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628B1 - 3d 데이터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3d 데이터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628B1
KR101175628B1 KR1020110129048A KR20110129048A KR101175628B1 KR 101175628 B1 KR101175628 B1 KR 101175628B1 KR 1020110129048 A KR1020110129048 A KR 1020110129048A KR 20110129048 A KR20110129048 A KR 20110129048A KR 101175628 B1 KR101175628 B1 KR 10117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ttern
camera
photograph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김진대
조지승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Priority to KR102011012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12Stereo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데이터 획득 방법은,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과 횡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횡축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횡축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패턴마커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한 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자의 두상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데이터 획득 방법{Obtaining method for 3D data}
본 발명은 3D 데이터 획득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의 두상을 촬영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두상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때에 보다 정확한 3D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비접촉식 3차원 스캐닝 방법은 품질검사, 산업용 부품의 정밀 측정, 역설계 분야에 활용되는 기술로서, 이 밖에 보안이나 의료 서비스 분야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 3차원 스캐닝 장치는, 보안이나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고정밀의 3차원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존의 고가의 3차원 스캐닝 방식에 의해서는, 사람의 두상을 간단히 촬영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그리고, 기구물을 이용하여 인체의 두상을 촬영하는 때에, 기구물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 및 동작 오차로 인하여 촬영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정확한 3D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3D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기구적인 오차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위상정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3D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데이터 획득 방법은,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과 횡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횡축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횡축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패턴마커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한 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자의 두상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마커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의 두상이 놓이는 위치에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패턴마커를 상하로 두개 배치하고, 상기 패턴마커의 주위를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상기 패턴마커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마커는, 장방형의 종이에 두 개의 정사각형 패턴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정사각형 패턴들은 점접촉함으로써 꼭지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제 2 패턴마커와, 상기 제 2 패턴마커의 상측에 배치된 제 1 패턴마커 각각의 꼭지점을 연결하여 가상선을 그리는 단계와, 상기 가상선의 중심을 영상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상선이 회전된 각도를 연산하여, 상기 가상선이 상기 영상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일치시키는 단계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패턴마커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마커와 제 2 패턴마커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데이터 획득 방법에 의하면,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에 앞서 기설정된 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패턴마커들을 먼저 촬영하고, 이들 패턴들로부터 3D 촬영을 위한 장치에 기구적인 설치 오류가 있더라도, 촬영된 두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360도 회전하면서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가 기구적인 설치 문제로 인하여, 정확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촬영을 하지 못하는 경우, 즉, 영상 촬영 장치의 좌우 불균형 문제, 수평 불균형 문제, 피사체로부터의 부정확한 거리 문제를, 미리 촬영된 패턴마커들의 영상으로부터 영상을 좌우로 이동시킬지 여부, 좌우로 이동시킨다면 이동시키는 거리, 영상을 회전시켜야 하는지 여부, 회전시킨다면 회전각도,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마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마커가 상하로 두개 배치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패턴마커로부터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는, 기존의 DSLR 카메라 장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촬영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가 착석하는 체어(120)와,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촬영수단(150)과, 상기 촬영수단(150)을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수단(140)과,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메인 프레임(160) 및 서브 프레임(161)과, 상기 촬영수단(15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두상의 3차원 촬영을 위하여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횡축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촬영수단(150)에 장착된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두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이 상기 횡축 프레임(130)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부(141)를 통하여 회전됨으로써, 카메라들에 의한 두상의 3차원 촬영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두상의 3차원 영상 촬영 장치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착석하는 체어(120)는 체어축(1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체어축(121)는 제어박스(110)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박스(110) 내에는 상기 체어축(12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110)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및 서브 프레임(160,161), 카메라 지지수단(140)과 횡축 프레임(130)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부(141) 및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은 상기 제어박스(110)를 통하여 외부의 영상 검출 유닛(200)으로 전달되며, 상기 영상 검출 유닛(200) 내에 마련된 영상 검출부를 통하여 3차원 영상이 획득된다.