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243B1 -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7243B1 KR101177243B1 KR1020117014525A KR20117014525A KR101177243B1 KR 101177243 B1 KR101177243 B1 KR 101177243B1 KR 1020117014525 A KR1020117014525 A KR 1020117014525A KR 20117014525 A KR20117014525 A KR 20117014525A KR 101177243 B1 KR101177243 B1 KR 101177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unit
- housing
- selection
- conduct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 급전부(32), 및 이 급전부(32)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38)를 가지는 회로부(33)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된 제1의 도전부(34)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된 제2의 도전부(35)와, 제1의 도전부(34)와 그라운드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제2의 도전부(35)와 급전부(3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의 상태와, 제1의 도전부(34)와 급전부(32)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제2의 도전부(35)와 그라운드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의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선택부(36)와, 선택부(36)에 의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37)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의 하우징과 제2의 하우징을 가지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에는, 제1의 하우징과 제2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사용 양태에 따라 힌지부를 통해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폴더형의 것이 있다. 이러한 폴더형의 휴대 단말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의 안테나는, 통신을 행할 때에, 유저에 의해 사용되었을 때에, 그 사용 상태에 따라서는 인체의 영향에 의해 이득이 저하하고, 높은 통신 품질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제1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1의 도전부와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2의 도전부 중 어느 한쪽을 급전하고, 어느 다른쪽을 그라운드(접지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 상태에 좌우되지 않고 높은 통신 품질을 담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제1의 도전부와 제2의 도전부 중 어느 한쪽을 안테나로서 이용함으로써, 로드 타입의 안테나에 비해 면적이 넓기 때문에, 유저의 손에 의해 일부가 덮였다고 해도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대표되는 종래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도, 또한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억제하는 기술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의 하나는, 제1의 도전부와 제2의 도전부 중 어느 한쪽을 안테나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의 하우징과, 제2의 하우징과, 상기 제1의 하우징과 상기 제2의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이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1의 도전부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2의 도전부와,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의 상태와,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의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거해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1의 도전부 및 상기 제2의 도전부는,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해 공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도전부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1의 공진 감도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도전부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2의 공진 감도를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의 공진 감도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를 대비해, 상기 제1의 공진 감도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제1의 공진 감도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검출부는, 접촉 상태, 온도 또는 광도를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이거나 또는 제2의 하우징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이거나 또는 제2의 하우징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소정의 주기로 간헐 수신하는 제1의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주기로 대응하는 주기로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에 의거해,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수반하는 기능이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외부 기기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출력부에 의해 음성이 출력되고 있을 때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의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의 안테나와, 상기 제2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와 관련된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와 관련된 기능이 동작될 때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3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이득의 저감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조작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1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2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제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제2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3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조작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1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2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제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제2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해 제3의 상태로 한 경우의 선택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일례인 휴대전화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전화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휴대전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 PC 등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제1의 하우징)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제2의 하우징)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연결부(4)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휴대전화 장치(1)는, 힌지 기구를 통해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열림 상태(열림 상태)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어진 상태(닫힘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닫힘 상태란, 양 하우징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상태이며, 열림 상태란, 양 하우징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외면이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프런트 케이스(2a)측에, 조작키군(11)과, 휴대전화 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서의 음성 입력부(12)가 각각 노출하도록 구성된다.
조작키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조작 부재로서의 결정 조작키(15)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키군(11)을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개폐 상태나 각종 모드, 혹은 기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키?어사인).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를 가압 함으로써, 각 키에 할당된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음성 입력부(1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과 반대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즉, 음성 입력부(12)는, 휴대전화 장치(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타방측의 측면에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 키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취출을 하는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인터페이스는, 캡에 의해 덮여 있다. 각 인터페이스는, 미사용시에는 캡에 의해 덮혀진다.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외면이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에 의해 구성된다(도 3 참조).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로서의 음성 출력부(22)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는 촬상부(23)와, 음악 등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24)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1)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등의 광원부로 구성된다.
