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517B1 -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517B1
KR101172517B1 KR1020100070806A KR20100070806A KR101172517B1 KR 101172517 B1 KR101172517 B1 KR 101172517B1 KR 1020100070806 A KR1020100070806 A KR 1020100070806A KR 20100070806 A KR20100070806 A KR 20100070806A KR 101172517 B1 KR101172517 B1 KR 10117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gas
pipe
diffuser pip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075A (ko
Inventor
유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0007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5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벤트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을 구비한 디퓨져 파이프(140)와,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상측에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디퓨져 파이프에 연결된 인렛셀(150)과, 빗물이 상기 인렛셀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인렛셀의 상단을 막는 빗물커버(151)와, 상기 방출공을 통해 유출하는 가스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렛셀과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커버(160)를 포함하되, 상기 인렛셀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외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빗물안내수단(170)이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방출공을 통해 빗물 또는 응축수가 벤트배관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막는 격벽부(142)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스 방산탑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한편 내부로 유입된 빗물 또는 가스 벤트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가스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산탑을 통한 가스방출시에 트러블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drain apparatus of tower for diffusing gas}
본 발명은 가스 방산탑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한편 내부로 유입된 빗물 또는 가스 벤트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및 LPG 가스 기지국에는 가스 방산탑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가스 방산탑은 가스 기지국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에서 가스가 누설되어 방산탑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을 상회하는 이상 등이 발생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여야 할 경우 가스배관에 남아 있는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방산탑은, 가스 기지국의 가스배관 연결관로상 소정 위치에 약 20m~30m의 높이로 방산탑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산탑의 중앙부 외측과 상단부 외측 소정위치에는 작업자가 올라가서 목적하는 바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포옴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상부터 상단부측 플랫포옴까지에는 플랫포옴으로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산탑의 상부에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방출공이 형성된 디퓨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퓨져는 가스배관에 연결되는 벤트배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디퓨져의 상측에는 인렛셀이 설치되고, 상기 인렛셀의 상단에는 빗물이 상기 벤트배관 내부에 유입하지 않도록 빗물커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산탑에는 빗물이나 천연가스가 벤트될 시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방산탑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배관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방산탑 내부의 가스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뚜껑을 개방시켜 그 내측의 가스가 상기 디퓨져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폭발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가스 방산탑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을 점검하거나 또는 보수를 위하여 가스배관에 남아 있는 가수를 방출시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가스를 방산탑을 통해 방출시 고압 고속으로 방출되는 가스의 속도 및 압력에 의해 높은 음향 에너지와 펄스형의 강한 압력파(지속시간을 가지는 충격성 소음)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방산탑의 상단부에는 흡음재가 내장된 소음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퓨져는 상기 방출공을 통해 가스가 방출되면서 압력과 소음을 1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 방산탑에서 벤트배관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빗물커버가 설치되고 별도의 드레인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디퓨져의 방출공을 통해 여전히 빗물 또는 응축수가 벤트배관 내부로 유입하여 설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방산탑을 통한 가스방출시에 트러블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트배관 내부로 빗물 또는 응축수가 유입되지 않게 방산탑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는, 벤트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을 구비한 디퓨져 파이프와,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상측에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디퓨져 파이프에 연결된 인렛셀과, 빗물이 상기 인렛셀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인렛셀의 상단을 막는 빗물커버와, 상기 방출공을 통해 유출하는 가스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렛셀과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렛셀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외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빗물안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 하단부에는 빗물 또는 응축수가 상기 방출공을 통해 벤트배관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디퓨져 파이프의 하측을 막는 격벽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안내수단은, 상기 빗물커버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으도록 상기 빗물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제1안내 플랜지띠와, 상기 제1안내 플랜지띠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빗물커버의 외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1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을 통해 유출되는 빗물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안내 플랜지띠와, 상기 제2안내 플랜지띠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상기 외측커버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외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2안내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부가 세워지는 상기 외측커버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통로에 모이는 상기 빗물 또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 관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가스 방산탑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한편 내부로 유입된 빗물 또는 가스 벤트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가스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산탑을 통한 가스방출시에 트러블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 방산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도1의 가스 방산탑의 상부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도3은 도2의 빗물안내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2의 격벽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 방산탑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가스 방산탑의 상부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LNG 및 LPG 가스 기지국에는 가스배관 연결관로상에는 벤트배관(10)에 연결된 방산탑(10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산탑(100)은, 상기 벤트배관(10)의 수직부를 싸고 있는 보호관(110)의 외부에 보조 프레임(120)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110)의 상부에 플랫폼(130)이 설치되며, 상기 벤트배관(10)의 상단에 연결된 디퓨져 파이프(140)가 상기 플랫폼(13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상측에 챔버(S1)가 형성되도록 인렛셀(150)이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를 통해 유출되는 가스의 배출통로(S2)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렛셀(150)과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외측에 외측커버(160)가 상기 보호관(110)의 상단에 이어진 구조이다.
