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893B1 -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893B1
KR101172893B1 KR1020050114825A KR20050114825A KR101172893B1 KR 101172893 B1 KR101172893 B1 KR 101172893B1 KR 1020050114825 A KR1020050114825 A KR 1020050114825A KR 20050114825 A KR20050114825 A KR 20050114825A KR 101172893 B1 KR101172893 B1 KR 10117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hammer
link
vibration
generating device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322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8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bstract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구조물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진동을 인가하임팩트 해머의 낙하 방향이 측정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고 임팩트 해머의 충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바닥면에 타격을 주기 위한 임팩트 해머; 상측 끝단이 상기 거치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임팩트 해머에 힌지 결합되며, 동일한 높이로 상호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각각 마련되는 제1 절곡링크 및 제2 절곡링크; 상기 임팩트 해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임팩트 해머의 타격력과 타격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 혼자서 임팩트 해머 타격과 진동 측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임팩트 해머 타격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50114825
진동, 해머, 타격, 수직, 절곡링크, 전자석

Description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using impact hammer}
도 1은 종래 임팩트 해머의 올바른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임팩트 해머의 잘못된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가 동작되어 임팩트 해머가 상승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제2 실시예가 동작되어 임팩트 해머가 상승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프레임 200 : 임팩트 해머
310 : 제1 절곡링크 320 : 제2 절곡링크
330 : 힌지 340 : 탄성체
400 : 승강수단 410 : 당김줄
420 : 도르레 430 : 작동레버
500 : 데이터 로거 600 : 하강수단
610 : 자성체 620 : 전자석
630 : 스위치
본 발명은 구조물 진동실험에 사용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임팩트 해머의 낙하 방향이 측정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고 임팩트 해머의 충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해머(Impact Hammer)는 구조물에 충격력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즉, 구조물에 가진(加振)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가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진기(Exciter)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진기가 불균형 질량체(Unbalanced Mass Body)를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가진력을 얻는 반면, 임팩트 해머는 실험자가 해머를 치듯이 수동으로 구조물을 타격하여 가진력을 얻는다. 따라서 임팩트 해머는 가진기에 비해 가진력은 작지만, 운용이 간편하여 건물 바닥시스템의 진동실험이나 소형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임팩트 해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임팩트 해머의 올바른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임팩트 해머의 잘못된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팩트 해머(1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헤드부(12)와, 헤드부(12)의 저면에 결합되어 헤드부(12)가 바닥면(F)을 향해 낙하하였을 때 헤드부(12)의 파손을 방지하는 고무팁(14)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취할 수 있도록 헤드부(12)에 결합되는 손잡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6)를 잡고 고무팁(14)이 장착된 부위가 바닥면(F)과 접촉되도록 헤드부(12)로 바닥면(F)을 타격함으로써, 충격력 및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헤드부(12)에는 로드셀(18)이 마련되어 있어, 헤드부(12)의 타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임팩트 해머(1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운반 및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숙련된 실험자가 아니면 성공적인 실험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임팩트 해머는 실험자가 수동으로 다루기 때문에 실험자마다 해머를 치는 방법이 다르며, 따라서 일정한 가진력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반드시 진동실험에서 정확히 동일한 가진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가진력의 변동이 크게 되면 그만큼 실험결과의 실험오차 가능성이 크게 된다.
특히, 임팩트 해머(10)는 가진되는 구조물의 바닥면(F)에 수직으로 타격을 하지 아니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히 타격을 하게 되면 정확한 가진력 진동수 성분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임팩트 해머(10)를 정확히 수직으로 타격하는 것은 숙련된 실험자가 아니면 쉽지 않은 일이며, 숙련된 실험자라 하더라도 한번의 실험에서 수백 번의 타격을 하다보면 자연히 정확한 타격을 하는 빈도가 떨어지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건물 바닥시스템 진동모드 실험의 경우, 진동모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5개의 지점을 타격해야 하는데, 지점 당 최소한 3개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항이다. 따라서 모든 타격을 정확히 한다고 해도 한번의 실험에 75번의 타격이 필요하며, 보통 숙련된 실험자라 하더라도 한번의 정확한 타격을 위해 서너 번의 타격을 하기가 일쑤이다. 이렇게 되면 한번의 진동실험에 보통 수백 번의 타격이 필요하며, 건물 진동실험을 위한 임팩트 해머(10)의 중량이 보통 5~10㎏ 정도 되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임팩트 해머(10)를 조작하는 경우 임팩트 해머(10) 낙하 시 신체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물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임팩트 해머의 타격력과 타격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가진 실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임팩트 해머 타격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바닥면에 타격을 주기 위한 임팩트 해머;
상측 끝단이 상기 거치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임팩트 해머에 힌지 결합되며, 동일한 높이로 상호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각각 마련되는 제1 절곡링크 및 제2 절곡링크;
