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62B1 -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62B1
KR101175762B1 KR1020120053139A KR20120053139A KR101175762B1 KR 101175762 B1 KR101175762 B1 KR 101175762B1 KR 1020120053139 A KR1020120053139 A KR 1020120053139A KR 20120053139 A KR20120053139 A KR 20120053139A KR 101175762 B1 KR101175762 B1 KR 10117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layer
manufacturing
mirror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신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종 filed Critical 신현종
Priority to KR102012005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패널의 전면이 빛 반사에 의한 경면을 갖도록 하여 고급화와 심미감을 동시에 충족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전면패널의 경면층과 정전용량 경계를 이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된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준비된 전면패널의 어느 일면 전체 표면에 경면층을 증착하는 제1단계; 상기 경면층을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호실창을 형성하는 제1영역과, 상기 경면층과 경계를 이루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경계부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갖는 제2영역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확산경계부에 확산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호실창 및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확산경계부를 제외한 경면층이 보호되도록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ront pannel for capacitance touch switch having mirror surface}
본 발명은 호텔, 사무실 및 일반가정의 벽에 부착되어 초인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전등을 ON/OFF 시키는 스위치의 전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패널의 전면이 빛 반사에 의한 경면을 갖도록 하여 고급화와 심미감을 동시에 충족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전면패널의 경면층과 정전용량 경계를 이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된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호텔, 사무실 및 일반가정의 내벽 또는 외벽에 부착되어 외부인의 방문을 알리는 초인종 역할을 하거나 또는 실내 전등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가 초인종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외부의 방문자가 쉽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누름노브가 스위치의 전면패널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버튼의 눌름에 의해 실내에서 방문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가 실내에 구비된 복수의 전등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조작의 용이성이 제공되도록 전등의 개수와 대응하는 별도의 선택버튼이 스위치의 전면패널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선택버튼의 선택에 의해 이에 대응하는 전등이 ON/OFF 되도록 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각종 전자기기의 발달에 힘입어 스위치의 제어가 터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의 경우 터치 되는 버튼의 표면이 도료를 포함하면서 전면패널과의 도전이 차단되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전면패널의 심플함을 추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패널의 전면이 빛 반사에 의한 경면을 갖도록 하여 고급화와 심미감을 동시에 충족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전면패널의 경면층과 정전용량 경계를 이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된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은, 준비된 전면패널의 어느 일면 전체 표면에 경면층을 증착하는 제1단계; 상기 경면층을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호실창을 형성하는 제1영역과, 상기 경면층과 경계를 이루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경계부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갖는 제2영역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확산경계부에 확산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호실창 및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확산경계부를 제외한 경면층이 보호되도록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면층은 진공증착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단계는 습식 또는 건식방식을 이용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확산경계부 내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확산경계부 외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제3단계 및 제4단계는 실크스크린방식을 이용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버튼부 내측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기 위한 문자.도형층이 형성되고, 상기 문자.도형층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면층에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확인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인창은 건식방식, 습식방식 또는 레이저마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스위치의 전면패널이 경면층을 통해 외부의 빛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러효과를 발생시켜 고급화와 심미감을 높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면패널에 전면패널의 경면층과 정전용량 경계를 이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확산경계부를 통해 버튼의 위치를 인지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면층이 보호층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경면층의 탈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 및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3a 내지 도 3l은 도 2의 플로우챠트에 의해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에 형성된 버튼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패널이 결합되는 스위치의 용도에 따라 호텔, 사무실 및 일반가정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제1,2실시예는 호텔과 같은 투숙객이 머무르는 각 객실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되는 초인종(차임벨) 및 전등스위치에 적용되는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먼저, 제1실시예로 초인종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3a 내지 도 3l은 도 2의 플로우챠트에 의해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용 전면패널(1)의 제조방법은, 준비된 전면패널(1)의 어느 일면 전체 표면에 경면층(20)을 증착하는 제1단계(S10); 상기 경면층(20)을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호실창(110)을 