상기 보호관(110)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상기 플랫폼(130)에 오르내리도록 도시하지 않은 사다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110)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커버(16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제3드레인 구멍에 이어지는 드레인 관(11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보호관(110)의 강성을 높이는 지지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130)은, 상기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131)과, 상기 베이스판(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안전 핸드 레일(132)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형태의 작업대로 되어 있다.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는 상기 벤트배관(10)을 통해 상승한 가스가 배출되는 다수의 방출공(141)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으로서, 상기 방출공(141)을 통해 가스가 방출되면서 압력과 소음을 1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방출된 가스는 상기 배출통로(S2)를 통해 상승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외측 하단부에는 빗물 또는 응축수가 상기 방출공(141)을 통해 벤트배관(10)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막는 플랜지 형태의 격벽부(142)가 원주방향으로 따라 세워져 있다.
상기 격벽부(142)가 세워지는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통로(S2)를 통해 모이는 상기 빗물 또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드레인 관(115)에 연통하는 제3드레인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렛셀(150)은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호퍼 형태의 셀로서, 인렛셀(150)의 상단부에는 빗물이 상기 인렛셀(140)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빗물커버(151)가 볼록곡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커버(160)는, 원통관(161)의 하단이 축소되는 하경사부(162)를 이루어 상기 보호관(110)에 이어지고, 원통관(161)의 상단이 확장되는 상경사부(163)를 이루어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통형태로서, 상기 상경사부(163)에는 가스를 배출시키지 않을 경우에 덮어 상기 배출통로(S2)를 막는 도시하지 않은 뚜껑이 자동으로 개폐가능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인렛셀(150)과 상기 외측커버(160)는 다수의 연결대(18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인렛셀(150)이 정위치하는 한편 보강되게 설치된다.
상기 원통관(161)의 내면에는 상기 배출통로(S2)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한 소음을 흡수되는 한편 감압이 이루어지도록 흡음재(161a)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인렛셀(150)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배출통로(S2)를 통해 상기 디퓨져 파이프(14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외측커버(160)의 외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빗물안내수단(170)이 설치된다.
상기 빗물안내수단(170)은, 상기 빗물커버(151)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으도록 상기 빗물커버(15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지게 세워진 제1안내 플랜지띠(171)와, 상기 제1안내 플랜지띠(171)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빗물커버(151)의 외면 하측으로 경사져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안내관(172)과, 상기 다수의 제1안내관(172)을 통해 유출되는 빗물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외측커버(16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제2안내 플랜지띠(173)와, 상기 제2안내 플랜지띠(173)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상기 외측커버(160)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외측커버(160)의 외면 하측으로 경사져 돌출되게 설치된 제2안내관(1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물커버(151)와 상기 제1안내 플랜지(171)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1안내관(172)에 연통하는 제1드레인 구멍(175)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160)의 상경사부(163)와 상기 제2안내 플랜지띠(173)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2안내관(174)에 연통하는 제2드레임 구멍(176)이 형성된다.
도3은 도2의 빗물안내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1드레인 구멍(175)과 제1안내 플랜지띠(151)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4는 도2의 격벽부(142)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3드레인 구멍(155)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에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커버(151)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은 제1안내 플랜지띠(171)에 의해 모여 제1안내관(172)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 후, 상기 외측커버(160)의 상경사부(163)의 내면을 타고 흘러 내려서 제2안내 플랜지띠(173)에 의해 모여 제2안내관(174)을 통해 외측커버(160)의 외측으로 빠져 배수된다.
그리고, 간헐적으로 배출통로(S2)를 통해 외측커버(160)의 내부 저면에 모이는 빗물과, 벤트배관(10)을 지나서 디퓨져 파이프(140)의 방출공(141)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중에 생기는 응축수는 격벽부(142)에 의해 막혀 디퓨져 파이프(14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3드레인 구멍(155)을 통해 드레인관(115)를 통해 배수된다.
