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62B1 -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62B1
KR101173362B1 KR1020100048271A KR20100048271A KR101173362B1 KR 101173362 B1 KR101173362 B1 KR 101173362B1 KR 1020100048271 A KR1020100048271 A KR 1020100048271A KR 20100048271 A KR20100048271 A KR 20100048271A KR 101173362 B1 KR101173362 B1 KR 10117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ing
speed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684A (ko
Inventor
김한철
장진엽
김진영
이충혁
정용욱
전영삼
이정선
김무항
김승경
김동환
권연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6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은, 무인으로 비행하는 비행 이동부와;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과속 감지부와;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 감지부와;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여 소정 단속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단속 위치에서 상기 과속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과속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구간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과속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과속 단속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OVERSPEEDING-VEHICL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 장치를 이용하여 과속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구간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과속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과속 단속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 차량 단속시스템은 고정식 단속시스템과 이동식 단속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식 단속시스템은 도로에 루프코일을 설치하여 차량이 루프코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자장의 변화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가 규정속도를 초과하였을 경우에 해당 차량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고정식 단속시스템의 경우, 운전자가 설치장소를 숙지하여 해당 장소에서만 일시적으로 감속하는 경우가 많아 과속 차량 단속에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동식 단속시스템은 임의의 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레이저 건을 발사하여 차량(10)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과속 차량을 단속하는 시스템이다. 이동식 단속시스템은 단속 장소를 변경할 수 있음으로 고정식 단속시스템에 비해 높은 단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경찰 등의 인력이 직접 카메라를 이동 및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 시간에 한계가 있으며 장비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하는 구간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과속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과속 단속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은, 무인으로 비행하는 비행 이동부와;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과속 감지부와;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 감지부와;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여 소정 단속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단속 위치에서 상기 과속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과속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무인으로 비행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이 소정 단속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는 단계; 상기 단속 위치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기 저장된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규정 속도를 초과한 경우, 상기 과속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무인 비행 장치를 이용하여 과속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구간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과속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과속 단속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과속 단속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의 단속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을 이용한 과속 단속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과속 단속을 위한 위치로 무인 비행하여 단속 지점에 착륙 후, 규정 속도를 초과한 과속 차량(10)의 단속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단속정보를 교통관리센터(50)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원격 제어 혹은 자동 제어에 의한 무인 비행이 가능하고,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나 도로 주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무인 비행체에 과속단속을 위한 장비를 탑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무인 비행체에 과속단속을 위한 장비를 탑재한, 헬리콥터(helicopter), 고정 날개형 항공기(fixed wing), 도관 팬(ducted fan),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이동 차량(10)의 속도를 감지하는 과속 감지부(130)와, 비행 이동부(140)와, 과속 차량(10)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감지부(120)와, 비행 및 구동관련 정보가 저장된 제어정보 저장부(150)와, 과속 차량(10)의 단속정보가 저장되는 단속정보 저장부(155)와, 단속정보를 교통관리센터(50)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60)와,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소정 위치(예컨대, 단속 위치)에 착륙하여 과속 감지부(130)를 통해 과속 차량(10)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10)의 영상을 영상 감지부(120)를 통해 획득하여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한 후, 단속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60)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과속 감지부(130)는 이동하는 차량(10)의 속도를 산출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과속 감지부(130)는 레이더부(132)와 속도 산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부(132)는 극초단파(MICROWAVE) 정도의 전자기파를 이동하는 차량(10)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한다. 차량(10)의 속도를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미국의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의 규정에 따라, Ko-BAND(9.900 GHz), X-BAND(10.525 GHz), Ku-BAND(13.450 GHz), K-BAND(24.150 GHz), SUPERWIDE Ka-BAND(33.000 - 36.000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레이더부(132)는 이동하는 차량(10)에 대해 전자기파를 다수 회 발사한 후 반사파를 수신하여 속도 산출부(134)에 송수신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레이더부(132)는 한 대의 차량(10)에 대해 수백 번 정도 전자기파를 발사할 수 있다.
속도 산출부(134)는 차량(10)에 반사되어 레이더부(132)로 수신된 반사파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이동속도를 산출한다. 속도 산출부(134)는 전자기파의 발사시간과 반사파의 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차량(10)의 거리,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다수 회 발사된 전자기파의 반사파들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속도 산출부(134)는 산출된 차량 이동 속도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속 감지부(130)가 속도 산출부(13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속도 산출부(134)를 과속 감지부(130)가 아닌 제어부(110)의 일 기능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속도 산출부(134)를 제어부(110)나 영상 감지부(120)와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제어부(110)는 속도 산출부(134)의 산출결과를 기 저장된 규정 속도와 비교하여 차량(10)의 과속 여부를 판단한다. 과속 차량(10)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차량(10)이 촬영되도록 영상 감지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속도 산출부(134)가 산출한 이동 속도를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10)가 과속 여부를 판단하여 과속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10)이 촬영되도록 영상 감지부(120)를 제어하도록 구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다르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속도 산출부(134)가 산출한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즉, 과속인 경우)에, 과속 여부의 사실만을 제어부(110)에 통지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과속 여부에 대한 판단 과정은 생략하고, 속도 산출부(134)로부터 과속이라는 통지를 받는 경우 바로 영상 감지부(120)를 제어하여 차량(10)을 촬영한다.
