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793B1 -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 Google Patents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793B1
KR101169793B1 KR1020110140595A KR20110140595A KR101169793B1 KR 101169793 B1 KR101169793 B1 KR 101169793B1 KR 1020110140595 A KR1020110140595 A KR 1020110140595A KR 20110140595 A KR20110140595 A KR 20110140595A KR 101169793 B1 KR101169793 B1 KR 10116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input
audio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호
정두진
Original Assignee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of an amplifier can be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to amplify or not an inpu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신호 유,무를 마이콤에서 감시하고, 2개의 입력 모두 신호가 없을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다시 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전원이 켜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수 있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일반 방송과 비상 방송을 겸하는 기능을 갖는 PA용 디지털 앰프에 있어서, 제1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보다 우선권을 갖는 제2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와 연결되는 마이콤;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메인앰프; 상기 메인 엠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온/오프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앰프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의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메인앰프 전원공급부를 통해 메인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AUTOMATIC POWER OFF DIGITAL AMP IN NON INPUT SIGNAL}
본 발명은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신호 유,무를 마이콤에서 감시하고, 2개의 입력 모두 신호가 없을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다시 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전원이 켜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수 있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 또는 LP 에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였으나,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CD 또는 DVD 와 같은 매체에 디지털 형태로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여 정보 손실을 줄이고, 보다 깨끗한 음질을 구현하게 되었다.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에 아날로그 앰프로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진공관 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앰프는 전자의 열운동에 의한 잡음과 증폭 소자의 불완전한 선형성 때문에 신호의 왜곡(Distortion)이 발생하게 되며, 전원의 이용 효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날로그 앰프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고성능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앰프가 제안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71118호 및 등록 특허 제0770747호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디지털 앰프는 한번 전원스위치를 켜면 전원 스위치를 끄기 전까지 제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불필요한 에너지를 계속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은 대기시에 AC 220V/150mA 정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였으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력신호 유,무를 마이콤에서 감시하고, 2개의 입력 모두 신호가 없을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다시 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전원이 켜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수 있도록 한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방송과 비상 방송을 겸하는 기능을 갖는 PA용 디지털 앰프에 있어서, 제1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보다 우선권을 갖는 제2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와 연결되는 마이콤;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메인앰프; 상기 메인 엠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온/오프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앰프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의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메인앰프 전원공급부를 통해 메인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입력단으로부터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전원으로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의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A)는, 일반 방송과 비상 방송을 겸하는 기능을 갖는 PA(Public Address)용 디지털 앰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A)는, 제1오디오 입력부(1); 제1오디오 입력부보다 우선권을 갖는 제2오디오 입력부(2); 제1오디오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 제2오디오 입력부(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4);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4)와 연결되는 마이콤(5);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8)로 송출하는 메인앰프(7); 상기 메인엠프(7)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앰프 전원공급부(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오디오 입력부(1)에는 PGM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고, 제2오디오 입력부(2)에는 우선권(PRIORITY)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1,2)는 각기 메인앰프(7)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신호라인(L1,L2)으로 연결되되, 제1 및 제2신호라인(L1,L2)에 헤드 엠프(10)가 각기 장착되고, 각 헤드 엠프(10)로부터 나오는 제1 및 제2신호라인(L1,L2)은 신호전환부(6)에 연결된다.
신호전환부(6)의 출력측 신호라인(OL)은 메인앰프(7) 및 스피커(8)와 연결된다.
신호전환부(6)는 제1오디오 입력부(1)의 단부에 형성된 제1접점(P1)과, 상기 제2오디오 입력부(2)의 단부에 형성된 제2접점(P2) 및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스위치(SW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신호전환부(6)는 마이콤(5)과 연결됨으로써 마이콤(5)에서 신호가 주어지면 제1스위치(SW1)가 작동되어 제1 및 제2접점(P1,P2)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오디오 입력부(1)의 헤드엠프 후단의 제1신호라인(L1)으로부터 마이콤(5)을 연결하는 제1디텍터라인(DL1)이 형성되고, 이 제1디텍터라인(DL1)에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가 형성되어 오디오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토록 한다.
또 제2오디오 입력부(2)의 헤드엠프 후단의 제2신호라인(L2)으로부터 마이콤(5)을 연결하는 제2디텍터라인(DL2)이 형성되고, 이 제2디텍터라인(DL2)에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4)가 형성되어 우선권을 갖는 오디오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토록 한다.
상기 2개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한 신호가 마이콤(5)에 동시에 수신되면, 마이콤(5)은 우선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메인앰프 전원공급부(P)는 외부에서 메인앰프(7)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콤(5)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온/오프 되는 제2스위치(SW2)가 전원공급라인에 마련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1,2)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S1).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다면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4)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의 유.무를 마이콤(5)이 인식가능한 "1" 또는 "0"의 이진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1"은 신호가 있음을 의미하고, "0"은 신호 없음을 의미한다.
마이콤(5)은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1,2)에 신호가 없음으로 판단하여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4)가 각각 "0"의 신호를 보내오면 신호없음으로 인지한 후 일정 시간(약 10초) 후 메인앰프 전원공급부(P)에 전원 오프 명령을 내린다.
이후 메인앰프 전원공급부(P)의 제2스위치(SW2)가 작동되어 전원이 차단된다(S2).
따라서 오디오 입력 신호가 없을 때는 메인앰프(7)의 전원을 오프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1,2) 중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신호가 다시 인가된다.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3,4) 중 어느 하나라도 신호있음 신호인 "1"의 신호를 마이콤(1)에 보낸다.
이를 인지한 마이콤(5)은 메인앰프 전원공급부(P)의 제2스위치(SW2)를 온시켜 메인앰프(7)에 전원을 공급한다(S3).
이후 제1오디오 신호가 스피커(8)를 통해 출력된다(S4).
따라서 오디오 신호의 유,무의 인식과 스위칭 제어를 마이콤(5)이 판단하고, 스위칭 명령을 내리는 자동 프로세서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오디오 입력부 2 : 제2오디오 입력부
3 :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4 :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5 : 마이콤 7 : 메인앰프
P : 메인앰프 전원공급부

