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75B1 -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75B1
KR101173275B1 KR1020110124982A KR20110124982A KR101173275B1 KR 101173275 B1 KR101173275 B1 KR 101173275B1 KR 1020110124982 A KR1020110124982 A KR 1020110124982A KR 20110124982 A KR20110124982 A KR 20110124982A KR 101173275 B1 KR101173275 B1 KR 10117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titanium
surfactant
dioxide photocatalyst
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진
이주한
이순창
이현욱
홍원기
김혜란
서정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34Irradiation by, or application of, electric, magnetic or wave energy, e.g. ultrasonic waves ; Ionic sputtering; Flame or plasma spraying; Particle radiation
    • B01J37/341Irradiation by, or application of, electric, magnetic or wave energy, e.g. ultrasonic waves ; Ionic sputtering; Flame or plasma spraying; Particle radiation making use of electric or magnetic fields,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J37/343Irradiation by, or application of, electric, magnetic or wave energy, e.g. ultrasonic waves ; Ionic sputtering; Flame or plasma spraying; Particle radiation making use of electric or magnetic fields,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of ultrasonic 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oxicolo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간단한 합성법으로 고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은 (a) 티타늄 전구체 및 계면활성제를 제1 용매에 혼합하여 졸-겔(sol-gel)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졸-겔(sol-gel) 반응시킨 반응물을 15 ~ 2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하는 단계; (d) 상기 세척된 반응물을 20 ~ 50℃에서 1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e) 상기 수득한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제2 용매에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용액에 대하여 10 ~ 120분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 (f)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 용액을 15 ~ 45℃에서 2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RYSTALLINE NANOPOROUS TITANIUM DIOXIDE PHOTO CATALYSIS}
본 발명은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니케이션을 이용한 간단한 합성법으로 고결정성을 갖는 나노기공 이산화티탄(TiO2)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촉매란 빛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되는 촉매를 말하며, 상온에서도 반응 활성을 지니고 있는 점에서 일반적인 촉매와 구분되어 간단하고 소규모 반응장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산화티탄(TiO2)과 같은 반도체 산화물에 적당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전자(e-)가 여기되어 전도대로 이동하고 정공(h+)이 생성되어 이산화티탄(TiO2)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정공이 이산화티탄(TiO2)의 표면에 있는 물(H2O)이나 OH- 등과 반응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게 되고, 이 라디칼이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물을 산화하여 분해시키게 된다. 이산화티탄(TiO2)의 경우 밴드갭 에너지는 약 3.2eV이며 태양광 중에서 이보다 더 큰 에너지를 갖는 빛의 파장은 380nm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촉매는 미량 유기물의 제거, 악취 제거, 발암성 물질의 생성 억제, 폐수 처리, SOx, NOx 제거 등의 환경 재료와 물을 분해하여 수소 연료를 제조하는 등의 에너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촉매의 응용은 유해한 물질들의 분해뿐만 아니라 유해한 성분의 유용 성분으로의 전환에도 이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TiO2)은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모든 유기물을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시킴으로서 광촉매로 가장 각광받고 있다.
이산화티탄(TiO2)은 상압하에서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atase) 그리고 브루카이트(brookite)의 3가지 결정상을 가지며 온도 상승에 따라 준 안정적인 브루카이트(brookite), 아나타제(anatase) 상으로부터 루타일(rutile) 상으로 전이된다. 정방정계(tetragonal) 구조를 갖는 루타일(rutile)과 아나타제(anatase), 사방정계(orthorhombic) 구조를 가지는 부루카이트(brookite) 구조 모두 티타늄(Ti)을 중심으로 하는 TiO6 팔면체를 기본 구조로 하고 있으며, 루타일(rutile)은 2모서리, 아나타제(anatase)는 4모서리, 브루카이트(brookite)는 3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다.
