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990B1 -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990B1
KR101167990B1 KR1020050094336A KR20050094336A KR101167990B1 KR 101167990 B1 KR101167990 B1 KR 101167990B1 KR 1020050094336 A KR1020050094336 A KR 1020050094336A KR 20050094336 A KR20050094336 A KR 20050094336A KR 101167990 B1 KR101167990 B1 KR 10116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i
conductive polymer
platinum
fuel cell
electro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239A (ko
Inventor
최동웅
이동활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5009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9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및 b) 상기 나노화이버에 담지되는 백금(Pt)함유 활성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활성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활성 물질은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에 균일하고 미세한 백금함유 활성금속 나노입자가 담지되어 전기 활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면서도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연료전지의 전극촉매로 사용할 경우 연료전지에서의 전극 두께 감소, 반응영역 증대에 의한 전기활성 증대, 및 동일 활성 대비 백금 사용량 감소의 효과가 있다.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전기활성물질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ELECTRICALLY ACTIVE MATERIALS USING NANO-FIBER OF CONDUCTIVE 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DE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Pt/PANI-NF의 형태를 FE-SEM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닐린 나노 화이버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Pt/PANI-NF의 SEM-EDX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Pt-Ru/PANI-NF의 SEM-EDX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6에 따른 Pt/PANI-NF의 XRD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7의 전기 활성 물질에 대한 단위무게당 전류밀도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 비교예 4, 및 비교예 8의 전기 활성 물질에 대한 단위무게당 전류밀도 측정 결과이다.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응영역 증대에 의한 전기활성 증대, 및 동일 활성 대비 백금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나노 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최근 전자 정보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전도성 소재의 응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전자기 차폐제, 인디윰틴옥사이드(ITO) 대체 소재, 탄소섬유 대체재, 자성기록재, 광학 저장재, 유기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 LED), 리튬 배터리의 양극재, 및 광투과 전도성 소재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전도성 고분자를 나노 입자로 제조하면, 나노 크기에 따른 특성에 의하여 벌크상의 소재에 비하여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기적 성질들에 있어서 탁월한 물성을 나타내며, 이와 같은 새로운 특성은 양자 크기 효과(Quantum size effect)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 중 하나인 폴리아닐린은 산성 용액에서 아닐린 단 량체의 산화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검정색 고분자 물질로서, 아닐린 블랙(aniline black)이라고도 불리며, 1980년대 중반에 양성자산을 폴리아닐린에 도핑하면 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 전도성 고분자로서 큰 관심을 끌게 되었다. 또한 폴리아닐린은 합성 및 유도체를 만들기 쉽고, 대기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나노 화이버 상태로 합성한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전기적 활성이 향상된 전기 활성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전기 활성 물질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및 b) 상기 나노화이버에 담지되는 백금(Pt)함유 활성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활성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활성 물질의 상기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폴리피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 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도성 고분자에 활성 물질을 담지시키는 방법으로는 ⅰ) 전기화학법 및 ⅱ) 화학법 등이 있다.
먼저, ⅰ) 전기화학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황산용액 하에서 아닐린 단량체의 전기적 중합방법으로 폴리아닐린을 합성한 후, 제조된 폴리아닐린을 작업전극으로 사용하여 백금 수용액 상에서 전기적으로 백금을 환원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전기화학법은 폴리아닐린에 적은 양의 백금을 고르게 담지시킬 수는 있으나, 대량 생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ⅱ) 화학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특허 제 6,730,35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국특허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피롤을 지지체로 사용한 것으로, 지지체와 금속간의 공유결합으로 금속입자를 전도성 고분자 표면에 분포시킨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에 사용되는 공유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아닐린은 벌크상의 무정형(無定形: 본 발명에서 무정형이라함은 화이버 형태가 아닌 벌크상을 의미한다.)이므로 기하학적 구조상 금속입자가 20 중량% 미만으로 담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기 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활성금속 입자의 담지량을 높이고, 동일 활성 대비 활성금속 입자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나노화이버 상의 전도성 고분자 및 활성금속 나노입자를 사용한 전기 활성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활성 물질은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및 b) 상기 나노 화이버에 담지되는 백금(Pt) 함유 활성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백금(Pt)이 활성 물질로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예로는 암모니아를 산화시켜 질산을 합성하는 '오스트 발트법'을 들 수 있으며, 현재 질산은 대부분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다.