도 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프런트 케이스(2a)와, 키 구조부(40)(조작부)와, 키 기판(50)과, 쉴드 케이스(60)와, 회로 기판(70)과, 배터리 리드(2c)를 구비한 리어 케이스(2b)와, 제1의 하우징 부재(30)와, 배터리(81)를 구비한다.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는, 서로의 오목한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이 서로 겹치도록 해서 결합된다. 또,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의 사이에는, 키 구조부(40)와, FPC부(90)를 가지는 키 기판(50)과, 쉴드 케이스(60)와, 회로 기판(70)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해서 내장된다.
프런트 케이스(2a)에는, 휴대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디스플레이(21)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키 구멍(13a, 14a, 15a)이 형성된다.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는, 기능 설정 조작키(13)를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의 가압면, 입력 조작키(14)를 구성하는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가압면, 및 결정 조작키(15)를 구성하는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가압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한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 입력 조작 키 부재(14b) 및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가압면을 눌러 내리도록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메탈 돔(완장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고,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키 구조부(40)는, 조작 부재(40A)와, 보강 부재로서의 키 프레임(40B)과, 시트 부재로서의 키 시트(40C)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는, 복수의 키 조작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와, 결정 조작 키 부재(15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를 구성하는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은, 후술하는 키 프레임(40B)을 사이에 두고 키 시트(40C)에 접착된다. 키 시트(40C)에 접착된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에 있어서의 가압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여 배치된다.
키 프레임(40B)은, 구멍부(14c)가 복수 형성된 금속성의 판형상 부재이다. 키 프레임(40B)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가압에 의한 회로 기판(70) 등으로의 악영향을 막기 위한 보강 부재이다. 또, 키 프레임(40B)은 도전성의 부재이며, 입력 조작 키 부재(14b)에 있어서의 정전기를 내보내기 위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키 프레임(40B)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14c)에는, 후술하는 키 시트(40C)에 형성되는 볼록부(14d)가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볼록부(14d)에 입력 조작 키 부재(14b)가 접착된다.
키 시트(40C)는, 가요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제의 시트형상 부재이다. 키 시트(40C)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4d)가 형성된다. 복수의 볼록부(14d)는, 키 시트(40C)에 있어서의 키 프레임(40B)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볼록부(14d) 각각은, 후술하는 키 스위치(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키 기판(50)은, 키 시트(40C)측의 면인 제1면(50a)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를 가진다.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은, 각 조작 부재(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키 기판(50)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51, 52, 53)는, 그릇형상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키 기판(50)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또, 키 기판(50)에 있어서의 제2면(50b)측에는, 복수의 전극 배선이 형성된다. 이 키 기판(50)은, 기판으로서의 FPC부(90)을 통해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쉴드 케이스(6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구형이며, 회로 기판(70)측의 면이 개방된 박형의 상자형상이다. 이 쉴드 케이스(60)는, 평판부(61)와, 이 평판부(61)의 주연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리브부(62)를 구비한다. 쉴드 케이스(60)는, 리브부(62)가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쉴드 케이스(60)는,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도전성을 가진다.
회로 기판(70)은, 한쪽의 면(70a)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제1의 도전부)를 가진다. 또, 이 회로 기판(70)에는, 휴대전화 장치용의 RF모듈 등의 각종 전자 부품(도시하지 않음)이나 고주파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RF회로부(33)(회로부)가 실장되어 있다.
