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325B1 -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325B1
KR101170325B1 KR1020090041295A KR20090041295A KR101170325B1 KR 101170325 B1 KR101170325 B1 KR 101170325B1 KR 1020090041295 A KR1020090041295 A KR 1020090041295A KR 20090041295 A KR20090041295 A KR 20090041295A KR 101170325 B1 KR101170325 B1 KR 10117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transfer plate
transfer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314A (ko
Inventor
정연복
Original Assignee
정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복 filed Critical 정연복
Priority to KR102009004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3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개의 개별 문짝으로 구성된 미닫이 도어에서 어느 한 문짝의 작동으로 나머지 문짝이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게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나란한 제1 내지 3레일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와, 하부에는 문짝이 결합되며, 각 제1 내지 3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이송판과,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제2이송판의 전단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 및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제1와이어와 대칭되게 제2이송판의 후단에 걸쳐지는 제2와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닫이, 연동, 슬라이딩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The interlock for th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개의 개별 문짝으로 구성된 미닫이 도어에서 어느 한 문짝의 작동으로 나머지 문짝이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게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개폐는 크게 미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미닫이식 도어는 하나의 문짝으로 이루어진 외미닫이식, 문짝이 쌍으로 이루어진 쌍미닫이식, 문짝이 3짝이 이상 구비되는 다중 미닫이식이 있다.
문짝이 쌍으로 이루어지거나, 3짝 이상으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도어에서 외측에 구비된 문짝을 슬라이딩시키면 나머지 문짝이 연동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나머지 문짝이 연동되며 전체 도어가 개폐되는 연동식 도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동식 도어 중 하나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46706호(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가 있다.
선출원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1,102)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2이송판(110,120) 을 연동되게 하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판(110)의 이동에 따라 제2이송판(120)은, 상기 제1이송판(110)에는 고정되고, 상기 제2이송판(120)의 양단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감기는 와이어(W)의 당김력으로 연동되고, 상기 와이어(W)는 일단이 상기 제1이송판(110)의 전단부(111)에 고정된 후 상기 제2이송판(120)의 후단부(122)에 감기고, 이후,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이송판(120)의 전단부(121)에 감긴 후 상기 제1이송판(110)의 후단부(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판(120)의 전단부(121)와 후단부(122)에는 상기 와이어(W)가 감겨 자유롭게 회전되는 자유풀리(123)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101,102)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와이어(W)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키기 위한 외측풀리(P11,P12,P21,P22)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2이송판이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각 이송판에 구비된 문짝이 겹쳐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이송판이 슬라이딩되면 제2이송판이 차동 연동구간과 동비 연동구간을 거쳐 연동되어 도어가 닫히게 작동되는 것이다.
선 출원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문짝을 가진 미닫이 도어에도 선출원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장착할 수는 있다. 그러나, 문짝 중 제1,2이송판에 결합되는 2개의 문짝은 서로 연동되지만, 나머지 하나의 문짝은 전술된 바와 같이 차동 연동구간과 동비 연동구간을 가지며 연동되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3개의 문짝이 서로 연동되어 하나의 문짝을 작동하였을 때, 나머지 모든 문짝이 연동되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짝이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는 연동되도록 서로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문짝의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와이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각 문짝은 정확한 연동 비율을 유지하면서 개폐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3개의 문짝의 이동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도어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의 회전속도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문짝의 연동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와이어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문짝이 정해진 이동구간을 넘어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각 문짝이 동일한 속도로 슬라이딩되는 비연동구간을 형성하여, 프레 임이 형성된 문짝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자연스러운 도어 개폐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나란한 제1 내지 3레일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 하부에는 문짝이 결합되며, 각 상기 제1 내지 3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이송판;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3이송판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판의 전단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 및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3이송판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대칭되게 상기 제2이송판의 후단에 걸쳐지는 제2와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걸리는 전,후방풀리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방풀리부에는 상기 제1레일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풀리와, 상기 