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36B1 -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36B1
KR101171736B1 KR1020120005942A KR20120005942A KR101171736B1 KR 101171736 B1 KR101171736 B1 KR 101171736B1 KR 1020120005942 A KR1020120005942 A KR 1020120005942A KR 20120005942 A KR20120005942 A KR 20120005942A KR 101171736 B1 KR101171736 B1 KR 10117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e sample
soil core
base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세선
이진영
김주용
임재수
남욱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 E21B25/005Above ground means for handling the core, e.g. for extracting the core from the core barr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는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호를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호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호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A device for measuring core sample}
본 발명은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시추공을 형성하면서 토양 코어시료(R) 및 암석 등의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은 거의 모든 토목공사설계에 앞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반 시추조사는 토목 구조물이 시공될 대상 지반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층서 구조 등의 다양한 지층 자료를 얻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반조사를 위해 지반의 일부를 주상(柱狀)으로 떼어내 토양 코어 시료를분석하고 스캐닝하여 지반의 심도별 암반의 종류, 암반 구분, 불연속면 발달 상태를 확인하여 시추주상도를 작성하게 된다.
시추주상도는 건설이나 연구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건설이나 연구자료로 활용되는 토양 코어 시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단시간 내에 토양 코어 시료를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개의 토양 코어 시료를 보관상자에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꺼내어 사용하고 있다.
보관상자에 토양 코어를 복수개 수납하여 보관시 토양 코어간의 충돌로 인하여 토양 코어 시료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토양 코어 시료를 심도별로 보관해야 하나 보관상자에서 서로 뒤섞이게 되면 심도별 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를 활용하여 심도를 측정해야 하므로 심도를 측정시에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작업을 해야되는 불편이 있었다.
일반적인 토양 코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 코어 시료관(110a)의 내부에 채취 보관되며,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반으로 절단하여 내부의 토양 시료를 심도별로 채취하여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원형의 토양 코어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원하는 심도에서 시료를 채취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11-0049074호의 "육안식별용 토양 코어시료 보관상자"는 토양 코어 시료를 보관하는 보관상자에 관해서만 개시할 뿐, 심도별 시료 채취를 위한 토양시료 측정장치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 코어 시료를 심도별로 보관하고, 심도별로 측정 분석가능하도록 하는 토양 시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토양 시료 보관상자에 토양 코어 시료를 보관시 토양 코어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토양 코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는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호를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호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호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상기 홈의 양 말단에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 및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상기 홈은 멈춤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후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의 상부면에는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여 상기 토양 코어 시료관의 곡률반경이 변화하여도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는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가능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상기 홈의 양 말단에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 및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의 상부면에는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여 상기 토양 코어 시료관의 곡률반경이 변화하여도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은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호를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호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을 포함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호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이후, 상기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상기 측정자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 따라 측정된 심도별로 상기 토양 코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은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가능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한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호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에서 상기 측정자로 장착된 상기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관찰가능하게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단계; 상기 이격단계이후, 상기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상기 측정자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단계에 따라 측정된 심도별로 상기 토양 코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는 토양 코어 보관상자에 토양 코어를 복수개 수납하여 보관시 토양 코어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토양 코어 시료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토양 코어 시료를 심도별로 보관가능하며, 심도별 분석시 작업자가 혼자서도 심도를 측정하고 분석 시료를 심도에 따라 용이하게 토양 코어로부터 채취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토양 코어 시료가 채취된 토양 코어 시료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형상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에 토양 코어 시료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토양 코어 시료가 채취된 토양 코어 시료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형상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 코어 시료(200)는 토양 코어 시료관(100a)에 채취되어 복수개의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보관상자에 보관되게 된다.
