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008B1 -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008B1
KR101171008B1 KR1020100005841A KR20100005841A KR101171008B1 KR 101171008 B1 KR101171008 B1 KR 101171008B1 KR 1020100005841 A KR1020100005841 A KR 1020100005841A KR 20100005841 A KR20100005841 A KR 20100005841A KR 101171008 B1 KR101171008 B1 KR 10117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apparatus
main shaft
movable body
cup
cu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25A (ko
Inventor
남혜경
이금례
Original Assignee
이금례
남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례, 남혜경 filed Critical 이금례
Priority to KR102010000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68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 A23G3/56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products with an edible support, e.g. a cor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49Package shaping devices acting on filled tubes prior to sealing the filling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가공식품을 담을 수 있는 컵을 상기 즉석 가공식품 제조현장에서 직접 성형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전원 온/오프스위치, 온도조절기, 타이머가 설치된 제어패널을 갖는 본체에는 컵을 성형하도록 가열수단이 설치된 성형구를 갖는 상부금형과 가열수단이 설치된 성형 홈을 갖는 하부금형이 상호 마주보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일 측에는 주축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가 설치된 이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주축에는 이동체의 작동 후 복원을 유도하는 이동체작동수단이 설치된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일 측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일 측에는 상기 기어와 이빨 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이 설치되며, 그 피니언은 이동체작동수단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후방에는 보조 축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는 보조 축에 끼워져 이동되는 보조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주축의 하단에는 주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이동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수단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Cup molding machine possible ingestion}
본 발명은 즉석 가공식품(즉석피자, 견과류, 생야채, 즉석구이, 기타 가공식품)을 담을 수 있는 컵을 상기 즉석 가공식품 제조현장에서 직접 성형 제조하여 즉석 가공식품을 담은 후 그 즉석 가공식품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 가공식품을 현장에서 바로 담을 수 있는 용기(컵)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1회용 컵 등이 대부분이고 그 외에 종이로 깔때기(컵) 형상을 만들어 이에 상기 즉석 가공식품을 담거나 또는 종이로 감싸서 즉석 가공식품을 수용한 다음 해당 즉석 가공식품을 먹은 다음에 상기 컵이나 종이 등을 버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1회용 컵 및 종이 등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위생상의 문제점과 더불어 1회 사용하고 버려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환경의 오염은 물론, 자원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섭취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형태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는 콘 아이스크림 용기이고 이러한 형태의 콘 아이스크림 용기는 사전에 깔때기 형성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유통되고 그 유통되는 용기에 아이스크림을 담아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즉석 가공식품을 식품 가공현장에서 가공식품과 함께 즉석으로 만들어 가공식품을 담아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상기 가공식품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면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판매자 및 소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편리성과 자원낭비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10-2009-59634호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0)의 하부에 컵(10)을 성형하는 성형 홈(111)과 가열수단(113)이 설치된 하부금형(110)이 마련되고, 그 하부금형의 상부에는 성형 홈과 결합되는 가열수단(1233)이 설치된 성형부재(121)가 설치된 상부금형(120)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금형의 일 측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축(150)을 중심으로 회동 및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141)가 설치된 이동체(140)가 설치되고, 상기 축에는 이동체의 작동 후 복원을 유도하는 이동체작동수단(170)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는 상부금형의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19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181)와, 하부금형(11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182)와, 컵 성형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83)가 설치된 제어부(180)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성형 홈(111)과 성형부재(121)는 상광하협의 원형 또는 3각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 측에는 이동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6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스토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축의 외측 둘레 면에는 나선방향 및 직선방향으로 이루어진 안내 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축(15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에는 상기 안내 홈(151)에 삽입되는 안내 돌기(14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의 상부 이동체에는 하부금형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차단 판(13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선 출원된 컵 성형장치는 이동체작동수단(170)이 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스프링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스프링의 복원력(탄성력)이 약해져 이동체의 복원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 상/하부금형 간의 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컵 성형이 불균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140)는 상부금형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계속 상부금형의 무개로 인하여 이동체작동수단(170)인 스프링에 압력을 가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그와 동시에 상부금형의 하향위치를 제어하지 못하여 컵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컵을 성형하고자 상/하부 금형이 결합될 때에 어에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여 컵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에서 즉석으로 가공되는 각종 즉석 가공식품(즉석피자, 견과류, 생야채, 즉석구이, 기타 가공식품)을 담을 수 있는 컵을 식품가공 현장에서 즉석으로 만들어 가공식품을 담아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컵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전원 온/오프스위치, 온도조절기, 타이머가 설치된 제어패널을 갖는 본체에는 컵을 성형하도록 가열수단이 설치된 성형구를 갖는 상부금형과 가열수단이 설치된 성형 홈을 갖는 하부금형이 상호 마주보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일 측에는 주축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가 