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137B1 -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137B1
KR101175137B1 KR1020100094316A KR20100094316A KR101175137B1 KR 101175137 B1 KR101175137 B1 KR 101175137B1 KR 1020100094316 A KR1020100094316 A KR 1020100094316A KR 20100094316 A KR20100094316 A KR 20100094316A KR 101175137 B1 KR101175137 B1 KR 10117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ylon
receiver
transmitter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791A (ko
Inventor
박동수
권기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9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1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1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는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송신부와,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Bending measuring devices for iron tower}
본 발명은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부재는 송전선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철탑부재는 송전선을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철탑부재는 일반인이 송전선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탑부재는 일측에 안테나가 설치된다. 철탑부재에 설치된 안테나에 의해 방송국에서 송출된 전파의 도달거리가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철탑부재에 설치된 안테나에 의해 핸드폰에서 송출된 전파의 도달거리가 연장될 수 있다.
철탑부재는 다수의 철골 또는 파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철골 또는 파이프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철골 또는 파이프는 볼트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철탑부재는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철탑부재는 송전선을 지지하는 동안 바람 또는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과도한 하중이 철탑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철탑부재는 지반이 침하되어 과도한 하중이 철탑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인가될 수 있다.
철탑부재가 과도한 하중을 인가받으면 철골 또는 파이프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앵글 또는 파이프에 변형이 발생되면 철탑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철탑부재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 철탑부재가 무너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철탑부재의 철골 또는 파이프의 휘어짐을 측정하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송신부와,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하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이저 송신부 및 레이저 수신부를 사용함으로써 철탑부재의 휘어짐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수신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철탑부재의 휘어짐을 측정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 하면,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100)는 레이저 송신부(110)를 포함한다. 레이저 송신부(110)는 철탑부재(I)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 송신부(110)는 철탑부재(I)의 일측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송신부(110)는 레이저 발생부(111)를 포함한다. 레이저 발생부(111)는 상기 레이저빔을 발생시킨다. 레이저 발생부(111)는 상기 레이저빔을 철탑부재(I)의 일측방향으로 발생시킨다.
레이저 송신부(110)는 송신부 고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송신부 고정부재(112)는 레이저 발생부(11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송신부 고정부재(112)의 일측은 레이저 발생부(111)에 체결될 수 있다. 송신부 고정부재(112)의 타측은 철탑부재(I)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송신부 고정부재(112)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 고정부재(112)는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송신부 고정부재(112)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철탑부재(I)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탑부재(I)는 다수의 철골(미도시)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골은 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신부 고정부재(112)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상기 철골의 평평한 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신부 고정부재(112)를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철탑부재(I)는 다수의 파이프(미도시)가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신부 고정부재(112)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상기 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신부 고정부재(112)를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 하면, 레이저 송신부(110)는 각도조절부(113)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부(113)의 일측은 레이저 발생부(111)에 체결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의 타측은 송신부 고정부재(112)에 체결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는 레이저 발생부(1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는 볼 타입 힌지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는 내부에 중공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3a)의 일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는 회전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13b)는 중공부(113a)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13b)의 일측은 레이저 발생부(111)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13b)가 중공부(113a)의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레이저 발생부(111)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13)는 고정나사(1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나사(113c)는 각도조절부(113)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나사(113c)는 각도조절부(113)의 내부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나사(113c)는 각도조절부(113)의 내부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부(113b)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부(113b)는 고정나사(113c)에 의해 중공부(113a)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회전부(113b)는 중공부(113a)의 일면에 말착됨으로써 회전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발생부(11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고 하면,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12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120)는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120a, 120b)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120a, 120b)은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 및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120a, 120b)은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를 포함한다.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는 제 1 측정부(121a)를 포함한다. 제 1 측정부(121a)는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제 1 측정부(121a)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측정부(121a)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이 제 1 측정부(121a)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제 1 측정부(121a)는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는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측정부(121a)는 일면에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측정부(121a)를 통과한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는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를 포함한다.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의 일측은 제 1 측정부(12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의 타측은 철탑부재(I)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는 제 1 측정부(121a)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는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철탑부재(I)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탑부재(I)는 다수의 상기 철골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골은 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상기 철골의 평평한 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를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철탑부재(I)는 다수의 상기 파이프가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의 철탑부재(I)에 부착되는 면은 상기 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를 철탑부재(I)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120a, 120b)은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를 포함한다.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는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와 레이저 송신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는 제 2 측정부(121b) 및 제 2 수신부 고정부재(122b)를 포함한다.
제 2 측정부(121b)와 제 2 수신부 고정부재(122b)는 제 1 측정부(121a)와 제 1 수신부 고정부재(122a)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2 측정부(121b)와 제 2 수신부(122b)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100)를 사용하여 철탑부재의 휘어짐을 측정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레이저 송신부(110)가 철탑부재(I)에 배치된다(S110). 레이저 송신부(110)는 철탑부재(I)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철탑부재(I)는 다수의 상기 철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송신부(110)는 다수개의 상기 철골 중 휘어짐이 의심되는 상기 철골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는 철탑부재(I)에 배치된다(S120).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는 철탑부재(I)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는 레이저 송신부(110)에 대향하도록 철탑부재(I)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송신부(110)의 영점을 조절한다(S130). 레이저 발생부(111)는 철탑부재(I)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11)는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를 향해 상기 레이저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은 제 1 측정부(121a)에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 1 측정부(121a)는 상기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눈금을 사용하여 제 1 측정부(121a)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눈금의 중앙에 형성된 '0' 선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 레이저 발생부(111)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11)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0' 선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은 제 1 측정부(121a)의 중앙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이 제 1 측정부(121a)의 중앙에 위치되면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가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 및 레이저 송신부(110)의 사이에 배치된다(S140).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는 제 1 레이저 수신부(120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는 레이저 송신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가 철탑부재(I)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철탑부재(I)의 휘어짐을 측정한다(S150).
상기 레이저빔은 제 2 측정부(121b)에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 2 측정부(121b)는 상기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눈금을 사용하여 제 2 측정부(121b)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측정부(121b)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철탑부재(I)의 휘어짐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탑부재(I)가 휘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레이저빔은 제 2 측정부(121b)에 형성된 상기 눈금의 '0' 선을 지나가게 된다. 하지만, 철탑부재(I)가 휘어진 경우 상기 레이저빔은 제 2 측정부(121b)에 형성된 상기 눈금의 '0' 선을 지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를 이동하면서 제 2 레이저 수신부(120b)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철탑부재(I)의 휘어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철탑부재(I)의 휘어짐을 확인함으로써 철탑부재(I)의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 철탑부재
100: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110: 레이저 송신부
120a: 제 1 레이저 수신부
120b: 제 2 레이저 수신부

