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57B1 -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57B1
KR101173357B1 KR1020100047185A KR20100047185A KR101173357B1 KR 101173357 B1 KR101173357 B1 KR 101173357B1 KR 1020100047185 A KR1020100047185 A KR 1020100047185A KR 20100047185 A KR20100047185 A KR 20100047185A KR 101173357 B1 KR101173357 B1 KR 10117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usage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771A (ko
Inventor
신봉건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0004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Q50/50

Abstract

본 명세서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ED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본 명세서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NS 상에서 지인간 혹은 관심 사용자 간에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클라이언트의 접속 혹은 정보 요청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인터넷 서비스는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에서 발전하여, 많은 경제, 문화적 생활을 인터넷 상에서 구현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그 결과, 인터넷을 통해 친목을 교류하고, 정보를 교환하여 왔다. 이는 최근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ocial Network System, 이하 SNS라 한다)의 등장을 가져왔다.
그러나 SNS에 어떤 시스템을 접목할 것인지는 현재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SNS에 대한 다양한 시스템의 접목이 기대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SNS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동일 관심을 가지거나 친밀도를 가지는 지인 간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공유되어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확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분석하여, 사용 가능성이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SNS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디지털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지인 또는 관심 사용자 등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실시간 혹은 일정 간격을 두고 확인할 수 있도록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서버에 제 1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는 사용자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추출하는 중앙제어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제어부가 검색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서버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며, 로그인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송수신부,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기능, 서버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며, 로그인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터넷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공유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정보 송수신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터넷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인터넷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터넷(1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10)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스마트폰(smartphone)(20)과 같은 기기들은 기지국(50)을 통해 인터넷(100)에 접속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노트북(30)은 유선 또는 무선 랜(Wire/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물론, 최근 스마트폰 역시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무선 랜 등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모두 인터넷 상에서 외부의 서버(111, 112)에 접속하여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기들을 통상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그리고,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서버(111, 112)라 한다. 인터넷(100)의 가장 활발한 서비스 중 하나인 웹(Web)에서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있다. 물론, HTTP 프로토콜 이외에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11, 112)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특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에 접목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간에 채팅과 메일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인터넷을 통한 게임 서비스는 인터넷 서버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로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SNS는 메신저와 같인 메시징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회원간의 정보, 블로그를 통한 이웃 서비스, 또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지인 서비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게 되는 클라이언트는 도 1에서 살펴본 휴대폰, PDA,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지털 장치로, 인터넷, 이동통신망, 또는 인트라넷, 그리고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에 접속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접속하였다는 것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게 되는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이동통신망, 또는 인트라넷, 그리고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하게 되는 디지털 장치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웹상에서 서버와 실시간 혹은 일정 간격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문서편집기, 그래픽 툴, 지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 목적의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한번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 경우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별도의 다운 없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공유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지인들간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인터넷(100)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일 실시예인 210, 220이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버(200) 역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이다. 210과 같은 PDA, 스마트폰은 기지국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210)에 A 사용자가 로그인 한 상태인데, A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서버(200)에서는 A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A 사용자의 친구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하여 211과 같이 제공한다. 이 때, A 사용자의 친구라는 것은 지인, 버디 등과 같이 상호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허락한 사용자들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210)에 로그인한 A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하는 친구(또는 지인)는 B, C, D가 있으며 211과 같이 B, C, D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정보가 제시된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 B의 게임 1의 사용 정보는 레벨 7(Lev 7)이며, 사용자 C의 게임 2의 사용 정보는 레벨 3(Lev 3)이다. 한편, 사용자 D의 교육 어플리케이션인 교육 3의 5과를 현재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11에서는 사용자 A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게임 1, 게임 2, 교육 3)에 하이퍼링크로 밑줄이 표시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키거나 URL 접속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220)에 로그인한 B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하는 친구(또는 지인, 버디 등)는 A, E가 있으며, 221과 같이 사용자 A, E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제시된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 A는 게임 1의 레벨 3을 완료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용자 E는 교육 3의 2과를 완료하였음을 보여준다.
221에서는 사용자 B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참여'라는 바로가기 버튼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B는 로그인 후,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사용 횟수, 최근 사용한 시간, 점수, 순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 중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만을 제시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소정의 정보들만 선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관심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 새로이 출시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혹은 인기 어플리케이션인지 등의 정보도 사용 정보와 함께, 혹은 독립적인 사용 정보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인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관심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한 경우,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에 이러한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들간의 지인 정보 및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지인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3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고자 한다.
