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473B1 -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473B1
KR101171473B1 KR1020100011796A KR20100011796A KR101171473B1 KR 101171473 B1 KR101171473 B1 KR 101171473B1 KR 1020100011796 A KR1020100011796 A KR 1020100011796A KR 20100011796 A KR20100011796 A KR 20100011796A KR 101171473 B1 KR101171473 B1 KR 10117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outlet
water supply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406A (ko
Inventor
김승룡
Original Assignee
김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룡 filed Critical 김승룡
Priority to KR102010001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4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방향으로 급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도꼭지, 특히 수도꼭지 몸체에 자바라 연결구를 연결하여 자바라를 설치하여 일정 길이만큼 자유로이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도꼭지 몸체와 연결된 체결체에 오링 홈, 핀 홈을 설치하여 오링, 핀 공을 장착하고 상기 체결체를 둘러싸는 배출구 자체를 회전하여 원하는 급수 방향을 사용자 임의 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ROTATION TYPE CONTROL FAUCET}
본 발명은 원하는 방향으로 급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도꼭지, 특히 수도꼭지 몸체에 자바라 연결구를 연결하여 상기 자바라 연결구에 자바라를 설치하여 일정 길이만큼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구 자체를 회전하여 원하는 급수 방향을 사용자 임의 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수도 공급 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차단하거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서 수도꼭지 조절 핸들을 돌리는 회전식 꼭지, 원터치식 꼭지, 감지 센서를 장착한 센서식 꼭지 등 다양한 종류의 수도꼭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도꼭지는 거의 직하방으로 물을 방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통상,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는 방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급수 방향을 바꿀 필요성은 없지만, 공원이나 야외, 혹은 단체로 사용하는 기숙사, 학교 등에서는 급수 방향을 바꿀 필요성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현재 사용하는 수도꼭지는 물 방출구가 항상 일률적으로 하부 방향으로만 되어 있어, 음용 하거나 사용시 불편한 점도 있었을 뿐 아니라 습관적으로 끝까지 회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의 요소도 잠재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도꼭지를 사용하여 물을 음용시 머리를 수도꼭지 방출구 밑으로 입을 넣어 얼굴을 상부로 쳐들며 사용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도 있고 잘못하면 얼굴이 수도꼭지에 닿아 사용하기가 불편한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도꼭지 몸체와 배출구 중단에 방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스토퍼(차단기)를 장착하여, 배출구의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었으며, 또한 배출구의 선단 부분을 별도의 부분체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 상기 부분체가 완전히 회전 되도록 하여 편리함을 증대한 수도꼭지도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출구의 단점은 중간에 회전 작용을 하는 부분체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또한, 배출구 자체를 완전히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만큼 회전 되도록 설계하여 사용 후 급수 방향을 원위치로 할 때는 회전한 만큼 되돌려 회전해야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아직까지 360도, 720도 같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수도꼭지는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수도꼭지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했다가 반대 방향으로 원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배출구의 같은 부분만을 계속 사용하므로 마모가 쉽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면 누수가 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 하나의 단점으로는 수도꼭지 자체가 인간에게 해로운 물질인 납, 아연을 미량 함유하는 황동 재질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상술과같이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140192호에는세면대에부착설치되는수도꼭지의회전토수구가기술되어있다.상기실용신안등록140192호에는수도꼭지토수구부분을180도회전하여상향되도록함과동시에소량의물이정량공급되어절수되고상향분출되어편리하게사용할수있는수도꼭지가기술되어있다.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323856호에는수도꼭지의토수구회전구조에대하여기술하고있는데,여기에서는배출구내부에끼워져배출구를관통하는체결나사에의한수단에의하여배출구선단에결합하는토수구에배출구의내측면에지지되면서토수구의회전에따라배출구의형성된고정홈에걸리거나빠지도록스토퍼를형성하여토수각도를바꾸도록한토수구의회전구조를기술하고있다.