Claims (4)

  1.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송신부와,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는,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수신부들은,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부재에 배치되는 제 1 레이저 수신부와,
    상기 레이저 송신부와 상기 제 1 레이저 수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하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송신부는,
    상기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송신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는,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고 일면에 눈금이 형성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수신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KR1020100094316A 2010-09-29 2010-09-29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KR10117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16A KR101175137B1 (ko) 2010-09-29 2010-09-29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16A KR101175137B1 (ko) 2010-09-29 2010-09-29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791A KR20120032791A (ko) 2012-04-06
KR101175137B1 true KR101175137B1 (ko) 2012-08-20

Family

ID=4613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316A KR101175137B1 (ko) 2010-09-29 2010-09-29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5566A (zh) * 2018-08-02 2018-12-07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轴弯曲度测量装置及方法
KR102226993B1 (ko) * 2019-10-10 2021-03-12 주식회사 포스코 소절재의 휨 측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678A (ja) 1999-09-06 2003-07-15 フランツ、ロットナー ひずみ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678A (ja) 1999-09-06 2003-07-15 フランツ、ロットナー ひずみ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791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1851B (zh) 应用于雷达模拟器校准过程的手动天线对准装置及方法
EP3089268B1 (en) Radio wave reflection device
CN105379004A (zh) 点对点无线电系统、通信装置和通信控制方法
TW200633306A (en) Satellit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mart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
WO2005032200A3 (en) Handover in a system with adaptive antennas
KR101175137B1 (ko)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
US20200044334A1 (en) Microwave antenna control system
TWI542884B (zh) 具有改變反射路徑吸收體之微波暗室
CN209001115U (zh) 一种多功能可调式广播电视发射天线连接装置
EP2555421A4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IGNAL POLARIZATION
GB2114376A (en) Antenna apparatus
CN109164305A (zh) 一种测量一体化卫星电视接收站天线增益的方法
KR100610868B1 (ko)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JP53175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9847573B2 (en) Method for antenna alignment in a non line-of-sight scenario
CN207925656U (zh) 一种广播电视发射天线连接装置
CN220775840U (zh) 一种室内通信用信号屏蔽装置
KR102118830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CN201360044Y (zh) 家用卫星天线方向调节装置
KR101038846B1 (ko)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Saad et al. Assessments of Time Diversity Rain Fade Mitigation Technique for V-band Space-Earth Link Operating in Tropical Climate
CN208111660U (zh) 一种全方位立体天线
US91969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bration amelioration in a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network
CN201392887Y (zh) 卫星接收天线
Penttinen The SFN gain in non-interfered and interfered DVB-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