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967B1 - 폐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967B1
KR101168967B1 KR1020100059159A KR20100059159A KR101168967B1 KR 101168967 B1 KR101168967 B1 KR 101168967B1 KR 1020100059159 A KR1020100059159 A KR 1020100059159A KR 20100059159 A KR20100059159 A KR 20100059159A KR 101168967 B1 KR101168967 B1 KR 10116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te sludge
hollow
combus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957A (ko
Inventor
배상윤
황보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에너지
Priority to KR102010005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각종의 폐슬러지를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건조시켜, 이들 건조된 폐슬러지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슬러지 건조장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중공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연소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연소물 투입부; 및 상기 드럼에 형성된 중공부에 폐슬러지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슬러지 투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슬러지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SLUDGE}
본 발명은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각종의 폐슬러지를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건조시켜, 이들 건조된 폐슬러지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축산분뇨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폐슬러지를 공해상 해상투기(51.4%), 육상 매립장 매립(40.2%) 등으로 처리하였으나, 매립장의 한계성과 중금속 오염 및 침출수 발생 등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어 2003년 7월부터 해상투기 및 육상 매립이 전면 금지되었고, 또 2005년 1월부터 폐기물의 전면 매립이 금지된 관계로, 현재 슬러지의 적정 처리가 사회적 환경문제로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폐슬러지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퇴비화나 사료화가 가능하나,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는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관계로 염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아니한 상태로 퇴비화할 경우 작물의 생육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또 부폐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한 경우 이를 섭취한 가축들이 집단 폐사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관계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0449517호를 통해 상기 폐슬러지를 건조시켜 함수률을 낮춰 이를 고체 연료화하도록 한 기술적 사상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제안으로 폐기에 어려움이 발생되던 폐슬러지를 새로운 자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폐슬러지를 건조함에 있어 폐슬러지가 저장된 저장조의 일편에, 전열히터 또는 가스, 또는 기름의 연소를 통해 열풍을 발산하는 버너를 배치하여, 이 버너에서 생성된 열풍을 통해 폐슬러지의 가열을 도모하여 폐슬러지를 건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폐슬러지 건조장치는 폐슬러지의 건조에 따른 가열원으로 고가의 전기나, 가스 또는 기름을 사용하는 관계로, 폐슬러지 건조에 따른 부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 저장조에 투입된 폐슬러지 전체에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여 폐슬러지의 건조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각종의 폐슬러지를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건조시켜, 이들 건조된 폐슬러지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폐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슬러지 건조장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중공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연소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연소물 투입부; 및 상기 드럼에 형성된 중공부에 폐슬러지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슬러지 투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폐슬러지가, 회전하는 드럼의 내벽을 따라 교반되면서 타편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상태로 연소되면서 이송되는 연소물로부터 열기를 직접 공급받아 신속히 건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드럼의 양편에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커버가 각각 배치되어, 이 커버에 의해 개방된 드럼의 양편이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각 커버에 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드럼의 중공부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의 타편에 배치된 커버에는, 이송 컨베이어에 연소물을 투입시키는 연소물 공급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건조가 완료된 폐슬러지의 배출경로인 폐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드럼의 일편에 배치된 커버에는 폐슬러지의 투입경로인 투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내벽 측부에는, 드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폐슬러지를 타설하여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로터리부가 형성되어서, 로터리부는 드럼의 내벽에 점착된 폐슬러지를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타설을 통해 자중 낙하시켜, 폐슬러지의 교반과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물에 폐슬러지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는, 외기를 흡기하는 블로워와, 이 블로워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이송 컨베이어의 내부로 강제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 주입부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관을 통해 주입된 외기에 의해 이송벨트에 안착된 연소물의 연소가 촉진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슬러지가 투입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드럼의 중공부 내에, 고형의 연소물을 연소시켜 고온의 열기를 발산하는 연소구조를 