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957B1 -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 Google Patents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957B1
KR101167957B1 KR1020120005725A KR20120005725A KR101167957B1 KR 101167957 B1 KR101167957 B1 KR 101167957B1 KR 1020120005725 A KR1020120005725 A KR 1020120005725A KR 20120005725 A KR20120005725 A KR 20120005725A KR 101167957 B1 KR101167957 B1 KR 10116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lastic string
cutout
support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0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목, 발, 허리 등을 감싸 압박하여 고정하는 환부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부의 형상과 상응한 지지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지지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함께 환부를 감싸는 바디를 마련하며, 상기 바디를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감싼 환부를 압박하거나 압박 해제하기 위한 탄성스트링 및 이의 와인딩/언와인딩 동작용 조절유닛을 마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바디에 탈부착되게 하면서 상기 조절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 시 안정적 동작을 유도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유닛을 마련함으로써, 환부 압박 정도를 단순한 조작만으로 쉽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지지플레이트를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SUPPORT UNIT FOR AFFECTED AREA}
본 발명은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단순한 조작만으로 환부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지지플레이트로 교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에 관한 기술이다.
환부 지지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5-0080446호(2005.08.12.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그물형 허리보호대』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허리보호대의 피복은 그물눈이 크고 작은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그물눈의 크기가 다른 제 1그물형 피복과 제 2그물형 피복은 세로힘줄에 의해서 연결되며, 허리보호대의 테두리는 두텁고 단단하게 이루어져서 허리보호대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허리보호대의 피복과 테두리는 합성섬유와 식물성 섬유로 만들어지게 하고, 허리보호대의 양쪽면이 그물형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허리보호대의 어느 쪽으로도 착용이 가능하고, 방식이 다른 각지지대가 허리보호대의 직립을 유지하여 허리와 등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세가지 수단로 구성되게 하고, 저주파 치료기를 부착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허리보호대 양단부를 상호 탈부착 되게 하여 허리 부위를 압박하는 형태로 감싸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매번 양단부 부착 위치가 동일할 수가 없고, 겉옷이나 속옷 등의 피복류에 의해 더욱더 부착 위치가 변경되며, 착용 후 식사 등에 의해 복부가 팽만되거나 공복에 의해 축소되는 경우 양단부를 상호 분리한 후 다시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은 보호 대상인 환부가 허리에 한정되어 있고, 사람의 경우 남성, 여성, 노인 등 각기 허리 부위의 곡선 형태나 고정되어야 할 척추 부위, 지지할 면적 등이 상이한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어 이에 맞게 적용시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나 허리를 지지하는 부위의 크기나 면적 등이 정해져 있어 그 적용 범위가 국한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환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유닛에 의해 바디 양단부를 조이게 됨으로써, 환부에 대한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환부와 접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환부와 상응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고, 이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의 절개부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에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지지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환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환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유닛에 의해 탄성스트링을 감거나 푸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환부에 대한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는,
내부 공간부 및 이와 연결된 상하 절개부를 갖고, 환부를 감싸게 되는 밴드형 가요성(可撓性) 바디;
상기 바디의 절개부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되되,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兩端部) 각각을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탄성스트링;
상기 탄성스트링이 배열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상기 탄성스트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링장착수단;
상기 바디에서 상기 탄성스트링의 배열 라인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트링을 감거나 풀기 위한 조절유닛;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에 개재되는 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바디의 절개부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홀딩수단; 및
상기 바디의 절개부 타단부(他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이 감길 시 상기 바디의 절개부 타단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연결하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는,
내부 공간부 및 이와 연결된 상하 절개부를 갖고, 환부를 감싸게 되는 밴드형 가요성 바디;
상기 바디의 절개부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되되,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兩端部) 각각을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탄성스트링;
상기 탄성스트링이 배열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상기 탄성스트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링장착수단;
상기 바디에서 상기 탄성스트링의 배열 라인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트링을 감거나 풀기 위한 조절유닛;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에 개재되는 환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이 감길 시 상기 바디의 절개부 양단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게 연결하는 두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는,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단순한 조작만으로 환부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지지플레이트로 교체 착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신체의 목, 발,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를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를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3은 가이드유닛에서 다른 예의 결합부재와 활주부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분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를 나타낸 평단면 및 정면 결합 구성도,