도 3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디스플레이(21)가 접속된 회로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를 구비한다.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있어서는,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이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한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이 서로 겹치도록 해서 결합된다. 또,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이 사이에 두어지도록 해서 내장된다. 또, 회로 기판(80)에는, 기준 전위 패턴층(제2의 도전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사이에서,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이하 FPC라고 칭함)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80)과,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폴더형의 휴대전화 장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겹쳐지는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된 제1의 도전부(34) 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된 제2의 도전부(35) 중 어느 일방측을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 하고, 또한 타방측을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 함으로써, 1개의 안테나(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정 조건하에서, 제1의 도전부(34)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또한 제2의 도전부(35)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하는 기능과, 제2의 도전부(35)를 방사 소자로 전환하고, 또한 제1의 도전부(34)를 그라운드부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의 도전부(34) 및 제2의 도전부(35)에 의해 구성되는 안테나는, 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으로 상정해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 이용되는 메인 안테나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휴대전화 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회로부(33)와, 제1의 도전부(34)와, 제2의 도전부(35)와, 선택부(36)와, 제어부(37)를 가진다. 또한, 제1의 도전부(34)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70)의 기준 전위 패턴층(75), 쉴드 케이스(60), 조작부측 하우징부(2)를 형성하는 도전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제2의 도전부(35)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80)의 기준 전위 패턴층, 쉴드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표시부측 하우징부(3)을 형성하는 도전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회로부(33)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31a, 31b)와 급전부(32a, 32b)와, 신호 처리부(38)를 가진다. 또한, 신호 처리부(38)는, 안테나 특성에 영향이 없도록, 그라운드부(31a, 31b)와 동전위에 구성된다. 제1의 도전부(34)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도전부(35)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어 있다.
선택부(36)는, 전환 스위치(36a), 전환 스위치(36b) 및 전환 스위치(36c)로 구성되고, 제1의 도전부(34)와 그라운드부(31b)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제2의 도전부(35)와 급전부(32)의 일구성인 급전부(32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의 상태(도 4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1의 도전부(34)와 급전부(32)의 일구성인 급전부(32b)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제2의 도전부(35)와 그라운드부(31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의 상태(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7)는, 선택부(36)에 의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의 상태란, 유저가 조작부측 하우징부(2)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선택부(36)에 의해 선택되는 상태를 추정하고 있다. 또, 제2의 상태란, 유저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선택부(36)에 의해 선택되는 상태를 추정하고 있다. 또, 신호 처리부(38)는, 급전부(32)로부터 공급된 신호 또는 급전부(32)에 공급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RF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선택부(36)에 의한 구체적인 선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7)는, 제1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도전부(35)와 급전부(32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a)를 선택하고, 또, 급전부(32a)와 신호 처리부(3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b)를 선택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의 도전부(35)는, 급전부(32)를 통해 신호 처리부(38)에 접속되므로,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1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부(3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도전부(34)와 그라운드부(3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c)를 선택 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제1의 도전부(34)를 통해 그라운드부(31b)에 접속되므로,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2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부(3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도전부(35)와 그라운드부(31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a)를 선택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제2의 도전부(35)를 통해 그라운드부(31a)에 접속되므로,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2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부(3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도전부(34)와 급전부(32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c)를 선택하고, 또, 급전부(32b)와 신호 처리부(3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환 스위치(36b)를 선택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의 도전부(35)는, 급전부(32)를 통해 신호 처리부(38)에 접속되므로, 안테나의 방사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유저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를 선택하므로, 안테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회로부(33)에 그라운드부(31a, 31b)가 설치되고, 제1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1의 도전부(34)는 그라운드부(3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의 상태에 있어서는, 제2의 도전부(35)는, 그라운드부(3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라운드부(31b)와 제1의 도전부(34), 및 그라운드부(31a)와 제2의 도전부(35)가 동전위이면 되고,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용량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공진 감도, 광차폐도, 접촉 상태, 온도 등)를 검출하는 검출부(39)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검출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장치(1)는, 선택부(36)를 제어해서 제1의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공진 감도가 저하한 것을 검출부(39)에 의해 검출한 경우에는, 제2의 상태를 선택하도록 선택부(3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거해 제1의 상태 또는 제2의 상태를 선택하므로, 사용 상태에 따른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의 도전부(34) 및 제2의 도전부(35)는,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해 공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39)는, 제1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2의 도전부(35)의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1의 공진 감도와, 제2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1의 도전부(34)의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2의 공진 감도를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한다.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검출된 제1의 공진 감도와 제2의 공진 감도를 대비해, 제1의 공진 감도가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제1의 공진 감도가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즉, 휴대전화 장치(1)는, 이른바, 다이버시티 방식에 의한 수신 방식을 채용해, 제1의 상태에 있어서의 공진 감도(제1의 공진 감도)를 검출하고, 그 후, 제1의 상태로부터 제2의 상태를 선택하고, 제2의 상태에 있어서의 공진 감도(제2의 공진 감도)를 검출하고, 제1의 공진 감도와 제2의 공진 감도를 대비해서, 제1의 공진 감도가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제1의 공진 감도가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공진 감도에 의거해 제1의 상태 또는 제2의 상태를 선택하므로, 사용 상태에 따른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 장치(1)는,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소자와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전환하여 최적의 수신 감도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종래의 다이버시티 방식의 휴대전화 장치와 크게 상이하다. 즉, 이와 같이, 다른 도전부를 이용하지 않고 제1의 도전부(34) 및 제2의 도전부(35)의 2개의 도전부를 이용한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삭감이나 하우징 구조의 간소화도 아울러 도모되게 된다.
