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108B1 - 자동창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108B1
KR101427108B1 KR1020130117636A KR20130117636A KR101427108B1 KR 101427108 B1 KR101427108 B1 KR 101427108B1 KR 1020130117636 A KR1020130117636 A KR 1020130117636A KR 20130117636 A KR20130117636 A KR 20130117636A KR 101427108 B1 KR101427108 B1 KR 10142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nk
window
window frame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호
송현식
Original Assignee
송원호
송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호, 송현식 filed Critical 송원호
Priority to KR102013011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8Function thereof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부(1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타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하나 이상 결합되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을 포함하는 와이어가이드부(300);와, 상기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및 와이어가이드부(300)에 연결되는 와이어(400);와,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하단에 결합되는 제1 링크(500);와,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되는 제2 링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창문과 창프레임에 자성체가 구비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각각 설치하고, 모터부와 연동되어 있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링크가 횡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자력으로 인해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창호 개폐장치{Automatic windows switchgear}
본 발명은 자동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창프레임(2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창(10`)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창문(10-1, 10-2, 10-3)을 와이어(400)와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자동창호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재(110)를 포함하는 롤러부(1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타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결합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하나 이상 결합되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을 포함하는 와이어가이드부(300);와, 상기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및 와이어가이드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00)의 구동력으로 인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400);와,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하단에 각각 결합되되, 하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1 자석(510)을 포함하는 제1 링크(500);와,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링크(50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2 자석(610)을 포함하는 제2 링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문의 일종으로써, 그 용도와 형태가 다양하나, 보통의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햇빛을 채광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창문은, 크게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미닫이식 창문은 창문틀 상,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을 상기 창문의 상, 하단에 형성된 레일홈과 결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1개 이상의 상기 창문이 설치될 때에는, 상기 창문의 일측과 접촉되는 다른 창문의 타측에 시건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외출시에는 외부로부터 침입을 봉세하고, 실내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제하여 상기 창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등의 우수한 기능성 및 편의성을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 창호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 창호들은, 실내의 온도조절 및 환기를 하는데 대단히 편리하게 창문을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나 기타 재해 등의 비상사태 시, 미리 상기 창문을 개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산업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제작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창문 자동 개폐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3915호)는,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창문의 개폐방향을 따라 장방형상의 이동로를 형성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이동로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창문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창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도용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케이싱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상기 창문 일측면에 고정결합됨으로써, 비상시 신속하게 상기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어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하나 이상 더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 하나의 창문이 고장이나 기타 상황 등으로 작동이 불가능해지면, 연동되어 있는 나머지 상기 창문 모두의 개폐가 불가능해져서 상기 창문의 자동 개폐기능이 상실되어 사용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화재 또는 기타 재해 발생 등으로 인해 상기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전원 인가가 차단될 경우, 비상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39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창문과 창프레임에 자성체가 구비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각각 설치하고, 모터부와 연동되어 있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링크가 횡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자력으로 인해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자동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재해발생 등 비상시, 상기 자력보다 큰 사람의 힘을 상기 창문에 강압적으로 가하게 되면, 수동으로 쉽게 창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대단히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자동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겨울철 상기 창문과 창프레임 사이에 수분으로 인해 결빙이 되는 구간이 발생되어 상기 창문이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자력보다 크게 발생되면, 상기 구간의 상기 제2 링크는 자연스럽게 통과됨으로써, 다른 창문의 자동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가능한 자동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옥외에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 외에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에 상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자동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는, 창프레임(2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창(10`)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창문(10-1, 10-2, 10-3)을 와이어(400)와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자동창호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재(110)를 포함하는 롤러부(1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타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결합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하나 이상 결합되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을 포함하는 와이어가이드부(300);와, 상기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및 와이어가이드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00)의 구동력으로 인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400);와,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하단에 각각 결합되되, 하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1 