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12B1 -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12B1
KR101170212B1 KR1020087032207A KR20087032207A KR101170212B1 KR 101170212 B1 KR101170212 B1 KR 101170212B1 KR 1020087032207 A KR1020087032207 A KR 1020087032207A KR 20087032207 A KR20087032207 A KR 20087032207A KR 101170212 B1 KR101170212 B1 KR 10117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olymerizable monomer
polymer
mol
abnormal pr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219A (ko
Inventor
히로미 니라사와
모리카즈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17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1Gamm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7Particle radiation, e.g. electron-beam, alpha or bet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2Blood or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제제로부터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이상 프리온과 동시에 백혈구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20 몰% 이상 40 몰% 이하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5 몰% 이상 13 몰% 이하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나머지가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인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혈액 제제를 여과하고, 상기 여과한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METHOD OF REMOVING ABNORMAL PRION FROM BLOOD PREPARATION}
본 발명은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혈 제제, 농후 적혈구, 혈소판 농축액 등의 혈액 제제 중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 프리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성 해면상 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 또는 프리온병은,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종에 있어서 치사적인 신경 변성 질환을 야기한다. 특히 양에 있어서의 스크래피(scrapie), 소에 있어서의 BSE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인간의 질환의 형태는,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sporadic Creutzfelt-Jacob disease; sCJD), 의원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Gerstmann-Straeussler-Scheinker; GSS) 증후군,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Fatal Familial Insomnia; FFI) 및 쿠루(Kuru)도 포함된다. 프리온병은 천연에 존재하는 정상 프리온이 구조 변화를 일으켜, 변이형의 이상 프리온(프리온병의 원인 물질로 되어 있는 변이형의 프리온 단백질)으로 변환하여,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에게 감염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변이형의 프리온 단백질은 정상형의 프리온 단백질에 비하여, β 시트가 풍부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소수성이 높고, 다량체를 형성하기 쉬우며, 또한 프로테아제 K에 내성(耐性)이라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최근에 와서는, 영국을 중심으로 발생한 변이형 CJD가, BSE에 감염된 소로부터의 쇠고기 소비의 결과라고 지적되었다(비특허 문헌 1, 2). 변이형 CJD는 소로부터 인간으로의 쇠고기 소비에 의한 전파에 더하여, 혈액 제제의 수혈이나 조직의 이식편에 존재하는 변이형의 프리온 단백질의 전파에 의해 인간에게서 인간으로 감염이 전파될 위험성이 시사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2004년에 헌혈 후 변이형 CJD를 발증한 헌혈자의 혈액을 수혈받은 수혈자가 변이형 CJD에 감염된 2예의 증례가 보고되었고, 2006년에는 3예째의 증례가 보고된 점에서 수혈에 의한 변이형 CJD의 전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변이형 CJD를 아직 발증하고 있지 않으나 감염되어 있는 인간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들로부터의 혈액 제제에 의해 감염이 확대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혈액 제제로부터의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해진다.
한편, 수혈 분야에서는, 혈액 제제 중에 포함되는 혼입 백혈구를 제거하여 수혈하는, 이른바 백혈구 제거 수혈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수혈에 따르는 두통, 구역질, 오한, 비용혈성 발열 반응 등의 부작용이나, 수혈자에게 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동종 항원(alloantigen) 감작, 수혈 후 이식편 대 숙주질환(GVHD), 바이러스 감염 등의 위독한 부작용이, 주로 수혈에 이용된 혈액 제제 중에 혼입되어 있는 백혈구가 원인이 되어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혈액 제제로부터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에서는 백혈구 제거 능력이 높고, 조작이 간편하며, 비용이 낮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필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필터법, 즉, 백혈구 제거 필터에 의한 혈액 제제 등의 처리는, 최근에 와서는 백혈구 제거 혈액 제제의 품질 관리를 철저하게 하기 위해서, 보존 전에 혈액 센터에서 여과가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통상, 혈액 센터에서 백혈구 제거 필터를 사용하여 혈액을 여과할 때에는, 여과되어야 할 혈액 제제가 들어간 혈액 백을, 여과 후의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백보다도 70 cm~150 cm 높은 위치에 두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혈액 제제를 여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세트에는 SCD 타입과 인라인 타입의 2 종류의 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SCD 타입에 있어서는 백혈구를 제거하고 싶은 혈액 제제가 들어간 백과 세트를 무균적으로 접합하여 백혈구 제거를 행하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 필터와 여과 후의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혈액 백만이 접속되어 있다. 인라인 타입에 있어서는 헌혈자로부터의 채혈로부터 혈액 제제 조제까지를 일체형으로 행하기 때문에, 통상 혈액 백에는 보존액이나 항응고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세트의 멸균 방법에는 SCD 타입에서는 멸균하기 위한 비용이 저렴한 방사선 멸균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방사선 멸균에 의해 보존액이나 항응고제의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인라인 타입에서는 고압 증기 멸균이 일반적으로는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적혈구를 함유하는 혈액 제제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의 하나로서 용혈도를 들 수 있으며, 고품질의 적혈구를 포함하는 백혈구 제거 혈액 제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용혈도가 0.8% 미만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3).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혈액 센터에 있어 서의 조작성, 비용, 혈액의 손실량을 고려하면 백혈구 제거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1에는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백혈구 제거 필터 소재 코트용 폴리머가 백혈구 제거 능력이 높은 소재로서 개시되어 있으나, 이상 프리온의 제거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보존 전 백혈구 제거의 혈액 여과로서는, 채혈 후 1일 이내에 실온 상태에서 여과하는 실온 여과와 냉장고에서 1~3일 정도 보존한 후 여과하는 냉장 여과가 병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실온 여과에 있어서는, 여과 시간이 짧은 반면, 냉장 보존 혈액보다 백혈구가 누출하기 쉽고, 냉장 여과에 있어서는, 반대로 여과 시간이 길지만, 백혈구의 누출은 비교적 방지된다고 하는 경향이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냉장 여과에 있어서의 여과 시간의 검토는 행해지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2에는 친수성 혹은 소수성 혹은 양친매성의 작용기가 결합하고 있는 폴리머 매트릭스, 혹은 알루미나,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프리온 결합 물질과 생체적 유체 중의 프리온이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작용기를 레진에 결합시키고 있으나, 백혈구 제거는 행할 수 없고, 혈액 센터에서 실용하더라도 백혈구 제거 필터를 따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백혈구와 이상 프리온의 제거를 따로따로 실시하는 것은 혈액 제제의 손실량, 혈액 센터에서의 수고, 비용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알루미나, 실리카는 응고계의 활성화 를 야기하고, 단백의 비선택적 흡착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어, 혈액 제제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허 문헌 3에는 플로우 쓰루 칼럼 등의 장치, 구상(球狀) 중합체 비드 등의 표면이, 인텅스텐산의 금속염(예컨대 나트륨) 등의 프리온 착화제로 피복되어 있고, 임의의 액체 시료로부터의 프리온의 제거 등에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시료 중의 실질적으로 모든 이상 프리온이 프리온 착화제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데에는 충분한 시간 동안 시료를 착화제에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시료는 약 30℃~45℃(바람직하게는 37℃)에서 약 1시간~16시간 항온처리(incubate)된다. 그러나, 혈액 제제의 보존 온도로서 37℃라고 하는 온도는 적절하지 않으며, 또한 현행의 백혈구 제거 필터의 사용 방법에서는 냉장 또는 실온 여과 또는 냉장 여과가 일반적이고, 또한 중력의 작용에 의해 여과되고 있는 점에서, 이 방법은 혈액 제제로부터의 이상 프리온 제거, 혹은 백혈구 제거의 방법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특허 문헌 4에는, 프리온을 제거 및 검출하기 위한 친수성 혹은 소수성 혹은 양친매성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결합 물질, 혹은 알루미늄,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프리온 결합 물질과 프리온 단백질의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이용되고 있는 프리온 결합 물질로는 백혈구 제거를 행할 수 없고, 백혈구와 이상 프리온의 제거를 따로따로 실시하면, 혈액 제제의 손실량, 혈액 센터에서의 수고, 비용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루미나, 실리카는 응고계의 활성화를 야기하고, 단백의 비선택적 흡착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어, 혈액 제제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혈액 제제로부터의 이상 프리온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경우,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백혈구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G. Chazot, et al., (1996) Lancet 347: 1181
비특허 문헌 2: R. G. Will, et al., (1996) Lancet 347: 921-25
비특허 문헌 3: Guide to the preparation, use and quality assurance of blood components 9th edition/Council of Europe Publishing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03/011924호 팜플렛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14196호 명세서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3908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2234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혈액 제제로부터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고, 나아가서는 이상 프리온과 동시에 백혈구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혹은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가 아니라, 이들의 3원 공중합 폴리머를 코팅한 필터를 이용하면, 혈액 제제로부터 놀랄 정도로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20 몰% 이상 40 몰% 이하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5 몰% 이상 13 몰% 이하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나머지가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인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혈액 제제를 여과하고, 상기 여과한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2) 상기 혈액 제제가 전혈 제제이며, 상기 필터가 방사선 멸균 후에 고압 증기 멸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3) 상기 방사선이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4) 상기 폴리머가 비닐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5) 상기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및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가 아크릴산 유도체 및/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6)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이 3차 아미노기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7)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이 수산기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8)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9)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가 섬유상 매체 또는 스펀지상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0)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의 비표면적이 1.0 m2/g 이상 5.0 m2/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1)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의 평균 공경이 1 ㎛ 이상 6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2)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의 충전 밀도가 0.1 g/cm3 이상 0.5 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3)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의 공극률이 60% 이상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4) 상기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5) 상기 부직포의 섬유경이 0.3 ㎛ 이상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에 기재된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혈액 제제로부터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서는 이상 프리온과 동시에 백혈구도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덧붙여,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혈액 제제의 흐름성도 양호하고, 용혈이 적은 고품질의 혈액 제제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혈액 제제의 백
2: 회로
3: 필터
