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275A - 선단확장형 파일 - Google Patents

선단확장형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275A
KR20140010275A KR1020120077267A KR20120077267A KR20140010275A KR 20140010275 A KR20140010275 A KR 20140010275A KR 1020120077267 A KR1020120077267 A KR 1020120077267A KR 20120077267 A KR20120077267 A KR 20120077267A KR 20140010275 A KR20140010275 A KR 2014001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discharge hole
main body
matter discharg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910B1 (ko
Inventor
이대동
Original Assignee
이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동 filed Critical 이대동
Priority to KR102012007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9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Abstract

본 발명은 심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하며, 저면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향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이물질 배출공(201)이 형성된 확장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함으로써, 슬라임을 파고들어 천공 홀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단확장형 파일{EXTENDED PIL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반에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말뚝의 시공방법은 크게, 공장제작말뚝을 항타에 의해 근입하는 방법, 프리 보링 후 경타에 의해 근입하는 방법, 천공 홀에 배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인 항타공법은 말뚝으로서 상하단에 트임부가 형성된 속이 빈 관 구조의 강관이나 PHC 말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구조의 말뚝을 항타하는 경우 토사가 하단의 트임부를 통해 유입되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하부 지반에 압밀이 일어나 더 이상 토사의 유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이를 현장에서는 '바닥이 막힌다.'라고 표현한다),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항타공법은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시 항타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인 현장타설공법은 위와 반대의 장단점을 갖는다.
최근 항타공법에서 말뚝(10)의 하단에 말뚝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슈(20 : 선단 확장슈)를 장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선단확장형 파일)이 개발된바 있는데, 이는 말뚝의 슈(선단)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욱 큰 선단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1).
한편, 천공 홀의 저면에는 다량의 슬라임이 쌓이게 되는데(특히, 프리 보링 후 경타에 의해 근입하는 방법의 적용 시), 파일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파일의 바닥면이 위 슬라임을 파고들어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선단확장형 파일은 저면이 편평한 구조를 취하므로,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슬라임을 파고들어 천공 홀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심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하며, 저면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향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이물질 배출공(201)이 형성된 확장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부재(200)의 횡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재(200)의 하단에는 링형 구조의 접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접지부(21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210)와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 사이에는 내측으로 상향경사진 이물질 유도부(2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사이 영역에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세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방사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슬라임을 파고들어 천공 홀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단확장형 파일의 단면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단확장형 파일은 기본적으로, 심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하며, 저면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향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이물질 배출공(201)이 형성된 확장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이물질 배출공(201)을 통해 슬라임이 상측으로 제거되기 쉽고 부력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확장부재(200)의 저면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향 돌출된 구조(쐐기형 구조)를 취하므로, 슬라임을 파고들기 용이하고 천공 홀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부재(200)의 저면이 단순한 평면인 경우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게 되므로, 천공 홀의 저면과의 접촉면적이 커짐에 따라, 더욱 큰 선단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확장부재(200)의 횡단면은 원형구조를 취하는 것이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일의 2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이물질 배출공(201)이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경우이다(도 2 내지 5).
이 경우,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을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2,3).
나아가, 확장부재(200)의 하단에는 링형 구조의 접지부(210)가 형성되고, 이물질 배출공(201)은 접지부(21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접지부(210)와 이물질 배출공(201) 사이에는 내측으로 상향경사진 이물질 유도부(21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이물질 유도부(211)에 의해 슬라임을 이물질 배출공(201) 측으로 유도하여 더욱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는 점, 접지면적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둘째, 이물질 배출공(201)이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사이 영역에 복수 형성되고,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세모 형상을 취하는 경우이다(도 6 내지 8).
여기서 복수의 이물질 배출공(201)은 방사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의 이물질 배출공(201)은 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때, 확장부재(200)의 중앙부가 뾰족한 구조를 취한다면 천공 홀의 저면 지반을 파괴함에 따라 오히려 선단지지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그 중앙부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확장부재
201 : 이물질 배출공 210 : 접지부
211 : 이물질 유도부

Claims (9)

  1. 심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하며, 저면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향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이물질 배출공(201)이 형성된 확장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횡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하단에는 링형 구조의 접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접지부(21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210)와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 사이에는 내측으로 상향경사진 이물질 유도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사이 영역에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200)의 종단면은 세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방사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공(201)은 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부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
KR1020120077267A 2012-07-16 2012-07-16 선단확장형 파일 KR10139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67A KR101398910B1 (ko) 2012-07-16 2012-07-16 선단확장형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67A KR101398910B1 (ko) 2012-07-16 2012-07-16 선단확장형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75A true KR20140010275A (ko) 2014-01-24
KR101398910B1 KR101398910B1 (ko) 2014-05-27

Family

ID=5014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267A KR101398910B1 (ko) 2012-07-16 2012-07-16 선단확장형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99A1 (ko) * 2017-02-23 2018-08-30 유진지오 주식회사 파일장착용 선단슈
JP2021532296A (ja) * 2018-12-25 2021-11-25 北京科瑞恒基建筑科技発展有限公司 杭底グラウチングチャンバー及び使用方法、並びに場所打ち杭体及びそ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795A (ko) * 2008-01-22 2009-07-27 최동섭 선단보강 슈를 갖는 피에이치씨 파일
KR101011322B1 (ko) * 2010-03-23 2011-01-28 최동섭 근입용 관입강관을 갖는 선단보강장치를 구비한 매입말뚝용 중공형 개단말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99A1 (ko) * 2017-02-23 2018-08-30 유진지오 주식회사 파일장착용 선단슈
JP2021532296A (ja) * 2018-12-25 2021-11-25 北京科瑞恒基建筑科技発展有限公司 杭底グラウチングチャンバー及び使用方法、並びに場所打ち杭体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910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178B1 (ko) 파일장착용 선단슈
KR101515347B1 (ko) 선단 보강 말뚝
KR101398910B1 (ko) 선단확장형 파일
JP2017110382A (ja) 山留支持ユニット、山留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935006B1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101786471B1 (ko) 파일장착용 선단슈
KR20110136139A (ko) 복합파일을 이용한 지하골조구조물 시공방법
KR10180900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CN110337513B (zh) 打桩用前端靴
KR20110052321A (ko) 흙막이용 강관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JP6586873B2 (ja) 地盤安定構造及び地盤安定工法
KR101727206B1 (ko)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KR101869705B1 (ko) 지지력이 개선된 2단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KR101624897B1 (ko) 기초파일
KR101862622B1 (ko) Phc 파일
KR101083281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465111B1 (ko) 흙막이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85539B1 (ko)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지반보강용 파일
KR20220114757A (ko) 흙막이용 개량형 자립 파일 구조
KR101257905B1 (ko) 매입말뚝을 이용한 기초 공법
KR20140010277A (ko) 반원형 시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59152B1 (ko) 매입말뚝 조립체
JP4529631B2 (ja) 地下構造及び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101862621B1 (ko) 파일의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