다른 예를 들면, 속도 산출부(134)가 산출한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즉, 과속인 경우)에, 과속 여부의 사실만을 영상 감지부(120)로 통지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영상 감지부(120)는 바로 차량(10)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감지부(120)는 과속 차량(10)과 해당 차량(10)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단속 이미지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부(120)는 과속 차량(10)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2)와 촬영된 영상을 신호 처리(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12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124)는 영상 감지부(120)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제어부(110)의 일 기능으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부(12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과속 차량(10)을 촬영한다.
영상 처리부(124)는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10)의 이미지와 해당 차량(10)의 번호판의 이미지를 신호 처리한다. 신호 처리된 이미지는 단속 정보 저장부(155)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10)의 이미지는 운전자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24)가 영상 인식 기능을 부가적으로 가진 경우, 촬영된 차량(10)의 번호판의 이미지로부터 과속 차량(10)의 번호까지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한 번호는 신호처리된 이미지와 함께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감지부(120)가 획득한 영상을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교통 관리 센터(5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행 이동부(140)는 착륙, 이륙, 및 비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이륙 및 착륙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속구역으로 비행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행 이동부(140)는 착륙, 이륙, 및 비행을 위해 필요한 기계 장치와 각 장치의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행 이동부(140)의 위치 감지를 위한 GPS 센서, 자세 제어를 위한 관성 센서 등을 포함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정보 저장부(150)에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정보가 저장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정보 저장부(150)에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의 단속 위치 및 복귀 위치와 영상 감지부(120) 및 과속 감지부(130)의 설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단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여 소정 시간에 소정 구간에서 과속 차량을 감지한 후 자동 복귀하도록 하거나, 혹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단속 위치를 이동하여 과속 차량(10)을 단속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의 단속 위치 및 복귀 위치와 영상 감지부(120) 및 과속 감지부(130)의 설정정보는 제어정보 저장부(150)가 아닌 별도로 마련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단속정보 저장부(155)에는 과속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과속 차량(10)의 속도와 영상 감지부(120)를 통해 수집된 해당 차량(10)의 단속 이미지가 단속 정보로 저장된다. 즉, 단속 정보에는 과속 차량(10)의 속도와 해당 차량(10)의 이미지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된 단속 정보를 교통관리센터(50)로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122)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무선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부(160)는 이동통신망, 무선인터넷 등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이 기 설정된 단속 위치로 비행 이동한 후 단속 위치에 착륙하도록 한다.
과속차량 감지 시스템(100)이 단속 위치에 처음 이동되면,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22)의 방향이 차량을 찍을 수 있도록 카메라부(122)의 촬영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레이더부(132)가 차량을 향하여 전자기파를 발사할 수 있도록 레이더부(136)의 발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22)의 촬영 방향과 레이더부(132)의 레이더 발사 방향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어느 한쪽 방향만 설정하면 나머지 방향도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10)가 카메라부(122)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면, 레이더부(132)는 자동적으로 차량을 향해 전자기파를 발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카메라부(122)와 레이더부(132)는 기계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카메라부(122)와 레이더부(132) 중 어느 한쪽의 방향을 제어하면 나머지 한쪽의 방향도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기계적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으로 카메라부(122)와 레이더부(132)를 서로 연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영상 감지부(120) 및 과속 감지부(130)의 구동방향 및 구동환경을 설정하고, 과속 감지부(130)를 통해 이동 차량(10)의 속도를 산출한다. 과속 차량(10)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감지부(120)를 통해 해당 차량(10)의 단속 이미지를 수집하고, 과속 차량(10)의 속도와 해당 차량(10)의 이미지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단속 정보로서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 송수신부(160)를 통해 기 설정된 수신처, 예컨대, 교통관리센터(50)로 무선 송신한다. 제어부(110)는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현재위치에서의 단속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복귀 지점으로 복귀하거나 다음 단속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의 단속 위치는 교통관리센터(50)나 혹은, 전용관리센터에서 제어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단속 위치가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해당 위치로 비행한다(S100).
단속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착륙한다(S110). 착륙 후 제어부(110)는 제어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카메라부(122)의 촬영방향과 레이더부(132)의 발사방향을 조절하여 단속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레이더부(132)를 극초단파(MICROWAVE) 대역의 전자기파를 이동하는 차량(10)에 다수 회 발사하여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한다(S120).
속도 산출부(134)는 레이더부(132)로 반사되는 전자기파의 송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10)의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S130).
제어부(110)는 속도 산출부(134)가 산출한 속도를 기 저장된 규정속도와 비교하여 차량(10)이 규정속도를 위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차량(10)이 규정속도를 준수하고 있는 경우, 다시 S120단계로 복귀하여 다른 차량의 속도를 산출한다.
한편, 규정속도를 위반한 과속 차량(10)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감지부(120)를 제어하여, 위반 차량(10)의 이미지와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150).