자석(510)을 포함하는 제1 링크(500);와,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링크(50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2 자석(610)을 포함하는 제2 링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500)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 타공된 창문결합공(5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600)의 일측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와, 상기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 중 하나의 전면에는 타공되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공(622)을 포함한 와이어연결부(62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고정공(622)에 인입되어, 상기 제2 링크(600)와 와이어(400)를 고정결합시키는 와이어고정나사(6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측단부과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측단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설치되는 도어경보기(7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화재감지센서(720)가 더 구비되며, 옥외에는 일출일몰감지센서(730)와 솔라판(8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200)와 도어경보기(710), 화재감지센서(720), 일출일몰감지센서(730) 및 솔라판(800)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가 구비되되, 상기 주제어장치(900)를 조작하는 컨트롤부(9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창문과 창프레임에 자성체가 구비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각각 설치하고, 모터부와 연동되어 있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링크가 횡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자력으로 인해 상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해발생 등 비상시, 상기 자력보다 큰 사람의 힘을 상기 창문에 강압적으로 가하게 되면, 수동으로 쉽게 창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대단히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상기 창문과 창프레임 사이에 수분으로 인해 결빙이 되는 구간이 발생되어 상기 창문이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자력보다 크게 발생되면, 상기 구간의 상기 제2 링크는 자연스럽게 통과됨으로써, 다른 창문의 자동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옥외에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 외에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에 상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구성요소들의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구성 중 제1 링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구성 중 제2 링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구성 중 제2 링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인 제2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의 전기 신호 체계를 보인 다이어그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서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호 개폐장치는,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와이어가이드부(300), 와이어(400), 제1 링크(500) 및 제2 링크(6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구성된 각각의 창문(10-1, 10-2, 10-3)는 하나 이상 설치되되, 그 수량은 한정하지 아니한다.
먼저, 롤러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롤러부(1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창프레임(20) 일측면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회동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110)의 외주연 중앙부에는 홈을 더 형성하여, 후술할 와이어(400)가 인입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모터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부(2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창프레임(20) 타측면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롤러부(100)와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부(200)는,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400)가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200)는 후술할 주제어장치(900)의 제어를 통해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와이어가이드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창프레임(20) 일측면 하단에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와이어(4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원활하게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부(100) 및 모터부(200)와 연동되도록 작동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00)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와이어(400)가 인입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ㄷ”형상의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의 끝단은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400)가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와이어(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4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및 와이어가이드부(300)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써, 탄성변형이 적고 일정한 강도를 지닌 강철이나 합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링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링크(5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하단에는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1 자석(5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자석(510)은,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중량보다 큰 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자석(510)은 외부로부터 자성의 성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을 코팅하거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석(510)을 인입할 수 있는 보조부재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링크(500)의 일측면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 타공된 창문결합공(520)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링크(500)가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제2 링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링크(600)는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링크(500)와 대응하여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써, 상단에는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2 자석(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자석(610) 또한 상기 제1 자석(510)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중량보다 큰 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로부터 자성의 성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자석(610)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자석(610)을 인입할 수 있는 보조부재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링크(600)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를 포함한 와이어연결부(62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400)를 상기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에 인입함으로써, 상기 모터부(20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400)가 유동하게 되고,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2 링크(600)도 동시에 유동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측의 제2 와이어인입부(621)에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제2 링크(600)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측의 제2 와이어인입부(621`)는 상기 와이어(400)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측의 제2 와이어인입부(621) 전면에는 타공되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공(622)과 상기 와이어고정공(622)에 인입되는 와이어고정나사(630)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측의 제2 와이어인입부(621)에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400)와 제2 