상술의 예와 같이 종래의 토수구는 몸체와 배출구 사이에 복잡한 구조로 토수구를 장착하므로 수도꼭지 제조단가가 올라갈 뿐 아니라,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나 공원, 기숙사, 학교 등에서 수돗물 사용시 하향으로만 토출구가 있어 음용할 때나 사용시 고개를 토출구 밑으로 넣어 사용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이 없고 간단한 방법으로 급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하고, 사용시 습관적으로 꼭지를 끝까지 회전하여 많은 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친환경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든 수도꼭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수 방향 조절하는 배출구를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오링을 설치하고 배출구가 체결체에 단단히 지탱하고 스프링과 핀 공에 의해 자바라 연결구와 함께 수도 몸체와 연결된 체결체를 내측에 두고 상기 체결체를 둘러싸고 배출구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에 사용된 상기 오링은 단면이 원형으로 된 합성 고무제의 링으로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치수의 제품이 있으며 정적 및 동적 실로서 다양한 기계에 사용되는데, 취급이 용이하고 작은 공간에서도 장착 가능하여 많이 사용된다. 상기 핀 공은 종래의 회전식 수도꼭지가 갖고 있던 단점인 회전 각도의 한계와 장시간 사용하면 헐거워져 물이 새는 것을 보완하여 이룬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장착된 스프링과 핀 공에 의해 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몇 번을 회전하여도 고장 및 누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회전식 수도꼭지는 설계상 본 발명과 같이 회전하기도 어렵고 수압에 장시간 견디면 고장이 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도꼭지는 배출구가 체결체를 밖에서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수도 몸체 내의 수압이 증가하여도 견딜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결체는 다수개의 오링을 장착할 수 있는 오링 홈과 스프링 및 핀 공을 장착할 수 있는 핀공 홈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식 수도꼭지는 급수 공급관, 상기 급수 공급 관의 일측에 연결된 수도 몸체, 상기 수도 몸체 상부에 연결되어 수도 몸체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수도꼭지 조절 핸들, 상기 수도꼭지 조절핸들에 의해 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급수 공급관으로부터 수도 몸체를 통해 배출구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및 조절하는 차단기, 상기 수도 몸체와 배출구 사이에 주름 관인 자바라 및 상기 자바라를 연결하기 위한 자바라 연결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오링, 스프링, 핀공, 상기 오링과 핀 공을 장착할 수 있도록 홈을 구성한 체결체, 상기 체결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핀 공에 의해 지지가 되어 급수방향을 조절하여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오링은 원형으로 상기 체결체의 다수개의 오링 홈에 오링 직경을 기준으로 95% 내지 98%가 장착되고, 나머지 5% 내지 2%가 외부로 돌출되며, 핀공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핀공 직경을 기준으로 체결체와 배출구에 각각 50%가 장착되어 배출구 회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도 몸체와 체결체에 연결된 상기 자바라는 자바라 연결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회전식 수도꼭지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수도꼭지의 체결체에 장착되는 오링은 2개 내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급수 배출구 길이가 자바라에 의해 조절되고 급수 방향이 회전되므로 야외에서 직접 음용 할 때 방향 조절에 따라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급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도꼭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서 수도꼭지 자체를 분리하여 체결구를 통해 연결하고 물이 새지 않도록 고무 바킹을 이용하여 체결하고 배출구를 회전하여 사용하는 정도였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회전 수도꼭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 