결정의 단위격자를 보면 루타일(rutile)의 경우 2개의 유닛 셀(unit cell)을 포함하고, 아나타제(anatase)가 4개, 브루카이트(brookite)가 8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기본구조를 이루는 TiO6 팔면체는 정팔면체로부터 비틀어져 있으며, 그 비틀림의 정도는 루타일(rutile) < 아나타제(anatase) < 브루카이트(brookite) 순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폴링(Pauling)의 법칙으로 판단하면 에너지 적으로 가장 안정한 것은 루타일(rutile)이며, 다른 두 종류는 준 안정상으로서 고온 열처리에 의하여 안정상으로 전이될 수 있다. 에너지 밴드 개념으로 해석을 하면, 아나타제(anatase)와 루타일(rutile)은 각각 3.2eV와 3.0eV의 밴드 갭(band gap)을 가지고 있다. 이점 만을 고려하면, 루타일(rutile)은 아나타제(anatase)에 비하여 좀 더 광범위한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어서 동일한 광원의 사용 시, 아나타제(anatase)보다 우수한 광효율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나, 결과로는 아나타제(anatase)가 훨씬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1973호(2011.02.09. 공개)가 있다. 상기 문헌에는 이산화티탄 제조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 염료 감응 태양 전지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우수한 결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통해 우수한 광촉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은 (a) 티타늄 전구체 및 계면활성제를 제1 용매에 혼합하여 졸-겔(sol-gel)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졸-겔(sol-gel) 반응시킨 반응물을 15 ~ 2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하는 단계; (d) 상기 세척된 반응물을 20 ~ 50℃에서 1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e) 상기 수득한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제2 용매에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용액에 대하여 10 ~ 120분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 (f)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 용액을 15 ~ 45℃에서 2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은 고결정성을 갖는 나노기공 이산화티탄을 실온에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간단한 합성법으로 대량 생산함으로써, 생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은 유기물 자체 정화 기능면에서 기존에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P25에 비하여 우수한 광촉매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는 우수한 광분해 효과를 가지므로, 공기정화제품, 항균-바이러스필터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들뿐만 아니라, 메모리소자, 논리 소자, 염료감응형 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가스센서(gas sensor), 바이오센서(bio sensor), 유연소자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는 유기물 자체 정화 능력이 우수하므로, 태양전지, 수소에너지, 물정화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졸-겔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고배율 전자투과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에 대한 엑스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유기물 광분해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졸-겔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은 졸-겔 반응 단계(S110), 숙성 단계(S120), 필터/세척 단계(S130), 1차 건조 단계(S140), 초음파 처리 단계(S150) 및 2차 건조 단계(S160)를 포함한다.
졸-겔 반응
졸-겔 반응 단계(S110)에서는 티타늄 전구체 및 계면활성제를 제1 용매에 혼합하여 졸-겔 반응시킨다. 이때, 제1 용매로는 물,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졸-겔 반응은 실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실온은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1 ~ 40℃를 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졸-겔 반응이란 금속알콕사이드가 가수분해(hydrolysis)되고 축합 반응(condensation)되면서 졸(sol) 상태가 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완전한 축합 반응이 진행되어 더 이상 네트워킹(networking)될 수 없는 겔(gel) 상태가 되는 반응을 말한다.
