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095B1 -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095B1
KR101172095B1 KR1020070067248A KR20070067248A KR101172095B1 KR 101172095 B1 KR101172095 B1 KR 101172095B1 KR 1020070067248 A KR1020070067248 A KR 1020070067248A KR 20070067248 A KR20070067248 A KR 20070067248A KR 101172095 B1 KR101172095 B1 KR 10117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torque rotor
torque
bonding agent
fast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885A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6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0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및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크 로터는 요크에 체결구조를 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체결구조가 성형된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본딩제가 도포된 상기 요크를 제 1 자성체와 결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로터를 지지하는 요크와, 압착부 및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결구조와, 상기 요크에 체결되는 제 1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크 로터는 상기 요크에 상기 체결구조를 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체결구조가 성형된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본딩제가 도포된 상기 요크를 상기 제 1 자성체와 결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요크와 제 1 자성체를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를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던 방법을 요크에 체결구조를 먼저 사출성형하고 제 1 자성체를 요크와 본딩제로 결합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 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 공정에 의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의 간격 안으로 유입되어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변화시 플라스틱과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제 1 자성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크 센서, 토크 로터, 요크, 본딩제, 플라스틱, 사출

Description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orque Rotor}
본 발명은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및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요크와 제 1 자성체를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를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던 방법을 요크에 체결구조를 먼저 사출성형하고 제 1 자성체를 요크와 본딩제로 결합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 공정에 의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의 간격 안으로 유입되어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변화시 플라스틱과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제 1 자성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및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스티어링 휠(핸들)의 조향력을 경감하여 조향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적용되는 바,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기존에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HPS;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널리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압을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쉽게 해주며 환경친화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는,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비상 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그 중 컬럼타입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Coulmn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이하, "C-EPS"라 약칭)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회전력을 하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과 기어박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향컬럼의 외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그 내부의 스티어링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티어링 휠 조타에 따른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C-EPS에는 중공으로 마련된 조향컬럼(1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입력축(180)이 설치되는데, 이 입력축(180)은 일단이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결합되고, 타단은 출력축(140)과 연결되어 기어박스 측에 설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컬럼(160)의 외부에는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향보조력을 위한 구동모터(150)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150)의 회전축 단부 및 출력축의 일단에는 한쌍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부가 마련되어 상호 치합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출력축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C-EPS에 사용되는 감속기부는 두 축이 엇갈린 상태에서 동력전달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통상 웜과 웜휠 기어를 한 쌍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b는 종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감속기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40)의 일단에 구비되는 윔휠 기어(120)에는 구동모터(15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윔 기어(110)가 치합되어 구동모터(15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출력축(14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축(140)과 입력축(180) 사이에는 토션바(미도시)가 구비되어 입력축(180)과 출력축(140)에 발생하는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웜휠 기어(120)의 일측에는 웜휠 기어(120)와 입력축(180)으로 연결되는 토크 센서(125)가 장착된다.
토크 센서(125)는 입력축(180)과 출력축(140)의 토크를 측정하여 ECU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ECU에서 구동 모터(150)를 작동시켜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자기장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토크의 변화를 측정하는 비접촉식이 많이 사용된다.
도 2는 종래의 비접촉식 토크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토크 센서는 토크 로터(220), 포지션 로터(230), 자기량 검출부(240), 기판(241), 하우징(2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크 로터(220)는 제 1 자성체(225)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224)와 몸체부(22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 삽입공(221)과 입력축 삽입공(22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수개 형성되는 압착부(222) 및 압착부(222)에 끼워지는 압착링(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24)는 통상 환형 고리 형상의 요크(310, 도 3 참조)에 플라스틱 등을 사출성형하여 만드는데, 그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는 제 1 자성체(22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N극과 S극은 N극이 6회, S극이 6회 교대로 반복되거나 또는 N극이 8회, S극이 8회 교대로 반복되는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축 삽입공(221)은 몸체부(22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데, 입력축 삽입공(221)에는 입력축(180)이 끼워지게 된다.
입력축 삽입공(221)의 지름은 입력축(180)의 일측이 끼워져 토크 로터(220)가 입력축(18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입력축(180)의 지름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입력축 삽입공(221)에 입력축(180)이 압입/고정된다.
압착부(222)는 입력축 삽입공(22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수개 형성되어 있다.
압착링(223)은 압착부(222)에 끼워지는데, 압착링(223)은 환형 고리 형상이 되,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있는 형상으로써 압착부(222)와 함께 입력축(18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력축(180)을 입력축 삽입공(221)에 끼운 후 압착부(222)에 끼워져 있던 압착링(223)을 조이면 압착링(223)의 절개부분이 좁혀지면서 압착부(222)를 중심방향으로 밀어주어 압착부(222)가 입력축(18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므로 입력축(180)과 토크 로터(22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포지션 로터(230)는 중앙에 토크 로터 삽입부(239)와 출력축 결합부(237)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스테이터(231)와 연결되는 제 2 자성체(236)와 하부 스테이터(232)와 연결되는 제 3 자성체(235)가 토크 로터 삽입부(239)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어 있다.
포지션 로터(230)의 중앙에는 토크 로터(220)가 내주하는 토크 로터 삽입부(239)와 출력축(140)의 일단이 끼워지는 출력축 결합부(237)가 형성되어 있는데, 토크 로터 삽입부(239)의 직경이 출력축 결합부(23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크 로터 삽입부(239)의 상측면에는 제 2 자성체(236)와 연결되는 상부 스테이터(2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자성체(235)와 연결되는 하부 스테이터(232)는 상부 스테이터(231)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떨어져서 형성되며 상부 스테이터(231)와 하부 스테이터(232)는 그보다 직경이 작은 포지션 로터 몸체부(233)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스테이터(231)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자성체(236)는 N극으로 자화 된 철판이고 하부 스테이터(232)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 자성체(235)는 S극으로 자화되어 있는 철판이다.
