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692A -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 Google Patents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692A
KR20190099692A KR1020180019448A KR20180019448A KR20190099692A KR 20190099692 A KR20190099692 A KR 20190099692A KR 1020180019448 A KR1020180019448 A KR 1020180019448A KR 20180019448 A KR20180019448 A KR 20180019448A KR 20190099692 A KR20190099692 A KR 2019009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antenna
plate
moving body
antenna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50B1 (ko
Inventor
박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콘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콘,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콘
Priority to KR102018001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50B1/ko
Priority to PCT/KR2018/002232 priority patent/WO2019160184A1/ko
Publication of KR2019009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기설정된 개수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용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무빙체의 무빙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위치연산부;
상기 무빙체에 설치된 안테나어셈블리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틸트된 각도를 연산하는 틸트각도측정부;
방송위성의 위치좌표인 방송위치좌표가 저장된 위성위치저장부;
상기 무빙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송위치좌표까지의 벡터인 목표벡터를 연산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회전, 높이 및 틸트각도를 설정하는 모듈위치연산부; 및
상기 모듈위치연산부의 연산값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며, 틸트시키는 모듈제어동작부
를 포함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AUTOMATIC TRACKING ANTENNA OF SATELLITE WAVE AND GROUND WAVE HAVING 360 DEGREE AZIMUTH ROTATION STRUCTURE}
본 기술은 위성 신호 및 지상파 수신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부에서 위성 신호 및 지상파 수신 안테나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360도 범주 내에서 자동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신호 및 지상파 수신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휴식이다. 휴식은 하던 일을 중단하고, 권태감이나 피로를 예방하기 위하여 편안한 자세로 있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의 사람들은 주어진 시간 동안 특정일(日)은 일을 하고, 여분의 일(日)에는 권태감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가를 즐긴다.
여가를 즐기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최근에는 급박하게 변화되는 도시를 떠나 시외 지역에서 캠핑 및 레저활동이 각광받고 있다. 즉, 시외로 이동하여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에 따라 여가를 보내는 도중 시간을 한가롭게 보내기 위하여 위성방송(Broadcasting Satellite, BS)에 대한 수요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성방송은 우주에 정지된 정지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되는 TV, 라디오 방송을 의미하며, 우주공간에서 전자를 송신하고, 수신하므로 지형에 따른 전파 장애가 없어서 다양 분야의 채널을 선명한 화질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위성방송은 우주에서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에 전파가 미치는 지역이 넓어 국경에 제한없이 다양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자연재해 또는 전쟁 등의 상황에 구애 받지 않고 방송될 수 있다.
이러한 위성방송은 대체로 이동중인 차량이나 선박 등에서 이용된다. 예컨대, 위성방송은 차량, 기차, 선박 등 운송수단에 안테나가 장착되어 이동 중인 상황에서 방송을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성방송은 캠핑카, 카라반 등 이동형 주거지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위성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깨끗한 화질의 위성방송을 시청하기 위하여는 안테나가 신호를 송신하는 위성의 적합한 위치에서 신호의 파형(수직편파, 수평편파, LHCP(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 RHCP(Right Hand Circular Polariztion))에 맞추어 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위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기존의 위성방송을 식별하고 추적하는 방법으로는 위성 다운링크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가 추적하고자 하는 위성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고유 다운링크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 및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위성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능동형 위성안테나 시스템은 단일 위성만 추적이 가능해서 동시에 여러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없어 방송 수신 채널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방법의 문제점과 더불어 안테나의 구조적인 문제도 대두되고 있는 추세인데, 특히나, 안테나의 틸트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안테나가 틸트되어야 하는 이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예시로 안테나와 위성이 1도도 틀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위성이 수직편파 또는 수평편파를 송신하면 안테나에는 12시, 3시 방향으로 신호가 입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테나와 위성 사이의 거리는 매우 길어서 실제로는 살짝 틀어진 위치에서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는 비틀어진 상태로 안테나에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안테나는 위성과 동일한 경도, 위도에 배치되어도 틀어진 상태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안테나를 이러한 위성 신호의 틸트된 정도에 맞추어 틸트하여야 하는데, 안테나가 자유자제로 틸트되지 못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하여 종래의 안테나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종래의 안테나는 차량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데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는 매우 큰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 안테나는 그 설정된 크기때문에 설정된 높이에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틸트되게 되면 차량의 프레임과 부딪혀 더 이상 틸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 틸트 각도는 심한 경우 +90, -90까지 틸트되어야 한다.
