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185B1 -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185B1
KR101174185B1 KR1020090024760A KR20090024760A KR101174185B1 KR 101174185 B1 KR101174185 B1 KR 101174185B1 KR 1020090024760 A KR1020090024760 A KR 1020090024760A KR 20090024760 A KR20090024760 A KR 20090024760A KR 101174185 B1 KR101174185 B1 KR 10117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ixture
mold
och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682A (ko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09002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1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장재 제조방법은, 중량%로 PLA(Poly Lactic Acid)4%, 에멀전수지4%, 우레탄 3%~5% 실리콘 4%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견운모4%, 맥반석 8%, 황토4~6%, 알루미나8%, 질석8%, 석화4%, 천연옥4%, 백황토4%, 슬래그7%, 니큼0.3%, 폴리카본0.3%, 소포제0.4%, 계분산성수지3%, 규사40% 와 함께 혼합교반기에 투입하여 2~3일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숙성시키는 혼합숙성단계; 상기 혼합숙성단계 이후에, 준비된 금형틀에 천연소재 육각 망사를 깔고 혼합숙성한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고 기 준비된 참숯 및 목화석을 1.5센티로 절개하여 금형틀 내 일정한 디자인으로 배열하고, 상기 혼합물과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을 금형틀 내에서 20~40분 건조 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 끝까지 부어 윗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한 뒤, 1000도에서 구운 황토볼, 세라믹볼, 녹나무, 자석가루, 목화석, 황토, 인공진주, 자수정, 흙, 백수정, 석화, 및 조개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혼합물과 참숯 및 목화석 위에 배열하는 성형단계; 피라미드 구조로 설계된 건조가마에서 30~300도 사이에서 24시간동안 구워내는 소성단계; 및 상기 소성단계에서 생성된 제품을 자동 연마기에서 평면을 1차 연마하고, 자동 연마기에서 2차로 모서리를 곡면지도록 연마한 뒤, 상기 건조가마에서 3일간 건조한 후, 연마건조 처리된 제품을 자동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하고, 은분과 세라믹이 혼합된 코팅층을 상기 연마된 평면의 표면에 형성하고, 자연풍을 통해 2시간 건조하게 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또한 탁월하며 100% 천연무공해 제품으로써 친환경 건축 내장제 및 침구 제품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고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에 들어갔을 때 각종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새집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다.
건축용 내장재, 참숯

