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67Y1 -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67Y1
KR200493867Y1 KR2020200001540U KR20200001540U KR200493867Y1 KR 200493867 Y1 KR200493867 Y1 KR 200493867Y1 KR 2020200001540 U KR2020200001540 U KR 2020200001540U KR 20200001540 U KR20200001540 U KR 20200001540U KR 200493867 Y1 KR200493867 Y1 KR 200493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motor
spa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회
Original Assignee
김문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회 filed Critical 김문회
Priority to KR2020200001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회전부; 및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회전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이 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본체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나사산과 복수개의 오링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오링홈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물망 형태로 마련되어 이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기 기어부로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동작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와 맞닿는 부분이 실링 처리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동작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부가 제한없이 360도 회전될 수 있으므로. 수전장치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전장치{FAUCET}
본 고안은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수구가 360도 회전되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장치는 수도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전장치는 보통 단부의 토수구가 물을 직하방으로만 토출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사용방식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토수구를 회전시켜줄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수전장치가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경우, 넓은 범위의 화장실을 세척하기 위해 토수구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수전장치가 공원이나 학교의 식수대에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물을 음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물을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일시적으로 토수구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줄 필요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실0140192호에는 세면대에 부착 설치되는 수도꼭지의 회전 토수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에 따르면, 토수구의 방향을 직상방 또는 직하방으로만 바꿀 수 있어,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변경할때마다 매번 고정핀을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수구가 360도 회전되는 수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회전부; 및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회전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이 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본체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나사산과 복수개의 오링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오링홈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물망 형태로 마련되어 이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기 기어부로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동작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와 맞닿는 부분이 실링 처리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동작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전장치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전장치 내부의 기밀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수전장치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수전장치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에서 제1오링홈이 형성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에서 제1오링홈과 제2오링홈이 형성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오링부와 제1오링홈 내지 제2오링홈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다양한 회전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동부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에서 제1오링홈이 형성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에서 제1오링홈과 제2오링홈이 형성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오링부와 오링홈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다양한 회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유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i)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d)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부(120)의 축부(122)가 관통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밸브커버가 결합된다. 그리고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조절부(120)의 디스크부(124)가 안착되는 디스크시트(110a)가 형성되며, 디스크시트(110a)의 중앙 부분에는 유입구(i)에서 유입된 유체를 토출구(d)로 통과시키는 통수공(s)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0)는 후술하는 회전부(130)가 본체부(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토출구(d)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부(120)는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절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핸들부(121), 축부(122), 승강부(123), 및 디스크부(124)를 포함한다.
핸들부(121)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전되는 것으로서, 십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축부(122)는 핸들부(121)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승강부(123)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축부(122)는 상단에 핸들부(121)가 결합되고 하단에 후술하는 디스크부(124)가 결합되며, 핸들부(121)와 디스크부(124)의 사이에는 승강부(123)가 결합된다.
승강부(123)는 축부(1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축부(122)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에 나사결합된다.
디스크부(124)는 통수공(s)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축부(122)의 하단에 결합되며,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핸들부(121)를 좌측으로 돌리면 축부(122)가 상승하고, 이에 결합된 디스크부(124)가 디스크시트(110a)와 이격되어 통수공(s)이 개방되며, 차단되어 있던 유체가 토출구(d)를 지나 후술하는 회전부(130)로 이동된 후 회전부(130)의 단부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핸들부(121)를 우측으로 돌리면 축부(122)가 하강하고, 이에 결합된 디스크부(124)가 디스크시트(110a)에 탄력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통수공(s)이 폐쇄되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다.
회전부(130)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토출구(d)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토출구에 삽입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때, 회전부(130)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본체부(1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출구(d)에 나사결합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몸체부(131), 오링부(132) 및 제한부(133)를 포함한다.
