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61B1 -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수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2661B1 KR101122661B1 KR1020100076995A KR20100076995A KR101122661B1 KR 101122661 B1 KR101122661 B1 KR 101122661B1 KR 1020100076995 A KR1020100076995 A KR 1020100076995A KR 20100076995 A KR20100076995 A KR 20100076995A KR 101122661 B1 KR101122661 B1 KR 101122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main body
- fastening
- wat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매설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수전함 케이스와, 수전함 케이스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공급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서블 파이프와, 수전함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플렉서블 파이프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와, 카트리지 끼움홀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3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본체와, 굴곡진 형상으로 일단부가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타단부는 토수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유출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유출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연결배관과, 본체의 카트리지 끼움홀에 삽입결합하여 제2체결부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와, 수전함 케이스의 전면으로 수전함 케이스와 결합하며, 연결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제1관통홀과, 밸브카트리지의 노출단부가 관통되기 위한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커버의 외측에서 토수구체결부의 내측으로 결합하여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수전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혼합수전의 본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청수나 납성분 등이 흘러나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혼합수전의 본체가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청수나 납성분 등이 흘러나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 또는 다용도실 등의 벽체에 매립하여 세척호스나 세탁기급수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장치는 발코니나 다용도실 등의 벽체에 매립되어 세척호스나 세탁기의 급수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매립되는 박스형상의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에 결합되는 커버(30)와, 마감벽체 외부로 마감되는 커버(30)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의 핸들(60) 및 급수배관(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50)가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수전장치(10)는 마감부인 커버(30) 외부 전면부로 냉,온수 유로를 개,폐하는 조작 핸들(60)과 냉,온수를 토출하는 유출구(50)가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세탁기가 설치되는 발코니는 겨울철 동결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급수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상기 유출구(50)로 유출하며, 상기 핸들(60)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본체(70)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70)는 상기 케이스(20)와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수전장치(10)는, 물과 항상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본체(70)를 비롯한 일련의 구성이 주조금형방식을 잉용한 청동 또는 황동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황동 및 청동의 재질특성상 상기 수전장치(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에서 청수가 흘러나오고 납성분 등 사람에게 해로운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상기 본체(70)를 포함하는 수전장치(10)의 일부 구성을 공급되는 물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한 황동 또는 청동의 재질이 아닌 무해한 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고자 하였으나,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70)의 구조특성상 상기한 사출성형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수전장치(10)는, 항상 물이 접촉하고 있는 본체(70)를 비롯한 구성이 그 유로구조 특성상 주조금형으로만 제조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주조가공을 위해서는 그 재질이 황동 및 청동을 이용할 수 밖에 없어 수전장치(10)에서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혼합수에서 청수가 흘러나오거나 납성분 등 인체에게 유해한 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수도법 제86조 및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237호와 같이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수전장치(10)는 상기 본체(70), 커버(30) 및 케이스(20)를 포함한 모든 구성이 일체로 서로 고정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만약 공급배관 또는 상기 케이스(20)가 얼라인(align)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30)와 호스(40)와 연결되는 유출구(50) 등이 이에 대응하여 기울어지기 때문에 시공 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에서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위생적이며, 제조가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생산적인 수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체에 매설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공급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관연결홀이 형성된 수전함 케이스와, 상기 수전함 케이스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서블 파이프와, 상기 수전함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이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된 유입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와, 외측면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된 유출홀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타측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카트리지 끼움홀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3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본체와, 굴곡진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타단부는 토수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을 유출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연결배관과, 상기 본체의 상기 카트리지 끼움홀에 삽입결합하여 상기 제2체결부로 유출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와, 상기 수전함 케이스의 전면으로 상기 수전함 케이스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제1관통홀과, 상기 밸브카트리지의 노출단부가 관통되기 위한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토수구체결부의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수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혼합수전의 본체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청수나 납성분 등이 흘러나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배관 또는 수전함 케이스가 얼라인 되어 있지 않고 기울어져 있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와 유출구가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미관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수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전장치가 기울어지게 시공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전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버를 중심으로 본체 등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커버를 중심으로 본체 등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본체와 연결배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6의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수전장치를 정면방향으로 봤을 때의 외고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단열재의 전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열재를 수전함 케이스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4의 