제3레일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4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4풀리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2 내지 3풀리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풀리부에는 상기 제1레일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5풀리와, 상기 제3레일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8풀리 및 상기 제5풀리와 제8풀리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6 내지 7풀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이송판의 전단에서 제1풀리, 제5풀리 및 제6풀리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2이송판의 후단에 감기고, 다시 제7풀리, 제8풀리 및 제4풀리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3이송판의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이송판의 후단에서 제5풀리,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2이송판의 전단에 감기고, 다시 제3풀리, 제4풀리 및 제8풀리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3이송판의 후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전방풀리부에는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가 등속으로 회전되게 하는 등속유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등속유지부에는 상기 제1풀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스퍼기어; 상기 제2풀리에 구비된 종동피니언; 및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스퍼기어와 같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스퍼기어와, 상기 제2스퍼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피니언에 맞물려지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회전전달기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전방풀리부에는 상기 제3풀리가 제2풀리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게 하며, 상기 제2풀리와 제3풀리의 회전비가 3:1이 되게 하는 감속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에는 상기 회전전달기재의 제2스퍼기어 하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풀리; 상기 제2보조풀리의 직경보다 3배 큰 직경이고, 상기 제3풀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보조풀리; 및 상기 제2보조풀리와 제3보조풀리에 감기는 벨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3풀리의 외주면에 1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에는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과, 상기 레일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가이드에 결합되는 이송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의 양단에 결합되는 이송블럭; 및 상기 와이어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걸쳐지는 이송풀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판 또는 제3이송판에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에는 일측에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길게 연장되는 고리심; 상기 제1이송판 또는 제3이송판에 고정되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고리심을 상부에 형성된 조임공에 나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조임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3레일에는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이 이송되는 구간의 양단에 고정되는 스톱퍼블럭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블럭에는 상기 이송블럭과의 접촉시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 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6풀리와 상기 제2이송판의 후단을 통과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3풀리와 상기 제2이송판의 전단을 통과하는 제2와이어에는,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이 동일한 비율로 슬라이딩되는 동비 연동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이송판의 이송블럭에 형성된 와이어홀에 걸리는 걸림구슬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따르면, 제1 내지 3이송판에 각각 결합되는 문짝 중 어느 한 문짝의 슬라이딩으로 나머지 문짝이 일정한 비율로 연동되며 슬라이딩되므로, 3개의 문짝이 연동되며 미닫이 도어가 개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제1 내지 3이송판의 연동은 제1,2와이어를 통하여 3:2:1의 이송 거리 비율로 이루어져 미닫이 도어의 개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전,후방풀리부가 구비되어 제1,2와이어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제1 내지 3이송판에 고정된 문짝의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전,후방풀리부는 풀리부본체에 일체로 미리 제조되어 유닛화할 수 있으므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제조와 교체 수리가 용이한 장점도 갖는다.
또한, 등속유지부와 감속기를 통하여 제1 내지 3이송판의 이송 거리 비율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2와이어는, 제2풀리보다 3배 늦게 회전하는 제3풀리에 감김으로써 제3풀리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각 문짝의 이송 거리 비율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각 이송판에는 이송블럭이 구비되어, 이송판을 레일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문짝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송풀리는 이에 걸쳐지는 와이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특히 제2이송판의 전,후에 설치되는 이송풀리는 자유롭게 회전되며 제2,1와이어가 자유단으로 고정되게 하여 제1 내지 3이송판의 연동 작동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력조절부를 통하여 제1,2와이어에 장력을 인가하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스톱퍼블럭이 설치되는 경우 문짝이 이송되어야 할 구간을 넘지 않게 되어 정확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스톱퍼블럭에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문짝의 개폐시에 이송블럭과 스톱퍼블럭의 접촉 충격에 따른 불쾌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걸림구슬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후에 프레임이 형성된 문짝에 있어서, 프레임이 겹쳐진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미닫이 도어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걸림구슬은 문짝의 프레임 길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설치되므로 다양한 프레임 길이를 갖는 문짝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와 이에 장착되는 문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100)는 문틀의 천장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나란한 3개의 레일과 각 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판(21,22,23)이 포함된다.