이 때 토양 코어 시료관에 채취된 토양 코어 시료(200)는 심도별로 채취된 것이므로 보관상자에서 심도별로 보관되고 분석시에도 심도별로 분석되어야 정확한 심도별 분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이동 모습을 나타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5는 측면도, 도 6은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에 토양 코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블럭(300), 제2블럭(3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복수개의 홈(210)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홈(210)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인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홈(210)은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제1블럭(300)은 하부면에 복수개의 돌출부(310)를 포함하고, 돌출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복수개의 홈(210)과 형상 및 개수가 서로 대응되어 돌출부(310)가 홈(210)에 삽입되어 홈(210)을 따라 제1블럭(300)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부(310)는 제1블럭(300)의 하부면에 횡방향, 즉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블럭(300')의 하부면에도 제1블럭(300)과 동일하게 복수개의 돌출부(310)를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며, 서로 형상이 대칭을 이루게 된다.
제1블럭(300)의 상부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호(弧; 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측정자(330)가 형성된다.
제2블럭(300')의 상부면 또한 일측에는 호(弧;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측정자(330)가 형성되며, 제1블럭(300)의 호(320)와 제2블럭(300')의 호(320)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을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서로 인접시키게 되면, 호(320)가 결합되어 반원을 형성하게 된다.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을 이격시키거나 밀착시켜 형성된 두개의 호(320)의 반원 형상에 토양 코어 시료(200)가 포함된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얹혀지고 되고,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토양 코어 시료(200)가 포함된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의 직경은 토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 장치에 따라 변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채취관을 활용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른 토양 코어 시료(200)가 포함된 토양 코어 시료관(100a) 혹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채취관에 포함된 토양 코어 시료(200)를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호(320)의 상부에는 고무 패드와 같은 엘라스토머층(340)이 부착되어 있다.
호(320)의 상부에 엘라스토머층(340)이 부착됨으로써,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의 곡률반경이 변경되더라도 엘라스토머층(340)에서 곡률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호(320)의 실질적인 곡률반경도 변경되어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호(320) 사이에 안착가능하다.
또한, 엘라스토머층(340)의 마찰계수 증가로 인하여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미끄러지거나 회전하지 않고, 토양 코어 시료(200)를 안정적을 심도별로 채취가능하다.
토양 코어 시료(200)의 심도는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상부의 타측에 형성된 측정자(330)에 의해 육안 관찰 가능하다.
토양 코어 시료관(100a) 직경이 커서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호(320)에 장착했을 때,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측정자(330)를 가리게 되면 심도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이 측정자(330)를 가리지 않도록 장착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복수개의 홈(210)의 말단은 이탈방지부(220)에 의해 막혀 있어서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이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이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지 않도록 하며, 이격 간격이 의도치 않게 이격되면서 그 위에 설치된 토양 코어 시료(200)가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복수개의 홈(210)은 멈춤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돌출부(310)가 홈(210)을 따라 이동되고, 일정 간격 사용자가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을 이격시킨 후에는 이격 간격을 멈춤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이후 토양 시료를 심도에 따라 측정하고 채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는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상부면 일측에 각각 호(弧;320)가 형성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모따기식으로 경사면(320')으로 된 경우에도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서로 대칭의 경사면(320')이 홈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을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하며 또한 경사면에 엘라스토머층(340)을 형성하면 더욱 안정적이고 미끄러짐도 없이 토양 코어 시료관(100a)을 제1블럭(300)과 제2블럭(300')의 사이에 설치하여 심도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를 채취 관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은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330)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호(320)를 포함하는 제1블럭(300); 상기 제1블럭(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호(320) 및 상기 측정자(330)를 포함하는 제2블럭(300')을 포함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의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상기 호(320)에 토양 코어 시료(100)를 장착하는 장착단계(S100); 상기 장착단계(S100)이후, 상기 토양 코어 시료(100)의 심도를 상기 측정자(33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단계(S200)에 따라 측정된 심도별로 상기 토양 코어 시료(100)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분석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은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330)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320')을 포함하는 제1블럭(300); 상기 제1블럭(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면(320') 및 상기 측정자(330)를 포함하는 제2블럭(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상기 경사면(320')에 토양 코어 시료(100)를 장착가능하며,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310)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210)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상기 홈(210)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310)에 의해 상기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한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1)의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하는 장착단계(S100); 상기 장착단계(S100)에서 상기 측정자(330)로 장착된 상기 토양 코어 시료(100)의 심도를 관찰가능하게 상기 제1블럭(300)과 상기 제2블럭(300')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단계(S150); 상기 이격단계이후, 상기 토양 코어 시료(100)의 심도를 상기 측정자(33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및 상기 측정단계(S200)에 따라 측정된 심도별로 상기 토양 코어 시료(100)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분석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100: 토양 코어 시료
100a: 토양 코어 시료관 200: 베이스 플레이트
210: 홈 220: 이탈방지부
300: 제1블럭 300': 제2블럭
310: 돌출부 320: 호
320': 경사면 330: 측정자
340: 엘라스토머층
S100: 장착단계 S150: 이격단계
S200: 측정단계 S300: 분석단계

