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642B1 -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 Google Patents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642B1
KR101172642B1 KR1020110103900A KR20110103900A KR101172642B1 KR 101172642 B1 KR101172642 B1 KR 101172642B1 KR 1020110103900 A KR1020110103900 A KR 1020110103900A KR 20110103900 A KR20110103900 A KR 20110103900A KR 101172642 B1 KR101172642 B1 KR 10117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base plate
plate
reinforcing ring
sl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대복
손주혁
박규연
정문홍
민기훈
신준호
부교탁
김재호
황의성
하덕용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피에이치씨파일은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의 선단슈에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스파이크를 형성한 보강판 또는 보강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지반에 파일을 매입하는 매입형공법에서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는 발생하는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도록 하여 선단지지면적을 극대화한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피에이치씨파일이다.

Description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Shoe assembly and Step-Tapered PHC pile with shoe assembly for minimize the slime effect}
본 발명은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부에 결합구성하여, 지반에 파일을 매입하는 매입형공법에서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도록 하여 선단지지면적을 극대화하고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은 타입공법과 매입공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설치 방법에 따라 타입공법에는 타격공법과 프리보링병용 타격공법이 있고, 매입공법에는 프리보링공법, 중굴공법, 회전압입공법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타입공법과 매입공법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부에는 평판형의 플랫형 슈 또는 철판에 凹형 엠보싱을 형성한 마밀라형 슈가 주로 사용되며, 매입공법시에는 지반을 굴삭하여 파일을 매입할 때, 선단부는 굴삭공의 하부의 지지기반에 닿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 특허공개 2008-0093389(특허문헌 1)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파일 선단부에 콘크리트파일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평면의 확장철판 또는 외경이 콘크리트파일의 외경보다 크면서 콘크리트파일의 내경측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확장철판이 콘크리트파일 내에 배근된 피씨강봉(15)으로 고정되어 콘크리트파일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 콘크리트파일을 구성하여 선단지지력을 강화하도록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배경기술에서는 종래의 피에이치씨파일보다 선단지지력의 강화 효과가 없었으며,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는 슬라임(slime)이 발생하게 되고, 이 슬라임 때문에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2008-00933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파일을 매입하는 매입형공법에서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 발생하는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슈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어, 보강판이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결합하고, 베이스플레이트는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부에 구성된 슈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이 구성되어 보강판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착홈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보강판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슈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스파이크가 구성되며,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서로 다른 링형상의 제1보강링과 제2보강링;으로 구성되어 제1보강링와 제2보강링이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링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이 구성되어 제1보강링와 제2보강링이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착홈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제1보강링와 제2보강링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단부에 플랫형 또는 마밀라형의 선단슈가 구성된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에 있어서,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슈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어, 보강판이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의 선단부에 구성된 슈의 외측면에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안착홈과, 안착홈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보강판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가 구성되어 보강판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은 지반에 파일을 매입하는 매입형공법에서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는 발생하는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변형예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는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의 단면도로써,
도 8a는 플랫형슈에 설치된 단면도,
도 8b는 마밀라형슈에 설치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의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마밀라타입 일체형 확장철판이 설치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1)는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210)가 형성되는 보강판(200);으로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된다.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는 선단슈(20)가 구성되는데, 선단슈(20)의 외부 표면에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용접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10)의 선단부의 선단슈(2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거나, 중앙부가 오목한 마밀라 슈가 사용된 선단슈(20)의 경우에는 중앙의 오목부(21)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은 ST(Step Tappered)말뚝이라고도 하며, 파일 몸체보다 선단부의 직경을 크게하여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파일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역할은 보강판(200)이 안착될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보강판(200)은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210)가 형성된다.
보강판(200)은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잘린 부채꼴의 형상을 하는 것은 다수개의 보강판(200)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구성할 때 결합의 용이성과 원가절감의 효과와 더불어, 중앙에 스파이크(210)가 구성되면 미리 천공된 지반에 파일을 매입할 때, 지지기반에는 발생하는 슬라임(30)에 의하여 중앙부가 마치 펜슬형 슈와 같은 구성이 되어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스파이크(210)는 보강판(200)의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210)는 지지기반의 슬라임(slime)에 의하여 피에치씨파일의 선단부가 지지기반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등한 선단지지력이 발현하게 한다. 