310은 도 2의 실시예를 반영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UID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이며, 통상 로그인 아이디, 메일 주소, 혹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하는 식별 번호 등 전체 사용자들이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다수의 플랫폼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플랫폼과 사용자 정보를 결합하여 UID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AppNo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이다. 도 3에서는 게임, 교육 등에 따라 G, E와 같은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게임, 교육 등에 대하여 구별없이 일련의 숫자 또는 알파벳으로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AppInfo는 해당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한 정보로, 어떤 단계를 완성했는지(complete), 혹은 어떤 단계를 시작했는지(Entrance) 혹은 어떤 단계를 진행하고 있는 중인지(processing)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 정보는 보다 상세하게 나뉘어질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ate는 최종 사용 일자를 의미한다.
한편 320은 사용자들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혹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등의 사용자들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UID1은 UID2에 매칭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 A는 B, C, D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사용자 B는 A, E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의 320에서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지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고, 일방향으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와 도 3에서 A는 사용자 B, C, D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사용자 C, D는 사용자 A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싶지 않거나, 확인하도록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 C, D가 로그인할 경우, 사용자 A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정보 송수신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서버에서 지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 혹은 관리한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접속 이후 바로, 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한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 사용자와 지인 관계의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지인 관계의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모두 제공하거나 혹은 선별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클라이언트(401)와 서버(402)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01)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401)에서 제 1 사용자가 로그인을 진행한다(S410). 제 1 사용자의 로그인 방식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401) 내에 제 1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내장되거나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서버(402)를 통해 검증 받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 있다. 이후 로그인이 완료하면 클라이언트(401)에서는 제 1 사용자 정보를 송신한다(S415). 제 1 사용자 정보를 소정의 약속된 프로토콜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정보 이외에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직후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와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 여러 작업을 수행한 후,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별도로 요청하는 경우 등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401)가 서버(402)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402)는 수신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지인 정보를 검색하여 지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한다(S420). 이 때, 제 2 사용자가 다수가 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제 2 사용자들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또한 다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인들 중에서 제 2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선별하거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는 과정을 부가적으로 서버(402)에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1 사용자와 친밀도가 높은 지인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친밀도가 높은 지인을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다. 이는 보다 친밀한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제 1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1 사용자가 이전에 또는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게임 쪽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지인들 중에서 게임 쪽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다. 물론, 교육 쪽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지인들 중에서 교육 쪽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다. 물론, 제 1 사용자가 주요 어플리케이션 혹은 관심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 1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사진 업로드를 많이 한 경우, 사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한 지인들을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으며, 사진과 관련된 컨텐츠를 많이 생성한 지인들을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혹은 실행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지인들을 제 2 사용자로 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검색 기준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인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인 정보에서 해당 검색 기준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2)는 상기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하여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클라이언트(401)에게 송신한다(S425).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401)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430). 이때, 클라이언트(401)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소정의 순서로 정렬하거나, 혹은 선별적으로 정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401)에서 로그인 이후, 혹은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성을 기준으로 다수의 제 2 사용자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401)에서 사용자간의 친밀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제 1 사용자와의 친밀도를 기반으로 다수의 제 2 사용자 중 특정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표시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클라이언트(401)가 실행하고 있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401)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서버(402)에 알리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S440). 어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메시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의 211에서와 같이 제 2 사용자인 B, C, D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401)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한 제 2 사용자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버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이 서버(402) 또는 다른 서버들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혹은 인터넷 접속을 새로이 진행해야 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401)는 서버(402)에 어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S445).
서버(402)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 관련 메시지를 생성한다(S450). 보다 상세하게, 클라이언트(401)가 사용을 알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거나, 인터넷 접속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관련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버(402)는 클라이언트(401)에게 어플리케이션 사용 관련 메시지를 송신한다(S455).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활성화시킨 제 2 사용자에게 이익 제공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익 제공 프로세스는 이익 제공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적립하거나, 레벨을 상향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과 관련한 정보를 새로이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서버(402)는 이러한 변경된 정보를 다시 클라이언트(401)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저장된 서버(402)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와 별도로 사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서버들이 포털, 게임 사이트 등과 같이 하나의 서버군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지인들 중에서 최종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로그인 또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자 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들과 서버는 인터넷(10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505를 기준으로 UID_1, UID_2, UID_3으로 나누고자 한다.