도 5는 허리용 환부 지지대 사용상태도,
도 6은 다리용 환부 지지대 사용상태도,
도 7은 목 부위용 환부 지지대 사용상태도,
도 8은 팔 부위용 환부 지지대 사용상태도,
도 9은 일 예의 전환수단을 갖는 조절유닛을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10는 도 9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작동 상태 단면 및 평면 구성도,
도 13은 다른 예의 전환수단을 갖는 조절유닛을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3의 작동 상태 단면 및 평면 구성도,
도 17은 다른 예의 전환수단에서 탄성스프링 고정 구조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8은 변형예의 조절유닛을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결합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는,
크게 바디(100), 탄성스트링(200), 스트링장착수단(300), 조절유닛(400), 지지플레이트(500), 홀딩수단(600) 및 가이드유닛(700)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는,
크게 바디(100), 탄성스트링(200), 스트링장착수단(300), 조절유닛(400), 지지플레이트(500) 및 두 가이드유닛(70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 공통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바디(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를 감싸기 위한 내부 공간부(101), 그리고
상기 공간부(101)와 연결되는 상하 절개부(102)
를 포함하는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환부'로는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과 같이 손상된 팔이나 다리, 목, 허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도록 섬유재질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는 환자의 환부를 감싸기 위하여 환부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이, 허리 부위의 척추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다리 부위의 뼈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목 부위의 뼈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팔 부위의 뼈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바디(100)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삽입부를 더 마련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손목이나 손등 부위를 감싸도록 구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또한 상기 바디(100)와 함께 환부를 감싸게 되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접하게 되는 환부의 형태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트링(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되되,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兩端部) 각각을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링장착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배열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에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배열 라인을 따라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장착되며 탄성스트링(200)이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 유통홀(301a)을 갖는 다수의 스트링장착부재(301)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배열 라인 중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에서 타단부,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꺾이게 되는 위치에 상기 스트링장착부재(301)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배열 라인'이라 함은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상기 바디(100)를 따라 배열되는 라인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각 스트링장착부재(301)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부착될 수 있으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각 스트링장착부재(301)의 외벽 일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재봉날개편이 형성되어 이 재봉날개편이 상기 절개부(102)의 양단부에 재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절유닛(400)은
상기 바디(100)에서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배열 라인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감거나 풀기 위한 것으로,
크게 하우징(10) 및 회전유닛(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우징(1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1), 그리고
상기 수용체(11)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체(11)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형태의 수용공간부(111),
상기 수용공간부(111) 바닥 중심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112), 그리고
상기 중심축(112)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부(111) 상단 내벽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다수의 일방향 래칫(ratchet)(113)
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통상 잠김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 풀림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인 것을 감안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일방향'과 '타방향'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각 래칫(113)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즉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이의 끝단부에 수직부를 갖는 통상의 래칫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12)는
상기 수용체(11)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체(11)의 수용공간부(111)와 연결되는 탄성스트링(string) 삽입부(121)를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부(121)가 2개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닛(2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112)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중심홀(211)과 외주면에 탄성스트링(200) 단부(端部) 고정용 결합부(212)를 갖는 기둥체(21),
상기 기둥체(21)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체(22), 그리고
상기 기둥체(21) 상부에 구비되는 파지용 상부체(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둥체(21)의 결합부(212)는 외주면 양측벽에 각각 배열되게 2개로 이루어지되, 각 결합부(212)에는 2개의 결합공(212a)이 형성된다.
하나의 결합부(212)에서 하나의 결합공(212a)에 탄성스트링(200) 타단부를 끼우고 빠져나온 타단부를 다른 하나의 결합공(212a)에 끼운 후 다시 빠져나온 타단부를 매듭지거나 탄성스트링(200) 일부에 묶어 결합되게 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의 결합부(212)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탄성스트링(200)이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체(23)는
상기 회전유닛(20)의 상부체(23)는 상부에 방사상 배열된 다수의 타방향 서브래칫(232a)을 갖고 상기 기둥체(2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232)와, 상기 각 래칫(113)과 맞물리는 다수의 대응래칫(233a) 및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맞물리는 다수의 대응서브래칫(233b)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232) 상부에 배열되는 파지부재(233)로 이루어진다.