각 이송판의 하부에는 문짝(200)이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문짝이 펼쳐져 공간을 폐쇄하며, 문짝(200)이 한 쪽으로 모여지도록 슬라이딩되어 폐쇄된 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문짝(200)은 패널(210)과 패널의 양측에 결합되는 프레임(2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문짝으로 이루어진 도어의 폐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전후 프레임이 겹쳐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물론 프레임이 없는 문짝에서는 문짝의 전단과 이웃하는 문짝의 후단이 같은 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펼쳐져 비로소 공간을 폐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가 개방된 경우, 한 쪽에 모이는 문짝을 수납하는 문짝수 납함(도 10의 300 참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짝수납함은 주로 건축물의 실내벽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100)에는 나란한 제1 내지 3레일(11,12,13)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110)와, 하부에는 문짝이 결합되며, 각 상기 제1 내지 3레일(11,1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3이송판(21,22,23) 및 상기 제1이송판(21)과 상기 제2이송판(22)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판의 전단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W1)와, 상기 제1이송판(21)과 상기 제2이송판(22)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W1)와 대칭되게 상기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걸쳐지는 제2와이어(W2)가 포함된다.
본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3레일(11,12,13)은 평행하게 설치되며, 레일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돌출된 가이드(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내지 3레일(11,12,13)에는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가이드에 의하여 이송판은 하부로 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은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 이송판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나머지 이송판이 연동되어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제1,2와이어의 결합관계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단, 도 3에서 는 제1,2와이어의 연결관계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내지 3레일의 전후방에는 와이어가 걸리는 돌기 등 걸림수단이 구비된다. 걸림수단은 와이어가 거치되어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수단은 추후 설명되는 전,후방풀리부(30,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쨌든, 제1와이어(W1)의 일단은 제1이송판(21)에 고정되며, 이 제1이송판(21)의 전방에서 인출된 후 걸림수단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걸쳐지고 다시 제2이송판(22)의 후단으로 인출된 후 다른 걸림수단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3이송판(23)의 전단에 제1와이어(W1)의 끝단이 고정된다.
한편, 제2와이어(W2)의 일단은 제1이송판(21)에 고정되며, 이 제1이송판(21)의 후방에서 인출된 후 또 다른 걸림수단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걸쳐지고, 다시 제2이송판(22)의 전단으로 인출된 후 또 다른 걸림수단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3이송판(23)의 후단에 제2와이어(W2)의 끝단이 고정된다.
이때,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양단이 고정되는 제1이송판 또는 제3이송판에서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로 대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이송판의 전,후단에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미끄러지며 감길 수 있도록 이송풀리(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와이어는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므로, 어느 한 이송판이 해당 레일에서 슬라이딩되면 다른 이송판이 연동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전방풀리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전,후방풀리부(30,40)는 본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제1,2와이어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제1 내지 3이송판과, 이들에 결합된 문짝의 슬라이딩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정확한 비율로 각 문짝이 연동되도록 제1,2와이어의 구간별 이동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방풀리부(30)에는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레일의 전방의 제1풀리(P1)와, 제3레일의 전방의 제4풀리(P4) 및 이러한 위치의 제1풀리(P1)와 제4풀리(P4)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2,3풀리(P2,P3)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3풀리(P2,P3)는 제2레일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제2,3레일에 감겨 방향이 전환된 와이어는 제2레일의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내지 4풀리는 전방풀리부프레임(31)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풀리부는 하나의 유닛으로 취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닛화는 하기에 설명되는 후방풀리부도 동일하다.
한편, 후방풀리부(40)에는 제1레일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5풀리(P5)와, 제3레 일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8풀리(P8) 및 제5풀리와 제8풀리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6,7풀리(P6,P7)가 포함되는 것으로, 각 풀리의 배열은 제1,5풀리, 제2,6풀리, 제3,7풀리 및 제4,8풀리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후방풀리부와 제1,2와이어의 결합관계를 도 3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면, 제1와이어(W1)는 제1이송판(21)의 전단에서 제1풀리(P1), 제5풀리(P5) 및 제6풀리(P6)에 차례로 걸쳐져 방향이 변경되며 제2레일(12)로 인출되어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구비된 이송풀리(6)에 감기고, 다시 제7풀리(P7), 제8풀리(P8) 및 제4풀리(P4)에 차례로 걸쳐져 방향이 변경되며 제3이송판(23)의 전단에 고정된다.