수용되게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형의 연소물의 연소에 의해 발산되는 열기가 폐슬러지에 직접 인가되므로, 향상된 열효율에 의한 폐슬러지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열원으로 하고 있는 고형의 연소물은 폐슬러지를 고형화한 것으로, 국가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폐슬러지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또 건조된 폐슬러지를 통해 제조된 고형의 연소물을 통해 폐슬러지를 건조하므로 폐슬러지 처리에 따른 향상된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형의 연소물의 탄화한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폐슬러지와 함께 혼입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 건조된 탄화재의 혼입을 통해 폐슬러지의 함수률이 낮아지고 건조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폐슬러지에 탄화재를 혼입시켜 건조하면 추후 실시되는 고형화를 통한 고형의 연소물의 제조에 있어, 고형화가 손쉽게 구현되는 이점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된 공기 주입부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 로터리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를 통한 폐슬러지의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된 공기 주입부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 로터리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를 통한 폐슬러지의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슬러지 건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20)에 투입되어 일편에서 타편으로 이송되는 폐슬러지(S)에, 연소물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기가 전도 및 복사를 통해 직접 인가되도록 구성하여, 폐슬러지(S)의 신속한 건조가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슬러지 건조장치(1)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폐슬러지를 고온을 가해 찌는 살균장치와, 건조된 폐슬러지를 고형 연소물로 제작하는 고형 연료제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살균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폐슬러지를 건조시켜 고형 연료제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의 가열을 통해 찐 상태로 공급되는 폐슬러지는 찌는 과정에 유기물의 조직들이 연화되어, 본 장치를 통한 건조과정에 고온의 열기가 조직 깊숙히 침투하므로, 유기물의 조직에 함유된 수분이 신속히 증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폐슬러지 건조장치(1)는,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과(10);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중공부(22)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33)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3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상에 연소물을 연속적으로 투입시키는 연소물 투입부(40); 및 상기 드럼(20)의 중공부 일편으로 폐슬러지(S)를 연속적으로 투입시키는 폐슬러지 투입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형 드럼(20)의 내벽에는 내화 모르타르 등으로 이루어진 내화 단열층(21)이 형성되어 드럼(2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중공형 드럼(20)은 지지 프레임(10)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롤러(11)에 안착되어 회동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배치된 각 지지롤러(11)에는 고정홈(11a)이 형성되고, 이 지지롤러(11)에 안착되는 드럼(20)의 외벽에는 고정링(2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롤러(11)에 안착된 드럼(20)은 고정링(24)과 고정홈(11a)의 결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20)은 표면에 형성된 외주기어(23)를 통해 지지 프레임(10)에 고정된 구동부의 구동모터(25)와 체인(25a)을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된 중공형 드럼(20)의 양편에는 지지 프레임(10)에 고정된 커버(12, 13)가 각각 배치되어서, 이들 커버(12, 13)에 의해 개방된 양편이 폐쇄되며, 이 커버(12, 13)에도 드럼(20)과 마찬가지로 내화 단열층이 형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드럼(10)의 일편에 배치된 커버(12)에는, 스팀 가열된 폐슬러지(S)의 투입경로인 폐슬러지 투입부(50)와 폐슬러지(S)의 건조과정 중에 생성된 다량의 증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2a)가 형성되고, 드럼(13)의 타편에 배치된 커버(13)에는 건조가 완료된 폐슬러지(S)가 배출되는 폐슬러지 배출구(13b)와 드럼(20)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한 출입문(13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폐슬러지 투입부(50)를 통해 드럼(20)의 일편으로 투입된 폐슬러지(S)는, 드럼(20)의 회전에 따른 이송 및 자중 낙하를 통한 교반과, 드럼(20)의 일편에서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폐슬러지(S)를 통해 타편으로 밀려 타편에 형성된 폐슬러지 배출구(13b)를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프레임(10)에, 드럼(20)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폐슬러지(S)가 자중에 의해 일편에서 타편으로 흘러내리면서 폐슬러지 배출구(13)를 통해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드럼(20)의 중공부(22)에, 연소물(B)의 지속적인 연소를 통해 고온의 열기를 발산하여, 드럼(20)에 투입된 폐슬러지(S)의 가열을 도모하는 연소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소구조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20)의 중공부(22)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연소물(B)의 연소공간을 확보하는 이송 컨베이어(3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30)에 고형의 연소물(B)을 지속적으로 투입시키는 연소물 투입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30)를 구성하는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은, 양단이 각 커버(12, 13)에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이송 컨베이어(30)는 드럼(20)의 중공부(22)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중공부(22)에 수용되며, 상기 커버(12, 13)를 관통한 이송 컨베이어(30)의 구동축(31)의 단부에는 이송모터(31a)가 연결되어, 이송벨트(33)의 일방향 이송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물 투입부(40)는 드럼(20)의 타편에 배치된 커버(13)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고형의 연소물(B)을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에 넓게 전개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물 