수전함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4의 수전함 케이스와 공급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6의 본체와 연결배관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전장치가 기울어지게 시공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전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버를 중심으로 본체 등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커버를 중심으로 본체 등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본체와 연결배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6의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수전장치를 정면방향으로 봤을 때의 외고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단열재의 전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열재를 수전함 케이스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4의 수전함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4의 수전함 케이스와 공급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6의 본체와 연결배관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는, 수전함 케이스(100), 플렉서블 파이프(200), 본체(300), 연결배관(400), 밸브카트리지(500), 커버(900), 제1결합부재(610), 제2결합부재(620), 토수구(70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한 본 실시예의 각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측면과 후면이 벽체에 매설되며, 하부 측면으로는 공급배관(10)이 연결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관연결홀(110,120;도 19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배관(10) 각각이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하부측으로 삽입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상기 배관연결홀(110,120)이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하부측면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상부 및 좌, 우양측면과 후면 등 건축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200)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공급배관(1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1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200)는, 이후 상기 본체(300)의 제1체결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10)에 대하여 상기 제1체결부(310)의 자유로운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와 함께 벽체에 매립되어 외부노출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300)는 내부에 내부유로(340)가 형성되고 대략 "L"자형의 중공관 형태로, 일측에는 상기 내부유로(340)와 연통되고 상기 물이 공급되는 유입홀(341)과, 외주측면에는 상기 내부유로(340)와 연통되고 공급된 상기 물이 유출되는 유출홀(342;도 12참조)과, 타측에는 상기 내부유로(340)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카트리지(500)가 삽입결합하는 카트리지 끼움홀(343)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300)는 상기 유입홀(341)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20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310)와, 상기 유출홀(342)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320)와, 상기 카트리지 끼움홀(343)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3체결부(330)를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330)는 외주면으로 제1플렌지부(3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플렌지부(331)는 이후 상기 커버(900)의 제1관통홀(901) 주위 내측면과 대면접촉한다.
상기 본체(300)에서 상기 제1체결부(310)와 상기 제3체결부(330)는 서로 얼라인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320)는 상기 제1체결부(310) 및 상기 제3체결부(330)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 형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결배관(400)은, 대략 "L"자로 굴곡진 형상으로 상기 유출홀(342)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을 유출하고,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부(320)에 체결되며, 타단부는 토수구체결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수구체결부(410)는 외주면으로 제2플렌지부(412)를 구비하여, 이후 상기 커버(900)의 제2관통홀(902) 주위 내측면과 대면접촉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20은 상기 연결배관(400)의 유출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은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조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의 구조가 사출성형이 가능한 "L"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이 스케일이 끼는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물이 접촉되어 있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공급되는 물에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나아가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공 등이 쉽고 대량생산이 유리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은,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에 물때 등이 발생하여도 내부세정이 용이하다.
상기 본체(300)는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기밀부재는 오링(220,421)과, 와셔(230,422)와, 그립링(240,423)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300)와 상기 공급배관(10) 및 상기 연결배관(400) 사이에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오링, 와셔 및 그랩링을 예로 하여 적용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수전장치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기밀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카트리지(500)는, 상기 본체(300)의 상기 카트리지 끼움홀(343)에 삽입결합하여 상기 제2체결부(320)로 유출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외측으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핸들(51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카트리지(500)는 상기 본체(300)와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경우에 따라 스냅식으로 압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등 상기 본체(300)와는 다양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900)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전면으로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배관(400)의 타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제1관통홀(901)과, 상기 밸브카트리지(500)의 노출단부가 관통되기 위한 제2관통홀(9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9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관통홀(901)과 제2관통홀(902)이 형성된 부분이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만, 주위표면보다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토수구(700) 및 핸들(510)의 외부돌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900)는 상기 내부커버(910)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볼트(101,102)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903,90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903,904)은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져(도 15참조), 상기 커버(900)가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903,904)의 장공의 유격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는, 내부의 공급배관(10)의 수평 얼라인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마무리 작업 시 상기 커버(900)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어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이 삽입되는 삽입부(9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900) 사이에 모르타르(2;도 4참조)를 투입하여 미장공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900)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수전함케이스(100)와 상기 커버(90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커버(91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은 