4: 여과 후의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백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머란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닛이란, 폴리머 분자 중의 각각의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반복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유닛에 대해서 예시하면, 이중 결합이 단순히 열려 부가 중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CH2=CXY(X: H 또는 H 이외의 치환기, Y: X 이외의 치환기)로 표시되는 비닐 화합물의 중합성 모노머의 반복 최소 단위가 되는 -(CH2-CXY)-가 유닛이 된다. 또한 폴리머를 중축합으로 합성하는 경우를 예시하면, 폴리머의 전구체의 A-(R)-B(R: 중합으로 탈리하지 않는 부분, A, B: 중합으로 반응하여 탈리하는 부분)로부터 AB가 탈리하여 중합할 때의 반복 최소 단위가 되는 -(R)-을 유닛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입수의 용이함, 취급의 점에서, 스티렌, 메틸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트리클로로에틸아크릴레이트, 트리클로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펜텐, 헥센, 헵텐, 옥텐 등의 알켄류, 실리콘, 실록산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 에틸렌의 수소 원자가 1개 이상 불소 원자로 치환된 유기 불소 중합성 모노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모노머의 입수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쉽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부가 중합(비닐 중합)함으로써 비닐계 폴리머가 얻어지는, 중합성 부분이 비닐기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작용기를 갖는 재료는, 생리적 액체 중에서 재료 표면이 정전하를 갖게 되고, 이것도 또한 이상 프리온의 제거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란, 이하에 서술하는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갖는 중합성의 모노머를 말한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으로서는, 제1차 아미노기, 제2차 아미노기, 제3차 아미노기, 제4차 아미노기, 및 피리딜기, 이미다조일기 등의 질소 함유 방향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으로서는, 특히 3차 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입수의 용이함, 취급성의 점에서, 비닐아민,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4-비닐이미다졸, N-비닐-2-에틸이미다졸, N-비닐-2-메틸이미다졸 등의 질소 함유 방향족환 화합물의 비닐 유도체,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산아미드,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산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산아미드 등의 아크릴산아미드 및 메타크릴산아미드 유도체, p-디메틸아미노메틸스티렌, p-디에틸아미노에틸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 및 상기 중합성 모노머를 할로겐화 알킬기에 의해 4차 암모늄염으로 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 모노머의 입수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쉽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부가 중합(비닐 중합)함으로써 비닐계 폴리머가 얻어지는 중합성 부분이 비닐기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란, 비중합성 부분이 해리하여 프로톤(H+)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이며, 카르복실산 혹은 염기성 아미노기와 같은 극단적인 산성,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는 모노머를 말한다.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비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갖는 모노머에 비해서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고, 혈액 제제의 프라이밍성, 혈액 제제의 편류 방지에 우수하다.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으로서는, 수산기, α 위치에 프로톤이 존재하는 알데히드기나 α 위치에 프로톤이 존재하는 아미드기, 1,3-디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비중합성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으로서는, 특히 수산기가 바람직하다.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 모노머의 입수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쉽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부가 중합(비닐 중합)함으로써 비닐계 폴리머가 얻어지는 중합성 부분이 비닐기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유도체 또한 메타크릴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닐계 폴리머란, 광의의 의미에서의 비닐계 폴리머이며, 주쇄가 비환식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그 구체적 예로서는, 「J Brandrup; E. H. Immergut. 1989. "Polymer Hand book Third Edition" A Willey-interscience Publication, pVII-5~VII-18」에 기재된, 폴리아크릴산의 α-치환체와 그 유도체,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스티렌과 그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혈장 성분을 포함하는 혈액 제제 중의 이상 프리온을 고도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의 삼자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각각 단독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에서는 이상 프리온을 고도로 제거할 수 없고, 특히 혈장 성분을 포함하는 혈액 제제로부터의 고도의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얻어지지 않는다.
이상 프리온은, 양성 하전(荷電)한 작용기, 음성 하전한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에 결합하는 3개의 다른 결합 영역을 갖는다. 한편으로, 이상 프리온의 등전점은 pH 4.6으로 되어 있고, 혈액 제제의 pH는 약 5~7.5 사이인 점에서 혈액 제제 중의 이상 프리온은 음성으로 하전하고 있다. 따라서,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갖는 모노머와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에 의해,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고도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하전을 갖는 재료와 혈액 제제의 접촉에 의해, 혈압 저하, 안면 홍조, 결막 충혈, 평활근 수축, 통증 발생 등의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를 일으키는 브래디키닌(bradykinin)의 생성이 야기된다고 되어 있어, 음성 하전을 갖는 폴리머는 혈액 제제를 여과하는 담체 표면의 코트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으로, 혈액 제제를 필터로 여과할 때에는 현행의 백혈구 제거 필터로 여과할 때와 동일한 품질의 혈액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폴리머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은, 필터 전체에 혈액 제제가 널리 퍼지기 위한 젖음성의 확보, 특히, 혈액 제제의 여과 초기에 혈액 제제를 필터에 채우는 프라이밍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또한,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갖는 모노머와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는 폴리머 중의 조성이 어느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용혈 혹은 여과 시간의 연장과 같은 품질 저하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상 프리온이 고도로 제거된 혈액 제제를 얻기 위해서는,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및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필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란, 물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낮은 중합성 모노머이며, 또한 분자 내에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도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를 말하고, 20℃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2 g/물 100 g 이하인 중합성 모노머를 의미한다. 용해도가 12 g/물 100 g을 초과하면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바와 같은 높은 이상 프리온 제거능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용해도가 2 g/물 100 g 이하인 것이다. 용해도의 측정은, 중합성 모노머가 고체인 경우에는, 노점법, 열분석법, 용액의 기전력이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적 방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트레이서법 등의 공지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가 액체인 경우에는, 고체일 때와 동일한 측정법으로도 측정할 수 있으나, 또한 용량법, 광 산란법, 증기압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서, 중합성 모노머가 물보다 비점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중합성 모노머의 포화 수용액으로부터 물을 증발시키고, 잔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도 있다.
보다 고도의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나아가서는 백혈구 제거 성능을 구현화하기 위해서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상기 각 모노머의 조성(몰 백분율)은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가 20 몰% 이상 40 몰% 이하, 또한,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5 몰% 이상 13 몰% 이하, 또한, 폴리머 중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이 100 몰%로부터 폴리머 중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과 폴리머 중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의 합을 뺀 나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중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20 몰% 미만 또는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5 몰% 미만인 경우에는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의 향상이 보여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머 중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40 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장으로 보존한 혈액 제제에 대하여 젖음성이 나빠지고, 그 결과 본 발명의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혈액 제제를 여과할 때에 혈액 제제의 여과 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보여져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머 중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13 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장으로 보존한 혈액 제제에 대하여 용혈 등의 경향이 보여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보다 고도의 백혈구 제거능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을 구현화하기 위해서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상기 각 모노머의 조성(몰 백분율)은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가 25 몰% 이상 35 몰% 이하, 또한,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이 7 몰% 이상 12 몰% 이하, 또한, 폴리머 중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이 100 몰%로부터 폴리머 중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과 폴리머 중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조성(몰%)의 합을 뺀 나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중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 조성이 27 몰% 이상 33 몰% 이하, 또한, 폴리머 중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 조성이 8 몰% 이상 11 몰% 이하, 또한 나머지가 폴리머 중의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일 때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머 중의 모노머의 조성은 일반적 물리 화학적 기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중합 조성을 측정하는 물리 화학적 기법에 대해서 예시하면,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법(NMR, -1H, -13C), 열분해 GC 매스 스펙트럼법 등 공지의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첨가대로 중합된 것, 로트 간 변동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담체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폴리머를 상기 폴리머의 용제 등을 이용하여 용해, 추출하고, 그 추출 물질인 폴리머 중의 각 모노머의 공중합 조성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담체와 담체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폴리머 모두 중수소화한 용제로 용해하고,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법(NMR, -1H, -13C)의 기법으로 측정하는 방법도 공중합 조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분자량은, 공지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범위로서는 5만 이상 300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만 이상 200만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만 이상 150만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5만 미만인 경우,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 나아가서는 백혈구를 제거했을 때에 혈액 제제로 폴리머가 용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300만을 초과하는 경우, 코팅할 때의 용제에의 용해도가 저하되거나, 또한 중합 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없다는 등의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머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중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나, 블록 공중합체는 코팅할 때의 용제에의 용해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보여지거나, 용액 중에서 미셀 형성 등의 코팅의 균일성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보여지기 때문에,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직쇄상 폴리머여도 분기상 폴리머여도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나, 분기상 폴리머쇄는 코팅할 때의 용제에의 용해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용액 중에서 미셀을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코팅의 균일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직쇄상 폴리머쇄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중합법을 이용하면 된다. 연쇄 반응인 부가 중합(비닐 중합) 등을 이용해도 좋고, 이성화 중합, 축차 반응인 탈리 반응, 중부가, 중축합, 부가 중축합 등을 이용해도 좋다. 폴리머를 중합할 때에, 연쇄 운반체(chain carrier)로서는 라디칼, 이온 등을 이용하면 된다. 중합 방식으로서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석출 중합, 에멀션 중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중합 방법을 예시한다.