즉, 졸-겔 반응 단계(S110)에서 계면활성제(surfactant)가 수용액 상에서 자기정렬(self-assembly)하여 교질입자(micelle)를 형성하게 되고, 이때 교질입자(micelle)들은 티타늄 종(species)들과 결합하여 협동정렬(cooperative assembly)을 이루면서 나노 기공을 형성한다. 이 결과, 웜홀 형상의 기공(wormhole-like pore)을 갖는 티타늄 나노포러스(nanoporous)가 합성되는 데, 이러한 티타늄 나노포러스의 미세 기공 구조는 무정형(amorphous)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 엔-부톡사이드(titanium n-butoxide), 티타늄 아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 티타늄 클로라이드(titanium chloride)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에서 n = 15를 만족하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또는 하기 화학식 2에서 n = 15를 만족하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chloride)가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 CH3(CH2)nN+(CH3)3Br-
화학식 2 : CH3(CH2)nN+(CH3)3Cl-
삭제
이때, 티타늄 전구체와 계면활성제와의 몰비는 3 : 0.01 ~ 3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 전구체와 계면활성제와의 몰비가 3 : 0.01 미만일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티타늄 전구체와 계면활성제와의 몰비가 3 : 1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 계면활성제의 첨가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의 몰농도는 0.05 ~ 2M인 것을 이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몰농도가 0.05 미만일 경우에는 그 농도가 낮은 관계로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계면활성제의 몰농도가 2M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숙성
숙성 단계(S120)에서는 졸-겔(sol-gel) 반응시킨 반응물을 15 ~ 25시간 동안 숙성한다. 이때, 숙성은 실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실온은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1 ~ 40℃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숙성 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숙성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숙성 시간이 2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과도한 숙성 시간으로 인해 생산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필터/세척
필터/세척 단계(S130)에서는 숙성된 반응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한다.
이때, 필터/세척 단계(S130)는 숙성된 반응물을 감압 필터링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 경우, 세척 과정은 3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건조
1차 건조 단계(S140)에서는 세척된 반응물을 1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수득한다. 이때, 1차 건조는 20 ~ 50℃에서 12 ~ 2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건조 온도가 20℃ 미만이거나, 1차 건조 시간이 12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물의 결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1차 건조 온도가 50℃를 초과하거나, 1차 건조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물의 결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으나, 비표면적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초음파 처리
초음파 처리 단계(S150)에서는 1차 건조 단계(S140)를 통하여 수득한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제2 용매에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용액에 대하여 10 ~ 120분간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초음파 처리는 혼합된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 내에 초음파 혼을 딥핑한 상태에서 스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매로는 물,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졸-겔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웜홀 형상의 기공(wormhole-like pore)을 갖는 이산화티탄의 미세 기공 구조(framework)가 무정형(amorphous)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무정형 구조(amorphous framework)의 미세 기공에 대한 결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초음파 처리를 실시할 경우, 무정형 구조(amorphous framework)의 나노기공은 점점 결정성을 갖는 구조로 변하게 된다. 즉, 반응조 내의 반응물에 대하여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통해 버블 붕괴(bubble collapse)가 될 때 국소적으로 5000K의 온도와 1000bar 정도의 압력 그리고 1010K/s의 가열비/냉각비 등이 극한의 조건(extreme condition)을 갖게 된다. 이런 이유로, 반응물의 결정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반응물 표면의 화학반응(chemical reactivity)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초음파 처리는 10 ~ 30KHz의 주파수 및 80 ~ 120W의 출력 전력을 갖는 고밀도 초음파(high-intensity ultrasound)를 10 ~ 120분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 초음파 처리 시간이 10분 이상일 때부터 TiO2의 아나타제상(Anatase phase)의 회절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분 이후부터 계속적으로 결정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초음파 출력 전력이 80W 미만이거나, 초음파 처리 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에는 비표면적의 증가가 두드러질 수는 있으나, 결정성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초음파 출력 전력이 120W를 초과하거나, 초음파 처리 시간이 1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목표로 하는 비표면적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처리를 하기 전, 반응물의 비표면적은 약 700m2/g 정도이지만, 초음파 처리를 10분간 실시하게 되면 대략 600m2/g로, 그리고 40분간 실시하게 되면 대략 400m2/g로 비표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음파 출력 전력 및 초음파 처리 시간을 상기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만 적정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결정성이 우수한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밀도 초음파(high-intensity ultrasound)를 인가할 경우 아나타제(anatase) 단독 결정상뿐만 아니라, 아나타제(anatase) + 브루카이트(brookite)의 복합 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 상(bicrystalline phase)은 광분해 효과 면에서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2차 건조
2차 건조 단계(S160)에서는 초음파 처리된 혼합 용액을 2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수득한다. 이때, 2차 건조는 실온에서 진공 건조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실온은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15 ~ 45℃를 제시할 수 있다. 2차 건조 온도가 15℃ 미만일 경우에는 건조 온도가 너무 낮은 관계로 반응물의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2차 건조 온도가 45℃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건조로 인하여 비표면적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S110 ~ S160)으로 제조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는 평균 직경이 1 ~ 3nm의 웜홀 형상(wormhole-like)의 기공을 갖는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결정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는 웜홀 형상의 미세 기공에 의하여 유기물 광분해 능력이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료 제조
실시예 1
티타늄 전구체로는 알드리치 사(Aldrich社)의 티타늄 엔-부톡사이드(titanium n-butoxide)(97%)를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로는 알드리치 사(Aldrich社)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사용하였다.