따라서, 벤트배관(10)의 내부로 빗물 또는 응축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가스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산탑을 통한 가스방출시에 트러블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10 : 벤트배관 100 : 방산탑
110 : 보호관 120 : 보조 프레임
130 : 플랫포옴 140 : 디퓨져 파이프
141 : 방출공 142 : 격벽부
150 : 인렛셀 151 : 빗물커버
160 : 외측커버 170 : 빗물안내수단
171 : 제1안내 플랜지띠 172 : 제1안내관
173 : 제2안내 플랜지띠 174 : 제2안내관

Claims (3)

  1. 벤트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을 구비한 디퓨져 파이프와,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상측에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디퓨져 파이프에 연결된 인렛셀과, 빗물이 상기 인렛셀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인렛셀의 상단을 막는 빗물커버와, 상기 방출공을 통해 유출하는 가스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렛셀과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렛셀의 외측 상단부에는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외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빗물안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파이프의 외측 하단부에는 빗물 또는 응축수가 상기 방출공을 통해 벤트배관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디퓨져 파이프의 하측을 막는 격벽부가 설치되며,
    상기 빗물안내수단은,
    상기 빗물커버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으도록 상기 빗물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제1안내 플랜지띠와,
    상기 제1안내 플랜지띠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빗물커버의 외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1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을 통해 유출되는 빗물을 받아 모으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안내 플랜지띠와,
    상기 제2안내 플랜지띠에 의해 모여지는 빗물을 상기 외측커버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외측커버의 외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2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가 세워지는 상기 외측커버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모이는 상기 빗물 또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 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KR1020100070806A 2010-07-22 2010-07-22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KR10117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06A KR101172517B1 (ko) 2010-07-22 2010-07-22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06A KR101172517B1 (ko) 2010-07-22 2010-07-22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75A KR20120009075A (ko) 2012-02-01
KR101172517B1 true KR101172517B1 (ko) 2012-08-10

Family

ID=4583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06A KR101172517B1 (ko) 2010-07-22 2010-07-22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63B1 (ko) * 2018-04-05 2018-11-06 도현건설 주식회사 방산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823B (en) * 2012-12-11 2014-12-03 Express Pipe Laying And Repairs Ltd Gas main vent
KR101721778B1 (ko) * 2015-11-03 2017-03-30 한국가스공사 용량 가변형 가스용 정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4379A (ja) 2006-09-07 2008-03-21 Tosetz Co Ltd 強制給排気式燃焼機器用竪型排気又は給排気トップ
KR100962523B1 (ko) * 2009-10-21 2010-06-14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4379A (ja) 2006-09-07 2008-03-21 Tosetz Co Ltd 強制給排気式燃焼機器用竪型排気又は給排気トップ
KR100962523B1 (ko) * 2009-10-21 2010-06-14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63B1 (ko) * 2018-04-05 2018-11-06 도현건설 주식회사 방산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75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7691B1 (en) Automatic flooding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ilation ducts
KR101172517B1 (ko) 가스 방산탑의 배수장치
CN111448131B (zh) 排气桅杆
CN205637093U (zh) 一种带有除污、通风和照明功能的一体化泵站
KR100962523B1 (ko)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
US11993454B2 (en) Vent assembly
KR101205418B1 (ko) 내충격 공기밸브
JP2017186889A (ja) 非常用安全装置
US20190127210A1 (en) Tank overflow risk mitigation system
KR20170082823A (ko) 해양 구조물의 파랑 충격하중 저감 구조체
KR101803937B1 (ko) 맨홀 장치
CN210032833U (zh) 一种景观通讯塔
CN210179324U (zh) 扁担式调压箱百叶通风口消声器
CN214598252U (zh) 一种干法脱硫塔的排水防护装置
KR100545132B1 (ko)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KR102541418B1 (ko) 하수 역류 방지 및 추락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맨홀 시스템
CN110274369A (zh) 阀门支架、空调外机排水装置和空调外机以及空调器
US11927078B1 (en) Underwater separator
JP7032193B2 (ja) 建物の雨水処理構造および塞ぎ蓋
CN221092184U (zh) 一种排气口防堵塞料塔
CN109871650B (zh) 隧道内防护装置的设计方法及设计装置
JP5579809B2 (ja) 壁面開口用フード
KR20130067597A (ko) 폭발 방지 구조를 구비한 사일로
KR200497626Y1 (ko) 배수홀 막힘 인지 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연돌 갑판 구조물
JP4420758B2 (ja) 油水分離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