도 2b는 도 2a의 분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공급관(10), 수도 몸체(11), 수도꼭지 조절 핸들(12), 차단기(13), 배출구(18), 자바라(16), 자바라 연결구(14, 15), 자바라(16)의 한쪽 끝단에 상기 자바라 연결구(14, 15)에 의해 연결되어 다수개의 오 링(20, 20', 20")을 장착하도록 홈을 이룬 다수개의 오링 홈(19, 19", 19")과 핀 공(24)을 장착하는 핀공 홈(21)을 가진 체결체(17), 상기 수도 몸체(11)를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8), 상기 체결체(17)와 상기 체결체(17)를 둘러싸는 배출구(18) 사이에서 배출구(18) 회전 및 수압에 견디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상기 체결체(17)의 다수개의 홈에 장착되는 합성 고무재질의 오링(20, 20' 20"), 상기 체결체(17) 상부 일측에 구성되어 스프링(22)과 핀 공(24)을 장착하는 핀공 홈(21), 상기 핀공 홈(21)에 장착되어 배출구(18)의 급수 방향을 회전하도록 도움을 주는 체결체(17)를 둘러싸며, 배출구(18) 내면에 반원 형태로 된 핀공 홈(23), 회전에 도움을 주는 핀 공(24), 상기 핀 공(24)에 탄성을 주는 스프링(22)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핀 공(24)은 체결체(17)로부터 반원 정도가 돌출되고 상기 핀 공(24)과 맞닿는 배출부(18)는 반원 형태로 원주를 따라 홈이 파져 체결체(17)를 둘러싸는 형태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오링(20, 20', 20")은 수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체결체(17)로부터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수압이 증가하면 비틀림, 밀림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압착 늘림, 압력, 온도, 마찰, 틈새 두께, 경도 등을 고려하여 견딜 수 있도록 제조해야 한다.
상기 급수 공급 관(1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관으로서 커플링에 의해 수도꼭지 몸체(11)와 연결된다. 상기 수도꼭지 몸체(11) 상부에는 날개 모양의 수도꼭지 조절 핸들(12)이 장착되어 있는데 우측으로 돌리면 차단기(13)가 수도 몸체(11) 내에서 통과하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좌측으로 돌리면 수도 몸체(11) 내에서 통과하는 물의 공급을 허용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절 핸들(12) 바로 밑에는 차단기(13)가 설치되어 핸들을 우측으로 돌리면 날개에 연결된 차단기에 연결된 차단기(스토퍼)가 아래로 내려가 급수 공급 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게 되고, 반대로 날개를 좌측으로 돌리면 스토퍼가 상부로 올라가 차단되어 있던 공급 관이 열려 다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은 수도꼭지 몸체(11)를 지나 배출구(18)로 방출되고 상기 배출구(18) 끝단에서는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8)는 수도꼭지 몸체에 자바라 연결구(14,15)에 의해 연결된 자바라(16)에 의해 길이 및 약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바라 없이 상기 몸체(11)와 체결체(17)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출구(18)에는 오링 단면 직경에 대해 2% 내지 5%정도가 돌출되고, 오링 단면 직경에 대해 95% 내지 98%가 체결체(17) 내면의 오링 홈(19, 19', 19")에 잠길 수 있도록 체결체(17) 내면에 원주를 따라 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공(24)은 핀공 직경의 절반 크기의 반원의 홈을 형성하여 배출구 내면에 원모양으로 핀공 홈(23)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핀 공(24)은 배출구(18)가 체결체(17)를 둘러싸면서 삽입하게 되면 원통형 핀공 홈 내의 스프링 탄성 작용에 의해 핀공이 걸려 상기 체결체(17)로부터 배출구(18)가 회전이 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수도꼭지의 동작은 급수 공급 관에서 물이 공급되어 수도꼭지 조절 핸들을 돌려 차단 조절기를 풀면 수도꼭지 몸체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고 몸체를 통과한 물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배출구의 급수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면 배출구 자체를 회전하여 돌려 급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배출구와 수도꼭지 몸체 사이에는 자바라 연결구에 의해 자바라가 설치되어 길이도 약간 늘릴 수 있으며 약간의 방향조절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야외나 공원 등에서 수도꼭지에 사용될 수 있다.