투입부(40)에 개폐량을 제어하는 밸브구조(41)가 형성되어, 개폐구조(미도시)를 통한 개폐량의 조절을 통해 연소물(B)의 투입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30)를 구성하는 이송벨트(33)는 내화성 재질로 구성되어, 연소물 투입부(40)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물(B)은 일방향으로 저속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에 안착된 상태에서 착화 및 연소되면서 타편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형의 연소물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이송 컨베이어의 일편으로 배출되어 하부에 투입되는 폐슬러지와 혼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20)의 일편으로 투입되는 폐슬러지(S)는, 함수률이 낮으며 다량의 열량을 갖는 탄화재(B')과의 혼입에 의해 함수률이 감소되고, 또 가열에 의해 수분의 신속한 증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소구조를 형성하는 이송 컨베이어(30)에 공기를 강제 공급하는 공기 주입부(70)를 형성하여, 이송벨트(33)에 안치되어 연소되는 연소물(B)이 외부에서 강제 유입되는 공기(A)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연소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주입부(70)는 외기를 흡기하는 블로워(71)와, 이송 컨베이어(30) 내로 블로워(7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공기 주입관(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를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망상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벽에 복수의 분출구(72a)가 형성된 공기 주입관(72)을 이송 컨베이어(30)의 양측에 배치하여, 단일 블로워(7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한 쌍의 공기 주입관(72)을 통해 분배된 상태로 이송 컨베이어(30) 내로 주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30)는 연소물(B)이 안치되는 상부면을 제외한 바닥면 및 측면은 차폐판(34) 및 공기 주입관(72)을 통해 밀폐되어서, 상기 공기 주입관(72)을 통해 주입된 공기(A)는, 상부에 배치된 이송벨트(33)를 투과하여 이송벨트(33)에서 연소되는 연소물(B)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71)의 흡기구에, 커버(12)에 형성된 배기구(12a)를 연결하여, 배기구(12a)를 통해 드럼(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열기가 블로워(71) 및 공기 주입관(72)을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재회수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구(12a)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한편, 상기 드럼(20)에 투입되는 폐슬러지(S)는, 다량의 수분에 의해 점도가 높은 반죽상태를 형성하므로, 이 폐슬러지(S)는 높은 점도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20)의 내벽에 달라붙어 타편으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거나, 드럼(20)의 회전과정 중에 내벽에 달라붙은 폐슬러지 덩어리가 연소물(B)의 연소공간인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에 떨어져 연소물(B)의 연소를 방해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내벽에, 드럼(10)의 내벽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드럼(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폐슬러지(S)를 타설하는 하나 이상의 로터리부(60)를 배치하여, 반죽상태의 폐슬러지(S)가 분쇄 및 교반되어 수분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로터리부(60)는 복수의 날(61a)이 형성된 로터리축(61)과, 외부로 인출된 로터리축(61)과 연결되어 이 로터리축(6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축(61)에 형성된 날(61a)은, 절곡형의 로터리날, 또는 나선으로 권취된 스크루 날 등이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날들은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타설되는 폐슬러지의 타편으로의 이송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리부(60)를 이송 컨베이어(30)의 측부 일지점에 배치하여, 드럼(20)의 내벽에 점착된 폐슬러지(S)가 이송 컨베이어(30)의 상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분쇄되어 자중 낙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폐슬러지 건조장치(1)에 있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초 연소물 투입부(40)를 통해 공급된 연소물(B)이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를 따라 일편으로 이송되면서, 착화 및 연소를 통해 드럼(20)의 중공부(22) 내로 고온의 열기를 발산한다.
이때, 연소물(B)이 연소되는 이송벨트(33)에는 블로워(71)를 통해 흡기되어 공기 주입관(7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A), 및 배기구(12a)를 통해 배출된 고온의 열기가 공급되므로, 이송벨트(33)에 공급된 연소물(B)의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폐슬러지 투입부(50)는 드럼(20)의 내부로 가열 처리된 폐슬러지(S)를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이 폐슬러지(S)는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인가받아 가열 및 건조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이송 컨베이어(30)의 이송벨트(33)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연소물(B)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탄화재(B')는 드럼(20)의 내벽을 따라 타편으로 이송되는 폐슬러지(S)로 유입되며, 이러한 탄화재(B')의 혼입에 의해 폐슬러지(S)의 함수률이 감소되는 한편, 온도 상승을 통한 신속한 건조가 이룩된다.
그리고, 드럼(20)의 내벽에 밀착되게 배치된 로터리부(60)는 회전하면서, 드럼(20)의 내벽에 점착된 폐슬러지(S)를 이송 컨베이어(30)의 상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타설하여 자중 낙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로터리부(60)를 통한 폐슬러지(S)의 타설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30)의 상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물(B)에 폐슬러지가 떨어져 혼합되는 현상이 억제되고, 또 폐슬러지(S)의 교반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소물(B)의 안정적인 연소와 폐슬러지(S)의 교반에 의해 폐슬러지(S)의 신속한 건조가 도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조가 완료된 폐슬러지(S)는, 일편에서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폐슬러지(S)에 밀려 이동하면서 자중에 의해 타편에 형성된 폐슬러지 배출구(13b)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폐슬러지 배출구(13b)를 통해 배출된 건조상태의 폐슬러지(S)는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하여 있는 관계로 추후 고형 연료제조장치에 공급되어서 고형의 연소물로 가공 및 재활용된다.