또, 검출부(39)는, 접촉 상태, 온도 또는 광도를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접촉되어 있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소정의 온도 범위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인, 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촉되어 있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인, 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검출부(39)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2)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전체에 터치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당해 검출 소자에 의해 유저의 접촉을 검출한다.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접촉되어 있으면 검출된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접촉되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해 접촉을 받는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제1의 도전부(34) 또는 제2의 도전부(35)를 가능한 한 이간시킬 수 있어,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검출부(39)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2)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소정의 부분(유저가 접촉할 것 같은 부분)에 온도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당해 검출 소자에 의해 온도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예를 들면, 30℃~40℃)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해 접촉을 받는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제1의 도전부(34) 또는 제2의 도전부(35)를 가능한 한 이간시킬 수 있어,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검출부(39)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2)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소정의 부분(유저가 접촉할 것 같은 부분)에 밝기를 검출하는 센서(포토 센서)의 검출 소자를 배치하고, 당해 검출 소자에 의해 광도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37)는, 검출부(39)에 의해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해 접촉을 받는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제1의 도전부(34) 또는 제2의 도전부(35)를 가능한 한 이간시킬 수 있어,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접촉 상태, 온도 또는 광도에 의거해 제1의 상태 또는 제2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해, 유저의 사용 상태에 따른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장치(1)는, 터치 센서와, 온도 센서와, 포토 센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소정의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7)는, 기능 동작부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37)는, 예를 들면, 메일 기능이나 Web 브라우저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 그 외 키 구조부(40)에 대한 조작을 수반하는 기능이 동작되고 있을 때, 및 휴대전화 장치(1)에 이어폰 커넥터나 데이터 통신용 커넥터 등 외부 기기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커넥터에 케이블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37)는, 이어 폰 커넥터에 케이블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유저에 의한 접촉을 받고 있다(사용자의 귀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음성 출력부(22)에 대어져 있다)는 추정에 의거해, 선택부(36)에 의해 제2의 상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해 접촉을 받는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제1의 도전부(34) 또는 제2의 도전부(35)를 가능한 한 이간시킬 수 있어,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7)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장치(1)가 충전용의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선택부(36)에 의해 제1의 상태를 선택하는 그러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휴대전화 장치(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간헐적으로(예를 들면, 몇 초에 한 번, 수백 msec정도의 간격) 수신하는 제1의 안테나(63)(예를 들면, 대기 상태에 있어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CDMA 안테나)와, 제1의 안테나(63)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통신부(64)와, 통신부(6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5)를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7)는, 소정의 주기로 대응하는 주기로 전원부(65)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선택부(36)에 의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장치(1)는,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는 동안 간헐 수신 시에 제어부(37)의 제어를 행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7)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만을 위해서는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고, 전력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소정의 주기로 제어를 하므로,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계속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안테나(66)와, 제2의 안테나(66)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신호, CDMA 통신과 관련된 신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통신과 관련된 신호, 무선 LAN과 관련된 신호, RFID와 관련된 신호 등)에 관련된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67)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선택부(36)는,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제1의 도전부(34)와 그라운드부(31b)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제2의 도전부(35)와 그라운드부(31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제3의 상태)로 선택된다. 제어부(37)는, 기능 동작부(67)에 의해, 제2의 안테나(66)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와 관련된 기능이 동작될 때 제3의 상태가 되도록 선택부(36)를 전환한다.