상기 임팩트 해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는 중단이 상호 힌지 결합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일측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를 접어 상기 임팩트 해머가 상승시키는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당김줄은, 일측이 상기 임팩트 해머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의 중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당김줄은 일측이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가 상호 힌지 결합된 부위에 결 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당김줄의 타측을 끌어 내림으로써 상기 당김줄의 일측이 상승되도록, 상기 당김줄의 방향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도르레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당김줄의 타측이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임팩트 해머에 발생되는 진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임팩트 해머가 상승된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였다가 상기 임팩트 해머를 하강시킬 수 있는 하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강수단은,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절곡링크에 결합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 절곡링크와 제2 절곡링크가 접혀질 때 상기 자성체와 접촉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계수의 변경을 통해서 타격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가 동작되어 임팩트 해머가 상승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바닥면(F)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거치부(110)와 상기 거치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바닥면(F)과 접촉되는 저면에 고무팁(210)이 마련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면(F)을 향해 낙하함으로써 상기 바닥면(F)에 타격을 주는 임팩트 해머(200)와, 상측 끝단이 상기 거치부(110)에 힌지(330) 결합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힌지(330) 결합되며 동일한 높이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330)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각각 마련되는 제1 절곡링크(310) 및 제2 절곡링크(320)와, 상기 임팩트 해머(2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는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중단이 상호 힌지(330) 결합되고, 일측이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상호 힌지(330) 결합된 부위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승되도록 당져짐에 따라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를 접어 상기 임팩트 해머(200)를 상승시키는 당김줄(410)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당김줄(410)을 위로 당겨 임팩트 해머(200)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즉,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를 접었다가 당김줄(410)을 놓으면, 상기 임팩트 해머(200)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하여 바닥면(F)에 충돌되고 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임팩트 해머(20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에 결합되어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는 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하고 오직 수직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할 때 고무팁(210)의 저면 전체가 바닥면(F)과 동시에 접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를 사용하면 숙련도가 낮은 사용자라도 반복적으로 임팩트 해머(200)를 수직으로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는, 각각 3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각 링크간은 힌지(330)로 결합되어 두 지점에서 절곡 가능하도록 즉, 두 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절곡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의 높이가 사용자의 키보다 큰 경우 당김줄(410)을 위로 끌어 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상기 당김줄(410)의 방향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도르레(4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르레(420)가 마련되면, 사용자는 당김줄(410)의 타측을 끌어 내림으로써 상기 당김줄(410)의 일측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임팩트 해머(20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임팩트 해머(200)를 상승시키는 작업을 메인 프레임(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할 수 있으므로, 임팩트 해머(200)가 낙하할 때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당김줄(41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상호 힌지(330) 결합된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임팩트 해머(200)에는 진동 특성을 계측하기 위한 로드셀(미도시)이 마련되고,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로드셀에 연결되어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발생되는 진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5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동 발생장치와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진동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이 보다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임팩트 해머(200)가 바닥면(F)을 타격할 때 발생되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로거(500)는 구성 및 기능에 있어 종래의 진동 측정에 사용되는 데이터 로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 제2 실시예가 동작되어 임팩트 해머가 상승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당김줄(410)을 당겨 임팩트 해머(2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당김줄(410)을 놓아 임팩트 해머(200)를 하강시키는 작업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임팩트 해머(200)의 하강이 시작되는 지점이 미세하게 변경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임팩트 해머(200)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임팩트 해머(200)가 상승된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는, 상기 임팩트 해머(200)가 상승된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였다가 상기 임팩트 해머(200)를 하강시킬 수 있는 하강수단(60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강수단(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에 결합되는 자성체(610)와,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접혀질 때 상기 자성체(610)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자석(620)과, 상기 전자석(6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당김줄(410)을 당겨 임팩트 해머(200)를 상승시키면 자성체(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620)에 붙게 되고, 일단 자성체(610)가 전자석(620)에 부착물이 붙으면 자력에 의해 임팩트 해머(200)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를 더 이상 당기고 있을 필요 없이 데이터 로거(500)에 위치하여 측정 준비를 할 수 있다. 