1. 폐슬러지 건조장치
10. 지지 프레임 11. 지지롤러
11a. 고정홈 12. 커버
12a. 배기구 13. 커버
13a. 출입문 13b. 폐슬러지 배출구
20. 드럼 21. 내화 단열층
22. 중공부 23. 외주기어
24. 고정링 25. 구동모터
25a. 체인
30. 이송 컨베이어 31. 구동축
31a. 이송모터 32. 종동축
33. 이송벨트 34. 차폐판
40. 연소물 투입부 50. 폐슬러지 투입부
60. 로터리부 61. 로터리축
61a. 날 62. 회전모터
70. 공기 주입부
71. 블로워 72. 공기 주입관
72a. 분출구
S. 슬러지 B. 연소물
B'. 탄화재 A. 공기

Claims (7)

  1. 삭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중공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연소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연소물 투입부; 및 상기 드럼에 형성된 중공부에 폐슬러지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슬러지 투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폐슬러지가, 회전하는 드럼의 내벽을 따라 교반되면서 타편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상태로 연소되면서 이송되는 연소물로부터 열기를 직접 공급받아 신속히 건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드럼의 양편에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커버가 각각 배치되어, 이 커버에 의해 개방된 드럼의 양편이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각 커버에 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드럼의 중공부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타편에 배치된 커버에는, 이송 컨베이어에 연소물을 투입시키는 연소물 투입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건조가 완료된 폐슬러지의 배출경로인 폐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드럼의 일편에 배치된 커버에는 폐슬러지의 투입경로인 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4.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중공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연소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연소물 투입부; 및 상기 드럼에 형성된 중공부에 폐슬러지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슬러지 투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폐슬러지가, 회전하는 드럼의 내벽을 따라 교반되면서 타편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상태로 연소되면서 이송되는 연소물로부터 열기를 직접 공급받아 신속히 건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드럼의 내벽 측부에는, 드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폐슬러지를 타설하여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로터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로터리부가 드럼의 내벽에 점착된 폐슬러지를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타설을 통해 자중 낙하시킴으로써, 폐슬러지의 교반과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물에 폐슬러지의 혼합 방지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5.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중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중공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연소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연소물 투입부; 및 상기 드럼에 형성된 중공부에 폐슬러지를 투입시키기 위한 폐슬러지 투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폐슬러지가, 회전하는 드럼의 내벽을 따라 교반되면서 타편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이송벨트에 안착된 상태로 연소되면서 이송되는 연소물로부터 열기를 직접 공급받아 신속히 건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는, 외기를 흡기하는 블로워와, 이 블로워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이송 컨베이어의 내부로 강제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 주입부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관을 통해 주입된 외기에 의해 이송벨트에 안착된 연소물의 연소가 촉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6. 제 2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벽에는 복수의 위치 고정링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고정홈을 갖는 지지롤러가 배치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롤러에 안치시키면, 상기 드럼의 고정링은 지지롤러의 고정홈에 진입되어서, 드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7. 제 2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물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어 이송 컨베이어의 일편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탄화재가, 폐슬러지 투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폐슬러지에 혼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00059159A 2010-06-22 2010-06-22 폐슬러지 건조장치 KR10116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59A KR101168967B1 (ko) 2010-06-22 2010-06-22 폐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59A KR101168967B1 (ko) 2010-06-22 2010-06-22 폐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57A KR20110138957A (ko) 2011-12-28
KR101168967B1 true KR101168967B1 (ko) 2012-07-26

Family

ID=4550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159A KR101168967B1 (ko) 2010-06-22 2010-06-22 폐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4280B (zh) * 2013-12-05 2015-07-01 重庆市酉阳县酉好化肥有限公司 防粘壁转筒烘干机
CN103604281B (zh) * 2013-12-05 2015-08-19 重庆市酉阳县酉好化肥有限公司 转筒烘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682B1 (ko) 1998-07-14 2001-03-02 조정래 열풍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682B1 (ko) 1998-07-14 2001-03-02 조정래 열풍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57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558B2 (en) Apparatu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organics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JP2003287371A (ja) 螺旋軸流式熱風乾燥機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20170029992A (ko) 로터리형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JP2007105605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101168967B1 (ko) 폐슬러지 건조장치
JP2005238120A (ja) 減圧乾燥/炭化装置
JP200017639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JP3539557B2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設備
KR20140003135A (ko)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070113343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20005918A (ko)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상 건조대상물건조장치
KR20130081441A (ko) 유·무기성 함수폐기물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건조장치
JP2003268378A (ja) 廃棄物連続炭化装置
KR100378925B1 (ko) 유동층 건조기
JP2002003853A (ja) 炭化装置
KR101107277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탈수장치
JP3217264B2 (ja) 蓄糞等の燃焼装置
KR200200354Y1 (ko) 가축(家畜) 분(糞) 건조장치
KR100465151B1 (ko) 연속식 유기물 탄화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