Description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재 또는 벽체에 내장재로 사용되거나 보료 또는 침대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새집 증후군이라는 새로운 병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새집 증후군이란 신축 주택 입주자들이 두통 알레르기 피부염 등 각종 질환에 시달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어 왔다 이것의 원인으로는 주로 포름알데히드나 미세 먼지 플루엔 등의 물질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벽돌 판넬 및 보드재 등 건축용 내장재는 단순히 시멘트나 조적조의 몰탈, 미장면 등의 표면을 가리기위한 수단이나 단열 또는 실내 장식의 효과를 부여할 목적으로 합성수지계, 무기질계, 목질계 등의 소재로 된 내장재 를 사용하여 건축의 내부마감재로 사용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새집 증후군 등이 이슈화 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천연의 소재가 선호되고 이에 상응하여 인체 친화적이고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는 내장재 등의 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맥반석 황토 세라믹 숯 등을 응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제품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그 가공성이나 생산의 난이성으로 제품가격과 시공비가 비교적 고가에 형성되어 일반 수요자가 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황토는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다. 이 탄산칼슘에 의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는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등이 들어 있어서 이들 물질이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을 받아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미녹색 등의 색깔을 나타낸다. 황토는 분해력 자장력 흡수력 투명성 생명성 그리고 그 속에 녹아있는 엄청난 약성까지 그 효능을 우리가 쉽게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이며 황토에서 내뿜는 원적외선은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예부터 황토는 그 자체로 건축자재이며 응급 시에는 치료용으로까지 다양하게 이용되었고, 황토를 원료로 한 원적외선 세라믹스 건축재는 습도조절 항균 및 방충 공기정화 탈취 보온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탄으로는 대개 참숯 혹은 목탄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숯은 다공성 물질 로서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흡착력이 매우 크며 좋은 기를 방사한다고 알려져 옛날부터 약품이나 식품의 땔감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강한 흡착작용을 이용해 제습제 탈취제, 제독제로 사용되어 왔다. 참나무 숯은 참나무를 고열에서 일정 시간 이상 구워 만든 것으로서 강력한 환원작용과 에너지 상승작용을 하여 각종 공해물질을 걸러서 정화하고 인체의 항균성을 향상시키며, 수맥 전자파 등의 차단효과가 있고, 피부염, 당뇨병, 간장병, 암 등에 폭넓은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대나무 숯은 넓은 표면적을 갖고 있으며 탈취 여과 및 정화기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음이온을 발생시켜 심신 안정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온열효과를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수맥 및 유해 전자파를 차단시켜 주며 암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PLA 천연 고분자물질로 본질적으로 생분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 다당류계, 키틴계의 물질을 의미하며 기존의 플라스틱은 쉽게 산화되거나 분해되지 않는 합성소재로 내구성은 우월하나 매립시 영구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소각시 대기오염과 소각재가 남아 오염의 원인이 되나 PLA가 함유되는 경우 합성수지가 들어가지 않아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 건축자재로의 효용성이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황토, 참숯, PLA 등을 원료로서 첨가하여 친환경적인 효능을 갖게 하면서도 제조성과 내구성 등이 뛰어난 건축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장재 제조방법은,
중량%로 PLA(Poly Lactic Acid)4%, 에멀전수지4%, 우레탄 3%~5% 실리콘 4%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견운모4%, 맥반석 8%, 황토4~6%, 알루미나8%, 질석8%, 석화4%, 천연옥4%, 백황토4%, 슬래그7%, 니큼0.3%, 폴리카본0.3%, 소포제0.4%, 계분산성수지3%, 규사40% 와 함께 혼합교반기에 투입하여 2~3일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숙성시키는 혼합숙성단계;
상기 혼합숙성단계 이후에, 준비된 금형틀에 천연소재 육각 망사를 깔고 혼합숙성한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고 기 준비된 참숯 및 목화석을 1.5센티로 절개하여 금형틀 내 일정한 디자인으로 배열하고, 상기 혼합물과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을 금형틀 내에서 20~40분 건조 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 끝까지 부어 윗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한 뒤, 1000도에서 구운 황토볼, 세라믹볼, 녹나무, 자석가루, 목화석, 황토, 인공진주, 자수정, 흙, 백수정, 석화, 및 조개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혼합물과 참숯 및 목화석 위에 배열하는 성형단계;
피라미드 구조로 설계된 건조가마에서 30~300도 사이에서 24시간동안 구워내는 소성단계; 및
상기 소성단계에서 생성된 제품을 자동 연마기에서 평면을 1차 연마하고, 자동 연마기에서 2차로 모서리를 곡면지도록 연마한 뒤, 상기 건조가마에서 3일간 건조한 후, 연마건조 처리된 제품을 자동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하고, 은분과 세라믹이 혼합된 코팅층을 상기 연마된 평면의 표면에 형성하고, 자연풍을 통해 2시간 건조하게 되는 마감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또한 탁월하며 100% 천연무공해 제품으로써 친환경 건축 내장제 및 침구 제품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고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에 들어갔을 때 각종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새집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크게 4가지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친환경적 내장재를 형성하기 위한 혼합숙성단계로 상기 혼합숙성단계에서는 중량%로 PLA(Poly Lactic Acid)4%, 에멀전수지4%, 우레탄 3%~5% 실리콘 4%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견운모4%, 맥반석 8%, 황토4~6%, 알루미나8%, 질석8%, 석화4%, 천연옥4%, 백황토4%, 슬래그7%, 니큼0.3%, 폴리카본0.3%, 소포제0.4%, 계분산성수지3%, 규사40% 와 함께 혼합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숙성한다. 상기 혼합숙성시 혼합숙성기간은 2~3일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숙성단계 후에 내장재의 기본틀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을 하게 되는 데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숙성 후 준비된 금형틀에 천연소재 육각 망사를 깔고 혼합숙성한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고 참숯 및 목화석을 준비한다.
상기 참숯 및 목화석은 1.5센티로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을 분말형태로 하는 것보다 통숯 형태로 혼합하는 것이 흡착력에 있어서 탁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개된 참숯 및 목화석을 금형틀 내 일정한 디자인으로 배열한다.
상기 혼합물과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을 금형틀 내에서 20~40분 건조 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 끝까지 부어 참숯과 수평을 이루게 한다.
이후 다양한 친환경 소재인 1000도에서 구운 황토볼, 세라믹볼, 녹나무, 자석가루, 목화석, 황토, 인공진주, 자수정, 흙, 백수정, 석화, 조개껍질, 조각난 등 기타 보석류 및 화석류를 발포된 상기 혼합물과 참숯 및 목화석 위에 배열 한다.
소성단계에서는 피라미드 구조로 설계된 건조가마에서 30~300도 사이에서 24시간동안 구워낸다.
마감단계에서는 상기 구워낸 제품을 미리 준비된 특수 설계된 자동 연마기에서 평면을 1차적으로 연마하여 평평한 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 기 준비된 특수 설계된 자동 연마기에서 2차적으로 연마하여 90도 모서리를 부드럽게 연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마과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을 상기 건조가마에서 3일간 건조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과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이 자동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제품을 코팅하기 위해 은분과 세라믹이 혼합된 코팅제를 이용하여 표면을 코팅하고 자연풍을 통해 2시간 건조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내장제가 완성되게 된다.
도1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내장재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중심부에 굵게 형성된 참숯(10)이 표현되어 있고, 기타 상기 황토볼 등(20)이 작은 원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우수한 천연무공해의 건축내장재를 양산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건축용 내장재,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건축내장재에 대한 예시도.

