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846B1 -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846B1
KR101038846B1 KR1020090014706A KR20090014706A KR101038846B1 KR 101038846 B1 KR101038846 B1 KR 101038846B1 KR 1020090014706 A KR1020090014706 A KR 1020090014706A KR 20090014706 A KR20090014706 A KR 20090014706A KR 101038846 B1 KR101038846 B1 KR 10103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angle
unit
image input
input unit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739A (ko
Inventor
김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1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8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설치 및 안테나의 틸트를 조절함에 있어서, 보다 최적화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안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야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야각 조절부는,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이며, 상기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접안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한다.
무선 통신, 안테나, 빔

Description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ASSISTANT APPARATUS FOR ANTENNA INSTALLATION}
본 발명은 안테나 설치 시에 보다 최적화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파의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테나, 특히 지향성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파는 특정 방향으로 빔(beam)을 형성한다. 빔은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파의 방향 및 형상을 지칭하며, 빔 패턴(beam pattern) 또는 복사 패턴(radiation pattern)이라고도 한다. 안테나의 종류, 안테나의 방향성에 따라서 안테나의 빔 패턴은 달라진다.
안테나(109)의 빔 패턴은 메인 로브(101), 사이드 로브(103), 널 영역(105) 및 반전력 빔폭(107)으로 이루어진다. 안테나(109)는 특정 방향과 위치로 전파를 방사하는데 안테나(109)의 빔 패턴 중에서 제일 큰 빔 패턴을 메인 로브(101, main lobe)라고 한다. 그리고 메인 로브(101) 이외의 빔 패턴을 사이드 로브(103, side lobe)라고 한다. 메인 로브(101)와 사이드 로브(103) 사이 또는 사이드 로브(103)와 사이드 로브(103) 사이의 빔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을 널(null) 영역(105)이라고 하며, 널 영역(105)에서는 수신측이 전파를 수신하기 어렵다. 반전력 빔폭(107, Half Power Beam Width)은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파의 최대 전력의 절반 이상이 되는 빔폭을 말하며 3dB 빔폭이라고도 한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보다 넓은 지역에 전파를 방사하고 주변 구조물 등에 의해 수신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고층 건물의 옥상이나 철탑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다. 안테나가 높은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안테나의 빔 방향을 수평으로 하면 안테나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수신 특성이 급속히 열화될 수 있으며, 또한 인접 안테나와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는 수신 특성의 열화, 및 인접 안테나와의 간섭 형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빔 방향이 지평선쪽을 향하도록 기울여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안테나의 빔 방향이 지평선을 향하도록 안테나의 틸트(tilt) 각이 조절된다.
상기된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 즉, 안테나의 빔 패턴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안테나의 빔 폭 내에 전파의 수신을 방해하는 고층 구조물 등이 존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안테나의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소정 틸트 각으로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소정 틸트 각을 미리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테나 설치 시에 보다 최적화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안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야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야각 조절부는,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이며, 상기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접안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안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야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야각 조절부는,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으로 상기 접안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시야각 조절부의 마주보는 면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부채꼴 형상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빔 폭에 대응되는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하여 빔 폭 내에 수신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는 구조물 등이 존재하는지 미리 확인함으로써 수신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피하여, 보다 최적화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외부 영상을 직접 관찰하며, 틸트 각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틸트 각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 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원형 관(201)을 통하여 외부 영상을 관찰할 경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된다. 이때, 제 1 원형 관(201)의 지름이 넓어질수록 보다 넓은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형 관(201)보다 지름이 넓은 제 2 원형 관(203)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경우에 보다 넓은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원형 관(201)보다 외부 영상이 입력되는 부분(207)의 지름이 넓은 부채꼴 형상의 관(205)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경우 보다 넓은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될 수 있다.
즉, 원형 관(201, 203)의 지름의 크기를 조절하면 조절된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원형 형상의 관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관도 크기를 조절하면, 조절될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이 관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관의 지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가 방사하는 빔 폭에 대응되는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가 방출하는 빔 폭에 대응되는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하여 시야각 내에 전파의 수신을 방해하는 고층 구조물 등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에 전파의 수신을 방해하는 고층 구조물 등을 피해 최적화된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는 몸체부(301), 접안부(303), 영상 입력부(305) 및 시야각 조절부(307)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305)는 몸체부(30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는다.
접안부(303)는 몸체부(301)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영상 입력부(30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영상 입력부(305)의 중심축과 접안부(303)의 중심축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야각 조절부(307)는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야각을 조절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조절부(307)는 접안부(303)와 영상 입력부(305)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시야각 조절부(307)는 영상 입력부(305) 및 접안부(303)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크기가 조절되어 영상 입력부(305)의 시야각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야각 조절부(307)의 크기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빔 폭에 대응되는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시야각 조절부(307)는 접안부(303) 및 영상 입력부(305)와 연결되어 있어 시야각 조절부(307)의 크기가 접안부(303) 및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가 된다. 그리고 시야각 조절부(307)의 크기는 도 2에서 설명된 제 1 원형 관(201)의 지름에 대응된다.
