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439B1 -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439B1
KR101175439B1 KR1020100028487A KR20100028487A KR101175439B1 KR 101175439 B1 KR101175439 B1 KR 101175439B1 KR 1020100028487 A KR1020100028487 A KR 1020100028487A KR 20100028487 A KR20100028487 A KR 20100028487A KR 101175439 B1 KR101175439 B1 KR 10117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product
pair
lifting frame
rolling mil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963A (ko
Inventor
양민석
김병기
이건봉
장도영
정해일
최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4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4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 Roll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100)는 이송대(11)의 폭방향 일측에는 지지 프레임(110)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대에는 안착대(120)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대(120) 상에는 구동원(1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130)에는 상기 압연제품(S)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프레임(140)이 연결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에는 상기 압연제품(S)을 거는 다수의 후크(15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와 상기 안착대(120) 사이에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에 의해 리프팅되는 압연제품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다수의 로드셀(160)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연제품의 전체중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불량제품을 검사하는 한편 압연기의 압하량을 조정하는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데이타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apparatus for weighing roll products for a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냉각 전 압연제품의 전체 중량을 용이하게 계측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장의 압연기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회전하는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켜서 그 재료의 소성변형을 이용하여 판재, 봉재, 단면재 등을 성형하는 기계로서, 압연작업온도에 따라 열간 압연기와 냉간 압연기가 있고, 압연제품에 따라 분괴 압연기(blooming mill), 빌렛 압연기(billet mill), 섹션 압연기(section mill), 슬래브 압연기(slab mill), 로드 압연기(rod mill) 등이 있으며, 압연 롤의 개수 및 조립형식에 따라 2단식 압연기, 3단식 압연기, 4단식 압연기, 특수 압연기 등이 있다.
H 형강, I형강 또는 채널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압연소재는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제강로로 이송한 후에 정련하여 강을 제조한 후 압연용 강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주작업을 통해 슬라브, 빌레트, 블룸 등의 형태로 제조된다.
압연소재는 압연공장에 이송되어 재 가열후 다수의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어 압연재가 만들어지고, 상기 압연재는 이송라인의 롤러 테이블을 타고 이송되면서 고속 회전되는 절단기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절단된 중간 압연제품은 압연제품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냉각상을 거쳐 최종 압연제품으로 제작되는 공정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압연제품의 전체 중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안착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에 고정된 구동원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압연제품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압연제품을 걸도록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후크와,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의해 리프팅되는 압연제품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안착대 사이에 구비된 로드셀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대에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양측이 평형을 유지하며 리프팅되도록 연동하는 연동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제1힌지축과, 상기 안착대의 양측 상면에 결합된 한쌍의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을 연결하는 제1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2힌지축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한쌍의 제2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각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 또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에 의하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압연제품의 전체중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불량제품을 검사하는 한편 압연기의 압하량을 조정하는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데이타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라 바라본 측면도,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라 바라본 측면도,
도4는 도1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라 바로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2 내지 도4는 도1의 화살표 A-A선, 화살표 B-B선 및 화살표 C-C선에 따른 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10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10)에 설치된다.
상기 압연제품 이송라인(10)은 이송대(11)의 상측에 다수의 이송롤러(12) 및 안내부(13)가 설치되어 압연제품(S)을 이송한다.
상기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10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냉각하는 냉각상(도시안됨) 전단에 설치되어 절단된 압연제품의 전체중량을 계측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대(11)의 폭방향 일측에는 지지 프레임(110)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후술하는 수평대에는 안착대(120)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대(120) 상에는 구동원(1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130)에는 상기 압연제품(S)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프레임(140)이 연결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에는 상기 압연제품(S)을 거는 다수의 후크(15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와 상기 안착대(120) 사이에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에 의해 리프팅되는 압연제품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로드셀(160)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포스트(111)의 상단에 수평부재(112)가 수평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수평부재(112)가 지지부재(11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포스트(111)에 이어지며, 상기 수평부재(112)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대(120)이 안착하는 수평대(114)가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수평대(114)에는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계단대(170)가 사다리 연장부(1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도3 참조). 그리고, 상기 수평대(114)에는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플랫포옴(도시안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120)에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의 양측이 평형을 유지하며 리프팅되록 연동하는 연동기구(180)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기구(180)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의 양측에 한 쌍의 수직부재(181)가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81)의 상단에 제1힌지축(18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안착대(120)의 양측 상면에 한 쌍의 제2힌지축(183)이 결합되고, 상기 제1힌지축(182)과 상기 제2힌지축(183)을 제1링크(184)가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2힌지축(183)에 한 쌍의 제2링크(185)의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링크(185)의 각 타단을 연결로드(186)가 연결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동원(130)은 연결부재(135)에 의해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131)를 구비한 에어 실린더로서, 2대가 안착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130)은 유압실린더, 제어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대(120)의 중간에는 상기 구동원(1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1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탱크(136)는 안착대(12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은 상기 연결부재(135)에 힌지결합된 프레임(141)의 하측으로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연결대(142)가 돌출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연결대(142)의 각 하단부에 상기 후크(150)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150)는 ㄷ형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후크(150)의 하측 플랜지(151)가 압연제품(S)의 하측에 위치하여 압연제품을 걸게 되어 있다.
상기 로드셀(160)은 사기 안착대(120)의 저면 모서리 네 곳에 부착되어 상기 수평대(114)에 안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된 압연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한편 압연기의 제어부(도시 안됨)에 입력 데타로 사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압연기의 제어부에서는 공정 일정상의 이론 중량과 실제 중량의 오차를 근거로 압연시 압하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연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열간압연시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압연기의 과도한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160)은 상기 수평대(114)의 상면 모서리 네 곳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연공장의 압연제품의 중량제품계측장치에서, 소정길이로 절단된 중간 압연제품(S)이 이송롤러(12)를 타고 중량제품계측장치(100)에 위치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구동원(130, 에어실린더)이 작동하여 리프팅 프레임(140)을 상승시키게 되고 후크(150)에 걸린 압연제품(S)의 상승되어 압연제품(S)의 중량만큼 로드셀(160)에 힘이 가해져 압연제품(S)의 전체 중량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 프레임(140)은 연동기구(180)에 의해 균형이 잡혀 평형을 유지하면서 상승된다. 즉, 리프팅 프레임(140)에 고정된 한쌍의 수직부재(181)가 한쌍의 제1힌지축(182)를 밀어 한쌍의 제1링크(184)를 회동시키고 한쌍의 제2링크(185) 및 연결로드(186)을 통해 리프팅 프레임(140)의 양측이 연동하여 균형을 잡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100)에 의하면, 압연제품에서 샘플을 절단하여 계량을 실시하는 방법에 비해 압연제품의 전체중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불량제품을 검사하는 한편 압연기의 압하량을 조정하는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데이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110 : 지지 프레임
120 : 안착대 130 : 구동원
140 : 리프팅 프레임 150 : 후크
160 : 로드셀 180 : 연동기구