제3의 상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 장치(1)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더불어 안테나의 그라운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이른바 하우징 안테나로서의 기능은 발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 장치(1)에서는, 제2의 안테나(6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장치(1)는, 제3의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 및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그라운드부가 동전위가 되기 때문에, 그라운드부를 흐르는 고주파 전류가 정류되어, 제2의 안테나(66)의 안테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안테나(66)는, 상술한 제1의 안테나(63)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1 : 휴대전화 장치
2 : 조작부측 하우징부(제1의 하우징)
3 : 표시부측 하우징부(제2의 하우징)
33 : 회로부
34 : 제1의 도전부
35 : 제2의 도전부
36 : 선택부
37 : 제어부
38 : 신호 처리부
39 : 검출부
63 : 제1의 안테나
64 : 제2의 안테나
67 : 기능 동작부
2 : 조작부측 하우징부(제1의 하우징)
3 : 표시부측 하우징부(제2의 하우징)
33 : 회로부
34 : 제1의 도전부
35 : 제2의 도전부
36 : 선택부
37 : 제어부
38 : 신호 처리부
39 : 검출부
63 : 제1의 안테나
64 : 제2의 안테나
67 : 기능 동작부
Claims (10)
- 제1의 하우징과,
제2의 하우징과,
상기 제1의 하우징과 상기 제2의 하우징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되고, 그라운드부, 급전부, 및 이 급전부에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1의 도전부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된 제2의 도전부와,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의 상태와,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의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거해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도전부 및 상기 제2의 도전부는,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해 공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도전부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1의 공진 감도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도전부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한 제2의 공진 감도를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의 공진 감도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를 대비해, 상기 제1의 공진 감도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제1의 공진 감도가 상기 제2의 공진 감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접촉 상태, 온도 또는 광도를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로서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이거나 또는 제2의 하우징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이거나 또는 제2의 하우징의 주위가 소정의 광도 이하의 광도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간헐 수신하는 제1의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주기에 대응하는 주기로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에 의거해,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6에 있어서,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수반하는 기능이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되고 있을 때 상기 제1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출력부에 의해 음성이 출력되고 있을 때 상기 제2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의 안테나와,
상기 제2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와 관련된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더불어,
상기 제2의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의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상기 제2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와 관련된 기능이 동작될 때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제3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301127 | 2008-11-26 | ||
JP2008301127 | 2008-11-26 | ||
PCT/JP2009/053461 WO2010061641A1 (ja) | 2008-11-26 | 2009-02-25 | 携帯端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4195A KR20110094195A (ko) | 2011-08-22 |
KR101177243B1 true KR101177243B1 (ko) | 2012-08-24 |
Family
ID=4222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4525A KR101177243B1 (ko) | 2008-11-26 | 2009-02-25 | 휴대 단말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866694B2 (ko) |
JP (1) | JP5318885B2 (ko) |
KR (1) | KR101177243B1 (ko) |
WO (1) | WO20100616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93263B2 (en) | 2011-06-03 | 2016-07-19 | Allergan, Inc. |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
JP6058937B2 (ja) * | 2012-07-27 | 2017-01-11 | 京セラ株式会社 | アンテナ部材 |
JP5935594B2 (ja) * | 2012-08-24 | 2016-06-15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5180A (ja) | 2001-05-08 | 2002-1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電話機 |
JP2007104468A (ja) | 2005-10-06 | 2007-04-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無線機 |
JP2008227560A (ja) | 2007-03-08 | 2008-09-25 | Nec Corp | 携帯無線機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7126A (ja) * | 1998-12-25 | 2000-07-14 | Kyocera Corp | 衛星通信機能付加装置、およびデュアルモ―ド携帯無線機 |