즉,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영상 입력부(305) 및 접안부(30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면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가 조절되며 시야각 역시 상하 또는 좌우로 넓어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야각 조절부(307)의 좌우 길이가 몸체부(301)의 좌우 길이와 일치하므로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면이 서로 멀어지며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시야각 조절부(307)는 검은 색과 가까운 어두운 색의 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안부(303)와 영상 입력부(305)를 제외한 몸체부(301) 역시 검은 색과 가까운 어두운 색의 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는, 영상 입력부(305)가 형성되는 몸체부(301)의 일측면은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두운 색의 부재로 구성되는 시야각 조절부(307)에 의해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시야각 조절부(307)는 접안부(303)의 크기는 가변시키지 않고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야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조절부(307)가 직육면체 형상의 관이며, 접안부(303)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마주보는 면 즉, 상하 또는 좌우면이 접안부(303)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부채꼴 형상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는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면이 평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부채꼴 형상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접안부(303)의 크기는 가변되지 않으며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만 가변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빔 폭에 대응하는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빔 폭 내에 전파의 수신 특성을 열화시키는 고층 구조물 등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폭은 반전력 빔 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는 제 1 각도 표시부(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각도 표시부(309)는 시야각 조절부(307)의 위치에 따른 시야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야각 조절부(307)가 직육면체 형상이며, 접안부(303)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회전한 각도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야각이 제 1 각도 표시부(309)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각도 표시부(309)는 몸체부(301)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설치된 시야각 조절부(307)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도록 몸체부(301)에서 제 1 각도 표시부(309)가 설치된 부분은 투명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회전한 각도가 바로 시야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최초 시야각 조절부(307)의 크기, 즉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에 따른 시야각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회전한 각도가 1도라고 해서 시야각이 1도가 되는 것은 아니며, 최초 시야각 조절부(307)의 크기에 따른 시야각을 고려하여 제 1 각도 표시부(309)가 제작될 필요가 있다.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회전한 각도에 대응하는 시야각을 측정하고 제 1 각도 표시부(309)를 제작하면, 이후 시야각 조절부(307)의 상하 또는 좌우 면이 회전한 각도에 따른 시야각을 알 수 있다.
한편, 장거리 외부 영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영상 입력부(305) 또는 접안부(303)에 볼록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영상 입력부(305)의 크기에서 볼록 렌즈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시야각이 좁아지므로 시야각 조절부(307)의 각도 변경에 따른 시야각의 변경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는 영상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는 영상 입력부(305)로 입력되어 시야각 조절부(307)에서 시야각이 조절된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며, 접안부(303)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된 외부 영상은 소정 수신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곧 영상 입력부(305)에 입력되어 소정 시야각으로 시야각이 조절된 영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는 원격으로 틸트가 조절되는 안테나에 부착되되, 안테나의 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 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외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안테나의 빔 폭 내에 전파의 수신 특성을 열화시키는 구조물 등을 피해 원격으로 안테나의 틸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는 수평 측정부(311), 반사경(313), 지시자(도 5에 도시됨, 315) 및 제 2 각도 표시부(도 5에 도시됨, 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자(315) 및 제 2 각도 표시부(317)는 몸체부(301)의 외부에 설치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수평 측정부(311)는 몸체부(3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수평 측정부(311)는 중력을 이용하여 충진된 액체와 기포로 몸체부(301)의 수평을 측정하되,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수평 측정부(311)는 도 5에 도시된 지시자(315)와 관련하여 회전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자(315)는 수평 측정부(3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시자(315)의 회전 각도 만큼 수평 측정부(311)가 회전한다.