최근 백금은 연료전지의 전극물질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연료전지 중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메탄올은 백금표면에서만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이 진행된다. 음극에서 메탄올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생성된 수소이온과 전자는 전해질과 외부회로를 통하여 양극으로 이동한다. 양극으로 이동한 수소이온은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에 이용되어 물을 생성하며, 두 전극의 기전력 차만큼의 전압이 형성된다. 양극과 음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음극 : CH3OH + H2O → CO2 + 6H+ + 6e- Ea = 0.04 V
양극 : 3/2 O2 + 6H+ + 6e- → 3H2O Ec = 1.23 V
전체반응 : CH3OH + 3/2 O2 →CO2 + 2H2O Ecell = 1.19 V
본 발명의 전기 활성 물질에 사용되는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는 전기적 성질 중 하나인 전기용량(capacitance)이 벌크상의 무정형(無定形) 폴리아닐린 (33F/g)에 비해 4배 정도(122F/g) 큰 값을 갖는 것으로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활성금속 담지시 자체적으로 콜로이드 안정제로 작용하여 나노 크기의 활성 금속이 전도성 고분자 화이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활성 물질에 사용되는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폴리피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노화이버의 평균직경이 20 내지 5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활성 물질에 사용되는 b) 활성금속 나노입자는 상기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에 담지되는 것으로서, 백금(Pt), 백금(Pt)-금속(M) 합금, 및 금속(M)으로 도핑된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활성금속 나노입자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M)은 백금(Pt)의 전기적 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Ru, Sn, W, Mo, Fe, V, Mn, Co, Cr, Ni, Pd, Rh, 및 I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백금(Pt)과 금속(M) 성분간의 원자비는 9:1 내지 1:9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활성금속 나노입자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6.0 nm 인 것이 바람직하며, 1.2 내지 5.8 nm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대 b) 활성금속 나노입자의 중량비는 95:5 내지 10:90인 것이 바람직하며, 80:20 내지 20: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으로서,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에 활성금속 나노입자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환원제로 환원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결과물을 정제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단계에 사용되는 활성금속 나노입자 전구체로는 백금(Pt), 백금(Pt)-금속(M) 합금, 또는 금속(M)으로 도핑된 백금(Pt)의 염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염화루테늄(RuCl3ㆍ3H2O), 염화몰리브텐(MoCl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의 환원제는 수소화붕소나트륨, 히드라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은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사용된 폴리아닐린 나노화이버(PANI-NF)는 국내 공개특허 2004-0082829호가 제시한‘초저온 마이크로에멀젼 중합을 이 용한 고전도성 막대형 폴리아닐린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합성한 것을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며, 그 제조과정은 하기와 같다.
폴리아닐린 나노화이버 합성
반응용기에 증류수 400㎖ 및 에탄올 200㎖를 혼합한 용매와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롬 5.0g을 첨가하고, 반응온도를 영하 20℃로 유지시키면서 약 20분 동안 교반하여 마이셀을 형성시킨 후, 10g의 아닐린 단량체를 천천히 적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산화제인 암모늄퍼설페이트 11.25g을 4M 염산 60㎖에 녹인 용액을 상기 반응용기에 첨가하고, 반응온도를 영하 20℃로 유지시키면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닐린 단량체를 중합하였다. 이어서 탈염수로 정제하고 건조하여 평균직경이 20 내지 60nm 정도인 폴리아닐린 나노화이버를 합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합성한 폴리아닐린 나노화이버를 적외선 분광법(FT-IR)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방법으로 전기 활성 물질을 합성하였고, SEM-EDX 및 XRD를 사용하여 담지된 금속의 함량과 금속입자 크기를 측정하였고, 고배율 전자현미경(FE-SEM)을 사용하여 전기 활성 물질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Pt 함량 60 중량%인 Pt/ PANI - NF 합성
반응용기에 PANI-NF(0.253g)와 탈염수에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99%) 1.0g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나트륨을 탈염수에 녹인 용액을 상기 반응용기에 적가하여 12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그 후 탈염수로 정제하고, 이어서 8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Pt 함량 60 중량%인 Pt/PANI-NF를 제조하였다.(수득율 96%)
실시예 1에 따른 Pt/PANI-NF에 대하여 FE-SEM으로 형태를 확인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고, SEM-EXD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Pt 함량 60 중량%인 Pt/ PANI - NF 합성
