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13B1 -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 Google Patents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413B1
KR101174413B1 KR1020100020366A KR20100020366A KR101174413B1 KR 101174413 B1 KR101174413 B1 KR 101174413B1 KR 1020100020366 A KR1020100020366 A KR 1020100020366A KR 20100020366 A KR20100020366 A KR 20100020366A KR 101174413 B1 KR101174413 B1 KR 10117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rainage
road
easy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1394A (en
Inventor
하성민
Original Assignee
지티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건설(주) filed Critical 지티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02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13B1/en
Publication of KR2011010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 및 구분선 상에 형성되고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와 인도 사이의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경계선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진동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중앙선 및 구분선 내에 일체로 요철부를 형성할 경우 별도의 도로 표지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을 형성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홈 내에 고이는 물을 용이하게 집수정 측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과,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of the road and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the road lin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unning vehicle from deviating outside the boundary line through vibration, the center line And if the uneve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ividing lin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road marking, etc., so that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groove forming the uneven portion by forming the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and the cross drainage groove can easily drain to the sump well side. It relates to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road marked with a center line, so that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in the road unevenness to induce a safe driving of the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by a arc, a longitudin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a transverse drain groove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 groove.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선 및 구분선 상에 형성되고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와 인도 사이의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경계선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진동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중앙선 및 구분선 내에 일체로 요철부를 형성할 경우 별도의 도로 표지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을 형성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홈 내에 고이는 물을 용이하게 집수정 측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nd more particularly,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of the road, and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the road lin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Vibration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boundary lin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neve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road marking, and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the vertical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It relates to a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to allow water to drain easily into the sump well side.

통상적으로 차선은 크게 도로의 황색으로 표시되며 좌, 우측을 구분하는 중앙선과 백색으로 표시되며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를 구분하는 구분선으로 이루어지며며, 이러한 중앙선에는 황색실선, 황색점선, 이중황색실선, 두개의 이중황색실선 등이 있고 차선에는 백색실선, 백색점선 등이 있다.Normally, the lanes are largely indicated by the yellow of the road, and the center line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white line and the dividing line separating the roads travel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center line includes the yellow solid line, the yellow dotted line, and the double yellow solid line. There are two double yellow solid lines, and the lanes are white solid lines and white dotted lines.

한편, 차선이 표시되는 차로와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를 구분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인도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견선이 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버스만 통행할 수 있도록 다른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버스전용차선 등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oad lanes are used to distinguish lanes marked with lanes and sidewalks to prevent people from traveling to the side of the sidewalk, and other vehicles are restricted from entering the bus only. Bus lanes are used.

그런데, 이러한 경계선의 경우 도로를 도색하는 것 만으로는 운전자의 주위환기가 어려운바, 표지병을 따로 설치하거나, 경계선 외측에 별도의 요철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boundary line, the surrounding ventilation of the driver is difficult only by painting the road, and thus, the surrounding area of the driver is ventilated by installing a cover bottle separately or forming a separate uneven portion outside the boundary line.