링크(600)가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400)와 상기 제2 링크(600)를 더 긴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400)의 표면에 결합홈(미도시)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고정나사(630)가 상기 와이어고정공(622)에 인입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홈(미도시)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고정공(622)은 하측의 제2 와이어인입부(621`)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기능을 가지도록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이 때, 상기 제1 자석(510)이 N극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자석(610)은 S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610)이 S극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자석은 N(510)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석(510)과 제2 자석(610)이 맞닿을 경우, 각각의 자력을 이용하여 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측단부와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측단부에는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도어경보기(710)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지 못한자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난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화재감지센서(720)를 더 설치하여 상기 모터부(200)와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기 창문(20)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가 설치되는 시설물의 옥외에는 일출일몰감지센서(730)를 설치함으로써, 일출이 되면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을 개방하고 일몰이 되면 상기 창문(20)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옥외에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800)이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 외에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에 상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 상기 솔라판(800)은 상기 솔라판(800)을 통하여 흡수되는 상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원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전원제어부(미도시)로부터 변환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전원제어부(미도시) 및 축전지(미도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모터부(200)와 도어경보기(710), 화재감지센서(720), 일출일몰감지센서(730) 및 솔라판(800)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900)에 의해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술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제어장치(900)를 구성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900)를 조작하는 컨트롤부(910)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모터부(200)와 감지부(700) 및 솔라판(8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가 설치된 각각의 창문(10-1, 10-2, 10-3) 및 창프레임(20)은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가 작동하기 전에는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링크(500)와 제2 링크(600)는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 감지부(700)의 반응으로 인해 상기 주제어장치(900)의 제어를 받은 상기 모터부(20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400)은 유동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된 제2 링크(600) 또한 상기 와이어(400)와 같은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링크(600)와 연결된 제1 링크(500) 또한 와이어(400)와 같은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링크(500)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은 개방되게 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자동창호 개폐장치(1)가 구동 중에 결함으로 인해 창문(10-2)이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면, 처음에는 다른 창문(10-1, 10-3)들의 개방을 방해받지만, 상기 제1 링크(500)와 제2 링크(600)가 연결되어 있는 자력보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이 크게 되면, 창문(10-2)과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2 링크(600)는 제1 링크(500)에서 분리되어, 다른 창문(10-1, 10-3)들은 개방되게 된다.
한편, 모든 전기의 인가가 불가할 경우에는, 상기 자력보다 큰 사람의 힘을 상기 창문에 강압적으로 가하게 되면, 수동으로 쉽게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을 개방할 수도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자동창호 개폐장치
10-1, 10-2, 10-3: 창문
10`: 고정창
20: 창프레임
100: 롤러부
110: 회동부재
200: 모터부
300: 와이어가이드부
310, 310`: 제1 와이어인입부
400: 와이어
500: 제1 링크
510: 제1 자석 520: 창문결합공
600: 제2 링크
610: 제2 자석
620: 와이어연결부
621, 621`: 제2 와이어인입부 622: 와이어고정공
630: 와이어고정나사
700: 감지부
710: 도어경보기 720: 화재감지센서
730: 일출일몰감지센서
800: 솔라판
900: 주제어장치
910: 컨트롤부

Claims (3)

  1. 창프레임(2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창(10`)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창문(10-1, 10-2, 10-3)을 와이어(400)와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자동창호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재(110)를 포함하는 롤러부(100);
    상기 창프레임(20)의 타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결합되는 모터부(200);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하단에 하나 이상 결합되되, 일측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인입부(310, 310`)을 포함하는 와이어가이드부(300);
    상기 롤러부(100)와 모터부(200) 및 와이어가이드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00)의 구동력으로 인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400);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하단에 각각 결합되되, 하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1 자석(510)을 포함하는 제1 링크(500);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링크(50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자성을 지닌 자성체가 형성되는 제2 자석(610)을 포함하는 제2 링크(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510)과 제2 자석(610)이 맞닿을 경우, 각각의 자력을 이용하여 서로 당기는 힘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링크(500)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 타공된 창문결합공(52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600)의 일측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횡방향으로 각각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와, 상기 제2 와이어인입부(621, 621`) 중 하나의 전면에는 타공되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공(622)을 포함한 와이어연결부(62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고정공(622)에 인입되어, 상기 제2 링크(600)와 와이어(400)를 고정결합시키는 와이어고정나사(630)가 더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창문(10-1, 10-2, 10-3)의 일측면 측단부과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 측단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설치되는 도어경보기(7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창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화재감지센서(720)가 더 구비되며,
    옥외에는 일출일몰감지센서(730)와 솔라판(8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200)와 도어경보기(710), 화재감지센서(720), 일출일몰감지센서(730) 및 솔라판(800)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가 구비되되, 상기 주제어장치(900)를 조작하는 컨트롤부(9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다수의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창문의 결함이 발생시, 상기 주제어장치(900)에 의해 상기 모터부(200)의 회전력이 제어되어, 결함이 발생한 창문의 제2 링크는 제1 링크와 분리되고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창문의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결함이 발생한 창문을 제외한 나머지 창문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호 개폐장치(1).