중합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에탄올의 비점 이하의 일정 온도에서 교반을 행하면서, 각 모노머와 디아조계 개시제를 용해한 에탄올 용액을 적하하여 반응시킨다. 또한 안정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해도 상관없다. 반응의 수율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확인한다. 폴리머 중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액 중에 존재하는 제제 처리 중에 용출의 염려가 되는 저분자량 성분, 미반응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화학적 정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정제할 수 있다. 정제 방법을 예시하면, 불순물을 용해하고 중합체를 용해하지 않는 용매 중에 부어 침전시키고, 여과 분리, 경사 분리(decantation) 등으로 침전을 분리하는 방법, 또한 필요에 따라서, 침전 용매보다 용해성이 약간 높은 용제(침전 용매와 용매의 혼합물 등)로 침전을 씻고, 감압 건조로 침전이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고형상 폴리머로서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담체란, 혈액을 여과할 수 있는 세공을 갖는 담체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어떠한 담체 형태를 갖는 것도 포함되지만, 구체적으로는 천연 섬유, 유리 섬유, 편포(編布), 직포, 부직포 등의 섬유상 매체나 다공막, 삼차원 메쉬상 연속 구멍을 갖는 스펀지상 구조물이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혈구에 손상을 주기 어려운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기 고분자 재료, 무기 고분자 재료,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고분자 재료는 절단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담체이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불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술폰,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트리플루오로클로로비닐, 불화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셀룰로스,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담체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란, 폴리머가 제제 처리 중에 용이하게 용출하지 않도록, 담체 표면에 폴리머가 고착된 담체를 말한다. 또한 그 폴리머의 담체 표면에의 고착 방법은 화학적인 공유 결합에 의한 것이어도, 물리 화학적인 비공유 결합에 의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그 존재량은 0.6 mg/m2 이상 83 mg/m2가 바람직하다. 그 존재량이 담체 전체 표면 단위 면적당 0.6 mg/m2 미만인 경우, 이상 프리온 제거능, 나아가서는 백혈구 제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83 mg/m2를 초과하는 경우, 코트 불균일에 의한 성능 변동이 커지는 등의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존재량이 담체 전체 표면 단위 면적당 5 mg/m2 이상 50 mg/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존재량이 담체 전체 표면 단위 면적당 10 mg/m2 이상 40 mg/m2 이하이다. 또한 담체 표면의 폴리머의 존재량은 일반적 물리 화학적 기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담체 표면의 폴리머의 존재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코트 담체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폴리머 모두 중수소화한 용제로 용해하고, 핵자기 공명(NMR, -1H, -13C)의 기법으로 측정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코트 담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머를 담체에 코트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각 중합성 모노머 혹은 폴리머를 담체에 화학적인 공유 결합에 의해 고착시키는 방법(그래프트 등), 물리 화학적인 비공유 결합(이온 결합, 반데르발스력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방법(코팅 등), 포매(包埋) 등의 공지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선 그래프트나 플라즈마 그래프트 등의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각 중합성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담체 표면에 직접 그래프트시키는 방법, 또는 폴리머를 용해한 액에 담체를 함침 또는 폴리머를 롤에 도포하고 담체에 전사시켜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이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며, 또한 안정적이고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담체에의 코팅 방법은 담체의 세공을 현저하게 폐색하지 않고, 또한 담체 표면을 어느 정도의 범위로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머를 녹인 용액에 담체를 함침시키는 방법, 폴리머를 녹인 용액을 담체에 분무하는 방법, 폴리머를 녹인 용액을 그라비어롤 등을 이용하여 담체에 도포?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담체에의 폴리머의 코팅 방법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도 폴리머를 녹인 용액에 담체를 함침시키고 함침 후 코트 담체를 압착하는 방법, 상기 폴리머를 녹인 용액을 그라비어롤 등을 이용하여 담체에 도포?전사하는 방법은, 연속 생산성이 우수하고, 비용도 낮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다. 폴리머를 용해하는 용제로서는, 담체를 현저하게 용해시키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여러 가지 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물 및 무기염을 포함하는 수용액,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벤젠,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황 함유 용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및 상기한 복수의 용제의 가용(可溶)인 범위에서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폴리머를 용해하는 용제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코팅 후의 건조로서는, 기계적인 압축, 공기나 질소 등의 기체의 분무 등으로 잉여의 용액을 제거하고, 건조 기체 중 또는 감압하에서 상온 또는 가온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 전에, 본 발명의 폴리머와 담체의 접착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담체의 표면을 산, 알칼리 등의 적당한 약품으로 처리하거나, 플라즈마를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머의 코팅 후에 열처리나, γ선, 전자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후가공을 실시하여, 담체와 폴리머의 접착성을 더욱 강화할 수도 있다. 또한, 코팅은 담체를 제조할 때에 행해도 좋고, 담체 제조 후에 행해도 좋다.
코트 담체의 물리적인 구조는 이상 프리온 및 백혈구의 제거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상 프리온 및 백혈구의 제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코트 담체의 선택도 중요한 인자가 된다. 코트 담체의 물리적인 구조로서, 그 비표면적은 1.0 m2/g 이상 5.0 m2/g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m2/g 이상 3.0 m2/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m2/g 이상 2.0 m2/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트 담체의 비표면적이 1.0 m2/g 미만이면 높은 비율로 백혈구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코트 담체의 비표면적은 5.0 m2/g을 초과하면 이미 안정적으로 코트 담체를 제조할 수 없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복수의 평균 비표면적의 코트 담체를 출구측을 향하여 보다 커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트 담체의 물리적인 구조로서, 그 공극률은 65%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상 8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65% 미만이면 혈액 등의 여과 속도가 낮아져, 이상 프리온 및 백혈구의 제거에 장시간을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극률이 90%를 초과하면 이상 프리온과 백혈구가 접착하기 쉬운 섬유와 섬유의 교락부(交絡部)가 적어 높은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과 백혈구 제거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부직포 등의 섬유상 매체를 코트 담체로 하는 경우, 평균 섬유경은 0.3 ㎛ 이상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복수의 평균 섬유경의 코트 담체를 출구측을 향하여 보다 가늘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코트 담체의 입구측에 미소 응집체 제거를 주된 목적으로 한 평균 섬유경 10 ㎛ 이상 40 ㎛ 이하의 담체를 배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평균 공경이란, 예컨대 콜터 엘렉트로닉스사 제조 콜터 R 포로미터(porometer)를 사용해서, 약 50 mg의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평균 유공 크기(mean flow pore size; MFP)]이다. 평균 공경은 1 ㎛ 이상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공경이 1 ㎛ 미만이면 전혈 제제가 흐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60 ㎛를 초과하면 백혈구 제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복수의 평균 공경의 코트 담체를 출구측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 소재의 입구측에 미소 응집체 제거를 주된 목적으로 한 평균 공경 50 ㎛ 이상 200 ㎛ 이하의 담체를 배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실제의 혈액 필터에서의 제제 처리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코트 담체의 출구측에 편류 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한 평균 공경 50 ㎛ 이상 200 ㎛ 이하의 담체를 배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 프리온 및 백혈구를 제거하기 위한 용기 내에 상기 섬유상 매체를 충전했을 때의 충전 밀도는 0.1 g/cm3 이상 0.5 g/cm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cm3 이상 0.3 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밀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예시한다. 충전하는 부직포를 충전 커트 사이즈(cm2)로 커트하고, 그 중량(g)을 측정하여, 실제의 용기 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의 거리(cm)로부터 구할 수 있다.