도 9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파지부재(233)는 하부면에 요입형 장착공간부(2331)와 이에 장착되는 중계부(2332)를 포함하고,
상기 각 대응래칫(233a)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체(233a-1)와 상기 경사체(233a-1)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탄성지지체(233a-2)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계부(2332)는 하부면에 상기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각 대응래칫(233a)이 삽입되는 서포트(23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2332a)는 상기 탄성지지체(233a-2) 안착용 받침부(2332a-1)와 상기 경사체(233a-1) 노출용 개방부(2332a-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대응래칫(233a)이 상기 래칫(113)과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래칫(113)을 타고 넘어갈 때에 상기 탄성지지체(233a-1)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체(233a-1)가 탄성적으로 밀렸다 복귀하는 동작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의 상호 맞물림 및 해제를 위한 일 예 및 다른 예의 전환수단(M1, M2)을 더 포함하는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의 전환수단(M1)은
상기 수용체(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대응걸림부(M1-1, M1-2),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233)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부(M1-3)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와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2)는 상하로 이격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유닛(20)의 상부체(23)에서 파지부재(233)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와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2)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체(11)는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절개된 다수의 슬릿(slit)(116)이 형성되는데, 상기 각 슬릿(116)은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에서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3)로, 또는 이의 반대로 이동 시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와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2) 간의 사이 영역을 지날 때에 상기 슬릿(116)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체(11) 외벽이 내측으로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는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2)로부터 적정 이격 거리를 갖게 되는데,
이때의 '적정 이격 거리'라 함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회전유닛(20)을 잡아당겼을 때 상기 래칫(113)과 대응래칫(233a), 상기 서브래칫(232a)과 대응서브래칫(233b)의 맞물림이 각각 해제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회전유닛(20)이 상승하게 되는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일 예의 전환수단(M1)에서는 상기 회전유닛(20)이 상기 하우징(1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한 장착수단(30)이 마련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체(11) 중심축(112)에 형성되는 장착체결공(31),
상기 회전유닛(20)의 상부체(23)에서 파지부재(233) 중심에 요입되어 상기 기둥체(21)의 중심홀(211)과 연통되되 상기 중심홀(211) 보다 직경이 큰 장착안착홈(32), 그리고
상기 장착체결공(31)에 체결되고 헤드(331)가 상기 장착안착홈(32)에 위치하게 되는 장착볼트(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장착볼트(33)의 헤드(331)와 상기 장착안착홈(32) 하부 단턱(321)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대응걸림부(M1-1, M1-2) 간의 이격 거리와 상응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대응걸림부(M1-1, M1-2)에 선택적으로 걸리어 정지되는 동작을 구현케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절유닛(4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상기 탄성스트링(200)은 상기 스트링장착수단(300)에서 각 스트링장착부재(301)의 유통홀(301a)에 끼워지면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를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양단부는 각각의 상기 결합부(212)에 고정된다.
