯층만 형성된 나무 원목의 단면을 찍은 사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로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낸 사진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라 함은 장롱, 침대, 화장대, 서랍장, 식탁, 책상, 탁자, 거실장, 수납장, 장식장, 소파, 의자 등과 같은 가구뿐만 아니라 받침대, 인테리어 내장재, 인테리어 소품 등도 포함되어진다.
이와 같이 숯층이 형성된 가구는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숯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공에 의해 실내의 습기가 자동조절되고, 탈취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고, 합성화학물질의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한 친환경적 가구로서 특히 고풍스러운 외관에 의해 실내 장식의 효과가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숯층이 형성된 가구는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숯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공에 의해 실내의 습기가 자동조절되고, 탈취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고, 합성화학물질의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한 친환경적 가구로서,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기호성에 적합한 가구로서 그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0 : 나무 판재 21 : 숯층
22 : 탄화찌꺼기층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나무 판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공정(P100)과;
    재단한 나무판재 표면에 용접용 토치를 사용하여 화염을 분출하여 열처리하는 탄화공정(P200)과;
    탄화층이 형성된 나무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는 연마공정(P300) 및;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한 다음 표출되는 숯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표면처리공정(P400);
    을 거쳐서 나무 판재의 표면에 숯층이 형성되되,
    상기 탄화공정(P200)은 1,800~2,000℃ 화염을 나무 판재의 표면에 0.5~1초간의 분사되도록 균일하게 화염을 가하여 탄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공정(P300)은 나무 판재의 탄화층에서 외부의 탄화찌꺼기층을 제거하고 내부에 형성된 숯층이 표면에 노출될 때까지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공정(P400)은 숯층의 표면에 천연왁스인 밀납 또는 천연오일인 피마자유, 해바라기씨유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 도포하여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는 판재의 표면에 1~5mm의 탄화찌꺼기층과 그 내부에 1~15mm의 숯층이 형성된 탄화층으로부터 외부의 탄화찌꺼기층만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12. 청구항 11의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층이 형성된 가구.
KR1020100004760A 2010-01-19 2010-01-19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KR10117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60A KR101177748B1 (ko) 2010-01-19 2010-01-19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60A KR101177748B1 (ko) 2010-01-19 2010-01-19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911A Division KR101177750B1 (ko) 2012-02-02 2012-02-02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44A KR20110085144A (ko) 2011-07-27
KR101177748B1 true KR101177748B1 (ko) 2012-08-28

Family

ID=4492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760A KR101177748B1 (ko) 2010-01-19 2010-01-19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29B1 (ko) * 2013-04-18 2014-10-31 김동경 장구, 나무 항아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5942B1 (ko) 2023-09-15 2023-12-20 장명진 가구용 레진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26B1 (ko) * 2012-09-17 2014-04-10 주식회사 동림 탄화 목재가공 방법
CN110154170A (zh) * 2019-06-10 2019-08-23 圣象地板(句容)有限公司 明火碳化的多层实木复合拉丝地板及其生产工艺
CN112856939A (zh) * 2021-01-12 2021-05-28 大连生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地板木材中温热处理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29B1 (ko) * 2013-04-18 2014-10-31 김동경 장구, 나무 항아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5942B1 (ko) 2023-09-15 2023-12-20 장명진 가구용 레진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44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748B1 (ko)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KR101367059B1 (ko) 편백나무 볼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편백나무 볼
CN104859020A (zh) 一种驱蚊蚁竹木地板的制备工艺
KR101177750B1 (ko) 숯층이 형성된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구
CN105996619A (zh) 一种防螨抗菌竹凉席及其生产工艺
KR101467671B1 (ko) 천연재질의 원목 데코타일의 제조방법
KR100835249B1 (ko)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KR101358462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숯판 및 그 숯판 제조방법
KR102375956B1 (ko) 항균성을 갖는 가구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CN201456139U (zh) 一种装饰板
KR200345225Y1 (ko) 기능성 화장판
JP6001453B2 (ja) コルク板状材の製造方法
KR200189535Y1 (ko) 가구용 패널
JP3222612U (ja) 焼桐と組子との装飾的桐材家具
CN104924408A (zh) 一种激活实木制品养生功能的方法
CN101229648A (zh) 人造的具有保健功效的木质材料及其制品的制造方法
KR200399067Y1 (ko) 황토를 이용한 목자재로 내부 마감된 장롱
KR101379401B1 (ko) 숯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4787A (ko) 습도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구
JP3194232U (ja) 色彩感、装飾性の優れた異種類の色彩的装飾木材片
KR20130121542A (ko) 숯이 내장된 친환경 황토마감재 제조방법
CN205314480U (zh) 一种方形炭化木多层拼花地板
KR20060037962A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3052Y1 (ko) 숯 장식용품
CN205976339U (zh) 一种地暖专用的静音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