평균 섬유경이 0.3 ㎛ 미만, 평균 공경이 1 ㎛ 미만, 혹은 충전 밀도가 0.5 g/cm3를 초과하면 혈구의 눈 막힘이나 압력 손실의 증대를 일으키고, 평균 섬유경이 3.0 ㎛를 초과하거나, 평균 공경이 60 ㎛를 초과하거나, 혹은 충전 밀도가 0.1 g/cm3 미만이면, 이상 프리온 및 백혈구의 제거능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공질막, 삼차원 메쉬상 연속 구멍을 갖는 스펀지상 구조물을 코트 담체로 하는 경우에는, 1 ㎛ 이상 60 ㎛ 이하의 평균 공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 ㎛ 이상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4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평균 공경이 1 ㎛ 미만이면 혈구의 눈 막힘이나 압력 손실을 일으키고, 평균 공경이 60 ㎛를 초과하면 백혈구 제거능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상 프리온이란, 인간 및 동물에게 해면상 뇌증이라고 불리고 있는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변이형의 이상 프리온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프리온은 정상 프리온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지만 β-시트가 풍부한 구조 변화된 단백질이며, 프로테아제 K에 의한 소화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이상 프리온은 동물을 감염시키며, 양 및 염소의 신경계의 감염성 변성 질환인 스크래피(scrapie), 소에 있어서의 BSE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인간의 질환의 형태는,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sCJD), 의원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GSS) 증후군,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FFI), 쿠루(Kuru), 그리고 BSE의 식육(食肉)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변이형 CJD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이상 프리온에는, 이상의 질환 모두 혹은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동물, 특히 인간 및 가축 동물에 있어서 질환을 일으키는 모든 형의 이상 프리온 단백질을 포함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2006년 3월에 개최된 「Cambridge Healthtech Institut's 10th Annual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 The Definitive American TSE Meeting -」의 Samuel Coker의 발표에 따르면, 스크래피, 변이형 CJD 및 산발성 CJD 유래의 이상 프리온은, 필터(폴사 제조 LAPRF)로 동일하게 제거되고, 그 제거율에 거의 차이는 없었다. 이것은 필터 제거 성능에 관계되는 이상 프리온 단백질 구조는 동물이나 질환의 종류가 달라도 거의 다르지 않으며, 동물 유래의 이상 프리온의 제거율을 가지고 인간 유래의 이상 프리온의 제거율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란, 혈액 제제의 입구와 출구를 갖는 용기에 본 발명의 코트 담체를 충전한 것이며, 혈액 제제의 상류측에 미소 응집물을 포착하기 위한 담체가 있어도 좋고, 하류측에 담체가 있어도 좋다.
용기의 재질은, 경질 수지나 연질 수지 중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경질 수지의 경우, 소재는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포름알데히드 수지, 요소 수지, 규소 수지, ABS 수지, 나일론, 경질의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연질 수지의 경우, 가요성의 합성 수지제의 시트에 혈액 제제의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고 그것을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용착한 것이나, 혈액 제제의 입구와 출구를 갖는 원통형 성형물 등이 이용된다. 재질은 코트 담체와 함께 용기와 용착하는 경우에는, 코트 담체와 열적, 전기적 성질이 유사한 것이 좋고, 예컨대, 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수첨물(水添物),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그 수첨물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폴리올레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연화제와의 혼합물 등을 적합한 재료로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연질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연질 염화비닐, 폴리올레핀이다.
상기 용기의 형상은, 혈액 제제의 입구와 이상 프리온, 나아가서는 백혈구가 제거된 혈액 제제의 출구를 갖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담체의 형상에 따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담체가 평판상인 경우에는,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편평 형상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는 혈액 제제 입구를 갖는 입구측 용기와 혈액 제제 출구를 갖는 출구측 용기로 구성되고, 양자가 담체를 직접 혹은 지지체를 통해 끼워 넣음으로써 담체 내부를 2실로 나누며, 편평 형상의 필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담체가 원통 형상인 경우에는, 용기도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는, 담체를 수용하는 통형 몸통부와 혈액 제제 입구를 갖는 입구측 헤더 및 혈액 제제 출구를 갖는 출구측 헤더로 구성되고, 포팅 가공에 의해, 용기 내부가 입구로부터 도입된 액체가 원통형 담체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또는 내주부로부터 외주부)로 흐르도록 2실로 나눈, 원통형의 필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제제란, 이상 프리온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전혈이나 전혈로부터 조제하여 얻어지는 단일 혹은 복수 종류의 혈액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또는 이들 액체에 항응고제나 보존액 등이 첨가된 액체를 총칭하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전혈 제제, 적혈구 제제, 혈소판 제제, 혈장 제제, 세정 적혈구 부유액, 해동 적혈구 농후액, 합성혈, 다혈소판 혈장, 연막(buffy coat)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혈 제제란, 헌혈자로부터 채혈된 전혈에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덱스트로스(Citrate Phosphate Dextrose; CPD),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덱스트로스 아데닌-1(Citrate Phosphate Dextrose Adenine-1; CPDA-1),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2-덱스트로스(Citrate Phosphate-2-Dextrose; CP2D), 애시드 시트레이트 덱스트로스 포뮬러-A(Acid Citrate Dextrose Formula-A; ACD-A), 애시드 시트레이트 덱스트로스 포뮬러-B(Acid Citrate Dextrose Formula-B; ACD-B), 헤파린 등의 보존액, 항응고제를 첨가한 혈액 제제를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그 수기(手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각종 혈액 제제를 조제하는 방법의 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의 조제)
채혈된 전혈에 CPD, CPDA-1, CP2D, ACD-A, ACD-B, 헤파린 등의 보존액, 항응고제를 첨가하고, 본 발명의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여,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를 얻는다.
전혈 제제의 여과는, 적어도 혈액 제제가 들어간 백, 필터, 이상 프리온이 제거된 혈액 제제를 회수하기 위한 백이 회로에 의해 이 순서로 무균적으로 접속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행해진다(도 1). 채혈침이나 채혈 백이나 원심 분리 후 각 성분으로 나누기 위한 백이나 필터에 잔류한 혈액 제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로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여과는 필터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 혈액 제제가 들어간 백으로부터, 중력 낙차에 의해 혈액 제제가 도관을 경유하여 필터에 흐름으로써 행해져도 좋고, 또한, 펌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혈액 제제를 필터의 입구측으로부터 가압 및/또는 필터의 출구측으로부터 감압하여 흘림으로써 이상 프리온의 제거를 행해도 좋다. 이 여과 방법은 전혈 제제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혈액 제제여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보존 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전혈을 채혈 후 72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내에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본 발명의 필터를 이용하여 이상 프리온 제거를 행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를 얻는다. 보존 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전혈을, 바람직하게는 사용 전 24시간 이내에 필터를 이용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 프리온과 함께 백혈구도 제거된 전혈 제제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의 조제)
채혈된 전혈에 CPD, CPDA-1, CP2D, ACD-A, ACD-B, 헤파린 등의 보존액, 항응고제를 첨가한다.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각 혈액 성분으로의 분리 방법은,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와, 전혈을 원심 분리한 후에 적혈구 혹은 적혈구와 연막(이하, 「BC」라고 함)으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 상기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얻은 후,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원심 분리하고, 하층의 농후 적혈구를 회수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전에 전혈을 원심 분리하는 경우, 원심 조건은, 적혈구,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PRP)으로 분리되는 약원심 조건과, 적혈구, BC, 혈소판 결핍 혈장(PPP)으로 분리되는 강원심 조건의 2 종류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전혈로부터 분리 회수된 적혈구, 혹은 BC를 포함한 적혈구에 염수 아데닌 글루코스 만니톨 용액(Saline Adenine Glucose Mannitol solution; SAGM), 첨가제 용액-1(Additive Solution-1; AS-1), 첨가제 용액-3(Additive Solution-3; AS-3), 첨가제 용액-5(Additive Solution-5; AS-5), 만니톨 아데닌 포스페이트(Mannitol Adenine Phosphate; MAP) 등의 보존액을 첨가한 후, 본 발명의 필터로 적혈구 제제를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 조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전혈을 채혈 후 72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에 원심 분리를 행한다. 또한, 보존 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적혈구 제제로부터 채혈 후 120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72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에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를 얻는다. 보존 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적혈구 제제로부터 사용 전 24시간 이내에 이상 프리온 제거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적혈구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의 조제)
채혈된 전혈에 CPD, CPDA-1, CP2D, ACD-A, ACD-B, 헤파린 등의 보존액, 항응고제를 첨가한다.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각 혈액 성분으로의 분리 방법은,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와, 전혈을 원심 분리한 후에 PRP 혹은 혈소판으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 상기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얻은 후,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의 PRP를 회수하고, 이것을 또 원심 분리하여 하층의 농후 혈소판(PC)을 회수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기 전에 전혈을 원심 분리하는 경우, 원심 조건은, 적혈구, PRP로 분리되는 약원심 조건과 적혈구, BC, PPP로 분리되는 강원심 조건의 2 종류가 있다. 약원심 조건의 경우, 전혈로부터 분리된 PRP를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재차 원심 분리하여 하층의 PC를 회수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거나, 혹은 PRP를 원심 분리하여 혈소판과 PPP를 얻은 후, 하층의 PC를 필터로 여과해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여,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는다. 강원심 조건의 경우, 전혈로부터 분리된 BC를 일단위 혹은 수 내지 십수 단위 풀링(pooling)한 것에 필요에 따라서 보존액, 혈장 등을 첨가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고, 상층을 회수함으로써 얻어진 농후 혈소판을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 조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실온하에서 보존된 전혈을 채혈 후 24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내에 원심 분리를 행한다. 또한,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에서 보존된 혈소판 제제를 채혈 후 120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78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에 실온하에서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는다. 보존 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혈소판 제제로부터 사용 전 24시간 이내에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소판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의 조제)
채혈된 전혈에 CPD, CPDA-1, CP2D, ACD-A, ACD-B, 헤파린 등의 보존액, 항응고제를 첨가한다.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각 혈액 성분의 분리 방법은,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와, 전혈을 원심 분리한 후에 PPP 혹은 PRP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전혈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후에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경우, 상기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 제제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얻은 후, 이상 프리온 제거 전혈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의 혈장을 회수함으로써 백혈구 제거 혈장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의 제거 전에 전혈을 원심 분리하는 경우, 원심 조건은, 적혈구, PRP로 분리되는 약원심 조건과 적혈구, BC, PPP로 분리되는 강원심 조건의 2 종류가 있다. 약원심 조건의 경우, PRP를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PRP를 여과한 후에 재차 원심 분리하여 상청의 PPP를 회수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를 얻거나, 또는 원심 분리에 의해 PRP를 PPP와 혈소판으로 분리한 후에 PPP를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를 얻는다. 강원심 조건의 경우, PPP를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를 얻는다.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 조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전혈을 채혈 후 72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에 원심 분리를 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보존된 혈장 제제로부터 채혈 후 120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72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에 실온하 또는 냉장하에서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를 얻는다. 보존 후에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하 또는 냉장하 또는 냉동하에서 보존된 혈장 제제로부터 사용 전 24시간 이내에 필터로 여과하여 이상 프리온을 제거함으로써 이상 프리온 제거 혈장 제제를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백혈구 제거 필터란 혈액 제제를 여과하면 백혈구수를 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말한다. 백혈구 제거 성능으로 바꿔 말하는 경우에는 하기 식 (1)에 따라서 산출되는 값이며, 2 이상의 제거 성능을 나타내는 필터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의 제거 성능을 나타내는 필터를 말한다.