Claims (12)

  1.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호를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호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호에 토양 코어 시료관을 장착가능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홈의 양 말단에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 및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홈은 멈춤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후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상부면에는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여 상기 토양 코어 시료관의 곡률반경이 변화하여도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8.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관을 장착가능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홈의 양 말단에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블럭 및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상부면에는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여 상기 토양 코어 시료관의 곡률반경이 변화하여도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11. 삭제
  12. 상부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측정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측정자를 포함하는 제2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가능하며,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한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의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토양 코어 시료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에서 상기 측정자로 장착된 상기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관찰가능하게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단계;
    상기 이격단계이후, 상기 토양 코어 시료의 심도를 상기 측정자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 따라 측정된 심도별로 상기 토양 코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를 이용한 토양 코어 시료 심도 측정방법.













KR1020120005942A 2012-01-18 2012-01-18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KR10117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942A KR101171736B1 (ko) 2012-01-18 2012-01-18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942A KR101171736B1 (ko) 2012-01-18 2012-01-18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736B1 true KR101171736B1 (ko) 2012-08-07

Family

ID=4688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942A KR101171736B1 (ko) 2012-01-18 2012-01-18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22B1 (ko) 2013-06-10 2014-05-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시료 균등 절단 장치
CN108254401A (zh) * 2018-01-15 2018-07-06 中南大学 一种岩石核磁共振仪样品载床及其使用方法
KR102054490B1 (ko) 2019-04-30 2019-12-10 재단법인 환경기술정책연구원 접이식 토양시료 촬영 장치
KR102303816B1 (ko) * 2020-05-28 2021-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추코어 퇴적물의 부시료 채취장치
KR102465133B1 (ko) * 2022-06-27 2022-11-09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시료 강도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929A (en) * 1969-04-23 1971-06-01 Edward Franklin Guenard Diamond drill core trays
JP2003312745A (ja) 2002-04-19 2003-11-06 I Develop Consultants:Kk コア収納箱
JP2008209192A (ja) * 2007-02-26 2008-09-11 Kaisui Maren:Kk 地質調査に用いるコア用保存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929A (en) * 1969-04-23 1971-06-01 Edward Franklin Guenard Diamond drill core trays
JP2003312745A (ja) 2002-04-19 2003-11-06 I Develop Consultants:Kk コア収納箱
JP2008209192A (ja) * 2007-02-26 2008-09-11 Kaisui Maren:Kk 地質調査に用いるコア用保存ケー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22B1 (ko) 2013-06-10 2014-05-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시료 균등 절단 장치
CN108254401A (zh) * 2018-01-15 2018-07-06 中南大学 一种岩石核磁共振仪样品载床及其使用方法
KR102054490B1 (ko) 2019-04-30 2019-12-10 재단법인 환경기술정책연구원 접이식 토양시료 촬영 장치
KR102303816B1 (ko) * 2020-05-28 2021-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추코어 퇴적물의 부시료 채취장치
KR102465133B1 (ko) * 2022-06-27 2022-11-09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시료 강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736B1 (ko) 토양 코어 시료 측정장치
KR101112180B1 (ko) 교량받침의 연단거리 측정 및 점검장치
CN207797950U (zh) 一种钢筋直径专用测量工具
AR046271A1 (es) Un metodo para identificar fluidos en una formacion geologica y dispositivo para implementarlo
CN204881427U (zh) 一种尺寸测量装置
CN104195929B (zh) 一种沥青混凝土松铺厚度测定仪
KR101248829B1 (ko) 해양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 측정용 샘플링 케이스 및 이 샘플링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샘플링 장치
KR101702834B1 (ko) 지하투과 레이더 장치
CN213455234U (zh) 一种水工环地裂缝测量装置
KR200459942Y1 (ko) 길이 측정 장치
CN204023379U (zh) 一种沥青混凝土松铺厚度测定仪
CN115539768A (zh) 一种建筑物沉降检测方法
JP2020003335A (ja) 針貫入試験装置
KR20110014031A (ko)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
KR200245797Y1 (ko) 슬라브의 두께 검측 및 철근의 간격표시장치
RU27053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прочности породы
CN209326576U (zh) 一种沥青混合料摊铺层温度和松铺厚度联合测量仪
CN210401410U (zh) 岩心扫描设备及其测量装置
US9494407B2 (en) Trip hazard measurement gauge
US11226268B2 (en) Soil extraction and measurement tool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CN207095473U (zh) 一种便携式次档距测量装置
KR101682514B1 (ko) 다기능 휴대용 지질조사 기구
CN113686232B (zh) 外径测量工具
KR100812127B1 (ko)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