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980B1 -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980B1
KR101175980B1 KR1020120036999A KR20120036999A KR101175980B1 KR 101175980 B1 KR101175980 B1 KR 101175980B1 KR 1020120036999 A KR1020120036999 A KR 1020120036999A KR 20120036999 A KR20120036999 A KR 20120036999A KR 101175980 B1 KR101175980 B1 KR 10117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leakage
sealing member
buff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일수
박무룡
박준영
윤의수
황순찬
최범석
서정민
이공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1Axial thrust balancing
    • F04D29/0413Axial thrust balancing hydrostatic; hydrodynamic thrus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06Shaft 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5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유체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임펠러와, 다단의 상기 임펠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간 작동유체의 누설에 의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와,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축추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단의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임펠러로부터 승압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상기 임펠러 측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챔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버퍼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챔버로 승압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버퍼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 개의 임펠러의 단간 누설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Sealing structure of multistage pump}
본 발명은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유체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임펠러와, 다단의 상기 임펠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간 작동유체의 누설에 의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단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줄이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단의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임펠러로부터 승압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상기 임펠러 측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챔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버퍼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챔버로 승압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버퍼부유로;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임펠러의 단간 누설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라 함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동력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작동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계로서, 이용 방식에 따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저압상태에 있는 것을 고압으로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펌프는 전동기나 내연기관 등의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어 그 기계적 에너지를 작동유체에 전달한다.
도 1은 종래의 다단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 임펠러(2), 흡입구측 단부용 레이디얼베어링(3), 토출구측 단부용 레이디얼베어링(4), 토출구측 단부용 스러스트베어링(5), 흡입구측 단부용 씰링부재(6), 토출구측 단부용 씰링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회전축(1)이나 임펄러(2)등을 넣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고, 이 하우징(10)은 흡입구(11)가 설치된 흡입케이싱(12), 임펠러(2)를 넣는 스테이지(13), 토출구(14)가 설치된 토출 케이싱(15)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흡입구(11)로부터 흡입되는 작동유체를 그 호전에 의하여 각 단에서 차례로 가압함으로써 소정압까지 가압하고, 가압된 고압의 작동유체는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된다.
씰링부재(6,7)는 미케니컬 씰(Mechanical seal)로 구성되어 펌프를 구동하는 회전축(1)을 통하여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씰링부재(6,7)는 다단으로 설치된 임펠러(2)의 단간 누설에 의한 작동유체의 압력 강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미케니컬 씰로 구비된 씰링부재(6,7)의 회전축의 고속회전에 따른 과열 및 이물질이 누적되어 씰링부재(6,7)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특개(2002-242881)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임펠러 사이에 단간 누설을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설치하여 작동유체의 단간 누설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버퍼부에 의하여 가압부 단부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회전축에 작용하는 축추력 감소 및 가압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회수부로 회수되는 승압된 작동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제4씰링부재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 누적을 방지하여 제4씰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작동유체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임펠러와, 다단의 상기 임펠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간 작동유체의 누설에 의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단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줄이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단의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임펠러로부터 승압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상기 임펠러 측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챔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버퍼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챔버로 승압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버퍼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버퍼부와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퍼부에서 대기로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부와 상기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승압된 작동유체 일부의 누설을 허용하는 제3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대기로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4씰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로 회수되는 작동유체에 의하여 상기 제4씰링부재의 이물질 누적및 상기 제4씰링 부재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서 상기 회수부로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하여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가압부로 공급하는 회수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씰링부재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버퍼부 사이의 작동유체 누설을 차단하여 상기 가압부의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씰링부재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버퍼부 사이에서 작동유체 일부의 누설을 허용하여, 상기 버퍼부유로를 따라 상기 버퍼부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임펠러의 축추력을 감소 또는 상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임펠러 사이에 단간 누설을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설치하여 작동유체의 단간 누설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버퍼부에 의하여 가압부 단부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회전축에 작용하는 축추력 감소 및 가압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회수부로 회수되는 승압된 작동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제4씰링부재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 누적을 방지하여 제4씰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다단 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는 작동유체의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가압부(110)와, 가압부의 누설을 방지하고 축추력을 상쇄하는 버퍼부(120)와,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회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펌프의 몸체로서, 유입구 몸체(101)와, 토출구 몸체(102)와, 유입구(103)와, 토출구(104)와, 케이싱(105)과, 흡입구(106)와, 송출구(10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S)이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상 우측의 유입구 몸체(101)와 좌측의 토출구 몸체(102) 사이에 다단의 케이싱(105)이 결합되며, 유입구 몸체(101)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3)가 형성되고, 토출구 몸체(102)에는 작동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04)가 형성된다.