백혈구 제거 성능=-Log10{[백혈구 농도(개/㎕)(여과 후 혈액)]÷[백혈구 농도(개/㎕)(여과 전 혈액)]} (1)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의 멸균 방법으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 γ선 멸균 또는 전자선 멸균 등의 방사선 멸균, 고압 증기 멸균 중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멸균 또는 고압 증기 멸균이다. 전혈 제제로부터의 고도의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방사선 멸균과 고압 증기 멸균의 양자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 멸균과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방사선 멸균 후에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한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사용하면, 전혈 제제 중에서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에의 이상 프리온의 흡착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고압 증기 멸균에 있어서는 담체 표면의 폴리머의 화학 특성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전혈 제제에 있어서는 단백과의 경합 흡착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으로, 방사선 멸균에서는 전혈 제제여도 높은 프리온 제거 성능이 얻어진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필터에 대한 방사선 멸균에 의해 담체 표면의 폴리머의 화학 특성에 변화가 일어나, 폴리머를 구성하는 3개의 유닛의 하전 상태, 조성 밸런스가 이상 프리온과의 흡착에 있어서 바람직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방사선 멸균 후라면,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해도, 전혈 제제여도 고도의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방사선 멸균 후에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면 이상 프리온과의 흡착 특이성이 유지된 상태가 되어, 고압 증기 멸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이 얻어진다고 추정된다. 인라인 타입의 세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필터만을 미리 방사선 멸균함으로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해도 높은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이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이용한 여러 수치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필터 소재의 비표면적)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표면적(m2/g)이란, (주) 시마즈 세이사쿠쇼 「아큐소브 2100」 또는 이것과 동등한 사양을 가진 장치를 이용하여, 기체 흡착법(BET법)에 의해 구해지는 부직포 기본 중량당 표면적을 말한다. 0.50 g~0.55 g의 범위에서 칭량한 담체를 시료관에 충전하고, 상기 아큐소브 본체로 1×10-4 mmHg의 감압도(실온하)에서 20시간 탈기 처리한 후, 흡착 가스로서 흡착 점유 면적을 알고 있는 크립톤 가스를 이용하여, 액체 질소의 온도하에서 부직포의 표면에 흡착시키고 그 흡착량으로부터 칭량한 부직포 중의 전체 표면적을 구하며, 칭량한 부직포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평균 섬유경의 측정)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부직포에 대하여 5개소 정도 무작위로 찍고, 격자가 그려진 투명 시트를 상기에서 촬영한 사진에 겹치며, 직경을 이미 알고 있는 폴리스티렌 라텍스를 대조로 하여, 격자의 교점과 겹쳐진, 100개소의 섬유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섬유경으로 하였다.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폴리머 유지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재 전체 표면적(m2)이란, 소재의 중량(g)과 소재의 비 표면적(m2/g)의 곱으로부터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m2)당 폴리머 유지량(mg/m2)은, 일정 면적(중량)의 소재를 담체, 코트제 공통의 중수소화 용제에 용해하여 NMR 측정에 의해 구하였다. 구체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코팅한 소재의 일정 중량을, 중수소화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에 용해하고, 명확하게 부직포에 귀속하는 시그널(예컨대, 벤젠환의 프로톤)과 코트제에 명확하게 귀속하는 시그널(예컨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인접의 메틸기의 프로톤)의 강도비와, 별도로 측정한 코트제의 공중합 조성으로부터, 부직포 기본 중량당 폴리머 유지량을 구하였다. 또한, 부직포 기본 중량당 폴리머 유지량은, 필터에 충전된 소재의 비표면적으로부터,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폴리머 유지량으로 환산할 수 있다.
(혈액 여과 시험: 실시예 1~13, 비교예 1~9)
혈액 평가에 이용한 혈액 제제는 적혈구 제제이며, 채혈 직후의 혈액 100 ㎖에 대하여 항응고제인 CPD 용액을 14 ㎖ 첨가해서 혼화하고, 냉장으로 72시간 보존한 후 원심하며, 분리된 BC를 포함한 적혈구에 SAGM을 첨가하고, 1시간 정치(靜置)한 것이다(이하, 「여과 전 혈액」이라고 함).
평가에 이용한 필터는,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평균 섬유경 1.2 ㎛, 기본 중량(단위 면적당 중량; 目付) 40 g/m2, 비표면적 1.47 m2/g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C를 용기에 충전한 것이다(비교예 6은 코팅 없음). 코팅한 부 직포 8장을 유효 여과 면적 1.3 cm2의 칼럼에 충전하고, 여과 전 혈액이 충전된 시린지와 칼럼의 입구를 내경 3 mm, 외경 4.2 mm의 염화비닐제의 튜브로 접속한 후에, 냉장고 안에서 시린지 펌프로 유속 0.175 ㎖/min으로 칼럼 내에 흘려, 3 ㎖를 회수하였다(이하, 「여과 후 혈액」이라고 함). 코팅한 부직포(비교예 6은 코팅 없음)는 실시예 1~5 및 11과 비교예 1~9에서는 25 KGy의 γ선 멸균을 실시하고, 실시예 8, 12에서는 30 KGy의 전자선 멸균을 실시하며, 실시예 6, 7, 10, 13에서는 115℃에서 59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고, 실시예 9에서는 30 KGy의 전자선 멸균 후 115℃에서 59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며, 비교예 10에서는 멸균하지 않았다.
[백혈구 제거 성능]
백혈구 제거 성능은, 여과 전후의 백혈구 농도로부터 상기 (1)식에 의해 구하였다. 백혈구 농도는, 각 혈액 100 ㎕를 샘플링하고, 비드가 들어 있는 Leucocount 키트(닛폰 벡톤 디킨슨사 제조)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장치: 벡톤 디킨슨사 제조 FACSCalibur)에 의해 측정하였다.
[혈액 처리압]
혈액 처리압은, 칼럼 입구측의 튜브에 압력계를 접속하여 여과 종료시에 측정을 행하였다.
[여과 후 혈액의 용혈도]
여과 후 혈액의 용혈도는, 여과 후 42일 경과한 적혈구 제제의 전 헤모글로 빈량에 대한, 혈장 중의 유리 헤모글로빈량으로부터 구하였다.
용혈도의 구체적 산출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여과 후의 적혈구 제제의 총 헤모글로빈 농도(g/dL) 및 헤마토크릿(hematocrit)값(%)을 자동 혈구 계수 장치로 계측한다.
(2) 여과 후의 적혈구 제제 샘플 2 ㎖를 채취하고, 이것을 1,750xg로 10분간 원심 분리한다.
(3) 상등액의 500 nm~630 nm의 파장 범위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로 스캔해서 측정한다.
(4) 혈장 중의 유리 헤모글로빈 농도를, 문헌[Clin. Biochem. 8, 96-102 (1975)]의 방법에 준하여 산출한다.