JP3830892B2 (ja) * | 2000-06-12 | 2006-10-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JP2003338769A (ja) | 2002-05-22 | 2003-11-28 | Nec Access Technica Ltd | 携帯無線端末装置 |
JP3613525B2 (ja) | 2002-07-19 | 2005-01-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JP3613527B2 (ja) * | 2003-06-12 | 2005-01-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US8060167B2 (en) * | 2002-07-19 | 2011-11-15 | Panasonic Corporation | Portable wireless machine |
WO2004057701A1 (en) * | 2002-12-22 | 2004-07-08 | Fractus S.A. | Multi-band monopol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JP2004363863A (ja) * | 2003-06-04 | 2004-12-24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携帯無線端末 |
JP4358084B2 (ja) * | 2004-07-12 | 2009-11-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折畳式携帯無線機 |
JP2006050136A (ja) | 2004-08-03 | 2006-02-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電話機 |
JP4331072B2 (ja) * | 2004-08-27 | 2009-09-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JP2006166370A (ja) | 2004-12-10 | 2006-06-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折畳式携帯無線機 |
JP3889423B2 (ja) * | 2004-12-16 | 2007-03-0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偏波切り替えアンテナ装置 |
JPWO2006082860A1 (ja) * | 2005-02-01 | 2008-06-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JP4786197B2 (ja) * | 2005-02-25 | 2011-10-05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無線装置 |
JP4511387B2 (ja) * | 2005-02-25 | 2010-07-28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通信端末 |
JP2007274518A (ja) * | 2006-03-31 | 2007-10-18 | Nec Saitama Ltd | 携帯端末及び該携帯端末におけるアンテナ切替方法 |
JP4724084B2 (ja) | 2006-09-28 | 2011-07-13 | 株式会社東芝 | 携帯無線装置 |
KR20080054651A (ko) * | 2006-12-13 | 2008-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JP4571988B2 (ja) * | 2007-01-19 | 2010-10-2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アレー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
US8502739B2 (en) * | 2007-06-22 | 2013-08-06 | Nokia Corporation | Antenna arrangement |
US20100248775A1 (en) * | 2007-07-09 | 2010-09-30 | Mikkelsen Jeffrey E | Mobile phone capable of accessing external storage devices |
-
2009
- 2009-02-25 US US13/130,647 patent/US88666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2-25 KR KR1020117014525A patent/KR1011772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2-25 WO PCT/JP2009/053461 patent/WO20100616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2-25 JP JP2010540397A patent/JP531888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5180A (ja) | 2001-05-08 | 2002-1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電話機 |
JP2007104468A (ja) | 2005-10-06 | 2007-04-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無線機 |
JP2008227560A (ja) | 2007-03-08 | 2008-09-25 | Nec Corp | 携帯無線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4195A (ko) | 2011-08-22 |
JPWO2010061641A1 (ja) | 2012-04-26 |
US8866694B2 (en) | 2014-10-21 |
WO2010061641A1 (ja) | 2010-06-03 |
US20110273357A1 (en) | 2011-11-10 |
JP5318885B2 (ja)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878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27275B1 (ko) | 이동 단말기 | |
CN111492644B (zh) | 天线装置及具有该天线装置的移动终端 | |
US10361743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43799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34505B1 (ko) | 이동 단말기 | |
EP2690844A2 (en) | Mobile terminal | |
KR101964651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046594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0700B1 (ko) | 이동 단말기 | |
US8854276B2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1000385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62100A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8002788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177243B1 (ko) | 휴대 단말 | |
KR101231404B1 (ko) | 휴대 단말 | |
JP5416760B2 (ja) | 携帯端末 | |
JP4771966B2 (ja) | 携帯端末装置 | |
KR2016002343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5902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89612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18208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90019307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87090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50071497A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