다단으로 설치되는 케이싱(105)은 유입구(10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106)가 형성되며, 흡입구(106)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임펠러(111)에 의하여 승압된 후 송출구(106)로 송출되며, 다단의 케이싱(105)을 거치며 승압된 작동유체는 토출구(104)로 토출된다.
가압부(110)는 유입된 작동유체를 일정압으로 승압하는 장치로서, 회전축(S)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단으로 설치되는 임펠러(111)와, 임펠러(111)의 단과 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1씰링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펠러(111)는 원판 형상의 부재의 원주면에 블레이드가 형성된 재생형 임펠러가 구비되고, 네 개의 임펠러(111)가 회전축(S)에 설치되어 케이싱(105)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작동유체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111)는 도면상 우측부터 좌측순서로 각각 1단, 2단, 3단, 4단 임펠러(111)로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임펠러(111)는 20bar의 승압 용량을 갖도록 구비되어, 총 네 개의 단으로 구성된 임펠러(111)가 작동유체를 총 80bar 만큼 승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111)는 재생형 임펠러가 구비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심형 임펠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씰링부재(112)는 세 개가 구비되어, 네 개의 임펠러(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단간 누설을 방지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1씰링부재(112)는 일반적인 립 씰(Lip seal)이 사용되고, 20bar의 압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20bar의 승압 용량을 갖는 임펠러(111)의 단간 누설을 차단한다.
버퍼부(120)는 가압부(110)로부터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여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부재로서, 가압부(110)의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챔버(121) 및 제2챔버(122)와, 가압부(110)와 제1챔버(121) 및 가압부(110)와 제2챔버(12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제2씰링부재(123,124)와, 가압부(110)로부터 제1챔버(121) 및 제2챔버(122)에 승압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버퍼부유로(P1,P2)를 포함한다.
제1챔버(121)는 가압부(110)의 우측 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가압부(110)의 우측 단부의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최소화하는 부재로서, 후술하는 버퍼부유로(P1)가 연결되어 1단 임펠러(111)의 토출 압력인 20bar의 작동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제1챔버(121) 내부는 20bar의 압력이 유지된다. 아울러, 제1챔버(121)에 공급된 20bar의 작동유체는는 후술하는 회수부(130)로 공급되어 후술하는 제4씰링부재(135,136)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의 누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씰링부재(123)는 소정의 압력 강하를 허용하는 래버린스 씰(labyrinthseal)로 구비되어 제1챔버(121)와 1단 임펠러(111) 사이에 설치되어, 1단 임펠러(111)의 좌우 압력차를 최소화함으로써 1단 임펠러(111)에 발생하는 축추력을 감소시키거나 상쇄시킨다.
한편, 제2씰링부재(123)가 20bar의 압력을 차단할 수 있는 립 씰로 구비될 경우에는, 1단 임펠러(111)의 좌우 압력은 같게 되어 축추력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제1챔버(121) 내부의 작동유체는 후술하는 회수부(130)로 공급함으로써 제4씰링부재(135,136)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의 누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부유로(P1)는 1단 임펠러(111)에 의하여 승압된 20bar의 작동유체를 송출구(107)로부터 제1챔버(121)로 공급하는 유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단 임펠러(111)의 좌우 압력차를 최소화하여 1단 임펠러(111)에 작용하는 축추력을 감소 또는 상쇄할 수 있으며, 제4씰링부재(135,136)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의 누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챔버(122)는 가압부(110)의 좌측 단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버퍼부유로(P2)가 연결되어 3단 임펠러(111)의 토출 압력인 60bar의 작동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제2챔버(122) 내부는 60bar의 압력이 유지된다.
제2씰링부재(124)는 20bar의 압력차를 차단할 수 있는 립 씰로 구비되어 4단 임펠러(111)와 제2챔버(122)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제2챔버(122)에는 후술하는 버퍼부유로(P2)로부터 60bar의 작동유체가 공급되고, 가압부(110)의 좌측 단부의 압력은 80bar이므로, 제2씰링부재(124)는 4단 임펠러(111)로부터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4단 임펠러(111)의 좌측과 우측에 립 씰로 마련되는 제1씰링부재(112)와 제2씰링부재(124)에 의하여 4단 임펠러(111)의 좌측과 우측의 압력이 80bar로 동일하게 되므로 축추력을 상쇄할 수 있다.
버퍼부유로(P2)는 3단 임펠러(111)의 송출구(107)로부터 20bar의 압력으로 승압된 작동유체를 제2챔버(122)로 공급하는 유로이다.