(5) 용혈도를 하기 식 (2)로부터 산출한다.
용혈도(%)=(100-헤마토크릿값(%))×(유리 헤모글로빈 농도(g/dL))/총 헤모글로빈 농도(g/dL) (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평가: 실시예 1~13, 비교예 1, 3, 5~8, 10)
[필터의 작성]
여과재로서, 평균 섬유 직경 12 ㎛, 기본 중량 30 g/m2, 비표면적 0.24 m2/g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P, 평균 섬유 직경 2.5 ㎛, 기본 중량 60 g/m2, 비표면적 0.8 m2/g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A, 평균 섬유 직경 1.8 ㎛, 기본 중량 60 g/m2, 비표면적 1.1 m2/g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B, 및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평균 섬유 직경 1.2 ㎛, 기본 중량 40 g/m2, 비표면적 1.47 m2/g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를 사용하였다(비교예 6은 코팅 없음). 여과재 P, A, B, C를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P-A-B-C의 순으로 포개고, 또한, 이 하류측에 B와 동일한 여과재인 B', A와 동일한 여과재인 A', P와 동일한 여과재인 P'를 포개어, 전체로서 P-A-B-C-B'-A'-P'라고 하는 대칭 구조의 여과재를 제작하였다. 이 여과재를 혈액 입구 또는 출구가 되는 포트를 갖는 가요성 염화비닐 수지 시트로 끼우고, 고주파 용착기를 이용하여, 여과재와 가요성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용착, 일체화시켜, 유효 여과 면적 56 cm2의 필터를 작성하였다.
실시예 1~5 및 11과 비교예 1~9에서는 25 KGy의 γ선 멸균을 실시하고, 실시예 8, 12에서는 30 KGy의 전자선 멸균을 실시하며, 실시예 6, 7, 10, 13에서는 115℃에서 59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고, 실시예 9에서는 30 KGy의 전자선 멸균 후 115℃에서 59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며, 비교예 10에서는 멸균하지 않았다.
[스크래피에 감염된 햄스터 뇌의 조제]
스크래피를 발증시키는 263K 햄스터 유래의 이상 프리온 Sc237을 햄스터에 접종한 후 65일에서 70일 경과한 햄스터 뇌를 스크래피 감염 햄스터 뇌로 하였다.
[호모제네이트(homogenate)의 조제]
스크래피에 감염된 햄스터의 뇌를 320 mM 자당 중에서 초음파 파쇄를 행하 여, 10 중량(g)/용량(100 ㎖)%(이하, 「W/V%」라고 기재함)의 호모제네이트를 작성하고, 그 호모제네이트를 또한 4℃에서 80xg로 1분간 원심하여, 첨가하는 호모제네이트(이하, 「호모제네이트」라고 약기함)로서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솜 분획의 조제]
호모제네이트를 5,000xg로 20분 원심하고, 그 상청을 또한 100,000xg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의 침전을 150 mM NaCl, 20 mM Tris-HCl, pH 7.4의 용액에 재현탁하고, 또한 100,000xg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의 침전을 pH 7.4의 PBS(Phosphate-Buffered Saline)에 재현탁하여 첨가하는 마이크로솜 분획(이하, 「마이크로솜 분획」이라고 약기함)으로서 이용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1: 실시예 1, 2, 4, 13]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
50 ㎕의 호모제네이트와 50 ㎕의 호모제네이트를 첨가한 적혈구 제제를 450 ㎕의 샘플 완충액(sample buffer)에서 각각 혼화하고, 100℃±5℃에서 5~10분간, 혹은 70℃~80℃에서 10~15분간 각각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
50 ㎕의 호모제네이트와 50 ㎕의 호모제네이트를 첨가한 적혈구 제제를 농도가 다른 프로테아제 K와 0.6~1% 사코실(Sarkosyl)과 혼합하고, 1시간±5분 동안 37℃±4℃에서 반응시켰다. 300 ㎕ 샘플 완충액을 첨가하고, 100℃±5℃에서 5분~10분간, 혹은 70℃~80℃에서 10~15분간 각각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과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을 웨스 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하여, 정상 프리온 및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프로테아제 K에 의해 분해되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이상 프리온이 검출되는 프로테아제 K의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2: 실시예 3, 6, 비교예 5, 6, 10]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
5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5 ㎖의 정상 프리온을 첨가한 혈액 제제를 각각 4,000xg로 20분간 원심하였다. 또한 3 ㎖의 상청을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여, 5~10분간 100℃±5℃에서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
5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5 ㎖의 정상 프리온을 첨가한 적혈구 제제를 각각 4,000xg로 20분간 원심하였다. 3 ㎖의 상청에 농도가 다른 프로테아제 K를 혼합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유지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과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을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하여, 정상 프리온 및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프로테아제 K에 의해 분해되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이상 프리온이 검출되는 프로테아제 K의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3: 실시예 5, 비교예 1, 3, 7, 8]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
50 ㎕의 마이크로솜 분획을 첨가한 혈장과 50 ㎕의 혈장을, 50 ㎕의 샘플 완충액에서 각각 혼화하고, 100℃±5℃에서 5~10분간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
3 ㎖의 스크래피에 감염되지 않은 햄스터의 뇌로부터 조제한 호모제네이트를 첨가한 혈장과 3 ㎖의 스크래피 감염 햄스터의 뇌로부터 조제한 마이크로솜 분획을 첨가한 혈장에 농도가 다른 프로테아제 K를 혼합하고, 2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의 침전에 100 ㎕ 샘플 완충액을 첨가하고, 100℃±5℃에서 5~10분간 반응시켰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과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을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하여, 정상 프리온 및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프로테아제 K에 의해 분해되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이상 프리온이 검출되는 프로테아제 K의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4: 실시예 7~9]
백혈구 제거 후 전혈 제제를 4,000xg에서 30분간 원심하고, 그 상청 11.7 ㎖에 1.3 ㎖의 마이크로솜 분획을 첨가하며(이하, 「첨가 여과 전 혈액」이라고 함), 12 ㎖에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이하, 「미첨가 여과 전 혈액」이라고 함).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
3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3 ㎖의 미첨가 여과 전 혈액을 각각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
3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미첨가 여과 전 혈액에 1~2%(w/v)의 사코실과 농도가 다른 프로테아제 K를 혼합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각각 유지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과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을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하여, 정상 프리온 및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프로테아제 K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이상 프리온이 검출되는 프로테아제 K의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5: 실시예 10~12]
백혈구 제거 후 적혈구 제제를 4,000xg로 30분간 원심하고, 그 상청 11.7 ㎖에 1.3 ㎖의 마이크로솜 분획을 첨가하며(이하, 「첨가 여과 전 혈액」이라고 함), 12 ㎖에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이하, 「미첨가 여과 전 혈액」이라고 함).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
3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3 ㎖의 미첨가 여과 전 혈액을 각각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항온처리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
3 ㎖의 첨가 여과 전 혈액 혹은 미첨가 여과 전 혈액에 1~2%(w/v)의 사코실과 농도가 다른 프로테아제 K를 혼합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 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각각 유지하였다.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하지 않은 샘플과 프로테아제 K 처리를 한 샘플을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하여, 정상 프리온 및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프로테아제 K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이상 프리온이 검출되는 프로테아제 K의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1: 실시예 1, 2, 4, 13]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적혈구 제제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적혈구 제제에 실온에서 호모제네이트를 적혈구 제제 1 단위에 대하여 13 ㎖ 첨가해서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1, 2, 4, 및 13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를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후 혈액을 우선 세포 용해액(1 ℓ의 주사용 증류수에 암모늄옥살산염 11.45 g과 인산이수소칼륨 433 mg과 인산일수소이나트륨 567 mg을 용해하여 작성)으로 용해한다. 첨가 여과 전후 혈액과 세포 용해액을 체적비 1:3으로 혼합하고, 30분 실온에서 용해하였다. 용해 후, 1회 15±5초, 50±10% 파워의 초음파 파쇄를 30±10초의 휴지(休止)를 사이에 두고 3회 행하였다. 프로테아제 K의 농도 결정 방법 1로 결정한 농도의 프로테아제 K와 0.6~1% 사코실을 첨가 여과 전후 혈액에 첨가하고, 37℃±3℃에서 1시간±5분 프로테아제 K에 의한 분해를 행하며, 10 mM 페파블록(Pefabloc)을 첨가하여 분해를 정지하였다. 그 후, 100,000xg로 4℃±2℃에서 1 시간 원심을 행하고, 그 침전에 500 ㎕ 샘플 완충액을 첨가하여 100℃±5℃에서 5~10분간 혹은 70~80℃에서 10~15분간 항온처리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2: 실시예 3, 비교예 5, 6]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1일간 또는 2일간, 4℃의 냉장고 안에서 보존한 후,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 1 단위에 실온에서 마이크로솜 분획을 12 ㎖ 첨가하여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3 및 비교예 5, 6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비교예 6은 코팅 없음)를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 및 첨가 여과 후 혈액을 4,000xg로 30분간 원심하고 상청을 분주(分注)하였다. 이들 상청에 1,000 ㎍/㎖가 되도록 프로테아제 K를 첨가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유지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 실시예 5, 비교예 1, 3, 7, 8]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신선 동결 혈장을 구입하고, 여과 당일 37℃에서 용해하며, 혈장의 중량에 대하여 8.6%의 체적의 마이크로솜 분획을 실온에서 첨가하여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 150 g±2 g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5 및 비교예 1, 3, 7, 8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후 혈액 100 ㎕에 600 ㎍/㎖의 프 로테아제 K를 첨가하고, 2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그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100℃±5℃에서 5~10분간 유지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4: 실시예 6, 비교예 10]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백혈구 제거 전혈 제제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백혈구 제거 후의 전혈 제제를 1일간 4℃의 냉장고 안에서 보존한 후, 백혈구 제거 전혈 제제 1 단위에 대하여 실온에서 마이크로솜 분획을 28 ㎖ 첨가하여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6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포함하는 필터 및 비교예 10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 및 첨가 여과 후 혈액을 4,000xg로 30분간 원심하고 상청을 분주하였다. 이들 상청에 1,000 ㎍/㎖가 되도록 프로테아제 K를 첨가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유지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5: 실시예 7, 8, 9]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백혈구 제거 전혈구 제제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1~3일간 4℃의 냉장고 안에서 보존한 후,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 3 단위를 하나의 혈액 백에 통합하고, 실온에서 마이크로솜 분획을 84 ㎖ 첨가하여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을 3분할하고, 분할한 첨가 여과 전 혈액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7, 8, 9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를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각각 여과하며,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 및 첨가 여과 후 혈액을 4,000xg로 30분간 원심하고 상청을 분주하였다. 이들 상청에 25 U/㎖가 되도록 프로테아제 K를 첨가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유지하였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6: 실시예 10, 11, 12]
유럽 기준에 따라서 조제된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2~4일간 4℃의 냉장고 안에서 보존한 후,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 1 단위에 실온에서 마이크로솜 분획을 9.5 ㎖ 첨가하여 첨가 여과 전 혈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낙차 100 cm의 자연 낙차로, 실시예 10, 11, 12에서 준비한 폴리머를 코팅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를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혈액을 회수하여 첨가 여과 후 혈액으로 하였다. 이 첨가 여과 전 혈액 및 첨가 여과 후 혈액을 4,000xg로 30분간 원심하고 상청을 분주하였다. 이들 상청에 25 U/㎖가 되도록 프로테아제 K를 첨가하고, 100,000xg로 4℃±2℃에서 1시간 원심하였다. 원심 후, 침전을 100 ㎕의 샘플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5~10분간 100℃±5℃에서 유지하였다.
[이상 프리온 역가의 해석]