또한, 제2와이어(W2)는 제1이송판(21)의 후단에서 제5풀리(P5), 제1풀리(P1) 및 제2풀리(P2)에 차례로 걸쳐지며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구비된 이송풀리(6)에 감기고, 다시 제3풀리(P3), 제4풀리(P4) 및 제8풀리(P8)에 차례로 걸쳐지며 제3이송판(23)의 후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전방풀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방풀리부(30)에는 제1풀리(P1)와 제2풀리(P2)가 등속으로 회전되게 하는 등속유지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등속유지부(32)에는 제1풀리(P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스퍼기어(321)와, 제2풀리(P2)에 구비된 종동피니언(322) 및 제1스퍼기어(321)와 종동피니언(322)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기재(323)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퍼기어(321)는 전방풀리부프레임(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풀리(P1)에 고정됨으로써 제1풀리(P1)와 회전방향이 같고,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회전전달기재(323)는 제1,2풀리(P1,P2)의 사이에 통과홀(312)을 갖는 함몰홈(311)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함몰홈(311)에 안치되는 피니언(323a)이 구비되고, 통과홀(312)의 하부에는 피니언(323a)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스퍼기어(323b)가 구비된다.
또한, 제2풀리(P2)의 외주면 하단에는 피니언(323a)과 맞물려지는 종동피니언(322)이 형성되어 있어, 제1풀리(P1)와 제2풀리(P2)는 회전전달기재(323)를 통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1스퍼기어(321)와 제2스퍼기어(323b)의 피치원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풀리(P1)와 제2풀리(P2)의 회전속도는 서로 같게 된다.
한편, 전방풀리부(30)에는 제3풀리(P3)가 제2풀리(P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게 하며, 제2풀리(P2)와 제3풀리(P3)의 회전비가 3:1이 되게 하는 감속기(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속기(33)에는 회전전달기재(323)의 제2스퍼기어(323b) 하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풀리(331), 제2보조풀리(331)의 직경보다 3배 큰 직경이고 제3풀리(P3)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보조풀리(332) 및 제2보조풀리(331)와 제3보조풀리(332)에 감기는 벨트(333)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전달기재(323)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풀리(P1)와 동일방향으로 회 전하는 제1스퍼기어(321)에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323b)로 인하여 제1,2풀리(P1,P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이러한 회전전달기재(323)의 제2보조풀리(331)와 벨트(333)로 결합되는 제3보조풀리(332)는 제1,2풀리(P1,P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보조풀리(331)와 제3보조풀리(332)는 직경의 비가 1 : 3이 되므로, 제1,2풀리(P1,P2)가 3회전할 때, 제3보조풀리(332)는 반대방향으로 1회전하게 된다.
이때, 감속기는 제2,3보조풀리를 대신하여, 3배의 피치원 차이가 있는 스퍼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에 의하여 제3풀리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는 제2와이어의 이송 속도를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2와이어(W2)는 상기 제3풀리(P3)의 외주면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겨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풀리(P3)에 감기는 와이어는 제3풀리(P3)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짐이 줄어듦에 따라 제1,2풀리에 감기는 제2와이어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3풀리에 감긴 와이어의 이송 속도의 비율이 정확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제1이송판을 부분 분해한 사시도이다.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의 양단에는 이송블럭(5)이 결합되며, 이 이송블 럭(5)을 통과한 와이어가 걸쳐지는 이송풀리(6)가 결합된다.
이송블럭(5)의 양측에는 레일의 가이드에 결합되는 이송홈(5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52)이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53)에 결합되는 볼트(B)를 통하여 이송판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홀(52)은 2가닥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송블럭(5)은 제1 내지 3이송판의 양단에 결합되어 문짝이 결합된 각 이송판을 지지하며, 각 이송판이 레일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송풀리(6)는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공지된 풀리의 구성을 가지며, 이송블럭(5)의 와이어홀(52)을 통과한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걸치도록 이송판에 결합된다.
한편, 제1이송판(21) 또는 제3이송판(23)에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력조절부(7)에는 일측에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리(711)가 형성되고 타측은 길게 연장되는 고리심(71)과, 제1이송판 또는 제3이송판에 고정되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721)에 삽입된 상기 고리심(71)을 상부에 형성된 조임공(722)에 나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조임체(72)가 포함된다.
이때, 고리심(71)은 일측에 와이어의 일단이 걸리는 고리(711)가 형성되고, 타측은 길게 연장되는 강철심(712)으로 이루어지고, 조임체(72)에는 강철심이 삽입되는 관통공(721)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는 조여지는 나사(N)로 관통공(721)에 끼워진 강철심(712)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공(722)이 형성된다.