반응용기에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99%) 1.0g과 에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PANI-NF(0.253g)을 첨가하여 반응온도를 160℃로 유지시키면서 약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물과 용액을 분리하고, 침전물을 탈염수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반응 부산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8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Pt 함량 60 중량%인Pt/PANI-NF를 제조하였다.(수득율 96%)
실시예 3: Pt 함량 60 중량%인 Pt/ PANI - NF 합성
환원제로 수소화붕소나트륨 대신 히드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60 중량%인 Pt/PANI-NF을 합성하였다.(수득율 95%)
실시예 4: Pt 함량 20 중량%인 Pt/ PANI - NF 합성
PANI-NF 0.253g 대신 1.5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20 중량%인 Pt/PANI-NF를 합성하였다.(수득율 97%)
실시예 5: Pt 함량 80 중량%인 Pt/ PANI - NF 합성
PANI-NF 0.253g 대신 0.09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80 중량%인 Pt/PANI-NF를 합성하였다.(수득율 95%)
실시예 6: Pt- Ru 함량 60 중량%인 Pt- Ru / PANI - NF 합성
반응용기에 PANI-NF(0.38g)와 탈염수에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99%) 1.0g과 염화루테늄(RuCl3ㆍ3H2O, 98%) 0.49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나트륨을 탈염수에 녹인 용액을 상기 반응용기에 적가하여 12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그 후 탈염수로 정제하고, 이어서 8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Pt-Ru 함량 60 중량%인 Pt-Ru/PANI-NF를 제조하였다.(수득율 97%) 실시예 6에 따른 Pt-Ru/PANI-NF에 대하여 SEM-EXD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Pt- Ru 함량 60 중량%인 Pt- Ru / PANI - NF 합성
반응용기에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99%) 1.0g, 염화루테늄(RuCl3ㆍ3H2O, 98%) 0.49g, 및 에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Pt/PANI-NF(0.253g)을 첨가하여 반응온도를 160℃로 유지시키면서 약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물과 용액을 분리하고, 침전물을 탈염수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반응 부산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8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Pt-Ru 함량 60 중량%인 Pt-Ru/PANI-NF를 제조하였다.(수득율 96%)
실시예 8: Pt- Ru 함량 60 중량%인 Pt- Ru / PANI - NF 합성
환원제로 수소화붕소나트륨 대신 히드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60 중량%인 Pt-Ru/PANI-NF을 합성하였다.(수득율 95%)
실시예 9: Pt- Ru 함량 20 중량%인 Pt- Ru / PANI - NF 합성
PANI-NF 0.38g 대신 2.28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20 중량%인 Pt-Ru/PANI-NF를 합성하였다.(수득율 97%)
실시예 10: Pt- Ru 함량 80 중량%인 Pt- Ru / PANI - NF 합성
PANI-NF 0.38g 대신 0.14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80 중량%인 Pt-Ru/PANI-NF를 합성하였다.(수득율 95%)
실시예 11: Pt- Ru - Mo 함량 60 중량%인 Pt- Ru - Mo / PANI - NF 합성
반응용기에 PANI-NF(0.38g)와 탈염수에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염화백금산(H2PtCl6ㆍ6H2O, 99%) 1.0g과 염화루테늄(RuCl3ㆍ3H2O, 98%) 0.41g, 염화몰리브텐(MoCl5, 99%) 0.11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나트륨을 탈염수에 녹인 용액을 상기 반응용기에 적가하여 12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그 후 탈염수로 정제하고, 이어서 8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Pt-Ru-Mo 함량 60 중량%인 Pt-Ru-Mo/PANI-NF를 제조하였다.(수득율 96%)
비교예 1: Pt 함량 60 중량%인 Pt/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Sigma-Aldrich사, Polyaniline (emeraldine bas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60 중량%인 Pt/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2: Pt 함량 20 중량%인 Pt/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20 중량%인 Pt/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3: Pt 함량 80 중량%인 Pt/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Pt 함량 80 중량%인 Pt/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4: Pt- Ru 함량 60 중량%인 Pt- Ru /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60 중량%인 Pt-Ru/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5: Pt- Ru 함량 20 중량%인 Pt- Ru /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20 중량%인 Pt-Ru/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6: Pt- Ru 함량 80 중량%인 Pt- Ru / PANI 합성
PANI-NF 대신 무정형 폴리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Pt-Ru 함량 60 중량%인 Pt-Ru/PANI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7: Pt/C (Johnson Matthey )
탄소 지지체에 백금이 60 중량% 담지된 Pt/C(Johnson Matthey) 상용촉매이다.
