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41B1 -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41B1
KR101173341B1 KR1020090085999A KR20090085999A KR101173341B1 KR 101173341 B1 KR101173341 B1 KR 101173341B1 KR 1020090085999 A KR1020090085999 A KR 1020090085999A KR 20090085999 A KR20090085999 A KR 20090085999A KR 101173341 B1 KR101173341 B1 KR 10117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sing
drive motor
moving member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080A (ko
Inventor
박중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41B1/ko
Priority to EP10174122A priority patent/EP2296035A1/en
Priority to US12/880,510 priority patent/US8587885B2/en
Publication of KR2011002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경통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되는 브릿지;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고정되며,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경통이 진퇴 운동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휴대성을 고려한 기기에 장착 가능함과 아울러, 별도의 조절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동 모터를 이용한 초점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 위치를 기기의 실장 공간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로젝터, 초점 조절, 구동 모터, 브릿지, 위치 감지

Description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FOCUSING DEVICE FOR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 장착 가능한 초소형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빔 프로젝터는 광원, 액정 패널, 렌즈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액정 패널에 구현된 화면을 스크린에 투영시키는 기기를 지칭한다. 제품에 따라서, 빔 프로젝터는 액정 패널의 수나 렌즈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빔 프로젝터는 그 자체의 크기에 비해,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회의나 공연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초소형 빔 프로젝터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빔 프로젝터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는 잦은 출장이나 회의를 해야하는 직장인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기기에 장착되는 빔 프로젝터는 대체로 다이얼과 같은 조절 손잡이를 이용한 초점 조절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조절 손잡이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다수의 렌즈들이 장착된 경통을 광축 방향 으로 진퇴 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 손잡이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 손잡이는 경통에 인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 등의 기기 외측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노출되어야만 한다.
결국, 종래의 조절 손잡이를 이용한 초점 조절 장치가 설치된 빔 프로젝터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화된 기기에 설치함에 있어서, 조절 손잡이가 경통에 인접함과 동시에 기기의 외측으로 노출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빔 프로젝터의 설치 위치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부품의 실장공간이 좁을 수밖에 없는 소형화된 기기에서는 부품의 실장 구조를 선정하는데 많은 제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초점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빔 프로젝터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기기에 장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함에 있어서, 그 장착 위치의 제한이 없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 위치의 제한을 완화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기기에도 장착하기 용이한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경통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되는 브릿지;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고정되며,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경통이 진퇴 운동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그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고정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이동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내주면을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편은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제2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통은 그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그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감싸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 고정편들과 상기 제1 고정편들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기들은 각각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경통은 상기 가이드 봉의 안내를 받아 진퇴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경통의 진퇴 운동을 안내하는 또 다른 가이드 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릿지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를 지지하는 정렬 부재; 상기 정렬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렬 홈들;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정렬 돌기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되, 상기 정렬 홈들이 각각 상기 정렬 돌기에 맞물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경통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통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이 초점 거리 조절을 위한 이동 범위를 벗어난 때,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에 대면하게 위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반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휴대성을 고려한 기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조절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동 모터를 이용한 초점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 위치를 기기의 실장 공간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실장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기기에도 빔 프로젝터를 설치 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위치 감지 센서를 장착한다면, 경통이 그 이동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시하여, 구동 모터의 무리한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 모터를 장착함에 있어서는 케이싱에 정렬 돌기를 형성하고, 구동 모터에 고정되는 정렬 부재에는 정렬 홈을 형성하여, 정렬 돌기와 정렬 홈을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광축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정렬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100)는, 케이싱(101), 경통 조립체(102), 구동 모터 조립체(103)를 구비하며, 경통(121)은 브릿지(104)에 의해 구동 모터(13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경통(121)이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101)은 상기 경통 조립체(102), 구동 모터 조립체(103) 등을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01)에는 광원이나 액정 패널 등이 더 설치되지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이들 구성을 생략하고, 초점 조절에 관련된 동작을 하는 구성들만 도시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상기 케이싱(101)에는 개구(111)가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진행 경로를 제공하며, 체결홀(113), 수용홈(115), 지지홀(117) 등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와 경통 조립체(102)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101)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홀(113) 주변으로 다수의 정렬 돌기(114; 도 3에 도시됨)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렬 돌기(114)들은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를 설치할 때, 구동축(133)의 설치 방향을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경통 조립체(102)는 다수의 렌즈들을 광축 정렬된 상태로 구비한 상기 경통(121)과, 상기 경통(12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구조로는 한 쌍의 가이드 봉(127)들과, 가이드 부재(125)들 및 홀더(123)가 이용되었다. 상기 홀더(123)는 상기 경통(121)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봉(127)들 중 하나가 상기 홀더(12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25)는 상기 홀더(123)에 대향되는 상기 경통(121)의 타측 외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봉(127)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가이드 부재(125)들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1)에는 상기 지지홀(117)이 다수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홀(117)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봉(127)들의 어느 한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봉(127)들을 고정시키게 된 다.