즉,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의 양 끝단을 제1이송판 또는 제3이송판에 고정시킴에 있어, 와이어의 일단이 걸린 고리심을 조임체의 관통공에 삽입시켜 당김으로써 와이어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고, 조임공에 결합되는 나사를 조임으로써 고리심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조임체는 다수가 구비되어 고리심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부(7)는 제1,2와이어가 하나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이송판 또는 제2이송판 중 어느 한 이송판에만 구비될 수 있으나, 서로 분리된 제1,2와이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이송판에 구비된 장력조절부는 제1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고, 제3이송판에 구비되는 장력조절부는 제2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1,3이송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스톱퍼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제1 내지 3레일에는 제1 내지 3이송판이 이송되는 구간의 양단에 고정되는 스톱퍼블럭(1b)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톱퍼블럭(1b)은 이송블럭(5)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결합공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제1 내지 3이송판이 이동되는 구간의 양단의 각 레일 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톱퍼블럭(1b)은 제1 내지 3이송판의 양단에 결합된 이송블럭(5)과 접촉됨으로써,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이 스톱퍼블럭(1b)을 넘어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이송판에 결합된 문짝의 개폐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스톱퍼블럭(1b)에는 이송블럭과의 접촉시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부재(1c)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1c)는 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등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의 개폐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한편, 다시 도 3를 참고하면, 제1 내지 3이송판이 연동되지 아니하고 동일한 이송속도를 갖게 하는 걸림구슬(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구슬(8)은 제1 내지 3이송판(21,22,23) 중 어느 한 이송판의 이동시, 나머지 이송판이 동일한 이동 비율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연동되는 이송 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연동 이송 구간은 앞서 설명한 플랜지가 구비된 문짝의 경우, 플랜지의 두께만큼 비연동되며 이동되도록 하여 플랜지가 겹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걸림구슬(8)은 제7풀리(P7)와 상기 제2이송판(22)의 후단을 통과하는 제1와이어(W1)와, 상기 제3풀리(P3)와 상기 제2이송판(22)의 전단을 통과하는 제2와이어(W2)에 결합되며, 제2이송판의 전후에 결합되는 이송블럭에 형성된 와이어홀에 걸리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구슬(8)은 금속구의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며,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절개부를 오므려 와이어에 결속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8a부터 도 8f는 개방된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이 각 레일의 후단에 위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0)이 문짝수납함(300)에 들어가 있는 상태와 같다.
이후 제1이송판(21)에 고정된 문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이송판(21)과 연동되는 제2,3이송판(22,23)은 제1이송판(21)에 대하여 도 8b와 도 8c와 같이 이송된다.
이때,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은 도 8b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1의 이송거리 비율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이송거리비율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이송판(21)이 3의 길이로 전방으로 이송한 것을 가정한다.
제1이송판(21)이 3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1이송판(21)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제5풀리(P5)에 걸쳐지는 제2와이어(W2-1)는 3 길이만큼 전방으로 당겨지고, 제1,2풀리(P1,P2)를 차례로 지나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감기는 제2와이어(W2-2)도 3 길이만큼 당겨진다. 또한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감긴 후 제3풀리(P3)를 지나는 제2와이어(W2-3)는 전방으로 1 길이만큼 당겨지고, 이렇게 당겨진 제2와이어(W2-3)의 1 길이는, 제2와이어(W2-4)가 제4,8풀리(P4,P8)를 지나 제3이송판(23)의 후단에 결합됨으로써, 추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3이송판(23)이 전방으로 1 길이만큼 이송될 수 있는 여유 길이가 된다.
이때,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제2풀리(P2)에 걸치는 제2와이어(W2-2)는 전방으로 3 길이 당겨지고,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제3풀리(P3)에 걸치는 제2와이어(W2-3)는 전방으로 1 길이 당겨지며, 이때 제2와이어(W2)는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이송판(22)을 2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1와이어(W1)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1이송판(21)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제1풀리(P1)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W1-1)는 3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며, 제5풀리(P5)와 제6풀리(P6)에 차례로 걸쳐지고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이르는 제1와이어(W1-2)도 3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감긴 후 제7풀리(P7)를 지나는 제1와이어(W1-3)는 전방으로 1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1 길이 당겨지는 제1와이 어(W1-4)는 다시 제7,8,4풀리(P7,P8,P9)를 차례로 거쳐 제3이송판(23)을 전단을 전방으로 1 길이만큼 이동되게 한다.