제어부(110)는 과속 차량(10)의 속도와 영상 감지부(120)를 통해 수집된 해당 차량(10)의 단속 이미지를 단속정보 저장부(155)에 저장한다(S160). 이에, 단속정보 저장부(155)에는 과속 차량(10)의 속도와 그에 대응되는 차량(10)의 단속 이미지가 상호 매칭되어 단속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데이터 송수신부(160)를 제어하여 교통관리센터(50) 측에 단속정보를 무선 송신한다(S170).
기 설정된 단속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10)는 비행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복귀 지점으로 복귀하거나, 혹은, 다음 단속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한다(S18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의 단속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이동중인 차량의 전면부인 포지션 1에 위치하여 이동 속도를 측정한 후, 과속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전면 혹은 후면의 이미지와 차량번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포지션 2에 위치하여 이동중인 차량의 측면에 레이더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이동 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이동 속도가 규정속도를 초과한 경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100)은 차량의 후면의 이미지와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속 차량 단속시스템은, 과속 단속을 위한 위치로 자율 비행하여 단속 지점에 착륙 후, 규정 속도를 초과한 과속 차량의 단속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단속정보를 교통관리센터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구간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과속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과속 단속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 : 차량 50 : 교통관리센터
100 :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영상 감지부 122 : 카메라부
124 : 영상 처리부 130 : 과속 감지부
132 : 레이더부 134 : 속도 산출부
140 : 비행 이동부 150 : 제어정보 저장부
155 : 단속정보 저장부 160 :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18)

  1. 무인으로 비행하는 비행 이동부와;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과속 감지부와;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 감지부와;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여 소정 단속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단속 위치에서 상기 과속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과속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단속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저장하는 단속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감지부는,
    상기 이동하는 차량에 극초단파 대역의 전자기파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레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단속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교통 관리 센터로부터 수신받은 단속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속 위치까지 상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는,
    상기 과속 차량의 영상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과속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과속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신호처리하여 단속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 위치에 도착한 경우 상기 전자기파 발사 방향이 상기 이동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상기 레이더부의 전자기파 발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 위치에 도착한 경우 상기 촬영 방향이 상기 이동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단속 시간이 경과 된 경우,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여 다른 단속 위치로 비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속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리 센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 위치에 착륙하도록 상기 비행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 감지는 상기 단속 위치에 착륙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11. 무인으로 비행하는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이 소정 단속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는 단계;
    상기 단속 위치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기 저장된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규정 속도를 초과한 경우, 상기 과속 차량의 단속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이 상기 과속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단속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속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단속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교통 관리 센터로부터 수신받은 단속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을 상기 단속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단속 위치에 도착한 경우, 극초단파 대역의 전자기파의 발사 방향이 상기 이동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조정한 후 상기 차량에 상기 전자기파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기파의 송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위치에 도착한 경우 상기 이동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은 기 설정된 단속 시간이 경과 된 경우, 다른 단속 위치로 비행 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리 센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이 상기 단속 위치에 착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 감지는 상기 단속 위치에 착륙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차량 감지방법.
KR1020100048271A 2010-05-24 2010-05-24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71A KR101173362B1 (ko) 2010-05-24 2010-05-24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71A KR101173362B1 (ko) 2010-05-24 2010-05-24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84A KR20110128684A (ko) 2011-11-30
KR101173362B1 true KR101173362B1 (ko) 2012-08-10

Family

ID=4539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271A KR101173362B1 (ko) 2010-05-24 2010-05-24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412B1 (ko) * 2012-11-15 2014-04-30 휴앤에스(주) 무표시구간의 차량검출장치
KR101702371B1 (ko) * 2015-05-18 2017-02-03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KR101701397B1 (ko) * 2016-07-29 2017-02-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차량 단속방법 및 시스템
KR102484688B1 (ko) * 2021-03-15 2023-01-04 주식회사 바이다 카메라와 레이더를 이용한 구간 단속 방법 및 구간 단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84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2489A1 (en) Security event detection and threat assessment
US20210343167A1 (en) Drone encroachment avoidance monitor
US20170234966A1 (en) Device for uav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EP32519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ding flight device
US20170234724A1 (en) Device for uav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93104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irborne objects
RU2661242C2 (ru) Способ навигации беспилотного аппарата в присутствии посторонне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беспилот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90020404A1 (en) Utilization of National Cellular Infrastructure for UAV Command and Control
CN109597077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探测系统
US119323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using unmanned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18137135A1 (en) System and method of radar-based obstacle avoidan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11681049B2 (en) Mobile body control system, mobile body control device, mobile bod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173772B2 (en)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nmanned drone
KR101173362B1 (ko) 과속 차량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34813A (zh) 一种无人机侦测反制装备综合系统
KR20110128685A (ko)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519B1 (ko) 무인항공기 방어 시스템
KR101701397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차량 단속방법 및 시스템
EP2693160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 to calculate and display a no-fly zone.
US2017030124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WO2018063713A1 (en) Device for uav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KR20180033612A (ko) 무인 항공기의 접근을 방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3893U (ko) 레이더와 드론을 이용한 경계 및 경비 자동화 시스템
CN109960277A (zh) 驱逐无人机及其干扰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9111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rupting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of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