상기 경통 조립체(102)가 상기 케이싱(101)에 설치되면, 상기 경통(121)은 그의 일단이 상기 개구(111)와 상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봉(127)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광축 방향, 즉, 화면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는 구동 모터(131)와, 상기 구동 모터(131)로부터 연장된 구동축(133)과, 상기 구동축(133)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131)의 구동에 따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141)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부재(141)는 상기 구동축(133)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131)가 작동하여 상기 구동축(133)이 회전하면, 상기 이동 부재(141)가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량만큼 상기 구동축(133)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에는 정렬 부재(135)가 제공된다. 상기 정렬 부재(135)는 그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형상으로서,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131)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축(131)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렬 부재(135)에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정렬 홈(137)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가 상기 케이싱(101)에 설치되면, 상기 정렬 홈(137)들은 상기 정렬 돌기(114)들과 각각 맞물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133)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101) 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축(133)의 정렬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도 3과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동 모터(133)의 정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정렬 부재(135)는 용접이나 스크루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101)에 고정되는데, 본 실시 예는 스크루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가 예시되고 있다. 스크루를 이용하여 상기 정렬 부재(135)를 상기 케이싱(101)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스크루 체결시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정렬 부재(135)의 위치를 뒤틀리게 할 수 있으나, 상기 정렬 돌기(114)들과 정렬 홈(137)이 서로 맞물려 상기 정렬 부재(135)는 회전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131)의 외주면에는 체결 부재(13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 부재(139)는 상기 케이싱(101)의 수용홈(115)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 부재(139) 또한 상기 구동 모터(131)의 정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렬 부재(135)의 위치와 비교할 때 상기 체결 부재(139)는 상기 구동축(133)으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 부재(139)의 위치가 약간만 뒤틀리더라도, 상기 구동축(133)의 단부에서는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 방향과 평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렬 부재(135)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133)을 정밀하게 정렬함과 아울러, 정렬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104)는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103) 상에 설치된 이동 부재(141)와 상기 경통(121)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부(143)의 일단에는 상기 홀더(123)의 양면을 감싸는 제1 고정편(145)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 고정편(147)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141)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편(145)들은 상기 브릿지(104)의 연결부(143)로부 터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연장되며,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홀더(123)의 양면을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편(145)들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 돌기(146)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23)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편(147)은 상기 이동 부재(141)의 제1 측면을 감싸게 연장됨과 아울러, 그 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141)의 제2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된 외주면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편(147)은 상기 이동 부재(141)를 가압하여 그 내주면을 상기 구동축(133)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브릿지(104)는 제3 고정편(149)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141)의 양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123)와 브릿지(104), 상기 브릿지(104)와 이동 부재(141), 상기 이동 부재(141)와 구동축(133)을 결합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품들은 허용 오차를 가지고 제작된다. 이때, 이들 허용 오차가 상기 홀더(123)로부터 구동축(133)에 이르기까지 각각 최대치의 허용 오차를 가지는 상태로 제작된다면,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이 부드럽지 못하여 상기 구동 모터(131)에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각 부품들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헐거워져 상기 구동 모터(131)의 구동력이 상기 경통(121)으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한다.
정상 작동의 조건에서도 상기 구동 모터(131)에 과부하가 발생된다면, 이는 상기 구동축(133)이나 이동 부재(141), 또는 상기 홀더(123)와 가이드 봉(127) 등을 새로이 조합하여 해소해야만 한다. 반면에, 상기 브릿지(104)의 제1, 제2 고정 편(145, 147)은 그 자체의 탄성력 등에 의해 상기 홀더(123)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141)를 상기 구동축(133)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131)의 구동력은 상기 경통(121)까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104)는 단순히 상기 홀더(123)와 이동 부재(141)를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 모터(131)의 구동력을 정확하게 전달하여 상기 경통(121)을 진퇴 운동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통(12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초점 조절 장치(100)는 위치 감지 센서(119)와 반사 부재(129)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경통(121)이 더 이상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없는 위치에 이르렀을 때, 상기 구동 모터(131)의 동작을 정지시켜 무리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구동 모터(131) 동작 시 상기 구동 모터(131)에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상기 구동 모터(13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경통(121)이 일정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구동 모터(13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131)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 감지 센서(119)로는 상기 케이싱(10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가 이용되며, 상기 경통(121)에는 반사 부재(12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는 하나의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통(121)의 바닥면에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반사 부재(129)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129)가 상기 경통(121)의 외주 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부재(129)는 상기 경통(121)이 진퇴 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 감지 센서(119)에 대면하게 된다. 상기 반사 부재(129)와 위치 감지 센서(119)가 서로 대면하게 위치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반사 부재(129)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입사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빛이 입사되면, 상기 경통(121)이 한계 위치에 다다랐음을 인지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191)는 상기 구동 모터(131)의 작동을 중단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반사 부재(129)를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다면, 상기 경통(121)이 일정 범위 이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항상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빛이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경통(121)이 일정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이르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빛이 입사되지 않는 시점에서 상기 구동 모터(131)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점 조절 장치(100)는 상기 정렬 홈(137)이 형성된 정렬 부재(!35)와 정렬 돌기(114)에 의해 상기 구동축(133)을 상기 경통(121)의 진퇴 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브릿지(104)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133)으로부터 홀더(123)에 이르기까지 각 부품들을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131)의 구동력이 상기 경통(121)까지 정확하게 전달된다. 