도 5에서 UID_2, UID_3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들에 각각 접속하였거나 최근에 접속을 종료한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UID_1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여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서버(500)에는 505와 같이 UID_1, UID_2, UID_3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사용자별로 어플리케이션별로 저장하고 있다. 물론, 505의 데이터베이스의 AppNo, AppInfo, Date 부분은 다양한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505에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Date가 몇일 전인지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경우, 절대적 시간 기준 혹은 특정 기준일자에서 상대적 사간 기준을 저장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서버(501)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혹은 다운로드 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서버(500)에 저장되는데,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이러한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10은 UID_1 사용자가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하거나, 로그인 한 경우에 UID_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친구들의 어플 상황이라는 명칭 하에 UID_2 사용자와 UID_3 사용자가 가장 최근 혹은 현재 어플리케이션 사용 현황이 제시되어 있는데, UID_2 사용자는 현재 App_3을 레벨 9로 사용중이며, UID_3 사용자는 App_2를 레벨 5로 하루전에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UID_1 사용자가 App_5를 실행하는 경우, App_5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지인들의 최근 또는 현재 어플리케이션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UID_2 사용자의 경우 520과 같이 현재 App_3의 레벨 9를 현재 실행중이다. 물론, UID_2 사용자의 화면의 특정 영역에 UID_2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퀵런치하는 버튼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UID_2 사용자가 App_3을 실행하는 화면에 510과 같이 지인들, 즉 친구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황 정보를 제시할 수도 있다.
UID_3 사용자는 접속을 종료한 상태이다. 또는 접속은 종료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50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후 UID_3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재개할 수 있다. 물론,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을 510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구성에서 UID_2 사용자가 App_3을 종료하고 App_1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UID_1 사용자의 화면(510)은 512와 같이 UID_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UID_2 사용자에게도 App_1이 실행되며, 동시에 화면의 특정 영역에 친구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600은 전체 화면을 의미한다. 제 1 사용자는 클라이언트에 접속하여 서버에 제 1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61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 4(App 4)를 다운받아서 실행하거나, 혹은 기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4을 실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4의 실행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어 제 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4를 실행중이며, 다른 친구들에게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는 630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630에는 U2, U3, U4, U5, U6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630와 달리 각각의 사용자들을 별도의 영문자, 숫자 혹은 한글등의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U2, U3와 같이 지인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자 한다.
630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경우, 제 1 사용자의 지인들의 숫자가 많거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황을 모두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하고 621, 622와 같은 버튼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더 많은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630에 배열된 순서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어떤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는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서버에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 1 사용자와 지인들의 친밀도를 기반으로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친한 지인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친밀도를 기준으로 지인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제공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친밀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정보의 공개 수준, 메일, 쪽지 등의 메시지 형태의 정보가 교류된 횟수, 각자의 개인 정보를 열람한 횟수 등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관련성 높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관련성이 낮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먼저 관련성이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특정 분야,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거나, 혹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도 특정 장르(스포츠, 아케이드, 슈팅, 퍼즐 등)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하는 경우, 지인들과의 점수 경쟁 등이 될 수 있도록 해당 장르 또는 해당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지인들의 사용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관련성이 낮은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지인들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거나, 지금까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장르 또는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지인들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넓게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관련성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을 업로드를 자주하거나, 사진을 보정하는 작업을 자주하는 경우, 그래픽적 요소가 뛰어난 어플리케이션을 관심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지인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로그와 미니홈피와 같은 공간에 작성되거나 스크랩된 문서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확인하여 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그와 미니홈피 등에 작성된 문서를 분석한 결과 여행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여행으로 판단하여,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여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고, 게임 중에서는 세계여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630에 표시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클릭할 경우, 서버에서는 특정 지인의 어플리케이션을 노출시켜 다른 사용자가 이를 사용한 정보(일종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사용자가 U2 사용자의 App3을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U2 사용자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익의 일 실시예로, U2 사용자의 App3에서의 점수 또는 포인트를 향상시키거나, U2 사용자의 사이버머니를 추가하거나, 혹은, U2 사용자의 순위를 향상시키는 등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클릭한 사용자 역시 앞서 U2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던 이익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630에 표시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U3 사용자가 App2를 12532점 획득한 상태에서, U3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App2를 사용한 결과 점수가 상향 조정된 경우, 해당 점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630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상황이 서버에 저장되므로, 서버는 저장된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에서 특정 정보의 노출 여부를 판단하여 조정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도 이를 바로 반영하지 않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특정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는 별도의 사용자 검색 과정 없이, 요청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30에 표시된 정보 중에서 U4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다시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는 U4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의 제 2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의 지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다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UID_1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 경우, 제 2 사용자는 UID_2, UID_3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제 2 사용자가 U2, U3, U4, U5, U6를 포함하게 된다. 