형성하는 제1영역(100)과, 상기 경면층(20)과 경계를 이루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10)을 갖는 제2영역(200)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2영역(200)의 상기 확산경계부(220)에 확산층(40)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 및 상기 제1영역(100)의 상기 호실창(110) 및 상기 제2영역(200)의 상기 확산경계부(220)를 제외한 경면층(20)이 보호되도록 보호층(5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전면패널(1)은 초인종 스위치(미 도시)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터치를 위한 편평한 면으로 직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측에는 투숙객이 머무는 객실의 호수를 나타내는 호실창(110)이 형성된 제1영역(100)과, 하측에는 외부의 방문을 알리는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10)이 형성된 제2영역(200)과,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 형성되며 객실 내부에 투숙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2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패널(1)에는 호실창(110), 확산경계부(220) 및 확인창(250)을 제외한 표면에 경면층(20)이 도포함으로써, 전면패널(1)이 빛 반사에 의한 경면효과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고급화 및 심플한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확산경계부(220)는 소정의 폭을 갖는 원형의 링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도 1과 같이 후술하는 버튼부(230)가 확산경계부(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전면패널에 증착된 경면층(20)과 버튼부(230)가 정전용량 경계를 이루도록 하여 도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버튼부(230)의 원활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확산경계부(220)는 후술하게 되는 확산층(40)의 인쇄에 의해 빛을 산란시키게 되는데, 이는 전면패널(1)이 초인종 스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초인종 스위치의 내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번짐을 유도하여 은은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함으로써,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버튼(210)의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튼부(230)는 확산경계부(2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방문자가 터치를 통해 내부에 방문사실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실창(110) 및 버튼(210)의 형상이 직사각형상과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면패널(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도 3a와 같이 제1단계(S10)는 준비된 전면패널(1)의 어느 일면 전체 표면에 경면층(20)을 증착하는 단계로서, 먼저 PET, PVC 또는 PC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지고 투명한 형태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전면패널(1)을 준비한다.
준비된 전면패널(1)의 어느 일면 전체에 경면층(20)을 증착하는데, 상기의 경면층(20)은 전면패널(1)의 어느 일면 전체에 빛 반사에 의한 경면효과를 구현토록 함으로써 전면패널(1)이 스위치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고급화 및 심미감을 동시에 충족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경면층(20)은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SUS), 주석(Sn), 은(Ag) 또는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의 금속입자의 증착에 의해 형성되며, 증착방식은 진공증착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증착은 고 진공의 챔버(미 도시) 내에 금속입자를 넣고 가열하여 그 증기로 물체표면에 금속입자가 증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먼저 고진공의 챔버 내에 전면패널(1)을 거치시키고, 전면패널(1)의 표면에 증착시키고자 하는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SUS), 주석(Sn), 은(Ag) 또는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의 금속입자를 넣어 히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의 금속입자들이 증발되어 전면패널(1)의 표면에 응축되면서 증착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전면패널(1)의 표면에 경면층(20)이 형성되며, 이때 증착과정에서 이용되는 금속입자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경면층(20)을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호실창(110)을 형성하는 제1영역(100)과, 경면층(20)과 경계를 이루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10)을 갖는 제2영역(200)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는, 전면패널(1)에 증착된 경면층(20)에 제1영역(100)의 호실창(110)과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를 식각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영역(100)의 호실창(110)과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은 산이나 알칼리 등의 용액을 사용하는 습식방식(wet etching)과, 이온화한 가스 등을 사용하는 건식방식(dry etching)을 이용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그 방식을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먼저, 도 3b와 같이 경면층(20)에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60)를 준비하여 경면층(20)의 상부면에 배치한다.
이때, 마스크(60)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영역(100)에 형성하고자 하는 호실창(110)과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영역(200)에는 버튼(210)을 구성하는 버튼부(230) 및 확산경계부(220)와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버튼부(230)는 확산경계부(220)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확산경계부(220)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전면패널(1)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스위치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버튼부(230)의 위치는 마스크(6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부(230)가 확산경계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확산경계부(220)에 의해 버튼부(230)와 경면층(20)이 상호 정전용량 경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도전을 차단하여 버튼부(230)의 원활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확산경계부(220)에는 후술하게 되는 공정을 통해 확산층(40)이 인쇄되는데, 이는 초인종 스위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확산층(40)을 통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방문자가 버튼(210)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스크(60)가 경면층(20)에 배치된 상태에서 습식 또는 건식방식을 이용하여 3c와 같이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에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을 진행한다.