스파이크(210)가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스파이크(2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구성되는 모든 보강판(200)의 표면에 균일하게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보강판(200)은,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하고,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 구성된 선단슈(20)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기반의 슬라임 등 여러 상황에 따라 보강판(200)에 구성된 스파이크(210)의 크기 및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스파이크(210)의 크기 및 간격 등의 규격을 달리하여 여러 규격의 보강판(200)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보강판(200)을 현장상황에 맞추어 동일한 규격의 보강판(200)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하여 달리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선단슈(20)와의 결합, 보강판(200)의 베이스플레이트(100)와의 결합은 용접결합으로 결합을 공고히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110)이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홈(110)은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보강판(200)의 형상이 잘린 부채꼴 형상이고,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원형이므로 보강판(200)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보강판(200)이 위치할 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보강판(200)이 안착하도록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보강판(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안착홈(110)의 측면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되며, 보강판(200)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홈(110)의 내부 측면에는 홈을 형성한 걸림홈(111)이 형성되고, 보강판(200)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가 형성되어, 보강판(200)을 안착홈(110)에 압입하여 걸림돌기(220)가 걸림홈(111)에 인입되어 결착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돌기(220)는 안착홈(110)으로 인입되는 부분에서 부터 사선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한 후에는 보강판(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안착홈(110)에 보강판(200)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여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보강판(200)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미리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다양한 규격의 보강판(200)을 현장에서 상황에 맞추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도 이탈이 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여러 규격의 보강판(200)을 단순히 압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이 파격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현장상황에 맞춰 다양한 규격의 보강판(2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는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스파이크(210a)가 구성되며,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서로 다른 링형상의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으로 구성되어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된다.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는 선단슈(20)가 구성되는데, 선단슈(20)의 외부 표면에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용접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10)의 선단부의 선단슈(2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거나, 중앙부가 오목한 마밀라 슈가 사용된 선단슈(20)의 경우에는 중앙의 오목한 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역할은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이 안착될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있다.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은 반지름이 서로다른 링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보강링(200a)의 내부지름보다 제2보강링(200b)의 외부지름이 작도록 구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하였을 때, 제2보강링(200b)이 제1보강링(200a)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에 구성되는 스파이크(210a)는 지지기반의 슬라임(slime)에 의하여 피에치씨파일의 선단부가 지지기반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등한 선단지지력이 발현하게 한다. 스파이크(210a)가 슬라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스파이크(210a)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구성되는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의 표면에 균일하게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링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110a)(110b)이 구성되어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안착홈(110a)(110b)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홈110a)(110b)은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형상이 링형상이고,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원형이므로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위치할 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안착하도록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안착홈(110a)(110b)의 측면에는 걸림홈(111a)이 형성되며,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a)(220b)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홈(110a)(110b)의 내부 측면에는 홈을 형성한 걸림홈(111a)이 형성되고,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a)가 형성되어,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을 안착홈(110a)(110b)에 압입하여 걸림돌기(220a)가 걸림홈(111a)에 인입되어 결착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돌기(220a)는 안착홈(110a)(110b)으로 인입되는 부분에서 부터 사선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한 후에는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안착홈(110a)(110b)에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여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미리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다양한 규격의 스파이크(210a)가 형성된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을 현장에서 상황에 맞추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도 이탈이 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은 선단부에 플랫형 또는 마밀라형의 선단슈(20)가 구성된 피에치씨파일에 있어서,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210)가 형성되는 보강판(200);으로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1)가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 구성된 선단슈(20)의 외측면에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1)는 선단확경 피에치씨 파일(10)의 선단부에 구성되는데, 선단슈(20)가 구성된 단부의 전체를 차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크기를 정하거나, 마밀라형 슈의 경우에는 중앙부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시켜 결합하여도 된다. 보강판(200)의 크기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크기에 따라 적용된다.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은 ST(Step Tappered)말뚝이라고도 하며, 파일몸체보다 선단부의 직경을 크게하여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파일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부의 선단지지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에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보강판(200)을 구성하였지만, 일반 피에치씨파일의 선단부에 구성하여 사용하여도 선단지지력 강화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안착홈(110)과, 안착홈(110)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111)이 형성되며, 보강판(200)의 측면에는 걸림홈(220)이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 미리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결합시켜 놓고, 현장에서 바로 현장상황에 맞는 규격의 보강판(200)을 압입하여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미리 보강판(200)을 용접하여 이동하거나, 현장에서 규격에 맞지 않는 보강판(200)을 사용하여 재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의 단면도이며,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는 주로 플랫형슈(20a)나 마밀라형슈(20b)의 선단슈(20)가 구성되는데, 선단슈(20)의 외부 표면에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용접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형슈(20a)의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10)의 선단부의 선단슈(2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오목한 마밀라형슈(20b)가 사용된 선단슈(20)의 경우에는 중앙의 오목부(21)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의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100)을 지반에 매입하는 매입형공법에서 굴삭시 물, 고정액 등에 의하여 파일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지기반에는 발생하는 슬라임(30)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선단지지력이 균등하게 발현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10 : 선단확경 피에치씨파일 20 : 선단슈
20a : 플랫형슈 20b : 마밀라형슈
21 : 오목부 30 : 슬라임(slime)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110a, 110b : 안착홈
111, 111a : 걸림홈 200 : 보강판
200a : 제1보강링 200b : 제2보강링
210 : 스파이크 220, 220a, 220b : 걸림돌기

Claims (8)