아울러, 상기 위치 감지 센서(119)를 이용하여 상기 경통(121) 의 위치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131)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점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빔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빔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빔 프로젝터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빔 프로젝터에 구동 모터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빔 프로젝터의 구동 모터와 경통 조립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모터와 경통 조립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경통 조립체에 브릿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브릿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10)

  1.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경통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되는 브릿지;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고정되며, 상기 경통의 일측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브릿지는 그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이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의 내주면을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며,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경통이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제2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그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그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감싸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 고정편들과 상기 제1 고정편들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기들은 각각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통은 상기 가이드 봉의 안내를 받아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경통의 진퇴 운동을 안내하는 또 다른 가이드 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릿지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양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를 지지하는 정렬 부재;
    상기 정렬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렬 홈들;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정렬 돌기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되, 상기 정렬 홈들이 각각 상기 정렬 돌기에 맞물리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경통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통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이 초점 거리 조절을 위한 이동 범위를 벗어난 때,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에 대면하게 위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반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KR1020090085999A 2009-09-11 2009-09-11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KR10117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99A KR101173341B1 (ko) 2009-09-11 2009-09-11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EP10174122A EP2296035A1 (en) 2009-09-11 2010-08-26 Focusing device for beam projector
US12/880,510 US8587885B2 (en) 2009-09-11 2010-09-13 Focusing device for beam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99A KR101173341B1 (ko) 2009-09-11 2009-09-11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80A KR20110028080A (ko) 2011-03-17
KR101173341B1 true KR101173341B1 (ko) 2012-08-10

Family

ID=4323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999A KR101173341B1 (ko) 2009-09-11 2009-09-11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87885B2 (ko)
EP (1) EP2296035A1 (ko)
KR (1) KR101173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429A (ko)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기기의 초점 조절 장치
CN102590980B (zh) * 2012-03-21 2014-04-16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镜头调焦装置
US20170045812A1 (en) * 2015-08-14 2017-02-16 Young Optics Inc. Autofocus projection system and focus adjustmen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520A (en) 1975-04-15 1977-04-19 Gaf Corporation Projector focusing mechanism
US5150260A (en) 1990-10-02 1992-09-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US5631776A (en) 1995-12-21 1997-05-20 Eastman Kodak Company Zoom lens apparatus and bearing block assembly
US6553185B1 (en) 1999-07-16 2003-04-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80B2 (ja) * 1991-04-16 1999-08-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カメラ
JPH07154723A (ja) * 1993-11-29 1995-06-16 Sony Corp プロジェクター装置
DE69629982T2 (de) 1995-06-30 2004-07-22 Eastman Kodak Co. Zoomobjektiv ###
JP3574629B2 (ja) * 2001-05-31 2004-10-0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4317986A (ja) * 2003-04-18 2004-11-11 Chinontec Kk 移動装置、鏡筒支持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TWI307816B (en) * 2006-07-25 2009-03-21 Young Optics Inc Lens module
JP2008076582A (ja) * 2006-09-20 2008-04-03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用投射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520A (en) 1975-04-15 1977-04-19 Gaf Corporation Projector focusing mechanism
US5150260A (en) 1990-10-02 1992-09-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US5631776A (en) 1995-12-21 1997-05-20 Eastman Kodak Company Zoom lens apparatus and bearing block assembly
US6553185B1 (en) 1999-07-16 2003-04-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6035A1 (en) 2011-03-16
KR20110028080A (ko) 2011-03-17
US8587885B2 (en) 2013-11-19
US20110063744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159B2 (ja) 撮像装置の調整方法
CN108600599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CN111897084B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和电子设备
CN107092069B (zh) 透镜驱动装置、照相装置与电子设备
US7808729B2 (en) Driving device
US7580209B2 (en) Auto-focus and zoom module with vibrational actuator and position sensing method
JP2016057468A (ja) 屈曲撮像装置
EP2275865A1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ion unit,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KR20120033278A (ko) 촬상 유닛
KR101173341B1 (ko)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JP6205714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投射レンズ装置、及び画像投射装置
EP2631693A1 (en) Focusing apparatus for optical device
JP2013076944A (ja) 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5245422B2 (ja) プロジェクタ
KR20140083942A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용 자동 초점 조절장치
JP2005352394A (ja) レンズ装置
JP2020021096A (ja) 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4849505B2 (ja) 位置検出装置、該位置検出装置を有する光学装置
JP201110287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6050128B2 (ja) 撮像ユニット
JP5168024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7223880A (ja) 振動波モータ及び振動波モータを有するレンズ装置
JP2012103681A (ja) 撮像ユニット
JP2014186048A (ja) レンズ鏡筒
JP4817975B2 (ja) 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