이때, 제2이송판(22)의 후단에서 제6풀리(P6)에 걸치진 제1와이어(W1-2)는 전방으로 3 길이만큼 이동되고, 제2이송판(22)의 후단에서 제7풀리(P7)에 걸치는 제1와이어(W1-3)는 전방으로 1 길이 이동되어, 제2이송판(22)의 후단에는 전부 4 길이만큼의 제1와이어(W1)가 이동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제2이송판(22)의 후단에서 상기 제1와이어(W1)가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일방향으로 인출되므로 2 길이만큼 제2이송판(22)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1이송판(21)이 3 길이 이동될 때, 제2이송판(22)은 연동하여 2 길이만큼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한 제1이송판(21)은 1 길이만큼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은 3:2:1의 일정한 이송 비율을 갖으며 연동된다.
이때, 등속유지부(32)는 제1,2풀리(P1,P2)가 동일 회전방향이며,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되게 하여 제1이송판(21)의 이동에 의한 제2와이어(W2)의 이동거리가 제2이송판(22)에 정확하게 반영되게 한다. 즉 제1이송판(21)이 3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2풀리(P2)를 거쳐 제2이송판(22)의 전단을 지나는 제2와이어(W2-2)가 3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감속기(33)는 제3풀리(P3)의 회전 방향이 제2풀리(P2)와 반대로 이루 어지게 하고 또한 제3풀리(P3)의 회전속도가 제2풀리(P2)의 회전속도보다 3분의 1 느리게 함으로써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제3풀리(P3)를 거치는 제2와이어(W2-3)의 당겨지는 길이가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제2풀리(P2)를 거치는 제2와이어(W2-2)가 당겨지는 길이의 정확한 3분의 1이 되게 한다. 또한 제3풀리(P3)에 적어도 1회 이상 감져지는 제2와이어(W2)는 감속기(33)에 더하여 제2와이어(W2)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이송거리 비율로 제2와이어를 이송되게 한다.
문짝에 프레임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3이송판이 스톱퍼블록에 접촉하기 전까지 전술된 이송거리 비율로 작동되어, 미닫이 도어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d 내지 도 8f는 문짝에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걸림구슬이 구비되어 비연동 구간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걸림구슬(8)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0)이 연동되어 이웃하는 문짝(200)의 프레임(220)이 겹쳐지는 순간의 제2이송판 전단의 이송블럭(5)에 걸림구슬(8)이 걸리도록 제2와이어(W2)에 결합된다(도 8d). 즉, 걸림구슬의 설치 위치는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는 시공현장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송판(22) 전단의 이송블럭(5)에 걸린 걸림구슬(8)에 의하여, 제2이송판(22)의 전단에서 제3풀리(P3)에 걸쳐진 제2와이어(W2- 3)와 제2풀리(P2)에 걸쳐진 제2와이어(W2-2)가 동일한 속도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제2이송판(22)이 0.5 길이로 전방 이동될 때, 제2이송판(22)의 전단을 감싸며 전방으로 평행하게 인출되는 2가닥의 제2와이어(W2-2,W2-3)는 모두 0.5 길이로 전방 이동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1이송판(21)과 제3이송판(23)도 제1,2와이어의 이동길이만큼 0.5 길이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1이송판(21)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3이송판(22,23)도 전방으로 제1이송판(21)과 동일거리로 이송됨에 따라,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이 3:2:1 비율이 아닌 1:1:1 비율로 연동되는 것이다.
이때, 제2와이어는, 감속기에 의하여 제1,2풀리보다 느리게 회전되는 제3풀리에서 강제로 미끄러짐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 비율로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비연동구간에 의하여 도 10b에 도시된 문짝(200)의 위치에서 도 10c에 도시된 문짝(200)의 위치로 각 문짝을 동일거리 전방 이송시켜, 프레임이 형성된 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다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 평면도로, 닫힌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도어가 닫힌 때의 이송판(21,22,23)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 내지 3 이송판(21,22,23) 중 어느 한 이송판을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면,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걸림구슬이 걸리지 아니함에 따라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은 3:2:1의 비율로 연동되며 도 9b의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제2이송판(22) 후단의 이송블럭(5)에 걸림구슬(8)이 걸림에 따라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은 동일한 이송비율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각 문짝이 포개진 상태에서 후단의 스톱퍼블럭(1b)까지 이송되므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와 같은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전후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어, 각 연동장치마다 3개의 문짝이 설치된 총 6개의 문짝이 구비된 미닫이 도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와 이에 장착되는 문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제1,2와이어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전방풀리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방풀리부의 조립된 후의 개략적인 전방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제1이송판을 부분 분해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에 채용된 스톱퍼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도.