식각 완료 후 경면층(20)의 상부면에 배치된 마스크(60)를 제거하면 도 3d와 같이 경면층(20)에 제1영역(100)의 호실창패턴(111),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이 형성된 전면패널(1)을 얻게 된다.
상기의 제2단계(S20)에서 제1영역(100)의 호실창(110)과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에 각각 경계층(30)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의 단계는 경면층(20)에 형성된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에 경계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경면층(20)과 각 패턴의 구역이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각 패턴의 형성에 따른 경면층(20) 경계부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호실창(110)과 확산경계부(220) 및 버튼부(230) 즉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에 형성되는 경계층(30)은 실크스크린방식을 이용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실크스크린방식은 통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경계층(30)이 상기의 패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무방하다.
도 3e와 같이 제2단계(S20)를 거친 전면패널(1)의 경면층(20) 상부로 저면에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의 경계라인과 대응하는 형상의 경계층(30)이 구비된 필름(F)을 안치시킨다.
이후, 롤러(L)를 이용하여 필름(F)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롤러(L)의 롤링에 의해 필름(F) 저면의 경계층(30)이 패턴의 경계라인에 점차적으로 인쇄되고, 롤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필름(F)을 제거하면 도 3f와 같이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의 경계라인에 경계층(30)이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층(30)이 롤러(L)에 의해 인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계층(30)이 패턴의 경계라인에 인쇄되는 방식이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220)에 확산층(40)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는 경계층(30)이 형성된 확산경계부패턴(221)의 내측에 확산층(40)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실크스크린방식을 이용해 형성된다.
확산층(40)은 전면패널(1)이 초인종 스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초인종 스위치의 내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빛의 번짐을 유도하여 외부에서 확인시 빛의 은은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를 위해 확산층(40)의 일면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불규칙한 면이 형성되는 물론이다.
더불어, 빛의 산란이 확산경계부(220)의 원형의 링 내에서 일어남에 따라 빛의 산란 폭이 제한되어 눈부심을 방지한다.
먼저, 도 3g와 같이 전면패널(1)의 경면층(20) 상부로 저면에 확산경계부(220)의 원형의 링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확산층(40)이 구비된 필름(F)을 안치시킨다.
이후, 롤러(L)를 이용하여 필름(F)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롤러(L)의 롤링에 의해 필름(F) 저면에 구비된 확산층(40)이 확산경계부패턴(221) 내부에 점차적으로 인쇄되며, 롤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필름(F)을 제거하면 도 3h와 같이 확산경계부패턴(221)에 확산층(40)이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층(40)이 롤러(L)에 의해 인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확산층(40)이 확산경계부패턴(221)에 인쇄되는 방식이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3단계(S30)에는 버튼부(230) 내측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기 위한 문자.도형층(240)이 형성되고, 문자.도형층(240)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버튼부(230)에 특정형상 예를 들어 초인종을 의미하는 종을 표시하거나 또는 버튼(21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명칭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인지의 용이성이 강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버튼부(230)에 문자.도형층(240)을 형성하기 위한 문자.도형패턴(241)의 식각은 앞서 서술된 도 3b 내지 도 3d의 호실창패턴(111), 확산경계부패턴(221) 및 버튼부패턴(231)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 상에서 함께 식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문자.도형패턴(241)은 마스크(6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먼저, 도 3i와 같이 전면패널(1)의 경면층(20) 상부로 저면에 문자.도형패턴(241)의 형상과 대응하는 문자.도형층(240)이 구비된 필름(F)을 안치시킨다.