이러나 이와 같은 표지병 설치나 별도의 요철부 형성은 경계선 형성 외에 별도의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이중으로 지출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요철부 형성의 경우 빗물 등이 배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such a cover bottle or the formation of a separate concave-convex part requires a separate work in addition to the boundary line formation, costs are doubled and difficult to maintain,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ncave-convex part, rainwater does not drain.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중앙선 및 구분선 상에 형성되고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와 인도 사이의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경계선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진동을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of the road, and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the road lin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to prevent the running vehicle out of the boundary line through vibration. It is to provid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선 및 구분선 내에 일체로 요철부를 형성할 경우 별도의 도로 표지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road marking when the uneve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sion 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을 형성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홈 내에 고이는 물을 용이하게 집수정 측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so that water, which is formed in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cross drainage groove, can easily drain to the water collecting well sid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과,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n a road marked with a center line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 uneven portion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and the uneven portion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easy drainage lane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formed through and a transverse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nd drain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edge of the uneven portion.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요철부는 도로의 중앙선으로부터 100mm 내지 30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uneve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100mm to 300mm away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ad,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f grooves and project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the projection I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 is formed to be 5mm to 30mm depth from the groove.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 mm to 40 mm but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and the end drain groov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roove. ,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at intervals of 20m to 100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mp well so as to be drainabl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 상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과,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on a road surface where a center line is marked to guide the safe driving of a vehicle, wherein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center line, and It is also achieved by providing an easy drainage lane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to be formed, and a transverse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요철부는 전술한 중앙선 상에 위치되되, 하나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두개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의 정중앙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described above, and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one side edge of the road center line represented by one line or the center side of the road center line represented by two lines. do.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edge of the uneven portion.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is made of grooves and protrus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 mm to 300 mm,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s are 5 mm to 5 mm from the groove. It is to be formed with a depth of 30mm.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ven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 mm to 40 mm but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and the end drain groov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roove.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at intervals of 20m to 100m and the other end may be drainably connected to the sump well sid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도로와 인도 사이에 표시된 노견선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와,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d line marked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and the road surface irregularities inducing a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lternate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ad line It is also achieved by providing an easy drainage lane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tion, a longitudin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and a transverse drain groove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is to be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side edge of the uneven portion.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요철부는 상기 노견선으로부터 상기 인도측 방향으로 100mm 내지 30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spaced from 100mm to 300mm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line from the shoulder line,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made of grooves and protrus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Th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 is formed to be 5mm to 30mm deep from the groove.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is formed to a depth of 5mm to 40mm but the same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end drain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at intervals of 20m to 100m,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drainably connected to the sump well sid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차로와 차로 사이에 표시된 구분선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 상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과,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convex-concave portion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dividing line in a road surface concave and formed on a dividing line displayed between the lane and the lane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It is also achieved by providing an easy drainage lane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formed through the portion, and a transverse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구분선의 내측 또는 양단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uneven portion, the transverse drain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position of the inner side or both ends of the dividing lin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nd drain groove. It shall be.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요철부는 실선으로 형성된 구분선 상에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되, 구분선이 실선이 아닌 점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점선과 점선 사이의 도로상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is made of grooves and project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on the dividing line formed of a solid line, the projections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s are It is formed to a depth of 5mm to 30mm from the groove, if the dividing line is made of a dotted line rather than a solid line is to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n the road between the dotted line and the dotted line.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is formed to a depth of 5mm to 40mm but the same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end drain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at intervals of 20m to 100m,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drainably connected to the sump well sid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에 따르면 첫째, 도로의 중앙선 및 구분선 상에 형성되고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와 인도 사이의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경계선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진동을 통해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unevenness is formed o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of the roa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oad line between the center line and the road and sidewalks of the road. An additional por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the driving vehicle from moving out of the boundary line through vibration.

둘째, 중앙선 및 구분선 내에 일체로 요철부를 형성할 경우 별도의 도로 표지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road markings when the uneve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셋째,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을 형성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홈 내에 고이는 물을 용이하게 집수정 측으로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drained to the sump side of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groove forming the uneven portion by forming the vertical drain groove and the cross drain gro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다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다른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a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plan view of the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other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lan view of easy lane drainage la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다른 평면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plan view of lane drainage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lane drainage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easy lane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other plan view of the lane drainage easy to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중앙선(100)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중앙선(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0)와, 요철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20)과, 종단배수홈(20)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30)을 포함한다.In the road unevenness formed on the road where the center line 100 is displayed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e uneven part in which the groove 10a and the protrusion 10b are alternate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100 ( 10) and a vertical drainage groove 20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10 and a transverse drainage groove 30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20.

여기서 요철부(10)는 중앙선(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바퀴에 홈(10a)과 돌기(10b)로 인해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Here, the uneven portion 10 is a groove 10a and the projection (10b) is formed alternately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center line 100, due to the groove (10a) and the projection (10b) to the wheel of the vehicle driving By transmitting vibrations, the driver's surroundings are ventilated to induce safe driving.