도 8a 내지 도 8f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다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 평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가 채용된 미닫이 도어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12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동장치 110 : 본체
W1, W1-1, W1-2, W1-3, W1-4 : 제1와이어
W2, W2-1, W2-2, W2-3, W2-4 : 제2와이어
11 : 제1레일 12 : 제2레일 13 : 제3레일
1a : 가이드 1b : 스톱퍼블럭 1c : 완충부재
21 : 제1이송판 22 : 제2이송판 23 : 제3이송판
30 : 전방풀리부
P1, P2, P3, P4 : 제1 내지 4풀리
31 : 전방풀리부프레임 311 : 함몰홈 312 : 통과홀
32 : 등속유지부
321 : 제1스퍼기어 322 : 종동피니언 323 : 회전전달기재
323a : 피니언 323b : 제2스퍼기어
33 : 감속기
331 : 제2보조풀리 332 : 제3보조풀리 333 : 벨트
40 : 후방풀리부
P5, P6, P7, P8 : 제5 내지 8풀리
5 : 이송블럭
51 : 이송홈 52 : 와이어홀 53 : 결합공 B : 볼트
6 : 이송풀리
7 : 장력조절부
71 : 고리심 711 : 고리 712 : 강철심
72 : 조임체 721 : 관통공 722 : 조임공 N : 나사
200 : 문짝
210 : 패널 220 : 프레임
300 : 문짝수납함

Claims (14)

  1. 나란한 제1 내지 3레일(11,12,13)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110);
    하부에는 문짝(200)이 결합되며, 각 상기 제1 내지 3레일(11,1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이송판(23);
    상기 제1이송판(21)과 상기 제3이송판(23)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W1); 및
    상기 제1이송판(21)과 상기 제3이송판(23)에 각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W1)와 대칭되게 상기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걸쳐지는 제2와이어(W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110)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1와이어(W1) 또는 제2와이어(W2)가 걸리는 전,후방풀리부(30,4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방풀리부(30)에는 상기 제1레일(11)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풀리(P1)와, 상기 제3레일(13)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4풀리(P4) 및 상기 제1풀리(P1)와 제4풀리(P4)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2,3풀리(P2,P3)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풀리부(40)에는 상기 제1레일(11)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5풀리(P5)와, 상기 제3레일(13)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8풀리(P8) 및 상기 제5풀리(P5)와 제8풀리(P8) 사이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6,7풀리(P6,P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와이어(W1)는
    상기 제1이송판(21)의 전단에서 제1풀리(P1), 제5풀리(P5) 및 제6풀리(P6)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2이송판(22)의 후단에 감기고, 다시 제7풀리(P7), 제8풀리(P8) 및 제4풀리(P4)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3이송판(23)의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와이어(W2)는
    상기 제1이송판(21)의 후단에서 제5풀리(P5), 제1풀리(P1) 및 제2풀리(P2)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2이송판(22)의 전단에 감기고, 다시 제3풀리(P3), 제4풀리(P4) 및 제8풀리(P8)에 차례로 걸쳐지며 상기 제3이송판(23)의 후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전방풀리부(30)에는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가 등속으로 회전되게 하는 등속유지부(3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등속유지부(32)에는
    상기 제1풀리(P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스퍼기어(321);
    상기 제2풀리(P2)에 구비된 종동피니언(322); 및
    상기 제1풀리(P1)와 상기 제2풀리(P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스퍼기어(321)와 같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1스퍼기어(321)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스퍼기어(323b)와, 상기 제2스퍼기어(323b)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피니언(322)에 맞물려지는 피니언(323a)이 구비되는 회전전달기재(3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전방풀리부(30)에는
    상기 제3풀리(P3)가 제2풀리(P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게 하며, 상기 제2풀리(P2)와 제3풀리(P3)의 회전비가 3:1이 되게 하는 감속기(3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7. 제 6항에서, 상기 감속기(33)에는
    상기 회전전달기재(323)의 제2스퍼기어(323b) 하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풀리(331);
    상기 제2보조풀리(331)의 직경보다 3배 큰 직경이고, 상기 제3풀리(P3)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보조풀리(332); 및
    상기 제2보조풀리(331)와 제3보조풀리(332)에 감기는 벨트(33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제2와이어(W2)는
    상기 제3풀리(P3)의 외주면에 1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에는