즉, 깨끗한 위성방송 화면이 구현되기 위하여 안테나는 필요에 따라 이 틸트되는 각도에 제한이 발생되면 안되는데, 종래에는 안테나가 틸트되는 각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176920" "차량용 위성안테나의 스큐각도 자동조절장치(Skew angle auto controller of satellite antennas for vehicle) (2008.08.3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18-0002472"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위성 추적 장치가 수행하는 위성 추적 방법(SATELLITE TRACKING METHOD FOR PERFORMING SATELLITE TRACKING APPARATUS USING HORIZONTALITY MAINTENANCE DEVICE)" (2018.01.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769135" "인공위성용 안테나(Antenna for satellite) (2017.08.10. 공개)
본 발명은 이동하는 무빙체에 설치되어 위성의 위치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오토 트래킹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틸트 각도에 제한이 발생되지 않는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오토 트래킹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는 기설정된 개수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용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무빙체의 무빙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위치연산부; 상기 무빙체에 설치된 안테나어셈블리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틸트된 각도를 연산하는 틸트각도측정부; 방송위성의 위치좌표인 방송위치좌표가 저장된 위성위치저장부; 상기 무빙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송위치좌표까지의 벡터인 목표벡터를 연산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회전, 높이 및 틸트각도를 설정하는 모듈위치연산부; 및 상기 모듈위치연산부의 연산값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며, 틸트시키는 모듈제어동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성 자동 추적 안테나 장치는, 위성의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강도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강도확인부는 상기 모듈제어동작부가 동작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1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틸트시킬 때마다 상기 위성의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위성 신호의 강도가 증가하다가 감소되는 지점이 있는 경우 역동작 신호를 상기 모듈제어동작부로 출력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틸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모듈제어동작부는,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틸트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신호강도확인부에서 감지되는 위성 신호의 강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높이를 설정된 각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안테나어셈블리는, 상기 무빙체에 설치될 때 상기 무빙체에 의하여 움직임을 방해받지 않도록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제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는, 제1제어모터 및 상기 제1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로테이션되는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변경모듈과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제2제어모터 및 상기 제2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호의 형태를 그리며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높이변경모듈과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제3제어모터 및 상기 제3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틸트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틸트변경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변경모듈은,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제1제어모터와 상기 제1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연결기어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의 둘레와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며 설치되는 회전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틸트변경모듈은,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트기어와 상기 틸트기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테나가 안착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홀에 샤프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3제어모터와 상기 제3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설치되는 틸트매개기어와 상기 틸트매개기어와 상기 틸트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며 설치되는 틸트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높이변경모듈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제어모터와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제어모터의 샤프트가 설정된 회전을 하면 호를 그리며 이동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암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변경모듈의 외측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높이변경모듈 및 틸트변경모듈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2제어모터가 설치된 외측의 위치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돌출된 제1안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안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돌출부와 제2안착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2제어모터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안착돌출부와 맞닿으며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변경모듈의 외측에는 하부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무빙체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설정된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하부케이스와, 상기 제1플레이트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제2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이격된 위치에 센서신호를 차단하는 블럭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는,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롤러가 가이드홈에 배치되면 가이드 홈에 배치되며 센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되, 상기 센서신호를 차단하는 블럭벽에 상기 센서신호가 차단되면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제어동작부는, 상기 회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작시키다 상기 센서신호가 상기 블럭벽에 차단되면 상기 위성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암부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부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빙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무빙체와 위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연산하여 안테나어셈블리가 위성의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무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어셈블리가 무빙체의 프레임에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므로 90도로 틸트되어도 무빙체에 부딪히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방송뿐만 아니라, 지상파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제1방향으로 회전하다 360도 회전 시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어 360도 방위각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제1안착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상부케이스의 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하부케이스 및 제1플레이트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에서 회전변경모듈, 높이변경모듈, 틸트변경모듈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틸트변경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에서 지상파 신호 수신을 위하여 형성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는 무빙체에 설치되어 무빙체와 함께 이동한다. 본 발명인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는 위치연산부(100), 틸트각도측정부(200), 위성위치저장부(300), 모듈위치연산부(400), 모듈제어동작부(700), 신호강도확인부(500), 회전센서(800) 및 안테나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위치연산부(100)는 설정된 주기로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용 위성을 탐지하며,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이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위치연산부(100)는 별도의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의 신호(위성항법 신호)을 수신하는 안테나(6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안테나(670)를 가지고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연산부(100)가 측정하는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의 개수(기설정된 수)는 사용자에 따라서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일예시적으로 4개일 수 있다.
위치연산부(100)가 탐지한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인 경우 위치연산부(100)는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 될 때까지 탐지를 반복한다.