설치된 이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주축에는 이동체의 작동 후 복원을 유도하는 이동체작동수단이 설치된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일 측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일 측에는 상기 기어와 이빨 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니언이 설치되며, 그 피니언은 이동체작동수단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후방에는 보조 축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는 보조 축에 끼워져 이동되는 보조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하단에는 주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이동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수단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그리고 상기 주축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체의 접촉유무에 따라 타이머를 온/오프 하는 타이머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구비된 각 가열수단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가 제어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 홈 하단에는 성형 완료된 컵을 밀어 올리는 컵 받침대가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 홈 하부 및 상부에는 에어배출구가 다수 곳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구 외주 면에는 성형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배출로가 형성되며, 상기 주축의 일 측 상부 및 하부에는 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의 상단에는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의 하단에는 센터고정구가 형성되고 하부금형의 상단에는 센터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작동수단은 정역모터이며, 상기 이동체작동수단은 스파이럴스프링이고, 상기 하부금형이 형성된 본체의 하부에는 컵을 성형하는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실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장에서 즉석으로 가공되는 각종 즉석 가공식품을 담을 수 있는 컵을 즉석 가공식품을 만드는 식품 가공형장에서 즉석으로 만들어 가공식품을 담에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담겨진 가공식품과 컵을 같이 먹을 수 있도록 한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문제시되던 위생상의 문제점과 더불어 1회 사용하고 버림으로써 발생하는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판매자 및 소지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컵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측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정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상/하부금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하부금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주축 높이조절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주축에 피니언회전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발췌도.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측면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정면 구성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상/하부금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하부금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주축 높이조절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도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주축에 피니언회전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발췌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20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본체(200)의 하부에는 하부금형(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금형(210)에는 컵 형상의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 홈(211)의 외부 주위에는 하부금형(21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12)인 가열선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10)의 상/하부에는 성형 홈(211)과 연통되는 에어배출구(215)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홈(211)의 하단에는 탄성부재(214)에 의해 지지되며 성형 홈(211)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컵 받침대(213)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 홈(211)의 상부 하부금형(210)의 주연부에는 센터고정 홈(216)이 복수 개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금형(220)이 형성되는데 그 상부금형(220)의 하부에는 하향하며 상기 성형 홈(211)과 결합되는 성형구(221)가 설치되고 그 성형구(221)에는 가열수단(222)인 가열 봉이 매립 설치되며, 상기 성형구(221)의 외주 면에는 성형구(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배출로(22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22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금형(210)에 형성된 센터고정 홈(216)과 결합되는 센터고정구(224)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금형(220)의 상부는 손잡이(241)가 설치된 이동체(240)가 설치되는데 그 이동체(240)는 주축(230)에 끼워져 그 주축((2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240)의 후방에는 보조레일(236)이 형성되어 그 보조레일이 상기 주축(230)의 후방에 설치된 보조 축(232)에 끼워져 그 보조 축(23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축(230)에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스토퍼수단(260)이 결합되는 키홈(234)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축(230)의 상단에는 주축(230)이 필요이상 상승하였을 때 이를 제어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충부재(235)가 설치되며 하단에는 상기 성형구가 성형 홈에 결합되었을 때 일정시간 만큼 지속시켜주는 타이머버튼(23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주축(230)의 일 측에는 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240)의 일 측에는 상기 기어와 이빨 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니언(237)이 설치되며, 그 피니언은 이동체작동수단(250)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작동수단(250)은 피니언(237)과 결합되어 그 피니언과 연동하는 것으로 제1실시예로는 정역모터(251)이고, 제2실시예로는 스파이럴스프링(Spiral spring)(252)이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정역모터(251)는 이동체(240)에 설치된 손잡이(241)의 역할이 필요 없이 정역모터(251)의 정역 작동에 의해서 이동체(240)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것이고, 스파이럴스프링(252)은 손잡이(241)를 이용하여 이동체(240)를 하강시킨 후 스파이럴스프링(252)의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이동체(240)를 상승시킨다.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은 줄자 등에 적용하는 태엽스프링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10)이 형성된 본체(200)의 하부에는 컵을 성형하는 반죽물을 숙성시키기 위하여 숙성실(280)이 마련되는데 상기 숙성실(280)은 온장고이고, 또 상기 숙성실(280)의 열기 일부는 상/하부금형(220.21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공급받는다.
이성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금형(220.210)의 각 가열수단(222.212)을 이용하여 상/하부금형(220.210)을 목적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그 가열이 끝나면 숙성된 반죽물을 하부금형(210)의 성형 홈(211)에 투입한 후 이동체작동수단(250)인 정역모터(251)를 작동시켜 이동체(240)를 하강시키면 상부금형의 성형구(221)가 하강하면서 반죽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반죽물은 성형구(221)의 외주 면과 성형 홈(211)의 내주면사이로 밀려올라오면서 성형구(221) 및 성형 홈(211) 형태의 컵이 성형되는 것이다.