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 및 촬영수단(150)이 대상자의 두상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160) 및 서브 프레임(161)이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60)과 서브 프레임(161)은 상기 횡축 프레임(130) 및 카메라 지지수단(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서브 프레임(161)이 상기 메인 프레임(160)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60)에는 상기 서브 프레임(161)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되거나, 가스 실린더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161)의 상부에는, 상기 서브 프레임(16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축 프레임(130)이 장착되고, 상기 횡축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41)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141)는 상기 횡축 프레임(130)의 일측 단부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141)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141)는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1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이 회전된다.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의 일측에는 촬영수단(150)이 구비되고, 상기 촬영수단(150)은 LED 조명부(153)와, 상기 LED 조명부(153) 양측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메라(151,152)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상을 3차원 촬영하기 위하여 두 개의 카메라가 장착되는데,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서는, 하나의 카메라 또는 3개 이상의 카메라를 장착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140)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14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촬영수단(150)에 연결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카메라들(151,15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박스(110)를 경유하여 영상 검출 유닛(200)으로 전달되며, 상기 영상 검출 유닛(200)을 통하여 대상자 두상의 3차원 이미지화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인체의 두상을 촬영하기에 앞서, 인체의 두상이 위치하는 곳에 놓이는 패턴마커의 촬영이 수행되며, 촬영된 패턴마커를 이용하여 추후 촬영되는 인체의 두상 영상을 보다 정확히 3차원 영상화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를 구성하는 영상 검출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영상의 보정, 생성 및 저장하는 영상 검출부(210)와, 영상 촬영 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영상 검출부(210)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두상의 영상들을 보다 정확히 3차원 영상화하기 위하여, 두상을 촬영하기 전에 촬영된 패턴마커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기기적인 위치정보(또는 위상정보)를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카메라(151,152)는 회전부(141)와 카메라 지지수단(140)에 의하여 두상 주위를 회전하면서 두상의 각부위를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또는 위상)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촬영 영상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3차원 영상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두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위상)에 의하여 영상에 왜곡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상의 촬영에 앞서 패턴마커의 촬영이 선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마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마커가 상하로 두개 배치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패턴마커로부터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패턴마커(300)는, 장방형의 페이퍼에 두 개의 정사각형 패턴(301,302)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패턴들(301,302)은 점접촉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꼭지점(303)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패턴마커(300)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것이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형태의 패턴마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4에 개시된 패턴마커와 다른 형태의 패턴이라 할지라도,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라면 동일한 기술사상이라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 패턴마커(300)를 상하로 두개 배치하여 사람의 두상이 위치하게 될 곳에 배치시킨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상기 패턴마커(300)를 중심으로 360°회전하면서 패턴마커를 다수회 촬영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패턴마커(300) 역시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상기 패턴마커(300)의 패턴들(301,302)을 회전되는 위치마다 촬영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체어축(121) 하측에는 상기 패턴마커(3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122)를 마련하여 두는 것이 좋으며, 상기 수평조절장치(122)는 상기 회전부(141) 및 카메라 지지수단(140)이 회전하는 것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체어축(12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가 10°씩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패턴마커(300) 역시 동일한 타이밍에 10°씩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조절장치(122)는 상기 체어축(121)과, 상기 체어축(121) 상부에 설치된 패턴마커(3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는 동안에, 36번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촬영된 패턴마커(300)들의 영상으로부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치(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상기 영상 검출부(210)의 영상 보정부(21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보정부(211)에 의한 위치(위상)정보 보정에 대해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여 보기로 하며, 도 6 내지 도 9에 그 방법이 도시된다.
소정 위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패턴마커(300)의 이미지가 도 6과 같은 경우는, 작업자가 카메라를 정위치에 장착하지 못한 경우가 될 수 있으며, 패턴마커(300)가 영상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이탈하였으며, 그 각도 역시 틀어진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제 1 패턴마커(311)에서의 제 1 꼭지점(313)을 추출하고, 제 2 패턴마커(312)에서의 제 2 꼭지점(314)를 추출한다.