위치연산부(100)가 기설정된 수 이상의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을 탐지한 경우, 이를 기반으로 무빙체의 위치인 무빙위치좌표를 연산한다. 여기서 무빙체의 무빙위치좌표는 X, Y, Z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연산부(100)는 복수의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위성항법 신호)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과 무빙체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구해진 거리(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과 무빙체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구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빙체의 좌표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틸트각도측정부(200)는 무빙체에 설치된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의 틸트된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670)에 설치된 센서는 AHRS(Attitude & Heading Reference System)으로 3축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 방위각이 어느 정도인지, 어느정도 회전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위성위치저장부(300)는 방송신호를 송신하는 방송위성의 위치좌표인 방송위치좌표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방송위성은 무빙체의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방송을 송출하는 위성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방송위치좌표는 무빙위치좌표와 마찬가지로 X, Y, Z로 표현되도록 저장되어 있다. 방송위성은 적도선상 고정되어 있는 위성이므로 방송위치좌표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성위치저장부(300)에는 복수의 방송위성의 위치인 방송위치좌표가 복수개 저장되어 있다.
모듈위치연산부(400)는 무빙위치좌표에서 방송위치좌표까지의 벡터인 목표벡터를 연산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의 위치를 연산한다. 일예시적으로 무빙위치좌표를 A(X1, Y1, Z1)이라고 가정하고,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위성의 방송위치좌표를 B(X2, Y2, Z2)라고 가정하면 목표벡터(K)는 다음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모듈위치연산부(400)는 무빙위치좌표, 방송위치좌표, 목표벡터를 이용하여 무빙체를 기준으로 방송위성의 방위각(Elevation)과 고도각(Azimuth)을 연산할 수 있다. 모듈위치연산부(400)는 아래의 수학식 2, 3을 이용하여 방위각(E)과 고도각(A)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수학식 3)
Figure pat00005
(수학식 1, 2, 3에서 K는 X, Y, Z좌표축에서의 목표벡터, A는 무빙위치좌표, B는 방송위치좌표,
Figure pat00006
는 X축 상의 단위시신벡터,
Figure pat00007
는 Y축 상의 단위시선벡터,
Figure pat00008
는 Z축 상의 단위시선벡터, E는 목표벡터의 이동체를 기준으로 방송위성의 고도각이고, A는 방위각임)
한편, 위치연산부(100)는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을 탐지하는 동작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는 동안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이 설정된 수 미만으로 모니터링된 경우, 주변 환경이 열악한 환경으로 판단하고, 모듈위치연산부(400)는 방송위성에 대한 블라인드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블라인드 스캔은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에 대한 위성 신호(주파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원하는 방송위성인지 주파수로 확인한 후, 원하는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이다.
또한, 모듈위치연산부(400)는 위치연산부(100)를 통하여 위도와 경도를 확인하고, 무빙체의 위도와 경도를 통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틸트각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틸트각도가 연산되어야 함은 앞서서 설명하였듯이, 방송위성이 원거리에 위치되어 방송위성이 송신하는 파들이 틸트되며 수신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모듈연산부는 안테나어셈블리(600)를 방송위성의 위치로 향하는 회전각도, 높이(고도)의 정도, 그리고 안테나(670)가 틸트되는 틸트각도를 연산한다.
모듈제어동작부(700)는 모듈위치연산부(400)가 연산한 연산값에 따라 안테나어셈블리(600)를 회전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며, 틸트시킨다. 여기서, 모듈제어동작부(700)는 후술할 제1제어모터(621), 제2제어모터(631), 제3제어모터(641)의 축(샤프트)를 회전시켜 안테나어셈블리(600)를 회전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며, 안테나(670)를 틸트시킬 수 있다.
신호강도확인부(500)는 방송위성의 위성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신호강도확인부(500)를 이용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예시적으로 모듈제어동작부(700)가 동작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를 제1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틸트시킬 때마다 수신되는 위성의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위성신호의 강도가 증가하다 감소되는 지점이 측정되면 역동작신호를 모듈제어동작부(700)로 출력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가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틸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설정된 각도로 안테나어셈블리(600)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만큼 변경할 수 있다. 즉,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상측으로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만큼 이동시키다가 신호강도확인부(500)가 측정하는 신호의 강도가 특정 위치에서 작아지는 경우 역동작신호를 모듈제어동작부(700)로 출력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의 높이를 제어한다.
회전센서(800)는 안테나어셈블리(600)의 방위각을 측정한다. 회전센서(800)는 제1방향으로 안테나어셈블리(600)가 360도로 회전하는 것을 측정한다. 모듈제어동작부(700)는 회전센서(8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가 제1방향으로 360도 회전되면 그 후에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안테나어셈블리(6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는 안테나어셈블리(600)가 일방향으로 지속 회전하는 경우,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전선들이 꼬이게 되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에서 지상파 신호 수신을 위하여 형성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어셈블리(600)는 안테나(670), 상부케이스(650), 하부케이스(660), 고정브라켓(610), 회전변경모듈(620), 높이변경모듈(630), 틸트변경모듈(640)을 포함한다.