상기 모르타르의 노출표면에 부착결합하는 타일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커버(900)의 후면에 조립시공 시 상기 커버(900)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커버(920)를 더 구비하며, 재질은 스텐레스 스틸 재질 등으로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커버(900)와 상기 내부커버(910)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좋은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리브(미도시)들을 돌출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커버(920)는 SUS(Steel Use Stainless)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재(610)는, 너트형상으로 중앙부에 제1체결홀(6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900)의 외측에서, 상기 제1체결홀(614)을 통하여 상기 본체(300)의 제3체결부(330)가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610)는, 상기 제1체결홀(614)의 내주면으로 상기 본체(300)의 제3체결부(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332)과 대응하는 제2나사산(616)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300)의 체3체결부와 치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610)는 외주면으로 제3플렌지부(612)를 구비한다. 상기 제3플렌지부(612)는 상기 본체(300)의 제3체결부(330)와 치합되면서 결합하면 상기 커버(900)의 제1관통홀(901)의 주위 외측면과 대면접촉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620)는, 상기 제1결합부재(610)와 마찬가지로 너트형상으로 중앙부에 제2체결홀(6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90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체결홀(624)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400)의 토수구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620)는, 상기 제2체결홀(624)의 내주면으로 상기 연결배관(400)의 토수구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3나사산(411)과 대응하는 제4나사산(626)이 형성되어, 상기 토수구 체결부와 치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620)는 외주면으로 제4플렌지부(622)를 구비한다. 상기 제4플렌지부(622)는 상기 연결배관(400)의 토수구 체결부(410)와 치합되면서 결합하면 상기 커버(900)의 제2관통홀(902)의 주위 외측면과 대면접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제1결합부재(610)가 상기 커버(9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면서 상기 본체(300)의 제1플랜지부(331)와 상기 제1결합부재(610)의 제3플랜지부(612)가 상기 커버(900)측으로 눌려져 압착되고, 상기 연결배관(400)과 상기 제2결합부재(620)가 상기 커버(9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면서 상기 연결배관(400)의 제2플랜지부(412)와 상기 제2결합부재(620)의 제4플랜지부(622)가 상기 커버(900)측으로 눌려져 압착되면서 상기 본체(300)가 상기 커버(900)에 그 위치가 고정결합되는 구조 즉, 상기 커버(900)를 회전 또는 일정거리 유격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전 상기 공급배관(10) 등이 얼라인 되어 있지 않더라도 노출되는 커버(900)는 그 상황에 맞추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미관을 좋게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재(610)와 상기 제2결합부재(620)는, 일정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연결배관(400)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300)에 상기 밸브카트리지(500)가 삽입결합하고, 상기 연결배관(400)에 상기 토수구(700)가 삽입 결합할 시, 상기 제3체결부(330)와 상기 토수구 체결부(410)가 벌어지거나, 온수로 인하여 온도가 올라갈 시 변형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25는 오링과 같은 기밀부재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토수구(700)는, 상기 커버(900)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배관(400)의 토수구 체결부(410)의 내측으로 삽입결합하여, 상기 토수구 체결부(4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토수구(700)와 상기 토수구 체결부(410)는 서로 나사결합 또는 스냅식 등 다양한 결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토수구(700)는 상기 연결배관(400)에 삽입결합하는 제1토수구(710)와 상기 제1토수구(710)와 결합하여 물을 유출하는 제2토수구(7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제1플랜지부(331)와, 상기 본체(300)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연결배관(400)의 제2플랜지부(412)는 동일한 선상(S ;도 11참조)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상기 커버(900)의 내측면에 동일선상으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커버(900)와의 들뜸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커버(900)와 상기 본체(300) 사이에 상기 본체(300)의 내부 환경을 고온 및 저온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단열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열부재는 제1단열부재(810)와, 제2단열부재(820)와, 제3단열부재(8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단열부재(810)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내부벽면 즉, 후면 및 사방측면에 대면접촉하며,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사방측면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기 제1단열부재(810)를 삽입한 다음 각 사방측면을 접어서 도 17과 같이,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내측면으로 각각 밀착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열부재(810)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대면하는 후면으로 접착제(811)가 도포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제1단열부재(810)를 용이하게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에 삽입 및 대면접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제(811)를 통하여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와 견고하게 부착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부재(820)는, 상기 커버(9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단열부재(830)는 상기 내부 커버(900)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단열부재(810,820,830)는 공지의 단열 기능을 갖는 단열재를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단열부재(810,820)는, 상기한 단열 기능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벽체 마감표면과 외부에 마감 설치된 커버(900)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전함 케이스(10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 기능을 갖는 재질, 상세하게는 발포성 수지의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단열부재(810,820)는 상기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장치는 물이 차있는 본체(300), 연결배관(400), 공급배관(11) 등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제2, 제3단열부재(810,820,830)를 각각 구비하여, 고온 및 저온의 외부환경에 대하여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 온도 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동파 및 과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는 공급배관(10)이 결합되는 하측면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131)들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는 상기 결합부재(131)가 슬라이딩 결합하는 부분에 장공의 제1삽입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는 상기 결합부재(131)가 슬라이딩 결합한 후 빠지지 않도록 외측면에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구조는 상기 결합부재(131)가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착탈할 수 있고 끼움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재(131)는 상기 제1삽입홀(142)들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삽입홀(13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132)은 경우에 따라 그 개수와 그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홀(132)의 내주면에는 공급배관(10)의 끼움이 용이하고 이탈이 어렵도록 다수회 절개되고 내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결합부재(131)를 통하여 만약 공급배관(10)의 개수나 위치를 변경해야할 경우 상기 수전함 케이스(100)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결합부재(131)만 교체한 뒤 수전함 케이스(100)에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 및 수리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이고 작업이 용이하다.