이때, 문자.도형층(240)에는 문자 또는 도형에 선택된 색상의 안료가 첨가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는 문자.도형층(240)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함으로써 전면패널(1)의 고급화 및 인지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롤러(L)를 이용하여 필름(F)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롤러(L)의 롤링에 의해 필름(F) 저면에 구비된 문자.도형층(240)이 문자.도형패턴(241)의 내부에 점차적으로 인쇄되며, 롤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필름(F)을 제거하면 도 3j와 같이 문자.도형패턴(241)에 문자.도형층(240)이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도형층(240)이 롤러(L)에 의해 인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문자.도형층(240)이 문자.도형패턴(241)에 인쇄되는 방식이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제1영역(100)의 호실창(110) 및 제2영역(200)의 확산경계부(220)를 제외한 경면층(20)이 보호되도록 보호층(5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는, 전면패널(1)에 형성된 호실창(110) 및 확산경계부(220)를 제외한 경면층(20)이 외부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경면층(20)의 상측으로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보호층(50)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1)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3k와 같이 제3단계(S40)를 거친 전면패널(1)의 경면층(20) 상부로 저면에 보호층(50)이 구비된 필름(F)을 안치시킨다.
이때, 보호층(50)에는 스위치 내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호실창(110) 및 확산경계부(220)을 통해 전면패널(10)로 향하도록 호실창(110) 및 확산경계부(220)와 대응하는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후, 롤러(L)를 이용하여 필름(F)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롤러(L)의 롤링에 의해 필름(F) 저면에 구비된 보호층(50)이 경면층(20)의 상부면에 점차적으로 인쇄되며, 롤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필름(F)을 제거하면 도 3l과 같이 경면층(20)에 보호층(50)이 인쇄되어 전면패널(1)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호층(50)은 경면층(20)을 보호함으로써 경면층(20)이 탈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율을 줄여 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제2단계(S20)서 전면패널(1)의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 형성되며 객실 내부에 투숙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경면층(20)에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확인창(2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확인창(250)은 건식방식, 습식방식 또는 레이저마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식방식 및 습식방식은 앞서 서술 되었기 때문에 레이저마킹 만을 설명한다.
레이저마킹은 빛의 파장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상물질표면 또는 내부에 특정된 형상의 음각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마킹을 이용하는 경우 경면층(20)을 삭각하고 식각된 부위가 불규칙한 요철을 이루도록 하여 빛의 산란을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1)은 도 4에 나타낸 제2실시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용 전면패널(1)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제1영역(100) 및 확인창(250)에 대해서는 앞서 서술된 내용과 동일함으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2영역(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등스위치에 적용되는 전면패널(1)을 나타낸 것이다.
제2영역(200)에는 외부의 방문을 알리는 확산경계부(270) 및 버튼부(280)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버튼(260)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260)은 특정된 형상(전구)으로 빛을 산란시키도록 전면패널(1)에 형성된 확산경계부(270)와, 확산경계부(270)를 감싸는 상태로 확산경계부(270)의 외부에 형성된 장공 형상의 버튼부(280)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서와 같이 버튼부(230)가 확산경계부(220) 내부에 형성된 것과는 달리 버튼부(280)가 확산경계부(270) 외부에 형성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영역(200)에 버튼(260)이 6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실시예의 전면패널(1)의 제조방법은 제1실시예의 도 3a부터 도 3l의 공정을 거쳐 형성됨은 물론이며, 단지 차이는 제1실시예의 버튼부(230)가 확산경계부(220) 내부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버튼부(280)가 확산경계부(270) 외부에 형성된 상태로 복수개의 버튼(260)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은 도 3a부터 도 3l의 공정 중에서 복수개의 버튼(260) 형상만을 변경함으로써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짐작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공정 과정에서 버튼부(280) 내측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기 위한 문자.도형층(240)이 형성되고, 문자.도형층(240)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은, 스위치의 전면패널이 경면층을 통해 외부의 빛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러효과를 발생시켜 고급화와 심미감을 높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면패널에 전면패널의 경면층과 정전용량 경계를 이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확산경계부를 통해 버튼의 위치를 인지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면층이 보호층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경면층의 탈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 및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버튼의 개수, 전면패널이 적용되는 스위치, 확산경계부 및 버튼부의 형상 및 위치, 증착방식, 식각방식, 인쇄방식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 : 전면패널 20 : 경면층