안테나(670)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670)는 방송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용 안테나(670)와 동시에 내측에는 지상파 방송 수신을 위하여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지상파용 안테나(670)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안테나(670)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멀티루프패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멀티루프패턴의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670)는 싱글 루프 패턴의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에 비하여 무지향성으로 470 내지 680 MHZ 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루프패턴은 피딩전극(1100)와 패턴전극(1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의 멀티루프패턴은 베이스기판(1000)에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은 바람직한 두께를 가지는 유전체 특성을 가지는 기판임이 바람직하다.
멀티루프패턴은 피딩전극(1100)과 패턴전극(120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하나의 피딩전극(1100)을 제1피딩전극(1101), 다른 하나의 피딩전극(1100)이라고 명명하겠다. 또한, 패턴전극(1200)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피딩전극(1101)과 연결되는 패턴전극(1200)을 제1패턴전극(1201)이라 명명하며 제1패턴전극(1201)과 연결되는 패턴전극(1200)을 제2패턴전극(1202)이라 하겠다. 즉, 이와 같은 방식처럼 패턴전극(1200)을 명명 시 제1에서 시작하여 수를 증가시키며 명명하도록 하겠다.
피딩전극(1100)은 한쌍으로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제1피딩전극(1101)과 제2피딩전극(1102)은 수평으로 배치되되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제1피딩전극(1101)은 제1패턴전극(1201)과 연결된다. 제1패턴전극(1201)은 제2피딩전극(1102)의 반대방향으로 일측이 제1피딩전극(1101)과 연결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패턴전극(1202)은 일측이 제1패턴전극(1201)과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3패턴전극(1203)은 일측이 제2패턴전극(1202)과 연결되고, 수평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여기서, 제3패턴전극(1203)의 길이는 제1패턴전극(12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4패턴전극(1204)은 일측이 제3패턴전극(1203)과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4패턴전극(1204)은 제2패턴전극(120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5패턴전극(1205)은 일측이 제4패턴전극(1204)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5패턴전극(1205)은 제3패턴전극(1203)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6패턴전극은 일측이 제5패턴전극(1205)과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제6패턴전극 내지 제9패턴전극은 각각 제2패턴전극(1202) 내지 제5패턴전극(120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10패턴전극 내지 제13패턴전극은 제6패턴전극 내지 제9패턴전극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14패턴전극 내지 제17패턴전극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제18패턴전극 내지 제20패턴전극도 마찬가지이다가, 제21패턴전극은 제2피딩전극(1102)과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멀티루프패턴을 형성하여 470 내지 698 MHZ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670)는 후측에 브라켓을 통하여 틸트변경모듈(64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670)는 틸트변경모듈(640)의 틸트동작에 따라 틸트될 수 있다. 안테나(670)가 틸트되어야 하는 이유는 앞서서 설명하였음으로 이하에서는 그 이유를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제1안착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상부케이스(650)에는 높이변경모듈(630), 틸트변경모듈(640)이 배치되어 이 각 모듈의 파손을 방지한다. 다만 후술할 높이변경모듈(630)의 암부(633)는 상부케이스(650)의 외측에 배치된다.