몸체부(131)는 회전부(13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단부의 외주면에 상술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3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오링부(13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오링홈(h1)이 형성된다. 이 때, 제1오링홈(h1)은 몸체부(131)의 부분 중 토출구(d)에 삽입되는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오링부(132)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제1오링홈(h1)과 후술하는 제2오링홈(h2)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오링부(132)는 합성고무 재질로 마련되되, 수압이 증가하면 비틀림, 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온도, 마찰, 틈새 간격 등을 고려하여 이를 견딜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오링부(13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오링홈(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오링홈(h1)과 제2오링홈(h2)은 본체부(110)와 회전부(130)가 결합되었을 때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오링홈(h1)과 제2오링홈(h2)은, 회전부(130)가 360도 회전되었을 때 회전부(1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리드)만큼 서로 이격되게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오링홈(h1), 제2오링홈(h2) 및 이에 결합되는 오링부(132)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부(130)가 360도 회전되면 제1오링홈(h1)에 결합된 오링부(132)가 제2오링홈(h2)에 결합된 오링부(132)에 맞닿게 되므로, 회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체부(110)와 회전부(130) 사이의 기밀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오링부(132)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오링홈(h1) 또는 제2오링홈(h2)에는 오링부(132)의 요철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오링부(132)가 제1오링홈(h1)에 설치되는 경우, 오링부(132)의 내주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오링홈(h1)에는 이러한 요철의 형상에 대응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오링부(132)의 요철이 삽입된다. 또한, 오링부(132)가 제2오링홈(h2)에 설치되는 경우, 오링부(132)의 외주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오링홈(h2)에는 이러한 요철의 형상에 대응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오링부(132)의 요철이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링부(132)에 따르면, 회전부(130)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회전할 때, 편중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오링부(132)가 비틀리거나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한부(133)는 그물망 형태로 마련되어 유체가 토출될 때 이물질이 같이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몸체부(13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부(110), 조절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100)에 따르면, 회전부(130)가 제한없이 360도 회전될 수 있으므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3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본체부(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전장치(100)는 용도에 맞게 회전부(130)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와 같이, 수전장치가 세탁기 급수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등 단부에 수도관이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수전장치에 커플링 형태의 회전부(130)가 설치될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수전장치가 세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회전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7의 (c)와 같이, 넓은 범위에 유체를 분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바라 형태의 회전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교체되는 회전부(130)에 따르면, 하나의 수전장치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의 구동부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200)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회전부(230) 및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와 조절부(120)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회전부(230)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토출구에 삽입되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때, 회전부(230)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본체부(1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출구에 나사결합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부(230)는 보다 상세하게, 몸체부(231), 오링부(132) 및 제한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링부(132)와 제한부(133)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몸체부(231)는 회전부(23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몸체부(23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전달기어(244)와 맞물리는 기어부(231a)가 형성된다.
구동부(24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회전부(2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동부(240)는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241), 센서부(242), 모터(243), 전달기어(244), 제어부(245) 및 통신부(246)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4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 때, 하우징부(241)는 본체부(110)의 측면에 배치된 후, 하우징부(24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본체부(110)와 맞닿는 부분이 실링 처리 될 수 있다.