먼저, 티타늄 엔-부톡사이드(titanium n-butoxide)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 CTAB) 용액을 5분 동안 기계식 강력 교반기로 혼합하여 25℃에서 졸-겔 반응시킨 후, 20℃에서 20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후, 숙성된 반응물을 감압 필터링하면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3차례 세척한 다음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35℃에서 1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증류수에 혼합하고 나서 혼합 용액에 대하여 25KHz 및 100W로 60분간 초음파 처리(ultrasonification)를 실시한 다음 35℃에서 1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0분간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30KHz 및 120W로 90분간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30KHz 및 110W로 120분간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0KHz 및 90W로 5분간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3g의 티타늄 나노파우더(titanium nanopowder)를 150g의 10M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용액과 잘 혼합하여 120℃에서 24시간 동안 알카리 수열합성 반응을 실시하고, 티타늄층(titanium layer)에 삽입(intercalation)되어 있는 나트륨 양이온(Na+)을 제거하기 위하여 150g의 0.1M 염산으로 10분 동안 세척한 후에 생성된 티타늄 침전물을 감압 필터링하면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2차례 세척하고 60℃의 드라이오븐(dry oven)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나노 구조의 이산화티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광촉매로 널리 쓰이고 있는 Degussa사의 P25 TiO2를 마련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1094070343-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의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207 ~ 615m2/g로 적정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경우에는 목표값을 상향하는 비표면적을 가지나, 원하는 결정성을 갖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경우에는 목표값에 만족하는 비표면적을 가지기는 하나, 웜홀 형상의 나노기공을 구비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경우에는 목표값에 턱없이 미달하는 5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고배율 전자투과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는 평균 직경이 대략 2nm의 웜홀 형상(wormhole-like)의 기공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에 대한 엑스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a, b)의 경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e)에 비하여 결정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초음파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결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유기물 광분해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유기물 광분해 실험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을 Reactive Black 5 : 1mg/L와 Rhodamine B 0.1g/L와 함께 밀폐된 시험관 내에서 40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물 광분해 실험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a)가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f, g)에 비하여 정화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비교예 2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f, g)에 비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a)의 정화능력이 우수한 것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a)의 경우 웜홀 형상의 나노기공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적정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우수한 결정성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졸-겔 반응 단계
S120 : 숙성 단계
S130 : 필터/세척 단계
S140 : 1차 건조 단계
S150 : 초음파 처리 단계
S160 : 2차 건조 단계

Claims (5)

  1. (a) 티타늄 전구체 및 계면활성제를 제1 용매에 혼합하여 졸-겔(sol-gel)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졸-겔(sol-gel) 반응시킨 반응물을 15 ~ 2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숙성된 반응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하는 단계;
    (d) 상기 세척된 반응물을 20 ~ 50℃에서 1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e) 상기 수득한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제2 용매에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용액에 대하여 10 ~ 120분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
    (f)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 용액을 15 ~ 45℃에서 2차 건조하여 이산화티탄 광촉매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 엔-부톡사이드(titanium n-butoxide), 티타늄 아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 및 티타늄 클로라이드(titanium chloride)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에서 n = 15를 만족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또는 하기 화학식 2에서 n = 15를 만족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chl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화학식 1 : CH3(CH2)nN+(CH3)3Br-