즉, 도 7의 제 2 사용자는 특정 1인의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서버는 도 5에서 살펴본 서버(500)가 될 수 있으며, 도 5의 어플리케이션 서버(501)과 서버(500)가 결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한다(S710). 제 1 사용자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웹상에서는 소정의 쿠키(cookie) 또는 암호화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 고정된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MAC 주소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암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를 할당받아 이를 제 1 사용자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지인, 친구, 버디 등의 관계 혹은 정보를 공개할 것을 허락한 사용자들 중에서 제 2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를 검색한다(S720). 제 2 사용자의 일 실시예로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수행한 사용자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살펴본 어플리케이션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친밀도가 높은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제 2 사용자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와의 관계 보다도, 어플리케이션의 연관성,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제 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선호도 또는 유사도, 혹은 사용자간의 친밀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S710 단계는 보다 세분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컨텐츠 생성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생성 정보와 유사성이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메일, 쪽지, 블로그 방문 횟수 등을 토대로 친밀도가 높은 제 2 사용자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제 2 사용자는 최소한 정보의 공개를 허락한 사용자의 범위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보의 공개는 직접 정보의 공개를 허락한 경우뿐만 아니라, 정보의 비공개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2 사용자의 범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범위를 우선적으로 선택한 후,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730). 클라이언트에 송신되는 사용 정보는 1회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소정 시간을 두고, 혹은 사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사용자가 소정의 웹사이트 변경 등을 수행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인, 친구, 버디 등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다시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S710, S720, S730 단계의 전부 혹은 일부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특정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는 별도의 사용자 검색 과정 없이, 요청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740). 이 메시지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독립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일 실시예로 두 가지의 메시지 수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한 메시지가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에서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중 특정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을 알리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를 서버가 수신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750). S750 과정은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특정 URL을 생성하여 송신하여야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S750에서 송신하게 되는 메시지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UR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으므로, 해당 제 2 사용자에게 소정의 이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정의 포인트 또는 순위를 상향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한 메시지가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서버는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의 변경 사실을 제 1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 사실을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760).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는 상기 변경 사실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가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비록 제 2 사용자의 사용 정보가 변경될 경우에도 이를 즉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서버는 SNS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므로, SNS에 필요한 사용자 간의 친구 혹은 지인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와 별개로 관리할 수 있다. 친구 혹은 지인의 설정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와 또다른 사용자의 연관성 내지 친밀도, 또는 정보 공개의 세부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는 노트북, 컴퓨터,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포함한다. 먼저 클라이언트에 제 1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이 진행된 후, 서버에 제 1 사용자 정보를 송신한다(S810). 제 1 사용자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쿠키 또는 암호화된 소정의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S820).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하나 이상이므로, 한 명의 지인을 가진 경우라 하여도, 해당 지인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경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별로 한 명의 지인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 다수의 지인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검색하는지, 혹은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혹은 어떤 지인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가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선별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서버에서 제공하는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서버에서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하여 선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허용하거나, 또는 정보의 비공개를 선택하지 않은 사용자가 제 2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가 많은 수인경우, 제 1 사용자와의 친밀도를 기준으로 선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선별될 수 있는데, 지인들 중에서 제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지인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선별될 수 있고,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 또는 컨텐츠 생성 정보를 기준으로 제 1 사용자가 보다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준으로 선별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 1 사용자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준으로 선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840). 이때, 송신할 수 있는 메시지는 다양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일 실시예로 두 가지의 메시지 송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메시지가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인 경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50).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특정 URL을 통한 접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접속 URL의 정보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S840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 2 사용자에게 소정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음은 도 7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메시지가 상기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의 변경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인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860). 물론, 서버에 메시지를 송신한 후, 반드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아니므로, S860 단계는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900)의 전체 구성은 데이터베이스부(910), 중앙제어부(920), 그리고 송수신부(930)으로 이루어져있다.