하부케이스(660)에는 회전변경모듈(620)이 배치되어 이 모듈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부케이스(650)에는 제1안착돌출부(652)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660)에는 제2안착돌출부(661)가 형성된다. 제1안착돌출부(652)와 제2안착돌출부(661)는 높이변경모듈(630)이 동작되어 안테나(670)가 접히는 형태로 이동되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안착돌출부(652)와 제2안착돌출부(661)는 각각 제1제어모터(621)와 제3제어모터(641)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어모터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를 활용하여 안테나(6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안착돌출부(661)에는 지지부(68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68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제1안착돌출부(652)는 지지부(68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가 접히는 경우 안테나어셈블리(6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안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상부케이스의 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부케이스(650)의 양측면에는 홈(651)이 형성된다. 상부케이스(650)의 홈(651)은 제1홈(653), 제2홈(654)으로 구성된다. 상부케이스(650)의 홈(651)에는 후술할 높이변경모듈(630)의 암부(633)가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는 틸트변경모듈(640)이 높이변경모듈(630)과 함께 안정적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틸트변경모듈(640)에 높이변경모듈(630)이 함께 안정적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높이변경모듈(630)의 암부(633)가 틸트변경모듈(640)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상부케이스(650)와 동시에 안테나(670)가 장착되는 제3플레이트(642), 제3플레이트(642)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트기어(643)가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632)와 안정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암부(633)는 길이부(634)와 절곡부(635)로 구성된다. 암부(633)의 길이부(634)의 일부는 제1홈(653)에 배치된다. 제2홈(654)은 제1홈(653)과 연결되어 내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홈(654)에는 길이부(634)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635)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650)가 있어도 암부(633)는 제2플레이트(632)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높이변경모듈(630)의 암부(633)는 상부케이스(650)와 제2플레이트(632)에 고정될 수 있어서 틸트변경모듈(640)이 안정적으로 높이변경모듈(6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암부(633)와 상부케이스(650), 제2플레이트(632)의 연결은 볼트, 너트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고정브라켓(610)은 레그(612), 지지플레이트(611)를 포함한다. 레그(612)는 설정된 높이를 갖는다. 지지플레이트(611)에는 회전변경모듈(620)이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레그(612)는 설정된 높이를 갖는 이유는 안테나어셈블리(600)의 안테나(670)의 설정된 크기 때문에 틸트될 때 무빙체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레그(612)는 지지플레이트(6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611)의 하측에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612)에는 고정홈(6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612)가 언폴딩되면 고정홈(613)에 지지판이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레그(612)는 지지판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미도시되어 있지만 레그(612)는 무빙체에 별도의 결합수단 등이 설치되어 무빙체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하부케이스 및 제1플레이트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에서 회전변경모듈, 높이변경모듈, 틸트변경모듈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의 틸트변경모듈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회전변경모듈(620)은 제1제어모터(621), 제1플레이트(622), 회전기어(623), 회전연결기어(624), 회전연결벨트(625)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622)는 설정된 면적을 가지고 형성된다. 제1플레이트(622) 상에는 회전기어(623)가 설치된다. 회전기어(623)는 제1플레이트(622)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플레이트(622) 상에는 회전기어(623)와 이격되어 제1제어모터(621)가 설치된다. 제1제어모터(621)의 샤프트에는 회전연결기어(624)가 설치된다. 회전연결기어(624)와 회전기어(623)는 회전연결밸트(625)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처럼 회전기어(623)와 회전연결기어(624)를 바로 연결하지 않고 회전연결밸트(625)를 통하여 연결한 것은 제1플레이트(622)의 한정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활용하여 앞서서 설명한 제2안착돌출부(661)를 하부케이스(660)에 형성함도 가능하다.
회전변경모듈(620)은 하부케이스(660)에 둘러싸이며 배치된다. 하부케이스(660)는 제1하부케이스(661) 및 제2하부케이스(662)로 구성된다. 제2하부케이스(662)는 고정브라켓(6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케이스(662)는 무빙체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상면)에는 가이드홈(66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664)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하부케이스(662)에는 블럭벽(665)이 설치된다. 블럭벽(665)은 센서신호를 차단한다. 블럭벽(665)은 회전센서(800)의 기준이 된다.
한편, 제1플레이트(622)에는 롤러(900)가 설치된다. 롤러(900)는 제1플레이트(622)에 가이드홈(664)에 배치되며 제1플레이트(622)를 제1하부케이스(662)로부터 지지한다. 그러면서 롤러(900)는 제1제어모터(621)의 동작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622)가 회전기어(623)와 함께 회전 시 회전을 보조한다.
한편, 제1플레이트(622)에 설치된 롤러(900)가 가이드홈(664)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면 그 대응되는 형태에 제1플레이트(622)에 회전센서(800)가 설치된다. 따라서 롤러(900)가 가이드홈(664)에 배치될 때 회전센서(800)도 가이드홈(664)에 배치된다. 회전센서(800)는 일예시적으로 광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일예시적으로 회전센서(800) 일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회전센서(800)는 모듈제어동작부(700)와 연결되어 있다.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제1제어모터(621)를 동작하여 방송위성의 신호를 추적 시 360도로 회전하되 방향을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바꿔가며 회전시킨다. 모듈제어동작부(700)가 이와 같이 제1제어모터(621)를 동작시키는 이유는 제1방향으로만 제어모터(621)가 회전되어 위성 신호를 추적하는 경우 미도시되어 있는 전선들이 계속 꼬여서 파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제1제어모터(621)를 360도만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설명하면,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제1제어모터(621)를 동작시켜 제1방향으로 제1플레이트(622)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롤러(900)는 가이드홈(664)을 따라 제1플레이트(622)를 회전 지지한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622)에 설치된 회전센서(800)도 가이드홈(644)을 따라 회전한다. 제1플레이트(622)와 가이드홈(644)은 롤러(900)에 의하여 갭(GAP)이 형성되어 회전센서(800)의 센서신호를 차단하지 않는다.