샘플 완충액을 첨가하여 가열한 첨가 여과 전후의 혈액 제제는 프리온 단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3F4를 일차 항체로서 이용하여 일반적인 웨스턴 블롯의 방법으로 이상 프리온을 검출하였다. 모든 첨가 여과 전후 혈액의 검출을 연속적인 3배 희석 계열로 복수회씩 반복하고, Spearman[Brit. J. of Psychology 1908; 2: 227 ff.]과 Kaerber[Naunyn Schmiedeberg's Arhc. Exp. Path. Pharmak. 1931; 152: 380 ff.]의 방법에 의해 ED50을 구한 후, 단위 체적(1 ㎖)당 ED50으로 환산하여, 그 로그값을 역가로 한다. ED50의 산출 방법은 이하와 같다.
식 1
Figure 112008090944457-pct00001
Y0: 반복하여 모두에서 이상 프리온을 검출한 최대 희석의 로그값
d: 희석 계열의 로그값
ΣYi: Y0 이상 희석했을 때의 이상 프리온이 검출된 비율의 합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하기 식 (4)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이상 프리온의 역가(첨가 여과 전 혈액)-이상 프리온의 역가(첨가 여과 후 혈액) (4)
실시예 1
중합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78℃에서 교반을 행하면서, 상기 중합성 모노머와 디아조계 개시제를 용해한 에탄올 용액을 적하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각 중합성 모노머의 첨가는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MMA」라고 약기함) 20 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DM」이라고 약기함) 5 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모노머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HEMA」라고 약기함) 75 몰%였다. 중합액을 과잉의 물로 정제하고, 감압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거의 첨가비와 같으며,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2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5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75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고, 폴리머 농도 0.8 W/V%로 하였다. 소재인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상기 폴리머 농도로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1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1을 행한 결과, 백혈구 제거 성능은 4.12, 혈액 처리압은 9.8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2.0 이상이었다.
실시예 2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20 몰%, DM 13 몰%, HEMA 67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2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3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7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5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 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1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68, 혈액 처리압은 8.1 kPa, 용혈도는 0.5%,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2.0 이상이었다.
실시예 3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2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68, 혈액 처리압은 11.4 kPa, 용혈도는 0.4%,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3.8이었다.
실시예 4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40 몰%, DM 5 몰%, HEMA 55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4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5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55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7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 부직 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1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17, 혈액 처리압은 12.5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2.0 이상이었다.
실시예 5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40 몰%, DM 13 몰%, HEMA 47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4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3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47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8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68, 혈액 처리압은 10.9 kPa, 용혈도는 0.5%,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2.4였다.
실시예 6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 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4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86, 혈액 처리압은 13.2 kPa, 용혈도는 0.4%,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1.5였다.
실시예 7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5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12, 혈액 처리압은 11.5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1.2였다.
실시예 8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 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5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68, 혈액 처리압은 12.0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1.6이었다.
실시예 9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1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5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43, 혈액 처리압은 11.8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1.7이었다.
실시예 10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EMA」라고 약기함) 30 몰%, DM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E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2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19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6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22, 혈액 처리압은 10.5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4.1 이상이었다.
실시예 11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DE」라고 약기함)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E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0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 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6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58, 혈액 처리압은 12.3 kPa, 용혈도는 0.4%,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4.1 이상이었다.
실시예 12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0 몰%,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이하, 「HPMA」라고 약기함) 6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P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8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6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83, 혈액 처리압은 15.0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4.1 이상이었다.
실시예 13
각 중합성 모노머의 첨가비를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이하, 「BA」라고 약기함) 40 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이하, 「DEA」라고 약기함) 10 몰%, 프로 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모노머로서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이하, 「HBA」라고 약기함) 5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BA의 공중합 조성이 40 몰%, 폴리머 중의 DEA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PA가 5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5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1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1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75, 혈액 처리압은 11.5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2.0 이상이었다.
[비교예 1]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3 몰%, HEMA 67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3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7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0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19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88, 혈액 처리압은 10.2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5였다.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중합 조성이 5 몰% 이하가 되면, 이상 프리온의 흡착이 감소하여, 이상 프리온의 제거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DM 16 몰%, HEMA 54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6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54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9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1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을 행하였다. 혈액 처리압은 11.8 kPa, 용혈도는 2.3%였다. 냉장 여과에 있어서는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의 중합 조성이 증가하면 용혈이 발생하여, 0.8%라고 하는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3]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15 몰%, DM 10 몰%, HEMA 75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15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 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75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2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0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11, 혈액 처리압은 7.8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5였다.
[비교예 4]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45 몰%, DM 10 몰%, HEMA 45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45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45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8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을 행하였다. 그러나, 혈액 제제의 흐름성이 나쁘고, 혈액 처리압이 60 kPa를 초과하여, 튜브 및 시린지의 파손이 염려되어 도중에 시험을 중지하였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 성능 및 용혈에 대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5]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DM 3 몰%, HEMA 97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 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3 몰%, HEMA의 공중합 조성이 97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55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비표면적 1.47 m2/g, 평균 섬유경 1.2 ㎛, 40 g/m2 기본 중량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7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2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92, 혈액 처리압은 6.8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2였다.
[비교예 6]
비표면적 1.47 m2/g, 평균 섬유경 1.2 ㎛, 40 g/m2 기본 중량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폴리머 코팅하지 않고서 이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2를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4.55, 혈액 처리압은 20.3 kPa, 용혈도는 0.2%,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0이었다.
[비교예 7]
산성의 모노머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이하, 「MAA」라고 약기함)을 이용하였다.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30 몰%, MAA 10 몰%, HEMA 60 몰%로 하고 실 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30 몰%, 폴리머 중의 MAA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폴리머 중의 HEMA가 6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3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 C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2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은 5.36, 혈액 처리압은 10.0 kPa, 용혈도는 0.4%,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이었다. 산성의 모노머를 갖는 폴리머에서는 이상 프리온을 제거할 수 없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8]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DM 10 몰%, HEMA 9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 HEMA의 공중합 조성이 9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50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소재인 비표면적 1.47 m2/g, 평균 섬유경 1.2 ㎛, 40 g/m2 기본 중량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18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3을 행하였다. 백혈구 제거 성능 은 3.75, 혈액 처리압은 15.0 kPa, 용혈도는 0.3%,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5였다.