Claims (4)

  1. 소정 길이로 절단된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압연제품 이송라인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안착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에 고정된 구동원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압연제품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압연제품을 걸도록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후크와,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의해 리프팅되는 압연제품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안착대 사이에 구비된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에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양측이 평형을 유지하며 리프팅되도록 연동하는 연동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제1힌지축과,
    상기 안착대의 양측 상면에 결합된 한쌍의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을 연결하는 제1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2힌지축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한쌍의 제2링크와,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각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 또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KR1020100028487A 2010-03-30 2010-03-30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KR10117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487A KR101175439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487A KR101175439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963A KR20110108963A (ko) 2011-10-06
KR101175439B1 true KR101175439B1 (ko) 2012-08-20

Family

ID=450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87A KR101175439B1 (ko) 2010-03-30 2010-03-30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4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66Y1 (ko) 2001-07-13 2001-11-17 김용균 다수개 보빈 중량측정장치
KR100506635B1 (ko) 2002-11-20 200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픽업 크레인을 이용한 슬라브의 중량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66Y1 (ko) 2001-07-13 2001-11-17 김용균 다수개 보빈 중량측정장치
KR100506635B1 (ko) 2002-11-20 200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픽업 크레인을 이용한 슬라브의 중량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963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166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Material by Rolling
CN104117648A (zh) 一种多流多定尺连铸坯在线定尺称重系统
US9694403B2 (en) Reduction of the strip tension of rolling stock between two rolling units to a minimum
KR101435039B1 (ko) 소재 정렬장치
US87833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of two casting rolls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producing a metal strip
CN101151109A (zh) 改善轧制带末端以轧制速度离开的金属轧制带的脱离的方法和轧机机列
KR101175439B1 (ko) 압연공장의 압연제품 중량계측장치
CN101738245B (zh) 卷纸条在线称重方法及装置
CN202606514U (zh) 一种可逆式板材轧机防翘装置
CN203638668U (zh) 用于型钢转运的成排台架
CN207779527U (zh) 钢线卷自动称量装置
CN210451176U (zh) 一种对成品钢材定量的挡板装置
CN106694837B (zh) 一种可旋转的连铸坯在线定尺称重的装置
CN105241530A (zh) 高速检重秤
CN104816917A (zh) 铝锭垛称重装置
JP5693838B2 (ja) 計量装置
CN206627195U (zh) 无托辊式小流量高精度配料秤
KR20120097037A (ko) 소재 계중기 및 계중방법
CN113460761B (zh) 一种自动调节过辊精度装置
CN207086869U (zh) 一种在线连续称量热铸坯的升降装置
CN218903085U (zh) 一种钢坯自动上料系统
CN205888227U (zh) 一种金属板材横切纵剪装置
CN220640342U (zh) 一种棒材精整线打包头压辊装置
CN204953844U (zh) 一种在线称重辊道
CN211042467U (zh) 一种简易型在线称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