Claims (4)

  1. 삭제
  2. 일반 방송과 비상 방송을 겸하는 기능을 갖는 PA용 디지털 앰프에 있어서,
    제1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보다 우선권을 갖는 제2오디오 입력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1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 모니터부와 연결되는 마이콤;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메인앰프;
    상기 메인 엠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온/오프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앰프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오디오 입력부의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메인앰프 전원공급부를 통해 메인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3. 삭제
  4. 삭제
KR1020110140595A 2011-12-22 2011-12-22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KR10116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95A KR101169793B1 (ko) 2011-12-22 2011-12-22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95A KR101169793B1 (ko) 2011-12-22 2011-12-22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793B1 true KR101169793B1 (ko) 2012-07-30

Family

ID=4671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595A KR101169793B1 (ko) 2011-12-22 2011-12-22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73B1 (ko) * 2012-10-22 2013-05-08 일성미디어통신 주식회사 우선 신호 전환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KR101592327B1 (ko) 2015-08-24 2016-02-05 동광전자 주식회사 Fft분석 기반 오디오 신호 무입력 검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413A (ja) * 2008-05-26 2009-12-03 Flying Mole Corp ディジタル電力増幅器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413A (ja) * 2008-05-26 2009-12-03 Flying Mole Corp ディジタル電力増幅器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73B1 (ko) * 2012-10-22 2013-05-08 일성미디어통신 주식회사 우선 신호 전환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KR101592327B1 (ko) 2015-08-24 2016-02-05 동광전자 주식회사 Fft분석 기반 오디오 신호 무입력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830B (zh) 電子設備及其音頻輸出控制方法
US2005023369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external device in audio receiver
WO2013166967A1 (zh) 一种通过移动终端播放高保真音乐的方法及其移动终端
KR101169793B1 (ko) 무신호시 전원 오프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US20100260349A1 (en) Solar wireless sound system
CN203233526U (zh) 一种数字功放系统
CN202395884U (zh) 电视机声音信号调整电路和电视机
KR101262273B1 (ko) 우선 신호 전환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KR101243350B1 (ko) 디지털 앰프
KR100693589B1 (ko) 음원 데이터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57993B1 (ko) 출력제어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
CN205039780U (zh) 一种带双电源供电的双声道音频放大电路
CN204993809U (zh) 一种双声道音频放大电路
JP2002299961A (ja) 音声再生装置
CN214315522U (zh) 一种多功能电教有源扬声器系统
CN2938578Y (zh) 用哑音频信号控制扩音开关的调频无线广播收扩机
JP2006270583A (ja) 接続装置
JPH06153043A (ja) カメラ一体型vtr
JP2000132148A (ja) デジタル映像信号処理装置
US7636446B1 (en) State machine enabling auto-recovery of short-circuited class D audio amplifiers
CN2272173Y (zh) 扬声系统可单独工作的电视机
KR101034295B1 (ko) 에이브이 시스템 및 그 전력 소비량 저감방법
JPH0543585Y2 (ko)
JPH04196825A (ja) 光伝送信号受信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2020184680A (ja) 再生装置、及び、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