사용자가 안테나의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소정 틸트 각으로 외부 영상을 관찰하여 몸체부(301)가 기울어진 경우, 수평이 아니므로 수평 측정부(311)의 측정 결과는 수평 상태가 아니다. 이 경우 지시자(315)를 회전시키면, 지시자(315)가 수평 측정부(3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평 측정부(311) 역시 회전한다. 지시자(315)를 회전시켜 수평 측정부(311)의 측정 결과가 수평 상태인 경우, 지시자(315)는 소정 틸트 각만큼 회전된 상태이다. 제 2 각도 표시부(317)는 지시자(315)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지시자(315)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면, 소정 틸트 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반사경(313)은 수평 측정부(311)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접안부(303)로 반사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테나의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소정 틸트 각으로 외부 영상을 직접 관찰하면서 수평 측정부(311)의 측정 결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사경(313)을 통하여 수평 결과를 확인하며, 도 4에 도시된 지시자(31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곳의 외부 영상을 직접 관찰하며, 틸트 각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틸트 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측정부(311)로 빛이 입력되어 사용자가 수평 측정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 측정부(311)가 설치된 몸체부(301)의 부분은 투명 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측정부(311)는 야간에도 사용자가 수평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313)은 시야각 조절부(307) 외부에 설치되며, 시야각 조절부(307)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이식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빔 폭에 대응하는 시야각으로 외부를 관찰할 경우에는 반사경(313)을 시야각 조절부(307)의 외부로 밀어내어 외부 영상을 제외한 다른 영상이 접안부(303)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틸트 각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 측정부(311)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경우에는 반사경을 시야각 조절부(307)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설계에 따라 반사경(313)은 시야각 조절부(307)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평 측정부(311)에는 소리 등으로 수평 상태를 알려주는 센서 등이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리를 듣고 보다 용이하게 수평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파의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야각 조절부와 반사경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지시자 및 제 2 각도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삭제
  2.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안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야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야각 조절부는,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이며, 상기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접안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3.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시야각으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안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야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야각 조절부는,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연결하는 관의 형상으로 상기 접안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시야각 조절부의 마주보는 면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부채꼴 형상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영상 입력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절부의 위치에 따라 조절된 시야각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각도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수평을 측정하되,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수평 측정부;
    상기 수평 측정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지시자;
    상기 수평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접안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 및
    상기 지시자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각도 표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 측정부는,
    상기 지시자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시야각 조절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야각 조절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접이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평 측정부가 설치된 부분은,
    상기 수평 측정부에 빛이 입력되도록 투명 부재로 구성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측정부는,
    야광 부재로 구성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소리로 알려주는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로 입력되어 상기 시야각 조절부에서 시야각이 조절된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KR1020090014706A 2009-02-23 2009-02-23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KR10103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706A KR101038846B1 (ko) 2009-02-23 2009-02-23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706A KR101038846B1 (ko) 2009-02-23 2009-02-23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739A KR20100095739A (ko) 2010-09-01
KR101038846B1 true KR101038846B1 (ko) 2011-06-02

Family

ID=4300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706A KR101038846B1 (ko) 2009-02-23 2009-02-23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23B1 (ko) * 2017-08-24 2020-02-19 주식회사 케이티 빔 커버리지 확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0465A1 (en) 1988-02-23 1989-08-30 John George Pax Weatherlake Device for indicating bearings in azimuth and inclination
JP2002111335A (ja) 2000-09-27 2002-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アンテナ
WO2002084789A1 (en) 2001-04-11 2002-10-24 Gs Development Ab A method for adjusting a plane
JP2003318628A (ja) * 2002-04-22 2003-11-07 Kobe Steel Ltd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指向方向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0465A1 (en) 1988-02-23 1989-08-30 John George Pax Weatherlake Device for indicating bearings in azimuth and inclination
JP2002111335A (ja) 2000-09-27 2002-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アンテナ
WO2002084789A1 (en) 2001-04-11 2002-10-24 Gs Development Ab A method for adjusting a plane
JP2003318628A (ja) * 2002-04-22 2003-11-07 Kobe Steel Ltd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指向方向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739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9268B1 (en) Radio wave reflection device
US4249181A (en) Cellular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using tilted antenna radiation patterns
JP6522083B2 (ja) レーダ装置
US7035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d evalua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231450A1 (en) Aisg inline tilt sensor system and method
KR20150087455A (ko) 무인항공기 추적 안테나, 이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JP5855665B2 (ja) 物体の電磁波試験をするための装置
JP6909761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方法
CN107819187B (zh) 用于微波天线的对准装置、微波天线及对准方法
KR101880707B1 (ko)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방향 제어 방법
KR20190099692A (ko)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EP0986837B1 (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rranged for state-dependently controlling non-uniform selection patterns among possible antenna directivity configurations
CN114097142A (zh) 用于增强型无线应用的基于元结构的反射阵列
US10530051B2 (en) Antenna alignment device and methods for aligning antennas
KR101038846B1 (ko) 안테나 설치 보조 장치
US20200355535A1 (en) Level radar device with adaptive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KR20200010151A (ko) 가변형 패시브 릴레이 장치, 이를 운용하는 제어 서버 및 이의 운용 방법
ES2834974T3 (es) Estructura de antena parabólica
US11824582B2 (en) Underwater optical communication unit
JP4260038B2 (ja) 開口面アンテナ
JP3628548B2 (ja) 信号中継装置
US200600944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link degradation due to the detrimental orientation of a mobile station
JP2002271124A (ja) アンテナ方向調整装置、アンテナ方向調整方法
KR200346053Y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빔 방향측정장치
JP7057001B1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