제1플레이트(622)가 회전되어 회전센서(800)의 센서신호가 블럭벽(665)에 의하여 차단되면 회전센서(800)는 모듈제어동작부(700)에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위성신호를 추적하려고 제1제어모터(621)를 동작 시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2방향으로 제1플레이트(622)가 회전되어 다시 회전센서(800)의 센서신호가 블럭벽(665)에 의하여 차단되면 모듈제어동작부(700)는 위성신호를 추적 시 제1제어모터(621)를 다시 제1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제1플레이트(622)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전선들이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변경모듈(630)은 제2제어모터(631), 제2플레이트(632), 암부(633)를 포함한다. 제2제어모터(631)는 제1플레이트(622)의 상면의 외곽 일측에 배치된다. 제2제어모터(631)는 제1제어모터(621)와 교차되는 방향을 가지고 설치된다. 즉, 제2제어모터(631)의 샤프트의 회전방향은 제1플레이트(622)를 관통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제어모터(631)는 두 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제2제어모터(631)는 반대방향을 가지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제어모터(631)의 샤프트를 연결한 각은 180도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제어모터(631)의 샤프트에 암부(633)가 설치되기 때문이며, 암부(633)는 양측에서 틸트변경모듈(640)을 지지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암부(633)는 길이부(634)와 절곡부(635)를 포함한다. 암부(633)의 일측은 제2제어모터(63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플레이트(632)와 연결된다. 여기서, 암부(633)의 절곡부(635)는 제2플레이트(632)의 하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제어모터(631)의 샤프트는 회전되므로 암부(633)는 호를 그리며 이동된다. 암부(633)의 이동에 따라 제2플레이트(632)는 호를 그리며 이동된다.
틸트변경모듈(640)은 제3제어모터(641), 제3플레이트(642), 틸트기어(643), 틸트매개기어(644), 틸트연결밸트(645)를 포함한다.
틸트기어(643)는 제2플레이트(6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플레이트(632)는 고정되어 있으나, 틸트기어(643)는 제2플레이트(632) 상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틸트기어(643) 상에는 제3플레이트(642)가 배치된다. 제3플레이트(642)는 틸트기어(64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제2플레이트(632)에는 일측에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3제어모터(641)는 샤프트가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제2플레이트(632)에 설치된다. 즉, 제2플레이트(632)와 제3플레이트(642) 사이에 제2플레이트(632)의 설치홀을 관통한 샤프트가 배치되도록 제3제어모터(641)가 설치된다.
제3제어모터(641)의 샤프트에는 틸트매개기어(644)가 설치된다. 틸트매개기어(644)는 제3제어모터(641)의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틸트매개기어(644)와 틸트기어(643)는 틸트연결밸트(645)를 매개로 연결된다.
제3플레이트(642)는 별도의 브라켓이 설치되어 안테나(6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안테나(670)는 전술 하였듯이 위성방송 신호와 지상파 신호를 모두 수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제1제어모터(621), 제2제어모터(631), 제3제어모터(641)는 모듈제어동작부(700)에 따라 동작된다. 또한, 틸트각도측정부(200)를 통하여 틸트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연산부(100), 위성위치저장부(300), 모듈위치연산부(400), 신호강도확인부(500), 모듈제어동작부(700)는 PCB기판으로 제1플레이트(6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하여 필요한 브라켓, 볼트, 전선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 본 발명을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
100 : 위치연산부 200 : 틸트각도측정부
300 : 위성위치저장부 400 : 모듈위치연산부
500 : 신호강도확인부 600 : 안테나어셈블리
610 : 고정브라켓 611 : 지지플레이트
612 : 레그 613 : 고정홈
620 : 회전변경모듈 621 : 제1제어모터
622 : 제1플레이트 623 : 회전기어
624 : 회전연결기어 625 : 회전연결밸트
630 : 높이변경모듈 631 : 제2제어모터
632 : 제2플레이트 633 : 암부
634 : 길이부 635 : 절곡부
640 : 틸트변경모듈 641 : 제3제어모터
642 : 제3플레이트 643 : 틸트기어
644 : 틸트매개기어 645 : 틸트연결밸트
650 : 상부케이스 651 : (상부케이스의)홈
652 : 제1안착돌출부 653 : (상부케이스의)제1홈
654 : (상부케이스의)제2홈
660 : 하부케이스 661 : 제2안착돌출부
662 : 제1하부케이스 663 : 제2하부케이스
664 : 가이드홈 665 : 블럭벽
670 : 안테나 680 : 지지부
700 : 모듈제어동작부 800 : 회전센서
900 : 롤러 1000 : 베이스기판
1100 : 피딩전극 1101 : 제1피딩전극
1102 : 제2피딩전극 1200 : 패턴전극
1201 : 제1패턴전극 1202 : 제2패턴전극
1203 : 제3패턴전극 1204 : 제4패턴전극
1205 : 제5패턴전극

Claims (13)

  1. 기설정된 개수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용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무빙체의 무빙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위치연산부;
    상기 무빙체에 설치된 안테나어셈블리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틸트된 각도를 연산하는 틸트각도측정부;
    방송위성의 위치좌표인 방송위치좌표가 저장된 위성위치저장부;
    상기 무빙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송위치좌표까지의 벡터인 목표벡터를 연산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회전, 높이 및 틸트각도를 설정하는 모듈위치연산부; 및
    상기 모듈위치연산부의 연산값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며, 틸트시키는 모듈제어동작부
    를 포함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자동 추적 안테나 장치는,
    위성의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강도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강도확인부는 상기 모듈제어동작부가 동작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1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틸트시킬 때마다 상기 위성의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위성 신호의 강도가 증가하다가 감소되는 지점이 있는 경우 역동작 신호를 상기 모듈제어동작부로 출력하여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2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틸트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제어동작부는,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틸트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신호강도확인부에서 감지되는 위성 신호의 강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의 높이를 설정된 각도로 변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는,
    상기 무빙체에 설치될 때 상기 무빙체에 의하여 움직임을 방해받지 않도록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제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는,