10; 급수 공급관
11; 수도 몸체
12; 수도꼭지 조절 핸들
13; 차단기
17; 체결체
18; 배출구
20, 20', 20"; 오링
24; 핀공

Claims (5)

  1. 급수 공급관(10), 상기 급수 공급 관의 일측에 연결된 수도 몸체(11), 상기 수도 몸체 상부에 연결되어 수도 몸체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수도꼭지 조절 핸들(12), 상기 수도꼭지 조절핸들에 의해 몸체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급수 공급관으로부터 수도 몸체를 통해 배출구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및 조절하는 차단기(13), 상기 수도 몸체와 배출구 사이에 주름관인 자바라(16) 및 상기 자바라를 연결하기 위한 자바라 연결구(14, 15),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오링(20,20',20"), 스프링(22), 핀공(24), 상기 오링과 핀 공을 장착할 수 있도록 홈을 구성한 체결체(17), 상기 체결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핀 공에 의해 지지가 되어 급수방향을 조절하여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8)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오링(20,20',20")은 원형으로 상기 체결체 외부의 다수개의 오링 홈(19, 19',19")에 오링 직경을 기준으로 95% 내지 98%가 장착되고, 나머지 5% 내지 2%가 돌출되며, 핀공(24)은 스프링에 의해 핀공 직경을 기준으로 체결체 외부에 형성된 원통형 홈 및 배출구 내부의 핀공 홈(23)에 각각 50%가 장착되어 배출구 회전에 이용되며,
    상기 자바라(16)는 자바라 연결구(14,15)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다수개의 오링 수는 2개 내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수도꼭지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5. 삭제
KR1020100011796A 2010-02-09 2010-02-09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KR10117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796A KR101171473B1 (ko) 2010-02-09 2010-02-09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796A KR101171473B1 (ko) 2010-02-09 2010-02-09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406A KR20110092406A (ko) 2011-08-18
KR101171473B1 true KR101171473B1 (ko) 2012-08-06

Family

ID=4492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796A KR101171473B1 (ko) 2010-02-09 2010-02-09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306A (ko) 2018-06-27 2020-01-06 정기성 다목적용 수전금구
KR200493867Y1 (ko)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수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55Y1 (ko) * 2000-08-23 2001-01-15 백부인 수도 꼭지
KR200254775Y1 (ko) * 2001-08-28 2001-11-26 하홍식 세면기용 회전식 샤워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55Y1 (ko) * 2000-08-23 2001-01-15 백부인 수도 꼭지
KR200254775Y1 (ko) * 2001-08-28 2001-11-26 하홍식 세면기용 회전식 샤워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306A (ko) 2018-06-27 2020-01-06 정기성 다목적용 수전금구
KR200493867Y1 (ko)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406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7878B (zh) 卫生的排水装置
US9038651B2 (en) Switching valve
US8079382B2 (en) Unfreeze faucet structure
US9896826B2 (en) Touch-control faucet
US7909062B2 (en) Temperature control faucet with an improved structure
KR101171473B1 (ko)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US20170350516A1 (en) Valve for a Faucet Assembly
KR20130019904A (ko) 샤워기용 급수본체
KR200475387Y1 (ko) 혼합수전의 매니폴드 조립체
EP3162447B1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KR200415759Y1 (ko) 수도관연결용 급수장치
US7467753B2 (en) Connecting tube structure
US4823832A (en) Cartridge valve
US4966186A (en) Cartridge valve
US20170306597A1 (en) Washer with an adjustable inlet aperture for different water pressure
CN205578823U (zh) 一种水龙头
JP6189601B2 (ja) パルスシャワー装置
US7497415B2 (en) Water-distributing control valve
JP3195103U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RU2016107603A (ru) Сантехническая арматура
KR101122661B1 (ko) 수전장치
KR200395251Y1 (ko) 급수용 중간밸브의 마감캡
CN205781345U (zh) 一种在台面上固定的水龙头
CN213145447U (zh) 一种截止阀组
CN217422274U (zh) 一种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