30 : 경계층 40 : 확산층
50 : 보호층 60 : 마스크
100 : 제1영역 110 : 호실창
111 : 호실창패턴 200 : 제2영역
210 : 버튼 220 : 확산경계부
221 : 확산경계부패턴 230 : 버튼부
231 : 버튼부패턴 240 : 문자.도형층
241 : 문자.도형층패턴 250 : 확인창
F : 필름 L : 롤러
S10 : 제1단계 S20 :제2단계
S30 : 제3단계 S40 : 제4단계

Claims (9)

  1. 준비된 전면패널(1)의 어느 일면 전체 표면에 경면층(20)을 증착하는 제1단계(S10);
    상기 경면층(20)을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호실창(110)을 형성하는 제1영역(100)과, 상기 경면층(20)과 경계를 이루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경계부(220,270) 및 버튼부(230,28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10,260)을 갖는 제2영역(200)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2영역(200)의 상기 확산경계부(220,270)에 확산층(40)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 및
    상기 제1영역(100)의 상기 호실창(110) 및 상기 제2영역(200)의 상기 확산경계부(220,270)를 제외한 경면층(20)이 보호되도록 보호층(5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면층(20)은 진공증착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는 습식 또는 건식방식을 이용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230)는 상기 확산경계부(220)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280)는 상기 확산경계부(270) 외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S30) 및 제4단계(S40)는 실크스크린방식을 이용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0)는 상기 버튼부(230,280) 내측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기 위한 문자.도형층(240)이 형성되고, 상기 문자.도형층(240)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위치용 전면패널(1)의 제조방법은,
    상기 경면층(20)에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하여 확인창(2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250)은 건식방식, 습식방식 또는 레이저마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20053139A 2012-05-18 2012-05-18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KR10117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39A KR101175762B1 (ko) 2012-05-18 2012-05-18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39A KR101175762B1 (ko) 2012-05-18 2012-05-18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762B1 true KR101175762B1 (ko) 2012-08-21

Family

ID=4688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39A KR101175762B1 (ko) 2012-05-18 2012-05-18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594A (ja) 1998-11-30 2000-06-16 Nissha Printing Co Ltd フロントライト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2002082772A (ja) 2000-06-28 2002-03-22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2270018A (ja) 2001-03-15 2002-09-20 Nissha Printing Co Ltd フロントライトおよびフロントライト一体型タッチパネ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594A (ja) 1998-11-30 2000-06-16 Nissha Printing Co Ltd フロントライト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2002082772A (ja) 2000-06-28 2002-03-22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2270018A (ja) 2001-03-15 2002-09-20 Nissha Printing Co Ltd フロントライトおよびフロントライト一体型タッチパネ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612B2 (en) Metal display panel having one or more translucent regions
TWI521117B (zh) washing machine
CN104807047B (zh) 灶具系统、吸油烟机以及灶具
US20170052289A1 (en) Light shield using integrated lighting to create opacity and privacy in windows
JPWO2008149560A1 (ja) 加熱調理器
JP2007157601A (ja) 発光型スイッチ素子
US10327299B2 (en) Lighting apparatus
TWI632405B (zh) Display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175762B1 (ko) 경면을 갖는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용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CN106448484A (zh) 一种透显面膜、具有其的电器显示面板及电器
EP3553385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wall of a household appliance or of a compon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238783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전자레인지 도어
KR20180050312A (ko) 유리 세라믹 조리대
KR20110044043A (ko)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211207918U (zh) 一种3d衍射显示盒盖
JP5957682B2 (ja) 加熱調理装置
CN207051684U (zh) 触屏式控制器
ES2382741B1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a placa de cubierta de aparato domestico
CN203480475U (zh) 触控面板
JP2018200163A (ja) 冷蔵庫
CN205245661U (zh) 冰箱门及冰箱
JP4255241B2 (ja) 空気調和機
CN207009311U (zh) 具有氛围灯的智能开关
CN106713543B (zh) 一种装饰条、移动终端外壳及移动终端
CN211324157U (zh) 遮挡结构、智能镜子及镜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