[비교예 9]
각 중합 모노머의 첨가비를 MMA 90 몰%, DM 10 몰%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 정제, 건조하였다. 폴리머의 공중합 조성을 1H-NMR로 측정하였다. 폴리머 중의 MMA의 공중합 조성이 90 몰%, 폴리머 중의 DM의 공중합 조성이 10 몰%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4만이었다. 코팅 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머 농도 0.8 W/V%로, 소재인 비표면적 1.47 m2/g, 평균 섬유경 1.2 ㎛, 40 g/m2 기본 중량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코팅을 행하였다. 그 유지량은 소재 전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21 mg/m2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혈구 제거 성능 시험, 회수시 압력 시험, 여과 후의 용혈 시험을 행하였다. 그러나, 혈액 제제의 흐름성이 나쁘고, 혈액 처리압이 60 kPa를 초과하여, 튜브 및 시린지의 파손이 염려되어 도중에 시험을 중지하였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 성능 및 용혈에 대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10]
시판되는 전혈 제제용 백혈구 제거 필터(폴사 제조 WBF2)를 이용하여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 시험 4를 행한 결과, 이상 프리온 제거 성능은 0.4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표 1에서는, 전자선 멸균을 E.B.라고 표기하고, 고압 증기 멸균을 A.C.라고 표기하였다.
Figure 112008090944457-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은, 수혈 의료의 현장에서 이상 프리온에 의한 전파성 해면상 뇌증(TSE)의 수혈 감염의 방지, 나아가서는 백혈구에 의한 수혈 부작용의 방지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Claims (18)

  1.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20 몰% 이상 40 몰% 이하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5 몰% 이상 13 몰% 이하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나머지가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인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혈액 제제를 여과하고, 상기 여과한 혈액 제제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방법은 혈액 제제 중의 혈장 성분에 포함되는 이상 프리온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폴리머는 비닐계 폴리머인 것이고,
    상기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내에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도 또한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 중합성 모노머이며,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1차 아미노기, 2차 아미노기, 3차 아미노기, 4차 아미노기 또는 질소 함유 방향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이고,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비중합성 부분이 해리하여 프로톤(H+)을 방출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며,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는 모노머인 것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가 전혈 제제이며, 상기 필터가 방사선 멸균 후에 고압 증기 멸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이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및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가 아크릴산 유도체, 메타크릴산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이 3차 아미노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이 3차 아미노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이 수산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이 수산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이 수산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백혈구 제거 필터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17. 20 몰% 이상 40 몰% 이하의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5 몰% 이상 13 몰% 이하의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인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이루어지되,
    이때,
    상기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내에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도 또한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 중합성 모노머이며,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1차 아미노기, 2차 아미노기, 3차 아미노기, 4차 아미노기 또는 질소 함유 방향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이고,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비중합성 부분이 해리하여 프로톤(H+)을 방출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며,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는 모노머인 것인,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혈액 제제용의 이상 프리온 제거재.
  18. 이상 프리온을 제거한 혈액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이상 프리온과 백혈구가 함유되는 혈액 제제에 항응고제를 첨가하는 공정,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과,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유닛의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코트한 담체를 충전한 필터로, 상기 혈액 제제를 여과하는 공정,
    상기 여과 공정에 의해, 이상 프리온과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 제제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소수성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내에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도 또한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 중합성 모노머이며,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1차 아미노기, 2차 아미노기, 3차 아미노기, 4차 아미노기 또는 질소 함유 방향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이고,
    상기 프로톤성 중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비중합성 부분이 해리하여 프로톤(H+)을 방출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며,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는 모노머인 것인,
    혈액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087032207A 2006-07-12 2007-07-12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KR10117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1895 2006-07-12
JP2006191895 2006-07-12
PCT/JP2007/000755 WO2008007465A1 (en) 2006-07-12 2007-07-12 Method of removing abnormal prion from blood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219A KR20090024219A (ko) 2009-03-06
KR101170212B1 true KR101170212B1 (ko) 2012-07-31

Family

ID=3892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207A KR101170212B1 (ko) 2006-07-12 2007-07-12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663908B2 (ko)
EP (1) EP2050457B1 (ko)
JP (1) JP5250417B2 (ko)
KR (1) KR101170212B1 (ko)
CN (1) CN101489570B (ko)
AU (1) AU2007273755B2 (ko)
BR (1) BRPI0714378A2 (ko)
CA (1) CA2657514C (ko)
MY (1) MY147456A (ko)
RU (1) RU2410128C2 (ko)
TW (1) TWI412401B (ko)
WO (1) WO2008007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24802A (en) * 2007-08-01 2009-06-16 Asahi Kasei Kuraray Medical Co Electron beam sterilization method
US20130288370A1 (en) 2010-10-15 2013-10-31 Cytopherx, Inc. Cytopheresis cartridges and use thereof
AU2012364760B2 (en) 2012-01-09 2018-05-31 Seastar Medical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increasing myocardial function
US9782707B2 (en) 2014-03-24 2017-10-10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9796166B2 (en) 2014-03-24 2017-10-24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9968738B2 (en) 2014-03-24 2018-05-1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with molded frame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10159778B2 (en) 2014-03-24 2018-12-2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10376627B2 (en) 2014-03-24 2019-08-13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11246970B2 (en) 2016-02-15 2022-02-15 Asahi Kasei Medical Co., Ltd. Blood processing filter
ES2845176T3 (es) * 2016-08-18 2021-07-26 Asahi Kasei Medical Co Ltd Elemento de filtro para filtro de tratamiento de sangre, filtro de tratamiento de sangre y método de retirada de leucocit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2627A1 (en) * 1997-05-21 1998-11-26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spongiform encephalopathy diseases by bloo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8011A (en) * 1996-07-01 1998-09-15 Biopure Corporation Method for chromatographic removal of prions
US6221614B1 (en) 1997-02-21 2001-04-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moval of prions from blood, plasma and other liquids
JP2001276181A (ja) * 2000-03-31 2001-10-09 Terumo Corp 不要物除去フィルター付血液バッグ
JP4115839B2 (ja) * 2001-01-29 2008-07-09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処理用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11924A1 (fr) 2001-07-31 2003-02-13 Asahi Medical Co., Ltd. Polymere utilise pour revetir un materiau filtrant d'extraction de leucocytes et materiau filtrant en question
JP2003190276A (ja) * 2001-10-16 2003-07-08 Asahi Medical Co Ltd ウイルス及び白血球選択除去方法、除去材および除去装置
WO2003033053A1 (fr) * 2001-10-16 2003-04-24 Asahi Medical Co., Ltd. Procede permettant d'eliminer de maniere selective des virus et des leucocytes, materiau et appareil a cet effet
WO2004090102A2 (en) 2003-04-04 2004-10-21 American Red Cross Prion protein binding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JP2006095139A (ja) 2004-09-30 2006-04-13 Asahi Kasei Corp 核酸リガンドを用いた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2627A1 (en) * 1997-05-21 1998-11-26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spongiform encephalopathy diseases by blood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04705A (ru) 2010-08-20
CA2657514C (en) 2012-12-04
EP2050457A1 (en) 2009-04-22
TWI412401B (zh) 2013-10-21
RU2410128C2 (ru) 2011-01-27
CN101489570A (zh) 2009-07-22
EP2050457A4 (en) 2010-06-30
EP2050457B1 (en) 2012-06-27
CN101489570B (zh) 2013-02-20
TW200812697A (en) 2008-03-16
KR20090024219A (ko) 2009-03-06
BRPI0714378A2 (pt) 2013-03-12
MY147456A (en) 2012-12-14
CA2657514A1 (en) 2008-01-17
AU2007273755A1 (en) 2008-01-17
US8663908B2 (en) 2014-03-04
US20100062412A1 (en) 2010-03-11
WO2008007465A1 (en) 2008-01-17
JPWO2008007465A1 (ja) 2009-12-10
JP5250417B2 (ja) 2013-07-31
AU2007273755B2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212B1 (ko) 혈액 제제로부터 이상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
CN106457205B (zh) 去除组蛋白的吸附材料和生物来源液体净化设备
JP4587213B2 (ja) 生体適合性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材
EP3311857B1 (en) Blood-processing filter
EP3501561B1 (en) Filter element for blood treatment filter, blood treatment filter, and leukocyte removal method
JPWO2016158388A1 (ja) 共重合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医療デバイス、医療用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血液浄化器
JP6752605B2 (ja) 生体由来液処理フィルター及びフィルターデバイス
JP2009167128A (ja) プリオン除去機能を有するフィルター
WO2003047655A1 (fr) Filtre pour l&#39;elimination selective de leucocytes
JP2009165667A (ja) プリオン除去機能を有するフィルター
JP2013209333A (ja) 白血球及び異常プリオン除去フィルタ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白血球及び異常プリオンの除去方法
JP4082894B2 (ja) 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材
JP2000325071A (ja) 細胞分離回収方法
JP2003038641A (ja) 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材
JP2003164522A (ja) 耐滅菌性に優れた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