  1.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210)가 형성되는 보강판(200);으로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110)이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안착홈(110)의 측면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되며, 보강판(200)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4.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스파이크(210a)가 구성되며,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서로 다른 링형상의 제1보강링(200a)과 제2보강링(200b);으로 구성되어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링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110a)(110b)이 구성되어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이 안착홈(110a)(110b)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안착홈(110a)(110b)의 측면에는 걸림홈(111a)이 형성되며, 제1보강링(200a)와 제2보강링(200b)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a)(220b)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7. 원형의 평판재로 형성되어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슈(20) 단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일정한 중심각을 갖는 잘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스파이크(210)가 형성되는 보강판(200);으로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원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부채꼴형상의 홈을 형성한 안착홈(110)이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결합된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1)가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10)의 선단부에 구성된 선단슈(20)에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8. 제 7항에 있어서,
    안착홈(110)의 측면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되며, 보강판(200)의 측면에는 사선으로 돌기가 구성된 걸림돌기(220)가 구성되어 보강판(200)이 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가 형성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KR1020110103900A 2011-10-12 2011-10-12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KR10117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0A KR101172642B1 (ko) 2011-10-12 2011-10-12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0A KR101172642B1 (ko) 2011-10-12 2011-10-12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642B1 true KR101172642B1 (ko) 2012-08-09

Family

ID=4688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00A KR101172642B1 (ko) 2011-10-12 2011-10-12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6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231A1 (ko) * 2012-11-21 2014-05-30 이엑스티 주식회사 단부보강 파일 및 이의 보강판 제조방법
KR101418539B1 (ko) * 2012-11-21 2014-07-10 이엑스티 주식회사 단부보강 중공파일의 제작방법
CN104532833A (zh) * 2014-12-08 2015-04-22 浙江海洋学院 一种高效可控式自升式平台桩靴装置
KR101875075B1 (ko) * 2016-06-29 2018-07-05 이엑스티 주식회사 선단 확장 보강판 및 선단 확장 파일
KR101869705B1 (ko) * 2017-10-16 2018-07-19 김용모 지지력이 개선된 2단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KR102397367B1 (ko) * 2020-12-28 2022-05-12 주식회사 택한 파일용 선단 정착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43B1 (ko) 2003-04-01 2005-12-1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유효단면확대용 선단슈장치를 구비한 선굴착 강관말뚝의시공방법
KR100672039B1 (ko) 2004-05-17 2007-01-19 송기용 헤드 확장형 파일의 가변 확장부재
KR101011322B1 (ko) 2010-03-23 2011-01-28 최동섭 근입용 관입강관을 갖는 선단보강장치를 구비한 매입말뚝용 중공형 개단말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43B1 (ko) 2003-04-01 2005-12-1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유효단면확대용 선단슈장치를 구비한 선굴착 강관말뚝의시공방법
KR100672039B1 (ko) 2004-05-17 2007-01-19 송기용 헤드 확장형 파일의 가변 확장부재
KR101011322B1 (ko) 2010-03-23 2011-01-28 최동섭 근입용 관입강관을 갖는 선단보강장치를 구비한 매입말뚝용 중공형 개단말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231A1 (ko) * 2012-11-21 2014-05-30 이엑스티 주식회사 단부보강 파일 및 이의 보강판 제조방법
KR101418539B1 (ko) * 2012-11-21 2014-07-10 이엑스티 주식회사 단부보강 중공파일의 제작방법
CN104532833A (zh) * 2014-12-08 2015-04-22 浙江海洋学院 一种高效可控式自升式平台桩靴装置
KR101875075B1 (ko) * 2016-06-29 2018-07-05 이엑스티 주식회사 선단 확장 보강판 및 선단 확장 파일
KR101869705B1 (ko) * 2017-10-16 2018-07-19 김용모 지지력이 개선된 2단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KR102397367B1 (ko) * 2020-12-28 2022-05-12 주식회사 택한 파일용 선단 정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642B1 (ko) 슬라임 영향을 최소화한 선단슈 어셈블리 및 그 선단슈 어셈블리가 결합된 선단확경 피에이치씨파일
JP2010095987A (ja) 路面仮復旧用部材及び路面仮復旧工法
KR20130131837A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59036B1 (ko) 토사 유입방지 및 시공 안정성이 확보된 건축물 기초흙막이 벽체 설치방법 및 그 기초흙막이 벽체 설치구조
KR200480962Y1 (ko) 파일 연결용 무용접 연결구
KR20130131836A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6586873B2 (ja) 地盤安定構造及び地盤安定工法
KR100900045B1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파일
KR101417507B1 (ko) 강관 접합 구조물
KR20200006648A (ko)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59144B1 (ko) 건축용 콘크리트 파일
KR102132064B1 (ko) 콘크리트 파일용 분리 조립식 이음장치
KR101724407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JP3748126B2 (ja) 杭の継手構造
JP4057635B1 (ja) 土留め鋼管および土留め工法
KR101567358B1 (ko) 보강 리브가 형성된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물의 기초판 보강방법
KR200454341Y1 (ko) 중장비용 습지작업 장치
KR101270040B1 (ko) 견고한 연장수단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
JP7281125B2 (ja) Rcセ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の挿入型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セrc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
KR20140010275A (ko) 선단확장형 파일
KR101915189B1 (ko) 흙막이 구조물
KR200453240Y1 (ko) 관매설용 지지구
JP6545557B2 (ja) セグメント
JP2018044400A (ja) 鋼管杭
JP2017095864A (ja) 地盤安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