도 22는 도 6의 도 22는 도 6의 본체와 연결배관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6과 비교하여 차별되는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300b)는, 상기 제3체결부(330)의 외주면으로 도 6의 제1플렌지부(331)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결합플렌지부(350)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플렌지부(350)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351)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400b)은 상기 토수구체결부(410)의 외주면으로 도 6의 제2플렌지부(412)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2결합플렌지부(450)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플렌지부(45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결합홀(4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커버(900b)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300b)의 제1결합홀(351)에 관통결합하는 제1체결부재(131)와, 상기 커버(900b)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배관(400b)의 제2결합홀(451)에 관통결합되는 제2체결부재(13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131)와 상기 제2체결부재(132)는 체결력이 좋은 체결볼트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 억지끼움결합되는 체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등 상기한 체결볼트 외 다른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홀(351)과 상기 제2결합홀(451)은, 상기 제1체결부재(131)와 상기 제2체결부재(132)가 체결볼트인 경우, 내주면으로 상기 제1체결부재(131)와 상기 제1체결부재(13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본체(300b)와 상기 제1체결부재(131)가 상기 커버(900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300b)가 상기 커버(900b)에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배관(400b)과 상기 제2체결부재(132)가 상기 커버(900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배관(400b)이 상기 커버(900b)에 그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본체(300b)와 상기 연결배관(400b)은 상기 커버(900b)와 각각 더욱 견고하게 결합한다. 미설명부호 131a, 132a는 상기 제1체결부재(131)와 제2체결부재(132)의 헤드부를 감추기 위한 감춤피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전함 케이스 200... 플렉서블 파이프
300... 본체 400... 연결배관
500... 밸브카트리지 610... 제1결합부재
620... 제2결합부재 700... 토수구
810... 제1단열부재 820... 제2단열부재
830... 제3단열부재 900... 커버
910... 내부커버 920... 보강커버
300... 본체 400... 연결배관
500... 밸브카트리지 610... 제1결합부재
620... 제2결합부재 700... 토수구
810... 제1단열부재 820... 제2단열부재
830... 제3단열부재 900... 커버
910... 내부커버 920... 보강커버
Claims (12)
- 벽체에 매설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공급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관연결홀이 형성된 수전함 케이스;
상기 수전함 케이스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서블 파이프;
상기 수전함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이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된 유입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와, 외측면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된 유출홀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타측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카트리지 끼움홀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3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본체;
굴곡진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타단부는 토수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을 유출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연결배관;
상기 본체의 상기 카트리지 끼움홀에 삽입결합하여 상기 제2체결부로 유출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
상기 수전함 케이스의 전면으로 상기 수전함 케이스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제1관통홀과, 상기 밸브카트리지의 노출단부가 관통되기 위한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토수구체결부의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체결부의 외주면으로 제1플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토수구체결부의 외주면으로 제2플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제3체결부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하고, 외주면으로 제3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토수구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과 결합하고, 외주면으로 제4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2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제1결합부재가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면서 상기 본체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제3플랜지부가 상기 커버측으로 눌려져 압착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면서 상기 연결배관의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2결합부재의 제4플랜지부가 상기 커버측으로 눌려져 압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커버에 그 위치가 고정되게 결합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하나 또는 양자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수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체결부의 외주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들이 형성된 제1결합플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토수구체결부의 외주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결합홀들이 형성된 제2결합플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제1결합홀에 관통결합하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제2결합홀에 