단 상기 컵의 두께조절은 주축(230)의 하단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270)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270)은 주축(230)의 하단에 볼트 홀(272)이 형성되고 그 볼트 홀(272)에 볼트(271)가 체결된 것으로 볼트머리를 회전시키면 그 볼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주축(23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조절되면서 성형구(221) 및 성형 홈(211)의 사이 공간이 결정되고 그에 따라 컵의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40)의 하강 제어는 타이머버튼(233)이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체(240)의 하단이 타이머버튼(233)과 접촉되면 정역모터(251)의 작동을 일정시간만큼(제어패널에 입력된 시간) 정지시킨 후 그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정역모터(251)를 역 작동시켜 이동체(240)를 상부로 승강시켜 성형구(221)를 성형 홈(211)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251)의 작동을 일정시간만큼 정지시키는 이유는 컵이 성형되는 반죽물이 익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상/하부금형(220.210) 즉 성형구(221)와 성형 홈(211)의 가열온도는 반죽믈의 재료에 따라 그 익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반죽물의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성형구(221)와 성형 홈(211)의 가열온도 조절 및 정역모터(251)의 작동과, 하기에서 설명되는 모든 전기적인 제어는 제어패널(290)의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성형구(221)와 성형 홈(211)에 의해서 컵이 성형되는 과정 중 성형 홈(211)의 내부에 존재는 에어는 성형 홈(211)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에어배출구(215)와 성형구(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에어배출로(223)로 배출되기 때문에 컵의 성형은 균일하고 미려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성형구(221)와 성형 홈(211)이 상호 결합될 때 상부금형의 하단에 형성된 센터고정구(224)가 하부금형의 상단에 형성된 센터고정 홈(216)에 결합됨은 물론, 보조 축(232)을 따라 보조레일(236)이 하강하기 때문에 이동체(240)의 회동을 제어하여 컵이 뒤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정밀하게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체(240)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수단(260)은 이동체(240)가 최 상부 또는 최 하부의 이동 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동체(240)가 최 상부 또는 최 하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작동되어 주축(230)의 키 홈(234)에 스토퍼수단(260)의 키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수단(260)의 작동도 제어패널(290)의 제어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반죽물이 성형 홈(211)에서 성형 완료된 후 성형구(221)가 성형 홈(211)으로부터 분리되면 성형 홈(211)의 하단에 형성된 컵 받침대(213)가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성형 완료된 컵을 성형 홈(211)으로부터 일정량만큼 밀어 올려 컵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단 상기 성형구(221)가 성형 홈(211)에 결합될 때에는 성형구(221)의 하단이 컵 받침대(213)의 상면을 밀어내리기 때문에 탄성부재(214)인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성형구(221)가 성형 홈(211)으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부재(214)의 압축력이 해제됨으로 성형 완료된 컵을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10)이 형성된 본체(200)의 하부에는 컵을 성형하는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실(280)을 형성시킨 이유는 반죽물을 숙성시켜 컵을 섭취할 때에 맛과 섭취 감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주축(230)의 상단에 설치된 충격완충부재(235)는 이동체(240)의 오동작에 의하여 이동체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그 상승 량을 제어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상기 주축(230)의 일 측에 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240)의 일 측에 상기 기어(231)와 이빨 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니언(237))이 설치되며, 그 피니언(237)은 이동체작동수단(250)인 스파이럴스프링(252)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파이럴스프링(252)은 손잡이(241)를 이용하여 이동체(240)를 하강시킨 후 자동으로 이동체(240)를 상승(윈 위치)시키기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는 섭취가능한 컵을 즉석 가공식품을 만드는 식품 가공현장 즉석에서 만들어 가공식품을 담에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컵과 함께 같이 먹을 수 있어 종래 문제시되던 위생상의 문제점과 더불어 1회 사용하고 버림으로써 발생하는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판매자 및 소지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 : 본체 210 : 하부금형
211 : 성형 홈 212 : 가열수단
213 : 컵 받침대 214 : 탄성부재
215 : 에어배출구 216 : 센터고정홈
220 : 상부금형 221 : 성형구
222 : 가열수단 223 : 에어배출로
224 : 센터고정구 230 : 주축
231 : 기어 232 : 보조축
233 : 타이머버튼 234 : 키홈
235 : 충격완충부재 236 : 보조레일
237 : 피니언 240 : 이동체
241 : 손잡이 250 : 이동체작동수단
251 : 정역모터 251 : 스파이널스프링
260 : 스토퍼수단 270 : 높이주절수단
271 : 볼트 272 : 볼트홀
280 : 숙성실 290 : 제어패널

Claims (11)