이러한 요철부(10)는 도로의 중앙선(100)으로부터 100mm 내지 30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10a)과 돌기(10b)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돌기(10b)는 도로 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홈(10a)은 홈(10a)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The uneven portion 10 is formed in a position spaced 100mm to 300mm spaced from the center line 100 of the road, but consists of grooves 10a and protrusions 10b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wherein the projections 10b )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surface and the groove 10a is formed to be 5mm to 30mm deep from the groove 10a.

이때, 전술한 요철부(10) 중, 홈(10a)과 돌기(10b)가 연결되는 경계부분은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행하는 차량에 효과적인 진동을 전달해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수직절곡된 형상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주행하는 차량 바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다소 라운드진 형상으로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groove 10a and the protrusion 10b connected among the above-mentioned uneven parts 10 may be vertically bent to transmit an effective vibration to the driving vehicle to ventilate the driver's surroundings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processed in the shape, but may be processed in a somewhat rounded shape so as not to overdo the driving wheel of the vehicle.

전술한 요철부(10)는 중앙선(100)이 실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실선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선(100)이 점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중앙선(100)이 끊어지는 구역에서는 형성됨 없이 중앙선(100)이 표시된 구역 내에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선(100)이 표시되지 않은 구역에서도 실선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끊어짐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10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solid line when the center line 100 is formed in a solid line, and when the center line 100 is formed in a dotted line, it is not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center line 100 is broken. The center line 100 may be formed only within the marked area, and may be formed without disconnection as in the case of the solid line even in the area where the center line 100 is not displayed.

또한 전술한 요철부(10) 상에는 이 요철부(10)를 관통하는 종단배수홈(20)이 형성되는데, 이 종단배수홈(20)은 요철부(10)의 홈(10a) 내에 고인 물을 배수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종단배수홈(20)은 홈(10a)과 연통되도록 연결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10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penetrat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10, which is the end drainage groove 20 is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groove (10a)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10. The end drain groove 2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groove (10a) for this purpose.

따라서 전술한 종단배수홈(20)은 홈(10a) 내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홈(10a)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그 폭은 20mm 내지 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nd drain groove 20 is formed to have a depth of 5 mm to 40 mm so as to easily drain the water in the groove 10 a, but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10 a and the width thereof is 20 mm to 20 mm. It is preferably formed in 50 mm.

또한 전술한 종단배수홈(20)은 요철부(10)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홈(10a)과 돌기(10b)를 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nd drain groove 20 is selectively formed so as to cross the groove 10a and the projection 10b in a straight direction at any one of a central side or one edge of the uneven portion 10.

한편, 전술한 종단배수홈(20)에는 횡단배수홈(30)이 연결되는데, 이 횡단배수홈(30)은 종단배수홈(20)으로 배수되는 홈(10a) 내의 물을 집수정(400)으로 배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end drain groove 20 is connected to the cross drain groove 30, the cross drain groove 30 is a water collecting well 400 in the groove 10a drained to the end drain groove 20 It is to serve as a drain.

이를 위해 횡단배수홈(30)은 전술한 종단배수홈(20)과 마찬가지로 5mm 내지 40mm 깊이와 20mm 내지 50mm의 폭으로 형성되되 홈(10a)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횡단배수홈(30)은 그 일단이 종단배수홈(20)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400)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된다.For this purpose,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30 is formed to have a depth of 5 mm to 40 mm and a width of 20 mm to 50 mm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and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10 a,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 30)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20 at intervals of 20m to 100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mp well 400 in a drainable manner.