회수부(130)는 버퍼부(12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제3씰링부재(133,134)에서 일부 누설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제4씰링부재(135,136)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 누적을 방지함과 동시에,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한다.
회수부(130)는 도면상 제1챔버(121)의 우측과 제2챔버(122)의 좌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러싱유로(131,132)와, 버퍼부(120)와 플러싱유로(131,132)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유체 일부를 누설하는 제3씰링부재(133,134)와, 하우징(100) 내부에서 대기로의 작동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제4씰링부재(135,136)와, 제3씰링부재(133,134)에 의하여 일부 누설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회수부유로(P3,P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싱유로(131,132)는 도면상 제1챔버(121)의 우측 및 제2챔버(122)의 좌측에서 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이다.
제1챔버(121)의 우측에 설치된 플러싱유로(131)는 누설된 제1챔버(121) 내부의 20bar 보다 다소 압력이 강하된 작동유체를 회수하며, 유로의 종단부에는 회수부유로(P3)가 연결되어 회수된 작동유체를 유입구(103)으로 공급한다.
제2챔버(122)의 좌측에 설치된 플러싱유로(132)는 누설된 제2챔버(122) 내부의 60bar의 작동유체를 회수하며, 유로의 종단부에서는 회수부유로(P4)가 연결되어 회수된 작동유체를 2단 임펠러(111)의 송출구(107) 또는 3단 임펠러(111)의 흡입구(106)로 공급한다.
이때, 회수부유로(P4)의 작동유체 공급 경로는 상술한 바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플러싱유로(132)의 내부의 압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임펠러(115)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씰링부재(133,134)는 제1챔버(121) 및 제2챔버(122) 내부의 작동유체의 누설을 일부 허용하여 작동유체를 플러싱유로(131,132)로 흐로도록 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래버린스 씰이 구비된다.
제4씰링부재(135,136)는 작동유체가 하우징(100) 내부의 회전축(S)을 통하여 대기로 누설되것을 방지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미케니컬 씰을 사용하며, 플러싱유로(131,132)에 흐르는 승압된 작동유체에 의하여 회전축(S)의 고속회전에 의한 제4씰링부재(135,136)의 과열 방지 및 이물질 누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챔버(121) 제2챔버(122)와 플러싱유로(131,132) 사이를 차단하여 누설을 방지할 경우에는 제4씰링부재(135,136)가 과열되고 이물질이 누적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제3씰(133,134)은 작동유체의 일부를 누설하는 래버린스 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구(103)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첫번째 케이싱(105)의 흡입구(106)로 유입되고, 내부의 1단 임펠러(111)에 의하여 20bar로 가압되어 첫번째 케이싱(105)의 송출구(107)로 토출되어 2단 임펠러(111)로 다시 공급된다.
이때, 1단 임펠러(111)의 송출구(107)에 연결된 제1유로(P1)를 따라 제1챔버(131)로 20bar의 작동유체에 의하여 1단 임펠러(111)의 좌측과 우측의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회전축(S)의 축추력을 감소시키며, 20bar의 작동유체는 제3씰링부재(133)를 통과하면서 다소 압력이 강하된 상태로 플러싱유로(131) 및 회수부유로(P3)를 통과하여 유입구(103)로 재공급된다.
이때, 플러싱유로(131)를 따라 흐르는 승압된 작동유체에 의하여 제4씰링부재(135)는 과열이 방지되고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작동유체는 40bar로 승압하는 2단 임펠러(111)를 지나 3단 임펠러(111)로 유입되고, 3단 임펠러(111)에서 60bar로 승압되어 4단 임펠러(111)로 유입되는 동시에 회수부유로(P4)를 따라 제2챔버(122)로 공급된다.
제2챔버(122) 내부에는 60bar 상태의 작동유체가 수용되며, 이때 80bar의 4단 임펠러(111)와 60bar의 제2챔버(122) 사이에는 20bar의 압력에 견디는 제2씰링부재(124)가 설치되므로 가압부(110)와 제2챔버(122) 간 누설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2챔버(122)의 60bar 상태 작동유체는 제3씰링부재(134)를 통과하여 다소 작동유체의 압력이 강하된 상태로 플러싱유로(132) 및 회수부유로(P4)를 따라 제2단 임펠러(111)의 송출구(107) 또는 제3단 임펠러(111)의 흡입구(106)로 공급된다.