    제1제어모터 및 상기 제1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로테이션되는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변경모듈과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제2제어모터 및 상기 제2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호의 형태를 그리며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높이변경모듈과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제3제어모터 및 상기 제3제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틸트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틸트변경모듈
    을 포함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변경모듈은,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제1제어모터와 상기 제1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연결기어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의 둘레와 상기 회전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며 설치되는 회전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변경모듈은,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트기어와 상기 틸트기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테나가 안착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홀에 샤프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3제어모터와 상기 제3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설치되는 틸트매개기어와 상기 틸트매개기어와 상기 틸트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며 설치되는 틸트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변경모듈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제어모터와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제어모터의 샤프트가 설정된 회전을 하면 호를 그리며 이동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암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변경모듈의 외측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높이변경모듈 및 틸트변경모듈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2제어모터가 설치된 외측의 위치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돌출된 제1안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안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돌출부와 제2안착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2제어모터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안착돌출부와 맞닿으며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변경모듈의 외측에는 하부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무빙체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설정된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하부케이스와,
    상기 제1플레이트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제2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이격된 위치에 센서신호를 차단하는 블럭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는,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롤러가 가이드홈에 배치되면 가이드 홈에 배치되며 센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되, 상기 센서신호를 차단하는 블럭벽에 상기 센서신호가 차단되면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센서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제어동작부는,
    상기 회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작시키다 상기 센서신호가 상기 블럭벽에 차단되면 상기 위성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안테나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암부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부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체에 설치된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KR1020180019448A 2018-02-19 2018-02-19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KR10203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48A KR102031250B1 (ko) 2018-02-19 2018-02-19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PCT/KR2018/002232 WO2019160184A1 (ko) 2018-02-19 2018-02-23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48A KR102031250B1 (ko) 2018-02-19 2018-02-19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92A true KR20190099692A (ko) 2019-08-28
KR102031250B1 KR102031250B1 (ko) 2019-10-11

Family

ID=6761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448A KR102031250B1 (ko) 2018-02-19 2018-02-19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1250B1 (ko)
WO (1) WO20191601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76B1 (ko) * 2020-09-22 2022-01-07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편파 제어 장치
WO2022138998A1 (ko)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팔콘 멀티캐스팅 및 멀티 센싱 기반 긴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스마트 위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20095476A (ko) * 2020-12-30 2022-07-07 우리항행기술(주) 이동형 위성추적시스템 및 이동형 위성추적방법
KR20230109001A (ko) * 2022-01-12 2023-07-19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태양광 패널을 이용해 전력 공급 가능한 위성 안테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6818B (zh) * 2020-04-14 2022-01-21 深圳市威富通讯技术有限公司 天线对准目标位置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220089008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팔콘 멀티캐스팅 및 인공지능 기반 음성 인식 오토 트래킹이 가능한 스마트 위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20089062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팔콘 음성 및 소리 인식을 포함하는 멀티 센싱 기반 긴급 상황 감지 및 구조 신호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 위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