이때 전술한 횡단배수홈(30)의 길이는 도로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데, 즉 왕복 2차선 내지 4차선인 경우보다는 왕복 6차선 내지 8차선인 경우 집수정(400)까지의 거리를 감안해 더욱 길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above-mentioned cross drainage groove 30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ad, that is, in the case of six to eight lanes of round trips rather than two to four lanes of round trips, considering the distance to the sump 400. It is formed long.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전체적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중앙선(100)으로부터 200mm 이격된 거리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0)를 형성하는데, 이때 홈(10a)의 깊이는 30mm, 홈(10a)과 돌기(10b)의 폭은 400mm, 홈(10a)과 홈(10a)의 거리는 120mm가 되도록 한다.First, the groove 10a and the protrusion 10b are formed at a distance 200mm away from the center line 100 to form an uneven portion 10 in which the groove 10a has a depth of 30mm and the groove 10a.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0b is 40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ove 10 a and the groove 10 a is 120 mm.

그런 다음, 요철부(10)의 정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종단배수홈(20)을 형성하는데, 이때 종단배수홈(20)의 깊이는 전술한 홈(10a)의 깊이와 같은 30mm, 폭은 40mm가 되도록한다.Then, the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is formed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even portion 10, wherein the depth of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20 is 30mm, the same width as the depth of the groove (10a), the width is 40mm. do.

그런 다음, 종단배수홈(20)의 50m 간격마다 집수정(400)에 이르는 횡단배수홈(30)을 형성하는데, 그 규격은 전술한 종단배수홈(2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Then, the cross-drainage groove 30 to reach the sump well 400 at intervals of 50m of the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the standard is to be formed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nd drainage groove 20.

이와 같이 중앙선(100) 측에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주행중인 차량에 진동을 가해 운전자가 중앙선(100)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로 표지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빗물 등이 신속하게 배수됨에 따라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n the center line 100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vehicle to prevent the driver from invading the center line 100 and the roa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label or the like, and as rainwater is quickly drained, traffic accidents can be prevented.

도 5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5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다른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Figure 5a is a plan view of the easy road drain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nother plan view of the easy-drain lane unevenn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members as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중앙선(100)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100) 상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0)와, 상기 요철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20)과, 상기 종단배수홈(20)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30)을 포함한다.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road on which the centerline 100 is marked, and thus the grooves 10a on the centerline 100 in the road unevenness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 And projections 10b are alternately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10, a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formed to penetrate the uneven portion 10, and a transverse drainage connected with the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Groove 3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요철부(10)가 중앙선(100)과 이격되어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두개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100)의 정중앙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formed by the uneven portion 10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100, one side edge of the road center line 100 represented by a single line Or the only difference is that it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road centerline 100 represented by two lines, each configuration and overall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lane surface roughness easy to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milar descriptions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of the specification.

도 6a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6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Figure 6a is a plan view of the easy lane drainage l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lan view of the easy lane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do. Here,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members as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표시된 노견선(200)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노견선(2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0)와, 상기 요철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20)와, 상기 종단배수홈(20)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30)을 포함한다.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d line 200 displayed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and the road unevenness in the road unevenness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Grooves 10a and protrusions 10b alternate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recesses 10, vertical drainage grooves 20 formed through the recessed and recessed portions 10, and the terminal drainage It includes a cross drain groove 30 is connected to the groove (2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요철부(10)가 중앙선(100)이 아닌 도로와 인도를 구분짓는 노견선(200) 일측에 인도측 방향으로 100mm 내지 300mm 이격되어 형성된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neven portion 10 is in the side of the side of the road line 200 to distinguish the road and sidewalks, not the center line 100, the side of the delivery side Only 100mm to 300mm spaced apart from the only difference is that each configuration and overall ac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asy lane drainage for easy drain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so as to simplify the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도 7a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7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Figure 7a is a plan view of the easy lane drainage l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plan view of the easy lane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do. Here,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members as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차로와 차로 사이에 표시된 구분선(300)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300) 상에 홈(10a)과 돌기(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0)와, 상기 요철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20)과, 상기 종단배수홈(20)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30)을 포함한다.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dividing line 300 displayed between the lane and the lane in order to induce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e uneven portion 10 in which the groove 10a and the protrusion 10b are alternately formed, the terminal drain groove 20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10, the terminal drain groove 20 and It includes a cross drain groove 30 is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은 요철부(10)가 차로와 차로 사이에 표시된 구분선(300) 상에 형성되고, 종단배수홈(20)은 이 요철부(10) 일측 가장자리에 홈(10a)들과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횡단 배수홈은 구분선(300)의 내측 또는 양단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과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asy lane drai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uneven portion 10 is formed on the dividing line 300 displayed between the lane and the lane, the terminal drain groove 20 The concave-convex portion 10 is forme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grooves 10a at one side edge, and the cross-drainage grooves are on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re selectively formed at any position inside or at both ends of the dividing line 300. The configuration and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lane unevenness for easy drainag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of the specification.