    상기 제1와이어(W1) 또는 제2와이어(W2)가 통과하는 와이어홀(52)과, 상기 제1 내지 3레일(11,12,13)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가이드(1a)에 결합되는 이송홈(5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의 양단에 결합되는 이송블럭(5); 및
    상기 와이어홀(52)을 통과한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걸쳐지는 이송풀리(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이송판(21) 또는 제3이송판(23)에는
    상기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장력조절부(7)에는
    일측에 상기 제1와이어(W1) 또는 제2와이어(W2)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리(711)가 형성되고 타측은 길게 연장되는 고리심(71);
    상기 제1이송판(21) 또는 제3이송판(23)에 고정되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721)에 삽입된 상기 고리심(71)을 상부에 형성된 조임공(722)에 나사(N)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조임체(7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12. 제9항에서,
    상기 제1 내지 3레일(11,12,13)에는 상기 제1 내지 3이송판(21,22,23)이 이 송되는 구간의 양단에 고정되는 스톱퍼블럭(1b)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스톱퍼블럭(1b)에는
    상기 이송블럭(5)과의 접촉시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부재(1c)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14. 삭제
KR1020090041295A 2009-05-12 2009-05-12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KR10117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95A KR101170325B1 (ko) 2009-05-12 2009-05-12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95A KR101170325B1 (ko) 2009-05-12 2009-05-12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14A KR20100122314A (ko) 2010-11-22
KR101170325B1 true KR101170325B1 (ko) 2012-07-31

Family

ID=4340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95A KR101170325B1 (ko) 2009-05-12 2009-05-12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08B1 (ko) * 2013-10-02 2014-09-23 송원호 자동창호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2B1 (ko) * 2010-07-15 2011-06-13 김종록 옥내 중문 개폐 장치
KR101870495B1 (ko) * 2015-09-22 2018-06-22 구본섭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102174447B1 (ko) * 2020-02-21 2020-11-05 (주)씨넷 리니어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문
KR102531275B1 (ko) * 2022-04-15 2023-05-10 고준현 연동형 다중 미닫이문
KR200497275Y1 (ko) * 2022-11-25 2023-09-18 주식회사 선테크 도어용 완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606A (ja) 1999-07-05 2001-01-23 俊則 ▲高▼橋 引き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606A (ja) 1999-07-05 2001-01-23 俊則 ▲高▼橋 引き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08B1 (ko) * 2013-10-02 2014-09-23 송원호 자동창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14A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325B1 (ko)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US8899297B2 (en) Rolling door, in particular fast-moving industrial door
US7810544B2 (en) Door system
US8707627B2 (en) Method of removing slack from a flexible driven member
US20100281776A1 (en) Simultaneous displacement device for sliding doors
US8468747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 closure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actuator and closure
JP6946471B2 (ja) ロールアップドア
JP2020172854A (ja) 結束機
JP7043588B2 (ja) ドア、特にスパイラルドア
JP2006290076A (ja) 可動柵装置
US20120180959A1 (en) Aperture Closure Arrangements
US20170050499A1 (en) Roller Blind Arrangement Having Lateral Guidance
JP5859301B2 (ja) 移動式屋根設備
US20130104460A1 (en) Chain Drive System for Bi-Parting Slatted Floor
JP4875472B2 (ja) 多重引き式引戸装置
KR100928560B1 (ko)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JP2008280034A5 (ko)
KR2009011252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1324139B1 (ko) 출입문 개폐장치
JP6979820B2 (ja) 可動ホーム柵
EP1225292A2 (de) Tor
AU2004231268A1 (en) Garage door drive system
JP4702687B1 (ja) エンドレス方式のウインチ、及び該ウインチを用いて空間部をネット又はシートで区画するシステム
KR101007941B1 (ko) 2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JP4341057B1 (ja) ウインチ及び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移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