이때, 플러싱유로(132)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의하여 제4씰링부재(136)는 과열이 방지되고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아 제4씰링부재(136)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의 임펠러(111) 사이에 설치된 제1씰링부재(112)에 의하여 임펠러(111)의 단간 누설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압부(110)의 양측에 설치된 버퍼부(120)에 의하여 1단 및 4단 임펠러(111)의 좌측과 우측의 압력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수부(130)에 의하여 제4씰링부재(135,1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다시 재공급하여 펌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하우징 110: 가압부
111: 임펠러 112: 제1씰링부재
120: 버퍼부 121: 제1챔버
122: 제2챔버 123,124: 제2씰링부재
130: 회수부 131,132: 플러싱유로
133,134: 제3씰링부재 135,136: 제4씰링부재
P1,P2: 버퍼부유로 P3,P4: 회수부유로

Claims (6)

  1. 작동유체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임펠러와, 다단의 상기 임펠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간 작동유체의 누설에 의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단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줄이도록, 상기 가압부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단의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임펠러로부터 승압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상기 임펠러 측으로 이송되는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챔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버퍼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챔버로 승압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버퍼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버퍼부와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퍼부에서 대기로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부와 상기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승압된 작동유체 일부의 누설을 허용하는 제3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대기로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4씰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로 회수되는 작동유체에 의하여 상기 제4씰링부재의 이물질 누적및 상기 제4씰링 부재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에서 상기 회수부로 누설되는 작동유체를 회수하여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가압부로 공급하는 회수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씰링부재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버퍼부 사이의 작동유체 누설을 차단하여 상기 가압부의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씰링부재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버퍼부 사이에서 작동유체 일부의 누설을 허용하여, 상기 버퍼부유로를 따라 상기 버퍼부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임펠러의 축추력을 감소 또는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KR1020120036999A 2012-04-09 2012-04-09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KR10117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99A KR101175980B1 (ko) 2012-04-09 2012-04-09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99A KR101175980B1 (ko) 2012-04-09 2012-04-09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980B1 true KR101175980B1 (ko) 2012-08-22

Family

ID=4688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99A KR101175980B1 (ko) 2012-04-09 2012-04-09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89B1 (ko) * 2017-03-07 2018-04-25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횡형 원심펌프
KR102617553B1 (ko) 2023-08-28 2023-12-22 (주)그린텍 다단펌프의 밸런스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487A (ja) 2001-09-25 2003-04-03 Hitachi Ltd 遠心圧縮機
JP2003222245A (ja) 2002-01-31 2003-08-08 Furukawa Co Ltd ポンプの軸封装置
JP2008175182A (ja) 2007-01-22 2008-07-31 Ebara Corp 多段高圧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487A (ja) 2001-09-25 2003-04-03 Hitachi Ltd 遠心圧縮機
JP2003222245A (ja) 2002-01-31 2003-08-08 Furukawa Co Ltd ポンプの軸封装置
JP2008175182A (ja) 2007-01-22 2008-07-31 Ebara Corp 多段高圧ポ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89B1 (ko) * 2017-03-07 2018-04-25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횡형 원심펌프
KR102617553B1 (ko) 2023-08-28 2023-12-22 (주)그린텍 다단펌프의 밸런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8889C2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блок радиального нагнетателя с отбором газа в ступени нагнетателя
US9279324B2 (en) Reduced leakage balance piston seal
US9677569B2 (en) Bi-directional hydrostatic thrust bearing for a rotating machine
CN201265547Y (zh) 平衡型单吸卧式多级离心泵
CN101400896B (zh) 自排气离心泵
KR20120112736A (ko) 펌프
KR102164322B1 (ko) 연동형 웨어링을 갖는 원심펌프
CN201671823U (zh) 单级单吸离心泵
KR100451651B1 (ko) 원심형 압축기의 역회전 방지구조
KR101175980B1 (ko) 다단 펌프의 누설 방지 구조
KR101237143B1 (ko) 로터리 디스크 펌프
JPH0545827Y2 (ko)
CN112400064B (zh) 具有轴旁通流体循流口的再生式鼓风机-压缩机
CN111828355B (zh) 一种节能鼓风机
WO2011058339A2 (en) Vacuum pump
JP2005201137A (ja) 一軸多段ポンプ
KR20110043519A (ko) 고체, 액체, 증기 및 가스를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슬러지 리액터 펌프
KR101013124B1 (ko) 터보압축기 누설 방지 구조.
KR100951430B1 (ko) 자흡식 터보펌프
CN108757477B (zh) 一种精简结构离心泵
KR20060084060A (ko) 터보 압축기
RU2304730C1 (ru) Центробежно-шестеренный насос
CA2618549A1 (en) Non-positive compressor
JP2006183465A (ja) 遠心圧縮機
US6672828B2 (en) Vacuum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