    화학식 2 : CH3(CH2)nN+(CH3)3Cl-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전구체 및 계면활성제의 몰비는
    3 : 0.01 ~ 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 30KHz의 주파수 및 80 ~ 120W의 출력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아나타제(anatase) 단상 또는 아나타제(anatase) + 브루카이트(brookite)의 복합 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KR1020110124982A 2011-11-28 2011-11-28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KR10117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82A KR101173275B1 (ko) 2011-11-28 2011-11-28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82A KR101173275B1 (ko) 2011-11-28 2011-11-28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275B1 true KR101173275B1 (ko) 2012-08-10

Family

ID=4688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982A KR101173275B1 (ko) 2011-11-28 2011-11-28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2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674A (ja) 2004-03-31 2005-10-20 Murata Mfg Co Ltd アナターゼ型二酸化チタン粉末の製造方法
KR101065804B1 (ko) 2008-09-11 2011-09-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균일한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674A (ja) 2004-03-31 2005-10-20 Murata Mfg Co Ltd アナターゼ型二酸化チタン粉末の製造方法
KR101065804B1 (ko) 2008-09-11 2011-09-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균일한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al. Lett. 2008, Vol. 125, pp.183-19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oseco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 nanostructures: Nanotubes, nanofibers, nanowires and nanoparticles
KR101141725B1 (ko) 자외선 및 가시광 영역에서 광활성이 우수한 불순물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대량 제조방법
Mohamed et al. H2 production with low CO selectivity from photocatalytic reforming of glucose on Ni/TiO2-SiO2
CN101525152B (zh) 一种菊花状三维TiO2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41749B1 (ko) 가시광 응답형 그라핀 산화물-이산화티탄 복합 나노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1559979A (zh) 一种超细锐钛矿相二氧化钛纳米棒的制备方法
US8357348B2 (en) Method for preparing uniform anatase-type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Carlucci et al. Selective synthesis of TiO 2 nanocrystals with morphology control with the microwave-solvothermal method
Zhao et al.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tic H2 evolution from water splitting with band structure tunable solid solution (AgNbO3) 1− x (SrTiO3) x
Ming et al. Fluoride ion-promoted hydrothermal synthesis of oxygenated g-C3N4 with high photocatalytic activity
Dahl et al. Control of the crystallinity in TiO 2 microspheres through silica impregnation
CN104826628A (zh) 一种在可见光下具有高催化降解活性的石墨烯–铁掺杂TiO2纳米线的制法
Jadhav et al. Degradation of Dyes Using High Temperature Stable Anatase Nanosphere TiO 2 Photocatalyst.
Sun et al. Ultrasound-driven ferroelectric polarization of TiO2/Bi0. 5Na0. 5TiO3 heterojunctions for improved sonocatalytic activity
Fang et al. Mesocrystal precursor transformation strategy for synthesizing ordered hierarchical hollow TiO 2 nanobricks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property
He et al. Biogenic C-doped titania templated by cyanobacteria for visible-ligh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Qamar et al. TiO2-based nanotubes modified with nickel: synthesis, properties, and improved photocatalytic activity
CN103601239A (zh) 一种锐钛矿和板钛矿的混晶TiO2纳米线的制备方法
Cabrera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1D TiO2 nanostructures
US8420046B1 (en) Method of preparing high crystalline nanoporous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KR101173275B1 (ko)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광촉매 제조 방법
KR101164408B1 (ko) 고비표면적 및 고결정성을 갖는 나노기공 광촉매 및 그 제조 방법
Souza et al. Influence of preparation methodology on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nitrogen doped titanate and TiO2 nanotubes
Rhee et al. Synthesis of nitrogen-doped titanium oxide nanostructures via a surfactant-free hydrothermal route
KR101141743B1 (ko) 실온에서 제조가 가능한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