비교예 8: Pt- Ru /C (Johnson Matthey )
탄소 지지체에 백금-루테늄이 60 중량% 담지된 Pt-Ru/C(Johnson Matthey) 상용촉매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활성 물질에 대한 XRD 패턴에서 백금(220) 피크와 백금-루테늄(220) 피크의 너비를 이용하여 Scherrer식으로 계산한 결과와 EDX 원소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촉 매 명
활성금속
담지량
(중량%)
활성금속
입자크기
(nm)
Pt:Ru:TM
(atomic ratio)
수득률
(%)
평균
직경
(nm)
실시예 1 Pt / PANI-NF 60 2.1 - 96 35
실시예 2 Pt / PANI-NF 60 1.5 - 96 38
실시예 3 Pt / PANI-NF 60 4.7 - 95 35
실시예 4 Pt / PANI-NF 20 2.0 - 97 40
실시예 5 Pt / PANI-NF 80 3.5 - 95 40
실시예 6 Pt-Ru / PANI-NF 60 1.4 1:1 97 35
실시예 7 Pt-Ru / PANI-NF 60 1.2 1:1 96 35
실시예 8 Pt-Ru / PANI-NF 60 2.4 1:1 95 37
실시예 9 Pt-Ru / PANI-NF 20 1.5 1:1 97 37
실시예 10 Pt-Ru / PANI-NF 80 3.2 1:1 95 40
실시예 11 Pt-Ru-Mo / PANI-NF 60 1.5 5:4:1 96 40
비교예 1 Pt / PANI 60 2.5 - 95 -
비교예 2 Pt / PANI 20 2.3 - 96 -
비교예 3 Pt / PANI 80 4.5 - 93 -
비교예 4 Pt-Ru / PANI 60 1.9 1:1 95 -
비교예 5 Pt-Ru / PANI 20 1.8 1:1 97 -
비교예 6 Pt-Ru / PANI 80 3.4 1:1 94 -
비교예 7 Pt / C
(Johnson Matthey)
60 4.9 - - -
비교예 8 Pt-Ru / C
(Johnson Matthey)
60 2.6 1:1 - -
[ 실험예 ]
전기적 활성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위무게당 전류밀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기 활성 물질 16mg, 10 중량% 나피온(Nafion) 용액 0.5㎖, 및 3차 증류수 20㎖를 혼합하여 촉매 슬러리를 제조한 후, 2mm 원형 GC electrode에 상기 제조된 촉매 슬러리를 3㎕ 도포하였다. 반쪽 전지 전극의 성능 평가는 0.2M 메탄올 및 0.1M 황산 수용액의 혼합용액에서 3전극 시스템(Reference Electrode: Ag, AgCl/KCl(sat'd), Counter Electrode: Platinum, gauze, 100mesh, 99.9%, Working Electrode: GC Electrode)으로 25℃에서 수행하였으며, 이때 주사속도는 20㎷/sec였다.
도 6에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7의 전기 활성 물질에 대한 전류밀도 비교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 7에 실시예 6, 비교예 4 및 비교예 8의 전기 활성 물질에 대한 전류밀도 비교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단위 무게당 전류 밀도(Specific current, Ad/g)의 피크전위 값을 나타내었다.

구 분

촉 매 명
단위무게당
전류 밀도
(Ad/g)
실시예 1 60 중량% Pt / PANI-NF 345
실시예 4 20 중량% Pt / PANI-NF 306
실시예 5 80 중량% Pt / PANI-NF 308
실시예 6 60 중량% Pt-Ru / PANI-NF 496
실시예 9 20 중량% Pt-Ru / PANI-NF 437
실시예 10 80 중량% Pt-Ru / PANI-NF 444
비교예 1 60 중량% Pt / PANI 202
비교예 4 60 중량% Pt-Ru / PANI 138
비교예 7 60 중량% Pt / C (Johnson Matthey) 237
비교예 8 60 중량% Pt-Ru / C (Johnson Matthey) 8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금 입자가 60 중량% 담지된 실시예 1은 백금 입자 담지량이 동일한 비교예 1(무정형 폴리아닐린) 및 비교예 7(상용촉매)에 비해 단위무게당 전류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백금-루테늄 입자가 60 중량% 담지된 실시예 6은 백금-루테륨 입자 담지량이 동일한 비교예 4(무정형 폴리아닐린) 및 비교예 8(상용촉매)에 비해 단위무게당 전류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활성 물질은 비교예들에 비하여 전기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활성 물질은 나노화이버 상의 전도성 고분자에, 미세한 활성금속 나노입자를 넓은 영역에 균일하게 담지시킴으로써 전기 활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면서도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기 활성 물질을 연료전지의 전극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연료전지에서의 전극 두께 감소, 반응영역 증대에 의한 전기활성 증대, 및 동일 활성 대비 백금 사용량 감소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 및
    b) 상기 나노화이버에 담지되는 백금(Pt)함유 활성금속 나노입자
    를 포함하는 전기 활성 물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폴리피롤(polypyrr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전기 활성 물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금속 나노입자는 백금(Pt), 백금(Pt)-금속(M) 합금, 및 금속(M)으로 도핑된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금속(M)은 Ru, Sn, W, Mo, Fe, V, Mn, Co, Cr, Ni, Pd, Rh, 및 I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전기 활성 물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금속 나노입자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6.0 nm인 것인 전기 활성 물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화이버 대 활성금속 나노입자의 중량비가 95:5 내지 10:90인 것인 전기 활성 물질.