데이터베이스부(910)는 사용자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한다. 중앙제어부(9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추출한다. 검색 기준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정보 공유가 허용된 사용자 간, 예를 들어 지인, 친구이거나,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인, 친구와 같은 정보 이외에도 친밀도를 검색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친밀도가 높은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다. 친밀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간의 관계 정보가 저장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간의 메일, 쪽지 교환 등의 상호 작용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다. 앞서 사용자간의 관계 정보가 저장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는 SNS를 제공하는 서버에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둘 이상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해당 두 사용자의 친밀도 내지 정보 공유의 허용 범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920)는 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검색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중앙제어부(920)는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서 현재 실행중이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보다 상세한 검색을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라 할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910)에서 관련된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보다 상세한 검색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라 할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컨텐츠 생성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생성 정보와 유사성이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송수신부(93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요청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910)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제어부가 검색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
한편,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지인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며, 송수신부(930)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선택적인 응답으로, 상기 송수신부(930)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URL을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상기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었거나, 상기 클라이언트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가능할 경우, 상기 송수신부(930)는 별도의 메시지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요청 또는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지인에 대해 소정의 보상 내지 이익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중앙제어부(920)는 상기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에 이익 제공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정의 포인트 또는 순위를 상향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930)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실시간 혹은 소정 간격을 두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실시간 혹은 소정 간격을 두고, 클라이언트에게 지인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변경된 사용 정보가 존재할 경우, 중앙제어부(920)는 송수신부(930)가 관련된 지인의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서버는 SNS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므로, SNS에 필요한 사용자 간의 친구 혹은 지인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와 별개로 관리할 수 있다. 친구 혹은 지인의 설정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와 또다른 사용자의 연관성 내지 친밀도, 또는 정보 공개의 세부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의 송수신부(930)는 인터넷 혹은 기타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유선, 무선을 모두 포함하며, 어느 특수한 인터넷의 구조 혹은 이동 통신망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0)는 크게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010),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 송수신부(1030), 그리고 중앙제어부(104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010)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웹 상에서 소정의 HTML 문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플래쉬(flash)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액티브 엑스(ActiveX), 실버라이트(Silverlight), 플렉스(Flex), 자바(java)를 이용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어 실행되거나, 혹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실시간, 혹은 소정 간격을 두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송수신부(1030)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며, 로그인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는 소정의 표시 기준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버에서 소정의 검색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 또는 서버에서 검색 기준을 적용하여 송신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수행한 사용자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친밀도가 높은 사용자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이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검색되거나 또는 선별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수행중이거나 최근에 수행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표시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실행중이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정보가 표시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 또는 컨텐츠 생성 정보가 소정의 검색 기준이 되어 선별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이언트(1000)가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 또는 컨텐츠 생성 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 또는 컨텐츠 생성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제 1 사용자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부(104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010), 송수신부(1030),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1040)는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1030)는 서버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제 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102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클릭하거나 혹은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 서버에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사실을 알리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1030)가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 도면이다.
1110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영역이다. 앞서 살펴본 제 1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1120은 제 1 사용자의 지인들인 제 2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4 개의 사용 정보(1122, 1124, 1126, 1128)가 제시되어 있다.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로 하나씩 제시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별로 하나씩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어플리케이션별로 중복하여 제시될 수도 있다. 1120에서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수 지인들의 사용 정보를 제시하고 있으며, 각각 사용자별로 등수와 점수 정보가 제시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1122, 1124, 1126, 1128)은 각각 현재 또는 최근 지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업데이트 될 수 있다. 1130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추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지인, 즉 친구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제 1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인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2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에 이익 제공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현재 실행중이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수행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친밀도에 따라 제 2 사용자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과 유사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갖는 제2사용자를 검색하는 단계인,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컨텐츠 생성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인,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10.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제 1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는 현재 실행중이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면,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사용하였거나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허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1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를 수행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5. 사용자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제 1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와 정보 공유가 허용된 제 2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 정보와 유사한 사용자 정보를 갖는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제어부가 추출한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6.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서버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며, 로그인한 제 1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 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송수신부,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표시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7. 제 10항 및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47185A 2010-05-20 2010-05-20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17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85A KR101173357B1 (ko) 2010-05-20 2010-05-20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85A KR101173357B1 (ko) 2010-05-20 2010-05-20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771A KR20110127771A (ko) 2011-11-28
KR101173357B1 true KR101173357B1 (ko) 2012-08-10

Family

ID=4539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85A KR101173357B1 (ko) 2010-05-20 2010-05-20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61B1 (ko) * 2012-05-11 2014-10-23 (주)형아소프트 통합 학습관리 시스템,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771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3849B2 (en) Score management system, score management server, and data recording medium
EP28302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ing mobile terminal reading and social network
US201400065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vitations to facilitate playing and sharing of mobile application or mobile game on mobile device
JP5580854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5547242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US20130318185A1 (en) Venue-centric social network
US20130103747A1 (en) Posted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server,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US9908054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game ranking in a game service platform
US9882977B2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JP5832982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US9269079B2 (en) Social network stealth and counter messaging
JP6028493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173357B1 (ko)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5197681B2 (ja) ログインシ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WO2006054276A1 (en) Mobile device internet access
US20130166594A1 (en) Advertisement, Feature and Data Provisioning Based on Dialed Numbers and Other Addresses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5491669B1 (ja) ユーザに対して報酬を付与するサーバ及び方法
JP6508636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6176864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100838764B1 (ko) 전자 게이밍 장치상에 게임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JP5860510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102062027B1 (ko) 게임 추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79453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23508A (ja) メッセージ送信に応じて所定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