측정 준비가 완료되면 실험자는 타격지점이 아닌, 데이터 로거(500) 위치에서 스위치(630)를 조작하여 임팩트 해머(200)가 대상 구조물을 타격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타격지점에 위치하여 타격을 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타격자와 데이터 로거(500) 조작자가 별도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를 사용하면 1명의 사용자가 임팩트 해머(200)의 타격과 측정을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임팩트 해머(200) 타격시 실험자가 대상 구조물에서 떨어져 있어야 하는 실험의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강수단(600)이 추가되면, 사용자는 간편하게 진동 발생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진동 측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석(620)과 스위치(6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대상 실험 구조물이 커서 보다 큰 타격력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40)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340)는 임팩트 해머(200)가 상승하도록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접혔을 때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의 간격이 멀어지는 지점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당김줄(410)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임팩트 해머(200)가 보다 큰 힘으로 바닥면(F)을 타격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340)를 코일형 스프링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상기 탄성체(34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종 다양한 형상의 스프링이나 탄성물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진동 발생장치는, 임팩트 해머(200)를 위로 당겨 올리는 높이를 변경시킴으로써 타격력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체(340)의 탄성계수(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체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스프링계수) 변경을 통해서도 타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당김줄(410)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승강수단(400)은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힌지(330) 결합되고 상기 당김줄(410)의 타측이 결합되는 작동레버(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발생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임 팩트 해머의 타격력과 타격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 혼자서 임팩트 해머 타격과 진동 측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타격이 이루어지는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임팩트 해머 타격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임팩트 해머 타격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바닥면(F)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거치부(110)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바닥면(F)에 타격을 주기 위한 임팩트 해머(200);
    상측 끝단이 상기 거치부(110)에 힌지(330) 결합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힌지(330) 결합되며, 동일한 높이로 상호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각각 마련되는 제1 절곡링크(310) 및 제2 절곡링크(320);
    상기 임팩트 해머(2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 및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는 중단이 상호 힌지(330)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일측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를 접어 상기 임팩트 해머(200)가 상승시키는 당김줄(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410)은, 일측이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는 중단이 상호 힌지(330) 결합되고,
    상기 당김줄(410)은 일측이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상호 힌지(330) 결합된 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당김줄(410)의 타측을 끌어 내림으로써 상기 당김줄(410)의 일측이 상승되도록 상기 당김줄(410)의 방향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도르레(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330) 결합되고 상기 당김줄(410)의 타측이 결합되는 작동레버(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해머(200)에 발생되는 진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해머(200)가 상승된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였다가 상기 임팩트 해머(200)를 하강시킬 수 있는 하강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수단(600)은,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절곡링크에 결합되는 자성체(610)와, 상기 제1 절곡링크(310)와 제2 절곡링크(320)가 접혀질 때 상기 자성체(610)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자석(620)과, 상기 전자석(6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40)는 탄성계수의 변경을 통해서 타격력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0050114825A 2005-11-29 2005-11-29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KR10117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25A KR101172893B1 (ko) 2005-11-29 2005-11-29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825A KR101172893B1 (ko) 2005-11-29 2005-11-29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22A KR20070056322A (ko) 2007-06-04
KR101172893B1 true KR101172893B1 (ko) 2012-08-10

Family

ID=3835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825A KR101172893B1 (ko) 2005-11-29 2005-11-29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41B1 (ko) * 2009-12-24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충격 가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30B1 (ko) 2000-10-17 2003-04-18 학교법인 계명기독학원 회전식 충격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30B1 (ko) 2000-10-17 2003-04-18 학교법인 계명기독학원 회전식 충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22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46B1 (ko) 헬릭스 말뚝용 동재하시험 전용기
KR101739075B1 (ko) 구조물의 동강성 계측을 위한 모터 제어 가진장치
US5696312A (en) Accelerated impact testing apparatus
KR100975965B1 (ko) 충격시험기
WO2020049675A1 (ja) 水平式衝撃試験装置
US20040261494A1 (en) Impact generating device for impact tester
KR101172893B1 (ko)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진동 발생장치
US10941538B2 (en) Hammering system with electromagnetic power for dynamic pile testing
JP7026901B2 (ja) 打撃装置および固有周波数測定装置
KR101970579B1 (ko) 오토 임팩트 해머링장치
KR20210132287A (ko) 충격하중 타격장치,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안정성 평가 시스템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 방법
JP2908987B2 (ja) 陶磁器の衝撃強度測定装置
KR20210081722A (ko) 리바운드 체크장치
KR101729285B1 (ko) 선박의 장비 받침대용 구조물 동강성 계측 및 분석 시스템
JP3137559U (ja) 打検機
JP2010091382A (ja) 衝突試験装置
JP3857708B2 (ja) 歪み波形制御装置、歪み規制部材、歪み波形制御装置の歪み波形制御方法、及び歪み波形制御プログラム
JP3685126B2 (ja) 落下衝撃試験装置
CN211067151U (zh) 实验用大鼠脊髓损伤打击装置
JP7297202B2 (ja) 標準貫入試験装置
KR20100025902A (ko) 인장 시험용 표점 표시 장치
JP2004163173A (ja) 構造物の状態検出方法、検出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H087111B2 (ja) 家具強度試験機
CN210347052U (zh) 一种光伏组件破损量测试用防二次撞击装置
CN214251886U (zh) 一种用于混凝土数显回弹仪的多功能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