센서부(242)는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면,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후술하는 제어부(245)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241)의 전면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2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터(243)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2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모터(243)는 하우징부(24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회전축은 하우징부(24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달기어(244)는 몸체부(131)의 기어부(231a)와 기어결합되어 모터(243)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기어부(231a)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모터(243)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제어부(245)는 구동부(2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24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센서부(242)로부터 동작정보를 전달받아 모터(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45)는 사용자의 손이 왼쪽으로 움직이면 회전부(230)가 이를 따라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43)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회전부(230)가 이를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43)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5)는 일정 시간동안 센서부(242)로부터 동작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모터(24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후, 센서부(242)로부터 동작정보가 전송되면 모터(24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46)는 사용자단말(t)과 무선통신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t)을 통해 구동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t)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동부(240)를 켜거나 끌 수 있고, 회전부(230)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부(230)가 회전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부(23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된 후 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부(110), 조절부(120), 회전부(230) 및 구동부(24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2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수전장치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110 : 본체부
110a : 디스크시트
i : 유입구
d : 토출구
s : 통수공
h2 : 제2오링홈
120 : 조절부
121 : 핸들부
122 : 축부
123 : 승강부
124 : 디스크부
130 : 회전부
131 : 몸체부
h1 : 제1오링홈
132 : 오링부
r : 요철
133 : 제한부
200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230 : 회전부
231 : 몸체부
231a : 기어부
240 : 구동부
241 : 하우징부
242 : 센서부
243 : 모터
244 : 전달기어
245 : 제어부
246 : 통신부
t : 사용자단말

Claims (5)

  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회전부; 및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회전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이 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본체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에 나사산과 복수개의 오링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오링홈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링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물망 형태로 마련되어 이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기 기어부로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동작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와 맞닿는 부분이 실링 처리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동작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5. 삭제
KR2020200001540U 2020-05-07 2020-05-07 수전장치 KR200493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40U KR200493867Y1 (ko) 2020-05-07 2020-05-07 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40U KR200493867Y1 (ko) 2020-05-07 2020-05-07 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67Y1 true KR200493867Y1 (ko) 2021-06-16

Family

ID=7660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40U KR200493867Y1 (ko) 2020-05-07 2020-05-07 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86Y1 (ko) * 2022-01-19 2022-07-22 김문회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971U (ko) * 1998-07-14 2000-02-15 전주범 테이프 레코더용 메인회로기판의 고정구조
JP2000309959A (ja) * 1999-04-27 2000-11-07 Toto Ltd 吐水装置
KR20090099623A (ko) * 2008-03-18 2009-09-23 김동현 개량형 수도꼭지
CN202118343U (zh) * 2011-07-04 2012-01-18 福建省南安市科洁电子感应设备有限公司 一种感应式过滤水龙头
KR101171473B1 (ko) * 2010-02-09 2012-08-06 김승룡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971U (ko) * 1998-07-14 2000-02-15 전주범 테이프 레코더용 메인회로기판의 고정구조
JP2000309959A (ja) * 1999-04-27 2000-11-07 Toto Ltd 吐水装置
KR20090099623A (ko) * 2008-03-18 2009-09-23 김동현 개량형 수도꼭지
KR101171473B1 (ko) * 2010-02-09 2012-08-06 김승룡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CN202118343U (zh) * 2011-07-04 2012-01-18 福建省南安市科洁电子感应设备有限公司 一种感应式过滤水龙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86Y1 (ko) * 2022-01-19 2022-07-22 김문회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3581B2 (en) Valve system for servo control of fluid flows
US9915960B2 (en) Single-handle dual-control thermostatic faucet
CN101490343A (zh) 出水喷管
CA2589297A1 (en) Faucet spray head
KR200493867Y1 (ko) 수전장치
CN109595360A (zh) 水路切换装置及出水装置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US5137048A (en) Tub/shower diverter valve
KR101152513B1 (ko)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냉온수용 수도전
KR20120008000U (ko)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CN209688169U (zh) 一种水路切换装置及出水装置
CN215806433U (zh) 阀体总成及热水器卫浴管路
CN211779152U (zh) 一种淋浴器用水路切换装置及淋浴器
CN201014041Y (zh) 改进结构的温控水龙头
CN220047354U (zh) 一种带有净水结构的水龙头
JPH01176864A (ja) 湯水混合弁
KR200344223Y1 (ko) 수도꼭지
CN212407618U (zh) 流量调节组件和花洒
KR101857349B1 (ko) 수전용 카트리지
CN214466240U (zh) 一种按压开关模组及龙头
KR200491969Y1 (ko) 자동 온도 조절 밸브
CN214789184U (zh) 一种调温模组及龙头
KR101249814B1 (ko) 샤워 헤드
JP2884215B2 (ja) 湯水混合水栓のハンドル回転防止構造
CN211501737U (zh) 一种四档淋浴恒温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