  2. 삭제
  3. 삭제
KR1020130117636A 2013-10-02 2013-10-02 자동창호 개폐장치 KR10142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636A KR101427108B1 (ko) 2013-10-02 2013-10-02 자동창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636A KR101427108B1 (ko) 2013-10-02 2013-10-02 자동창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108B1 true KR101427108B1 (ko) 2014-09-23

Family

ID=517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636A KR101427108B1 (ko) 2013-10-02 2013-10-02 자동창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684A (ko) 2015-01-02 2016-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호 개폐장치
KR102301708B1 (ko) * 2020-11-05 2021-09-14 김동우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
CN114592767A (zh) * 2020-12-04 2022-06-07 久周实业有限公司 冷藏冷冻展示柜的自动门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44B1 (ko) * 1994-02-07 1999-06-15 야마모토 도시오 광감응식 구동장치
KR100734925B1 (ko) * 2005-09-12 2007-07-06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100022561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디에스윈 자동 창호 시스템
KR101170325B1 (ko) * 2009-05-12 2012-07-31 정연복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44B1 (ko) * 1994-02-07 1999-06-15 야마모토 도시오 광감응식 구동장치
KR100734925B1 (ko) * 2005-09-12 2007-07-06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100022561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디에스윈 자동 창호 시스템
KR101170325B1 (ko) * 2009-05-12 2012-07-31 정연복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684A (ko) 2015-01-02 2016-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호 개폐장치
KR102301708B1 (ko) * 2020-11-05 2021-09-14 김동우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
CN114592767A (zh) * 2020-12-04 2022-06-07 久周实业有限公司 冷藏冷冻展示柜的自动门结构
CN114592767B (zh) * 2020-12-04 2024-02-20 久周实业有限公司 冷藏冷冻展示柜的自动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317B2 (en) Residential window power actuator
JP4532901B2 (ja) オペレータ・システムと該オペレータ・システムを含む開口部材
CN108699881B (zh) 滑动式门的开闭装置
US20100201230A1 (en) Electric power system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 enclosure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101427108B1 (ko) 자동창호 개폐장치
KR101226306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US20180044966A1 (en) Automatic mechanism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CN102733708A (zh) 尤其用于滑动门且通常用于滑动门或窗关闭元件的线性致动器
US9976738B1 (en) Lighting system for a sectional door and method
US8960258B2 (en) Device for winding up and unwinding raising cords of a screen such as a window covering
JP5747320B2 (ja) ウィンドウ装置
CN103532032A (zh) 一种新型配电箱
KR20100009897U (ko) 밀폐형 창문용 환기장치
EP2381049A2 (en) Screen device
US11203893B2 (en) Swing door operator
CN206874126U (zh) 智能开合装置
KR101591733B1 (ko) 슬라이드 자동문용 비상개방문 프레임 처짐조정장치
KR102011460B1 (ko) 건축용 누수방지 창틀
CN211692012U (zh) 一种带隐蔽开启扇的玻璃幕墙
CN106088978A (zh) 一种多功能型活动窗
KR20110100843A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CN111594014A (zh) 一种多功能防盗门通风窗
EP2154327B1 (en) Gate of an improved type
CN105128637B (zh) 折叠式汽车全景天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