각각의 패턴마커(311,312) 내에는 장방형의 패턴이 새겨져 있으며, 그들은 상호 점접촉하여 꼭지점이 형성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 1 패턴마커(311)의 제 1 꼭지점(313)과, 제 2 패턴마커(312)의 제 2 꼭지점(314)을 연결하여 임의의 가상선을 형성하고, 촬영된 영상의 수평선(b)과 수직선(a)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의 중심점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꼭지점(313)과 제 2 꼭지점(314)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선의 중심점을 상기 영상의 중심점으로 이동시키는 매칭 과정을 수행한다. 즉, 패턴마커들이 포함되어 있는 영상의 중심을 추출하고, 패턴마커들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패턴마커들의 중심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패턴마커들의 중심을 전체 영상 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상기 패턴마커들의 중심을 이동시킨 거리를 기억하여 둔다.
이러한 과정이 수행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마커들이 이동하게 되며,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촬영 영상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a) 또는 수평선(b)과 상기 패턴마커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이루는 각도(α)를 추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마커들이 영상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탈된 경우 뿐만 아니라, 영상이 소정 각도로 틀어지게 촬영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영상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a) 또는 수평선(b)과 패턴마커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이루는 각도를 추출한 다음, 상기 패턴마커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영상의 수직선(a) 또는 수평선(b)에 일치하도록 패턴마커들을 함께 회전시킨다.
이때, 패턴마커들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마커(311)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 2 패턴마커(312)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각도 α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회전시킨 각도와 방향을 기억하여 둔다.
이를 통해,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되는 영상들 각각에 대해서, 영상이 틀어진 정도, 즉, 영상을 좌 또는 우로 얼마정도 이동시켜야 하는지, 이동시킨다음 어느 방향으로 얼마의 각도로 영상을 회전시켜야 정확한 영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카메라의 각 위치별 영상의 왜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패턴마커가 영상의 중심에 상하로 정확히 배치된 다음에는, 상기 패턴마커들의 사이즈가 정확히 촬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가 회전하는 동안 특정 위치에서 피사체에 가깝게 접근하거나 또는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미리 저장하여 둔 패턴마커의 사이즈로부터 연산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보정부(211)는 미리 저장된 패턴마커의 사이즈에 맞도록 패턴마커들을 리사이징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회전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에 대해서, 영상내에서 이동시켜야 하는 거리, 회전시켜야 하는 각도, 회전시켜야 하는 방향, 사이즈 조절을 위한 스케일링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보정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경우, 보다 정확한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 검출부(210)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두상의 측면부 영상들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생성부(212)를 포함한다. 3차원 영상의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알려진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 검출부(210)는 상기 영상 보정부(211)에 의해 보정된 영상 또는 상기 3차원 영상 생성부(212)에 의해 생성된 3차원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검출 유닛(200)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서브 프레임(161)과, 회전부(141)와, 조명부(153) 및 카메라(151,15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장치 제어부(22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영상 검출 유닛에 대응될 수 있는 컴퓨터 등을 조작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영상 검출 유닛(200)을 조작하여 무선 또는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 상기 카메라(151,152)의 셔터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기존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카메라의 위치(위상)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에 앞서, 패턴마커들의 촬영을 통하여 촬영되는 두상 이미지로부터 보다 정확한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110 : 제어박스 120 : 체어
130 : 횡축 프레임 140 : 카메라 지지수단
150 : 촬영수단 160 : 메인 프레임
200 : 영상 검출 유닛 210 : 영상 검출부
300 : 패턴마커 301, 302 : 패턴
311 : 제1패턴마커 312 : 제2패턴마커

Claims (4)

  1.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과 횡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과 상기 횡축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지지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횡축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자의 두상을 촬영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패턴마커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마커의 영상을 보정한 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자의 두상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데이터 획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마커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의 두상이 놓이는 위치에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패턴마커를 상하로 두개 배치하고, 상기 패턴마커의 주위를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상기 패턴마커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데이터 획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마커는, 장방형의 종이에 두 개의 정사각형 패턴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정사각형 패턴들은 점접촉함으로써 꼭지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데이터 획득 방법.