다만, 전술한 요철부(10)는 구분선(300)이 실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실선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분선(300)이 점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구분선(300)이 끊어지는 구역에서 형성됨 없이 구분선(300)이 표시된 구역 내에서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분선(300)이 표시되지 않은 구역에서도 실선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끊어짐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분선(300)이 점선이더라도 요철부는(10)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portion 10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solid line when the dividing line 300 is formed in a solid line, and when the dividing line 300 is formed in a dotted line, in the region where the dividing line 300 is broken. Without forming the dividing line 300 may be formed only in the region shown, and may be formed without breaking as in the case where the dividing line 300 is not shown as a solid line. That is, even if the dividing line 300 is a dotted line, the uneven portion 10 may be continuously formed without break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요철부(10), 종단배수홈(20) 및 횡단배수홈(30)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noted that the uneven portion 10, the longitudinal drainage groove 20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30 can be selectively constru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10 : 요철부 10a : 홈
10b : 돌기 20 : 종단배수홈
30 : 횡단배수홈 100 : 중앙선
200 : 노견선 300 : 구분선
400 : 집수정
10: uneven portion 10a: groove
10b: protrusion 20: vertical drain groove
30: crossing drainage groove 100: center line
200: route ship 300: division line
400: sump

Claims (17)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 및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In the road unevenness is formed on the road marked with a center line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An uneven portion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from the center line;
A vertic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And
Lane drain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rain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is easy to drain la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side edge of the uneven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도로의 중앙선으로부터 100mm 내지 30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100mm to 300mm away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ad, the uneven portion is made of grooves and project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the projection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 Easy drainage lane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epth of 5mm to 30mm from the groov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mm to 40mm,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the end 20m to 100m spaced drainage groove and the other end is easy lan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is connected to the sump side.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 상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 및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In the road unevenness is formed on the road marked with a center line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Uneven parts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center line;
A vertic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And
Lane drain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rain groov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중앙선 상에 위치되되, 하나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두개의 줄로 표시된 도로 중앙선의 정중앙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uneven part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the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one side edge of the road center line represented by one line or the center of the road center line represented by two lines.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of claim 6,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is easy to drain la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side edge of the uneven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of claim 7,
The uneven portion is made of grooves and protrus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th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ad and the groove is formed in a depth of 5mm to 30mm from the groove Easy lane unevennes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mm to 40mm,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the end 20m to 100m spaced drainage groove and the other end is easy lan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is connected to the sump side.
도로와 인도 사이에 표시된 노견선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노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 및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In the road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d line marked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An uneven portion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from the shoulder line;
A vertic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And
Lane drain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rain groov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정중앙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of claim 10,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is easy to drain la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center or one side edge of the uneven por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노견선으로부터 상기 인도측 방향으로 100mm 내지 30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도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of claim 11,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100mm to 300mm spaced apart from the shoulder line,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f grooves and project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the projection is the same height as the road The grooves are easy to drain lan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epth of 5mm to 30mm from the groov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mm to 40mm,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the end 20m to 100m spaced drainage groove and the other end is easy lan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is connected to the sump side.
차로와 차로 사이에 표시된 구분선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노면요철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 상에 홈과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종단배수홈; 및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되는 횡단배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In the road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dividing line displayed between the lane and the lane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An uneven portion in which groove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dividing line;
A vertical drain groove form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And
Lane drain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 drainage groov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rain groov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요철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상기 종단배수홈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구분선의 내측 또는 양단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uneven portion,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easily drain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formed at any position of the inner side or both ends of the dividing lin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One lane road bumps.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실선으로 형성된 구분선 상에 100mm 내지 300mm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형성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차로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홈으로부터 5mm 내지 30mm 깊이로 형성되되, 구분선이 실선이 아닌 점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점선과 점선 사이의 도로상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uneven part is formed of grooves and protrusions alternately formed at intervals of 100mm to 300mm on a dividing line formed of a solid line, the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ane and the grooves are formed 5mm to 30mm deep from the grooves. When the dividing line is made of a dotted line instead of a solid line, the road surface roughness for easy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oad between the dotted line and the dotted line in the same shap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종단배수홈 및 횡단배수홈은 5mm 내지 40mm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종단배수홈은 상기 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횡단배수홈은 그 일단이 상기 종단배수홈과 20m 내지 100m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 측에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are formed to have a depth of 5mm to 40mm,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the terminal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groove, one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roove is the end 20m to 100m spaced drainage groove and the other end is easy lane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is connected to the sump side.
KR1020100020366A 2010-03-08 2010-03-08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KR101174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66A KR101174413B1 (en) 2010-03-08 2010-03-08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66A KR101174413B1 (en) 2010-03-08 2010-03-08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94A KR20110101394A (en) 2011-09-16
KR101174413B1 true KR101174413B1 (en) 2012-08-16