제 2 자성체(236)와 제 3 자성체(235)는 토크 로터 삽입부(239)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어 토크 로터 삽입부(239)에 끼워지는 토크 로터(22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 1 자성체(225)와의 사이에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토크 로터 삽입부(239)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지름이 토크 로터(220)의 지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토크 로터(220)가 토크 로터 삽입부(239)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출력축 결합부(237)는 출력축(140)의 일측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출력축(140) 일측의 지름보다 적절히 작게 형성된다.
포지션 로터(230)의 출력축 결합부(237)에 끼워지는 출력축(140)과 토크 로터(220)에 끼워지는 입력축(180)은 토션바(미도시)로 연결된다.
토션바(미도시)는 입력축(180)과 출력축(140) 사이에서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여 입력축(180)과 출력축(140) 사이의 회전 각도 차이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자기량 검출부(240)는 포지션 로터(230)의 외주면 일측에 끼워지는데, 포지션 로터(230)의 상, 하부 스테이터(231, 232) 사이에 위치하며 상, 하로 구비되는 컨센트레이터(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량 검출부(240)는 포지션 로터(230)의 외주면 일측에 끼워지되 자기량 검출부(240)와 포지션 로터(230)는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컨센트레이터(242)는 자기량 검출부(240) 중 포지션 로터(230)의 상부 스테이터(231)와 하부 스테이터(23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되는데, 컨센트레이터(242)는 상, 하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기판(241)의 제 1 홀 IC 칩(243)과 제 2 홀 IC 칩(245)이 위치하게 된다.
컨센트레이터(242)는 상부 스테이터(231)와 하부 스테이터(232)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Flux)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기판(241)은 자기량 검출부(240)에 끼워지면서 제 1 및 제 2 홀 IC 칩(243, 245)이 포지션 로터(230)의 상, 하부 스테이터(231, 2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하우징(255)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50)으로 구성되어 포지션 로터(230)와 자기량 검출부(240) 등을 감싸게 된다.
도 3은 종래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토크 로터(220)는 요크(310)와 제 1 자성체(225)를 결합한 후(이 때, 요크(310)가 제 1 자성체(225) 안으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요크(310)의 외경은 제 1 자성체(225)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된다.) 입력축(180)이 끼워지는 몸체부(224)와 압착부(222) 등으로 구성된 체결구조(226)를 사출성형하여 최종적으로 토크 로터(220)를 제작하게 된다.
이 때, 체결구조(226)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토크 로터를 제작하는 방법은 요크와 제 1 자 성체를 결합시킨 후 입력축이 끼워지는 체결구조를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여 토크 로터를 제작하였는 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의 간격 안으로 유입되어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변화시 플라스틱과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제 1 자성체가 파손됨으로써 토크 센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 요크와 제 1 자성체를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를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던 방법을 요크에 체결구조를 먼저 사출성형하고 제 1 자성체를 요크와 본딩제로 결합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 공정에 의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의 간격 안으로 유입되어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변화시 플라스틱과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제 1 자성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및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요크와 제 1 자성체를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를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던 방법을 요크에 체결구조를 먼저 사출성형하고 제 1 자성체를 요크와 본딩제로 결합하는 공정에 의해 토크 로터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 공정에 의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플라스틱이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의 간격 안으로 유입되어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변화시 플라스틱과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제 1 자성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크 로터는 요크에 체결구조를 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체결구조가 성형된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본딩제가 도포된 상기 요크를 제 1 자성체와 결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로터를 지지하는 요크와, 압착부 및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결구조와, 상기 요크에 체결되는 제 1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크 로터는 상기 요크에 상기 체결구조를 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체결구조가 성형된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본딩제가 도포된 상기 요크를 상기 제 1 자성체와 결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은 특히 토크 로터를 지지하는 요크와, 압착부 및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결구조와, 요크에 체결되는 제 1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센서에 장착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적용되는 경우 그 효용이 클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로터는 요크(310)에 체결구조(226)를 성형하는 제 1 단계, 체결구조(226)가 성형된 요크(310)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본딩제가 도포된 요크(310)를 제 1 자성체(225)와 결합하는 제 3 단계,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크(310)는 일정 두께와 일정 높이를 가진 환형 고리 형상으로써 토크 로터(220)의 지지역할을 한다.
체결구조(226)는 압착부(222)와 몸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압착부(222)는 압착링(223, 도 2 참조)과 함께 토크 로터(220)를 입력축(18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력축(180)을 몸체부(224)에 끼워넣은 후 압착부(222)에 끼워져 있던 압착링(223, 도 2 참조)를 조이면 압착링(223)에 형성되어 있던 절개부분 간격이 좁혀지면서 압착링(223)의 반지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압착부(222)가 압착링(223)의 중심방향으로 모아지면서 입력축(18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어 결국 입력축(180)과 토크 로터(220)가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착부(222)와 몸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결구조(226)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요크(310)에 성형되는데, 이 때 체결구조(226)를 요크(310)에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사출성형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체결구조(226)를 요크(310)에 성형하는 공정을 제 1 단계라고 하면 그 다음 공정인 제 2 단계는 체결구조(226)가 성형된 요크(310)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가 된다.
여기서 본딩제란 요크(310)와 제 1 자성체(225) 사이의 체결력이 외부환경(즉, 온도변화, 진동 등)의 변화에 상관없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요크(310)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일종의 접착제를 의미한다.
본딩제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자성체(225)와 요크(310) 사이에 구비되더라도 제 1 자성체(225)의 진원을 나쁘게 하지 않고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동률이 작으며 금속표면과의 친화성이 뛰어난 재료라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딩제를 요크(310)의 전체 표면에 도포할 수도 있고 일정 부분에만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체결구조(226)가 성형된 요크(310)의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를 거친 후 제 3 단계로서 본딩제가 도포된 요크(310)를 제 1 자성체(225)와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4 단계로서 요크(310)의 외주면과 제 1 자성체(225)의 내주면 사이에 도포된 본딩제를 경화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토크 로터(220)가 완성되게 된다.
위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 토크 로터(220)를 제작하게 되면 종래 토크 로터(220)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할 경우 요크와 제 1 자성체 사이에 플라스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크 센서의 기능저하를 방지하고 조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감속기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비접촉식 토크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웜 기어 120: 웜휠 기어
125: 토크 센서 140: 출력축
150: 구동모터 160: 조향컬럼
180: 입력축 210: 상부 하우징
220: 토크 로터 230: 포지션 로터
240: 자기량 검출부 243: 제 1 홀 IC 칩
245: 제 2 홀 IC 칩 250: 하부 하우징
310: 요크