  4. 삭제
KR1020110129048A 2011-12-05 2011-12-05 3d 데이터 획득 방법 KR10117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48A KR101175628B1 (ko) 2011-12-05 2011-12-05 3d 데이터 획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48A KR101175628B1 (ko) 2011-12-05 2011-12-05 3d 데이터 획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628B1 true KR101175628B1 (ko) 2012-08-22

Family

ID=4688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48A KR101175628B1 (ko) 2011-12-05 2011-12-05 3d 데이터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6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65B1 (ko) * 2013-06-27 2015-10-26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시스템 및 이를 위한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방법
KR101818571B1 (ko) * 2016-09-08 2018-01-15 주식회사 박스쓰리디 3d 스캐닝 장치
KR101958832B1 (ko) * 2018-07-09 2019-03-18 주식회사 한헬스케어 두상 스캐너 장치
KR20220019444A (ko) * 2020-08-10 2022-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개폐 가능한 깁스 제조 방법 및 이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127A (ja) 2000-11-24 2002-08-06 Asahi Roentgen Kogyo Kk パノラマx線ct撮影装置
JP2007125212A (ja) 2005-11-04 2007-05-24 Asahi Roentgen Kogyo Kk 頭頸部用コーンビームx線ct撮影装置
JP2008131250A (ja) 2006-11-20 2008-06-05 Aisin Seiki Co Ltd 車載カメラの校正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車両の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127A (ja) 2000-11-24 2002-08-06 Asahi Roentgen Kogyo Kk パノラマx線ct撮影装置
JP2007125212A (ja) 2005-11-04 2007-05-24 Asahi Roentgen Kogyo Kk 頭頸部用コーンビームx線ct撮影装置
JP2008131250A (ja) 2006-11-20 2008-06-05 Aisin Seiki Co Ltd 車載カメラの校正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車両の生産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65B1 (ko) * 2013-06-27 2015-10-26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시스템 및 이를 위한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방법
KR101818571B1 (ko) * 2016-09-08 2018-01-15 주식회사 박스쓰리디 3d 스캐닝 장치
KR101958832B1 (ko) * 2018-07-09 2019-03-18 주식회사 한헬스케어 두상 스캐너 장치
KR20220019444A (ko) * 2020-08-10 2022-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개폐 가능한 깁스 제조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497900B1 (ko) * 2020-08-10 2023-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개폐 가능한 깁스 제조 방법 및 이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486B2 (ja) 全周画像計測装置
US9442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 region of interest using an imaging system
KR101458991B1 (ko) 측정 대상 표면에 대한 3d 좌표들을 결정하기 위한 광학 측정 방법 및 측정 시스템
JP6543705B2 (ja) 放射線治療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患者監視システムの較正方法
CN106447733B (zh) 颈椎活动度及活动轴线位置的确定方法、系统及装置
JP6296477B2 (ja) 対象物の三次元座標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111447B2 (ja) カメラ校正装置、カメラ校正方法、カメラ校正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0621985B (zh) X线计算机断层装置
KR101222104B1 (ko) 라인 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입체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EA031929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мерного измер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KR101175628B1 (ko) 3d 데이터 획득 방법
JP2009017480A (ja) 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6447735A (zh) 一种全景相机几何标定处理方法
CN107687821B (zh) 用于深孔洞旋转件形貌测量的多相机光刀系统标定方法
CN111637834A (zh) 一种三维数据测量装置及方法
JP4764896B2 (ja) カメラ校正装置、カメラ校正方法、カメラ校正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649192B2 (ja) ステレオ画像作成方法及び3次元データ作成装置
CN111131801A (zh) 投影仪校正系统、方法及投影仪
JP2005338977A (ja) 立体画像処理システム
WO2019087253A1 (ja) ステレオカメラ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12042340A (ja) X線ct装置
JP2016218254A (ja) ステレオ画像撮影装置、ステレオ画像撮影方法
JP2008183142A (ja) Pet−ct装置
TWM561212U (zh) 校正設備
JP2004309318A (ja) 位置検出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較正情報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