  6. a)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에 활성금속 나노입자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환원제로 환원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결과물을 정제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은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KR1020050094336A 2005-10-07 2005-10-07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KR10116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36A KR101167990B1 (ko) 2005-10-07 2005-10-07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336A KR101167990B1 (ko) 2005-10-07 2005-10-07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39A KR20070039239A (ko) 2007-04-11
KR101167990B1 true KR101167990B1 (ko) 2012-07-23

Family

ID=3816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336A KR101167990B1 (ko) 2005-10-07 2005-10-07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48B1 (ko) 2013-10-01 2015-08-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도성 고분자 층 내에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있는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08B1 (ko) * 2006-12-20 2008-05-30 한국화학연구원 전도성 고분자에 담지된 금속 촉매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KR101231006B1 (ko) 2010-11-26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보호코팅을 이용한 합금 촉매의 제조방법
KR101402851B1 (ko) * 2013-07-11 2014-06-02 광주과학기술원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을 포함하는 전도성 네트워크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382B1 (ko) * 2015-03-11 2016-12-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7275A (ja) 1997-12-19 2001-12-25 モル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チオン重合体及び電気活性重合硫化物複合体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複合陰極
JP2002532854A (ja) 1998-12-17 2002-10-02 モル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カソード活性層中に高容量密度の電気活性硫黄含有物質を有する電気化学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7275A (ja) 1997-12-19 2001-12-25 モル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チオン重合体及び電気活性重合硫化物複合体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複合陰極
JP2002532854A (ja) 1998-12-17 2002-10-02 モル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カソード活性層中に高容量密度の電気活性硫黄含有物質を有する電気化学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48B1 (ko) 2013-10-01 2015-08-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도성 고분자 층 내에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있는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39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N-doped graphene-supported binary PdBi networks for formic acid oxidation
Choi et al. Highly dispersed Pt nanoparticles on nitrogen-doped magnetic carbon nanoparticles and their enhanced activity for methanol oxidation
KR101113632B1 (ko) 탄소에 담지된 전이금속 나노입자 촉매의 제조방법
KR101113311B1 (ko) 금속 산화물 나노선을 함유하는 혼합 촉매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혼합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및 연료전지
JP5209474B2 (ja) 電極触媒、電極触媒の製造方法及び触媒粒子の粗大化を抑制する方法
Prodromidis et al. Preorganized composite material of polyaniline–palladium nanoparticles with high electrocatalytic activity to methanol and ethanol oxidation
KR20080067554A (ko) 백금/루테늄 합금 담지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전지
KR101167990B1 (ko) 전도성 고분자 나노화이버를 이용한 전기 활성 물질,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JP2008183508A (ja) 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61066A1 (en) Method for making carbon nanotube-loaded electrode, carbon nanotube-loaded electrode made by the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178482B1 (ko) 연료전지용 촉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연료전지용 촉매
Rahmani et al. Excellent electro-oxidation of methanol and ethanol in alkaline media: Electrodeposition of the NiMoP metallic nano-particles on/in the ERGO layers/CE
Tsiouvaras et al. CO tolerant PtRu–MoOx nanoparticles supported on carbon nanofiber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Raoof et al. Preparation of Pt/poly (2-Methoxyanili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and its application for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methanol
Li et al. Ionic liquids-noncovalently 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decorated with palladium nanoparticles: A promising electrocatalyst for ethanol electrooxidation
Prasanna et al. Development of non-covalent ternary polymer–CNT composites as a novel supporting material for electrooxidation of glycerol
Han et al. Highly stable and active Pt electrocatalysts on TiO2-Co3O4-C composite support for 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WO2020059503A1 (ja) 燃料電池用アノード触媒層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Mao et al. Facile preparation of Cu@ Pt/rGO hybrids and their electrocatalytic activities for methanol oxidation
JP2004359724A (ja) 貴金属系触媒担持導電性高分子複合体の製造方法
JP5252776B2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Kumar et al. Electro-oxidation of formic acid on composites from polycarbazole and WO3
Roodbar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O-PpPDA/Ni–Mn nanocomposite as a novel catalyst for methanol electrooxidation
CN112714972A (zh) 燃料电池用阳极催化剂层和使用该催化剂层的燃料电池
JP2016083618A (ja) 金属が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に担持されてなるカーボン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