Claims (2)

  1. 중량%로 PLA(Poly Lactic Acid)4%, 에멀전수지4%, 우레탄 3%~5% 실리콘 4%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견운모4%, 맥반석 8%, 황토4~6%, 알루미나8%, 질석8%, 석화4%, 천연옥4%, 백황토4%, 슬래그7%, 니큼0.3%, 폴리카본0.3%, 소포제0.4%, 계분산성수지3%, 규사40% 와 함께 혼합교반기에 투입하여 2~3일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숙성시키는 혼합숙성단계;
    상기 혼합숙성단계 이후에, 준비된 금형틀에 천연소재 육각 망사를 깔고 혼합숙성한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고 기 준비된 참숯 및 목화석을 1.5센티로 절개하여 금형틀 내 일정한 디자인으로 배열하고, 상기 혼합물과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을 금형틀 내에서 20~40분 건조 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참숯 및 상기 목화석 끝까지 부어 윗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한 뒤, 1000도에서 구운 황토볼, 세라믹볼, 녹나무, 자석가루, 목화석, 황토, 인공진주, 자수정, 흙, 백수정, 석화, 및 조개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혼합물과 참숯 및 목화석 위에 배열하는 성형단계;
    피라미드 구조로 설계된 건조가마에서 30~300도 사이에서 24시간동안 구워내는 소성단계; 및
    상기 소성단계에서 생성된 제품을 자동 연마기에서 평면을 1차 연마하고, 자동 연마기에서 2차로 모서리를 곡면지도록 연마한 뒤, 상기 건조가마에서 3일간 건조한 후, 연마건조 처리된 제품을 자동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하고, 은분과 세라믹이 혼합된 코팅층을 상기 연마된 평면의 표면에 형성하고, 자연풍을 통해 2시간 건조하게 되는 마감단계; 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제조방법.
  2. 제1항의 건축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
KR1020090024760A 2009-03-24 2009-03-24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60A KR101174185B1 (ko) 2009-03-24 2009-03-24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60A KR101174185B1 (ko) 2009-03-24 2009-03-24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82A KR20100106682A (ko) 2010-10-04
KR101174185B1 true KR101174185B1 (ko) 2012-08-14

Family

ID=4312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60A KR101174185B1 (ko) 2009-03-24 2009-03-24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220A (zh) * 2016-06-05 2016-09-28 陈昌同 一种彩玉石嵌层石材
CN106013682A (zh) * 2016-06-06 2016-10-12 陈昌同 一种彩玉石镶嵌陶瓷装饰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15B1 (ko) * 2011-01-18 2011-07-21 (주)이레이앤엘 타공형 친환경 데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88B1 (ko) 2006-03-24 2007-03-14 문종욱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7324B1 (ko) 2008-03-31 2009-01-07 김영근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88B1 (ko) 2006-03-24 2007-03-14 문종욱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7324B1 (ko) 2008-03-31 2009-01-07 김영근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220A (zh) * 2016-06-05 2016-09-28 陈昌同 一种彩玉石嵌层石材
CN106013682A (zh) * 2016-06-06 2016-10-12 陈昌同 一种彩玉石镶嵌陶瓷装饰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82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185B1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5816A (ko)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KR101890202B1 (ko) 기능성 이미지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908B1 (ko) 항균기능을 구비한 점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KR100677761B1 (ko) 기능성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104B1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00618075B1 (ko) 황토를 이용한 기능성 원적외선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893B1 (ko) 황토 또는 숯 보드의 표면 처리용 코팅재를 이용한 황토 보드, 숯 보드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877324B1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238B1 (ko) 건축용 보드
KR20140008682A (ko) 황토 숯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29699B1 (ko) 생황토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416075B1 (ko) 건축용 황토 혼합물 제조방법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756118B1 (ko) 황토 미장방법
KR100355186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4264A (ko)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806638B1 (ko) 황토와 천연소재를 이용한 건강 벽타일 제조방법과 그벽타일
KR101257245B1 (ko) 천연광물을 함유한 친환경 미장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517B1 (ko) 천연 고기능 나노 광물을 융합한 내부용 점토 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8585B1 (ko) 머드를 이용한 침대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7805B1 (ko) 친환경 마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