Family

ID=4495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66A KR101174413B1 (en) 2010-03-08 2010-03-08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en)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Road surface irregularities
US11566411B2 (en) 2021-05-21 2023-01-31 Alexander B. Schorstein Storm water and traffic collector box culve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2058B (en) * 2013-08-16 2016-09-2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Drainage asphalt pavement reticle structure
KR102088463B1 (en)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Structure traffic lane with improved function
US11334089B1 (en) 2019-07-26 2022-05-17 Jeffrey W. Bryce Infrastructure marker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179221B1 (en)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Construction method of driveway boundary structure and driveway boundary structure
KR102179225B1 (en)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Construction method of shoulder uneven structure and shoulder uneven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90B1 (en) 2006-11-29 2007-04-13 우경건설(주)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rumble strips on ro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90B1 (en) 2006-11-29 2007-04-13 우경건설(주)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rumble strips on ro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en)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Road surface irregularities
US11566411B2 (en) 2021-05-21 2023-01-31 Alexander B. Schorstein Storm water and traffic collector box culv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94A (en)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413B1 (en) Well-drained rumble strip for traffic lane
KR101078600B1 (en) Method for forming a non-slip groove on a road
CN101424065A (en) Road surface antiskid groove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condition of the road surface
KR100989641B1 (en) Groove
KR100971036B1 (en) Traffic lane having prominence and depression
JP3944518B2 (en) Drainage structure of road using boundary block
KR100832110B1 (en) Road structure with an engraved lane
KR101174696B1 (en) Crosswalk for blind person
KR101162579B1 (en) Block for paved road
CA2842448C (en) Load-bearing pav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6971683B2 (en) Concrete member
KR100830042B1 (en) Improved tread wear indicator
JP6614655B2 (en) A new road formation method with a bicycle lane using a free-gradient gutter
KR10217922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driveway boundary structure and driveway boundary structure
WO2017203326A1 (en) Pedestrian subway
KR200416781Y1 (en) A structure of the road where the discrimination superior of the lane
KR20100012753U (en) Lane disconne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concrete product
KR20110117495A (en) Curb having a drain hole
KR200224527Y1 (en) Kerb for warning a crash and absorbing shock
KR101130852B1 (en) An exclusive bus lane with rasied trackage
JP2018044380A (en) Curb stone, boundary block, and road structure
RU2520210C2 (en) Safe automobile road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17922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houlder uneven structure and shoulder uneven structure
JP3144380U (en) Gutter block
RU2519235C2 (en) Safe motor road and method of its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