관통결합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커버에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제2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배관이 상기 커버에 그 위치가 고정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3체결부는 서로 얼라인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3체결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수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체결부의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재는 내주면으로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3체결부와 치합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토수구 체결부의 외주면에 제3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재는 내주면으로 상기 제3나사산과 대응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토수구 체결부와 치합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연결배관의 제2플랜지부는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배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 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수전함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전함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모르타르를 투입하고 노출면에 복수 개의 타일들을 부착하기 위한 내부커버를 더 구비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단열부재를 더 구비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수전함 케이스의 내부벽면에 부착되는 제1단열부재와,
상기 커버와 상기 내부 커버 각각의 후면에 배치되어 단열 및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단열부재 및 제3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수전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커버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커버를 더 구비하는 수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995A KR101122661B1 (ko) | 2010-08-10 | 2010-08-10 | 수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995A KR101122661B1 (ko) | 2010-08-10 | 2010-08-10 | 수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4802A KR20120014802A (ko) | 2012-02-20 |
KR101122661B1 true KR101122661B1 (ko) | 2012-03-09 |
Family
ID=4583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6995A KR101122661B1 (ko) | 2010-08-10 | 2010-08-10 | 수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266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75675A (zh) * | 2014-02-19 | 2014-05-07 | 刘占松 | 一种冷热双出水接口面板插座 |
KR101485794B1 (ko) * | 2014-04-11 | 2015-01-27 | 황혜자 | 건식벽체용 슬림형 매립 수전함과 그 배관연결구조 |
KR102407289B1 (ko) * | 2016-03-17 | 2022-06-10 |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2638A (ja) | 2000-03-15 | 2001-09-26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道用コンセント |
JP2001348919A (ja) | 2000-06-07 | 2001-12-21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道用コンセント |
KR200417638Y1 (ko) | 2006-03-21 | 2006-06-01 | (주)남호건업 |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
KR100728249B1 (ko) | 2006-10-23 | 2007-06-14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
-
2010
- 2010-08-10 KR KR1020100076995A patent/KR101122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2638A (ja) | 2000-03-15 | 2001-09-26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道用コンセント |
JP2001348919A (ja) | 2000-06-07 | 2001-12-21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道用コンセント |
KR200417638Y1 (ko) | 2006-03-21 | 2006-06-01 | (주)남호건업 |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
KR100728249B1 (ko) | 2006-10-23 | 2007-06-14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4802A (ko) | 2012-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7844B2 (en) | Magnetic escutcheon mounting assembly | |
CN102720888B (zh) | 暗装式龙头预埋主体结构 | |
MX2009005415A (es) | Llave con manija rociadora extraible. | |
US8375993B2 (en) | Corrosion resistant faucets with components made of different metallic materials | |
KR101493948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 |
KR101122661B1 (ko) | 수전장치 | |
KR20130019904A (ko) | 샤워기용 급수본체 | |
US20110126932A1 (en) | Faucet device | |
KR101072746B1 (ko) | 욕실의 샤워장치 | |
KR200434950Y1 (ko) | 수전금구 구조 | |
JP5695264B1 (ja) |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 |
JP3187887U (ja) | 静音及び調圧の多機能蛇口 | |
KR101120191B1 (ko) | 수전장치 | |
CN107940062B (zh) | 一种进排一体的龙头及盆体 | |
CN202706121U (zh) | 暗装式龙头预埋主体结构 | |
US8573256B2 (en) | Revolving switching device | |
KR200457279Y1 (ko) | 멀티 수도전 | |
KR200461990Y1 (ko) |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 |
JP6543894B2 (ja) | 水栓装置 | |
CN221276757U (zh) | 一种带置物架的暗装龙头 | |
CN221108603U (zh) | 一种便于拆卸的花洒 | |
KR101112616B1 (ko) | 혼합수전의 구조 | |
CN220888833U (zh) | 一种带置物架可更换主体的暗装龙头 | |
US20110248098A1 (en) | Portable faucet sprayer | |
CN210716085U (zh) | 塑料混水龙头连接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