  1. 전원 온/오프스위치, 온도조절기, 타이머가 설치된 제어패널(290)을 갖는 본체(200)에는 컵을 성형하도록 가열수단(222)이 설치된 성형구(221)를 갖는 상부금형(220)과 가열수단(212)이 설치된 성형 홈(211)을 갖는 하부금형(210)이 상호 마주보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일 측에는 주축(230)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241)가 설치된 이동체(240)가 설치되며, 상기 주축에는 이동체의 작동 후 복원을 유도하는 이동체작동수단(250)이 설치된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230)의 일 측에는 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240)의 일 측에는 상기 기어와 이빨 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니언(237))이 설치되며, 그 피니언은 이동체작동수단(250)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후방에는 보조 축(232)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는 보조 축에 끼워져 이동되는 보조레일(236)이 설치되며, 상기 주축의 하단에는 주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270)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이동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수단(2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23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체(240)의 접촉유무에 따라 타이머를 온/오프 하는 타이머버튼(23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구비된 각 가열수단(222.212)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가 제어패널(290)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 홈(211) 하단에는 성형 완료된 컵을 밀어 올리는 컵 받침대(213)가 탄성부재(214)를 매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성형 홈(211) 하부 및 상부에는 에어배출구(215)가 다수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성형구(221) 외주 면에는 성형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배출로(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일 측 상부 및 하부에는 키 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의 상단에는 충격완충부재(2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하단에는 센터고정구(224)가 형성되고 하부금형의 상단에는 센터고정 홈(2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작동수단(250)은 정역모터(251)임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작동수단(250)은 스파이럴스프링(252)임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이 형성된 본체의 하부에는 컵을 성형하는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실(2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KR1020100005841A 2010-01-22 2010-01-22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KR10117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41A KR101171008B1 (ko) 2010-01-22 2010-01-22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41A KR101171008B1 (ko) 2010-01-22 2010-01-22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25A KR20110086225A (ko) 2011-07-28
KR101171008B1 true KR101171008B1 (ko) 2012-08-08

Family

ID=4492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41A KR101171008B1 (ko) 2010-01-22 2010-01-22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89B1 (ko) 2021-08-17 2024-04-30 박세기 일체형 컵형상 김 제조장치
KR20230025995A (ko) 2021-08-17 2023-02-24 박진성 분리형 컵형상 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컵형상 김
KR202400333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스카이블루텍 자동 콘 성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949A (ja) 1999-10-05 2001-04-17 System K International:Kk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それに用いる食品具成形治具並びに食品自動販売機
KR100526323B1 (ko) 2004-05-25 2005-11-08 이익재 아이스크림 용기의 뚜껑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949A (ja) 1999-10-05 2001-04-17 System K International:Kk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それに用いる食品具成形治具並びに食品自動販売機
KR100526323B1 (ko) 2004-05-25 2005-11-08 이익재 아이스크림 용기의 뚜껑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25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917B2 (en) Machine for shaving and pressing ice cream
KR101171008B1 (ko) 섭취 가능한 컵 성형장치
KR101624283B1 (ko) 아이스크림 빙삭기
TWI535986B (zh) Automatic ice machine
WO2009152761A1 (zh) 一种新型的全自动磨豆机
CN106003206B (zh) 便携式阿胶糕自动切割装置
KR101062940B1 (ko) 컵 성형장치
CN203802255U (zh) 快速自动烫粉机
CN108684769B (zh) 自动面皮机
CN110842994B (zh) 一种糯米糍粑高效自动成型切割机
KR102065858B1 (ko) 포장 두부의 격자절단방법 및 그 장치와 격자절단 두부
US10806172B2 (en) Compaction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food bars
CN208876287U (zh) 一种破壁机的清洗装置
KR101716810B1 (ko) 아이스크림 빙삭기의 압착구 탄성 결합장치
KR101172769B1 (ko) 즉석 떡볶이 조리기 및 즉석 떡볶이 제조 방법
CN205415759U (zh) 一种离合式土豆泥机
KR101367462B1 (ko) 자동 호떡 제조장치
KR101716811B1 (ko) 아이스크림 빙삭기
CN205386842U (zh) 一种切削土豆泥的装置
CN109864550B (zh) 一种炒菜料理机及其炒菜控制方法
CN212813993U (zh) 茶叶加工专用细切装置
CN109864553B (zh) 一种炒菜料理机及其炒菜控制方法
CN204249058U (zh) 一种陶瓷漏斗的泥坯打孔机
KR102236113B1 (ko) 식품 절단기
CN108703679B (zh) 花椒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