Claims (3)

  1.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제 1 자성체가 결합되는 외주면과 중앙에 입력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환형의 몸체부와, 상기 입력축 삽입공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압착링이 끼워지는 수개의 압착부를 포함하는 체결구조가 구비되도록 요크에 상기 체결구조를 사출성형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크에 상기 체결구조가 사출성형된 후 상기 요크의 몸체부 외주면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본딩제가 도포된 요크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자성체를 결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본딩제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자성체의 진원을 유지하고 온도변화시 사출물과 상기 제 1 자성체 및 요크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상기 제 1 자성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70067248A 2007-07-04 2007-07-04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KR10117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48A KR101172095B1 (ko) 2007-07-04 2007-07-04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48A KR101172095B1 (ko) 2007-07-04 2007-07-04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85A KR20090002885A (ko) 2009-01-09
KR101172095B1 true KR101172095B1 (ko) 2012-08-10

Family

ID=4048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248A KR101172095B1 (ko) 2007-07-04 2007-07-04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774B1 (ko) * 2009-03-30 2013-07-04 주식회사 만도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03997B1 (ko) * 2009-10-08 2012-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dps 토크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563B1 (ko) * 2012-12-17 2019-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969A (ja) * 2004-08-10 2006-02-23 Kayaba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のトルクセンサ
US20060138894A1 (en) * 2004-12-28 2006-06-29 Hitachi Ltd. Rotor for rotating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and motor for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969A (ja) * 2004-08-10 2006-02-23 Kayaba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のトルクセンサ
US20060138894A1 (en) * 2004-12-28 2006-06-29 Hitachi Ltd. Rotor for rotating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and motor for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85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177B2 (en) Torque r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8246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98117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128608B1 (ko)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US8418570B2 (en) Torque sensor
WO2008035464A1 (fr) Détecteur de rotation, roulement de roue équipée de celui-ci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lui-ci
US20070102230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automobile having belt-type transmission device
JPWO2005097577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055901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성인 측정 변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용 자석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자석 유닛, 센서 장치, 및 자동차
WO2010018661A1 (ja) 回転検出センサ
WO2001098678A1 (fr) Dispositif de direction assistee entraine par moteur
KR101172095B1 (ko)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JP2006194296A (ja) 複合ギ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複合ギヤを含む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066694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18866B1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WO2007037499A9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08178B1 (ko) 토크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US1171598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ic drive device
JP200202198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177007B2 (ja) 電動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92463A (ja) トルク検出装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トルク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2009213198A (ja) 電動モータ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03689A (ja) 回転電機
JP2004245614A (ja) 回転センサ
JP2003343682A (ja) ボールねじ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