CN114430507B (zh) * 2021-12-27 2024-02-23 亚太卫星宽带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卫星间链路基带收发器
CN115149265B (zh) * 2022-09-06 2023-02-07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导航的信号增强天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038A (ja) * 1998-02-17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方位検出装置
JP2006094353A (ja) * 2004-09-27 2006-04-06 Japan Radio Co Ltd アンテナ装置
KR100857536B1 (ko) * 2007-04-19 2008-09-08 주식회사 이큐브테크놀로지 이동형 위성추적안테나시스템 및 위성추적 방법
KR20160004839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팔콘 위성 항법 장치를 이용하는 멀티 위성 신호 추적이 가능한 이동 차량용 위성방송수신시스템
KR20160036441A (ko)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팔콘 모바일 단말의 위성항법정보 및 자세정보를 이용하는 위성방송수신장치
KR20170073118A (ko) * 2015-12-18 2017-06-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방송위성 추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8831B1 (ko) * 2016-05-19 2017-10-20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 통신 안테나의 페데스탈 장치
KR101802658B1 (ko) * 2016-06-30 2017-11-29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저회전중심을 구비하는 페데스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34B1 (ko) * 2008-01-24 2010-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벡터의 연속 회전이 가능한 피치-롤 기반의 안테나추적 짐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038A (ja) * 1998-02-17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方位検出装置
JP2006094353A (ja) * 2004-09-27 2006-04-06 Japan Radio Co Ltd アンテナ装置
KR100857536B1 (ko) * 2007-04-19 2008-09-08 주식회사 이큐브테크놀로지 이동형 위성추적안테나시스템 및 위성추적 방법
KR20160004839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팔콘 위성 항법 장치를 이용하는 멀티 위성 신호 추적이 가능한 이동 차량용 위성방송수신시스템
KR20160036441A (ko)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팔콘 모바일 단말의 위성항법정보 및 자세정보를 이용하는 위성방송수신장치
KR20170073118A (ko) * 2015-12-18 2017-06-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방송위성 추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8831B1 (ko) * 2016-05-19 2017-10-20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 통신 안테나의 페데스탈 장치
KR101802658B1 (ko) * 2016-06-30 2017-11-29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저회전중심을 구비하는 페데스탈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18-0002472"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위성 추적 장치가 수행하는 위성 추적 방법(SATELLITE TRACKING METHOD FOR PERFORMING SATELLITE TRACKING APPARATUS USING HORIZONTALITY MAINTENANCE DEVICE)" (2018.01.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176920" "차량용 위성안테나의 스큐각도 자동조절장치(Skew angle auto controller of satellite antennas for vehicle) (2008.08.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769135" "인공위성용 안테나(Antenna for satellite) (2017.08.10. 공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76B1 (ko) * 2020-09-22 2022-01-07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편파 제어 장치
WO2022138998A1 (ko)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팔콘 멀티캐스팅 및 멀티 센싱 기반 긴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스마트 위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20095476A (ko) * 2020-12-30 2022-07-07 우리항행기술(주) 이동형 위성추적시스템 및 이동형 위성추적방법
KR20230109001A (ko) * 2022-01-12 2023-07-19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태양광 패널을 이용해 전력 공급 가능한 위성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184A1 (ko) 2019-08-22
KR102031250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50B1 (ko)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US60161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iming an antenna to a distant location
KR101183482B1 (ko) 이동 타겟을 추적하기 위한 페이즈드 어레이 평면형 안테나및 추적방법
CN103155283B (zh) 具有运动平台和背驮式组件的三轴座架
US11258172B2 (en) Multi-beam shaped reflector antenna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satellites
EP1936398B1 (en) Satellite beacon for faster sky-search and pointing error identification
US8259020B1 (en)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
US8890757B1 (en)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
US8648748B2 (en) Effective marine stabilized antenna system
CN103022696A (zh) 自动定向天线系统、天线的自动定向方法及装置
KR101824220B1 (ko) 안테나 정렬 가이드 장치
US10320074B2 (en) Satellite broadcast reception antenna,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identification of broadcast satellites in geostationary orbit
US8144067B2 (en) Combination planar and parabolic reflector antenna to access satellite
US7221328B2 (en) Radiowave lens antenna device
JP2006333068A (ja) 移動体端末用アンテナ追尾装置および移動体端末用アンテナ追尾方法
JP2003522434A (ja) アンテナを送信体に指向させる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アンテナ
KR20160004839A (ko) 위성 항법 장치를 이용하는 멀티 위성 신호 추적이 가능한 이동 차량용 위성방송수신시스템
US10177434B1 (en) Parabolic reflector combined with phased array feed for long range communication
KR102332977B1 (ko) 짐벌 구조를 이용한 해양용 위성방송 안테나 및 시스템
US20140191922A1 (en) Antenna apparatus
JPH11231038A (ja) 方位検出装置
KR100822705B1 (ko) 위상비교 방식의 방향 탐지 안테나
JP4915216B2 (ja) アンテナ装着用置き台
JP2011082648A (ja) パラボラアンテナおよびパラボラアンテナ方向照準装置
JP7057001B1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