일 예의 전환수단(M)을 이용한 상기 조절유닛(4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하부대응걸림부(M1-2)에 걸리는 경우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리어 상기 회전유닛(20)의 파지부재(233) 일방향 회전 시 상기 각 서브래칫(232a)이 상기 대응서브래칫(233b)에 걸림에 따라
하나의 뭉치를 이루는 상기 기둥체(21)와 하부체(22)와 플레이트(232) 또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상기 대응래칫(221)이 상기 래칫(113)을 타고 넘어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상기 기둥체(21)에 두 탄성스트링(200)이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감기게 되고,(도 11의 [가] 및 [나]를 참조)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에 걸리는 경우, 즉 상기 파지부재(233)를 잡고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잡아 빼어 냄으로서, 상기 걸림부(M1-3)가 상기 상부대응걸림부(M1-1)에 걸리는 경우
상호 맞물렸던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맞물림 해제됨에 따라 하나의 뭉치를 이루는 상기 기둥체(21)와 하부체(22)와 플레이트(232)가 감긴 탄성스트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됨으로서, 상기 기둥체(21)로부터 탄성스트링(200)이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이때 탄성스트링(200)이 풀린다는 것은 팽팽하게 당겨져 감긴 상태에서 느슨하게 감겨진 상태로 상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도 12의 [가] 및 [나]를 참조)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의 전환수단(M2)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체(11) 중심축(112)에 형성되는 체결공(M2-1),
상기 회전유닛(20)의 상부체(23)에서 파지부재(233)의 중계부(2332) 중심에 요입되어 상기 기둥체(21)의 중심홀(211)과 연통되되 상기 중심홀(211) 보다 직경이 큰 안착홈(M2-2),
상기 체결공(M1-1)에 체결되고 헤드(M3-31)가 상기 안착홈(M2-2)에 위치하게 되는 볼트(M2-3),
상기 체결공(M1-1)에 상기 볼트(M3-3)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비(非)맞물림 되게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파지부재(233)의 중계부(2332) 사이에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에서 하방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232) 상부면과 접하게 되는 돌기부(M2-4),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20)에서 상기 파지부재(233)의 장착공간부(2331)와 상기 중계부(2332)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파지부재(233)의 누름 및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 하부면 및 상부면을 번갈아 지지하게 되는 탄성스프링(M2-5)
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M2-3)와 상기 돌기부(M2-4)가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M2-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U'자형 외부굴곡부(M2-51),
상기 외부굴곡부(M2-51) 양 상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평행하게 절곡되는 두 밀림부(M2-52), 그리고
상기 두 밀림부(M2-52) 각 단부에서 내측으로 마주보게 절곡되는 두 끼움부(M2-53)
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밀림부(M2-52)의 사이 거리는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결국 상기 볼트(M2-3)가 상방 또는 하방 이동 시 상기 헤드(M2-31)가 상기 두 밀림부(M2-52)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벌린 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된 작동상태에서 좀 더 상세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23)에서 파지부재(233)의 중계부(2332) 상부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끼움부(M2-53)가 각각 삽입되는 두 대응끼움부(2332c)를 갖는 융기부(2332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의 전환수단(M2)을 이용한 상기 조절유닛(4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파지부재(233)를 누르게 되는 경우
상기 파지부재(233)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M2-5)에 의해 상부면이 지지되어 있던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가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를 각각 양측으로 벌리면서 상방으로 통과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두 밀림부(M2-52)는 탄성 복귀되어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 하부면을 지지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232)의 상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M2-4) 또한 상기 볼트(M2-3)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리어 상기 파지부재(233) 일방향 회전 시 상기 기둥체(21)에 탄성스트링(200)이 감기게 된다.(도 14의 [가] 및 [나]를 참조)
상기 파지부재(233)를 잡아당기게 되는 경우
상기 파지부재(233)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M2-5)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되어 있던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가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를 각각 양측으로 벌리면서 하방으로 통과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두 밀림부(M2-52)는 탄성 복귀되어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 상부면을 지지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돌기부(M2-4)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파지부재(233)의 중계부(2332)가 상호 이격됨으로써,
결국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맞물림 해제됨에 따라 하나의 뭉치를 이루는 상기 기둥체(21)와 하부체(22)와 플레이트(232)는 감긴 탄성스트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됨으로서, 탄성스트링(200)이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도 15의 [가] 및 [나]를 참조)
한편, 다른 예의 상기 전환수단(M2)에서
상기 탄성스프링(M2-5)이 상기 플레이트(232)와 상기 파지부재(233) 사이에 위치되게 구현한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스프링(M2-5)이 상기 회전유닛(20)의 하부체(22)와 상기 하우징(10) 수용체(11)의 수용공간부(111) 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볼트(M2-3)의 헤드(M2-31)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스프링(M2-5)을 상하로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체(11) 바닥 중심에 상기 중심축(112)이 제거되고,
제거된 중심축(112) 자리에 볼트헤드 위치홀(51)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홀(51) 상부 주변에 상기 탄성스프링(M2-5)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부(52)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M2-5)을 탄성적으로 지나게 되는 볼트(M2-3)의 헤드(M2-31)는 상하 이격된 두 헤드분체(53A, 53B)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헤드분체(53A, 53B)는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 간격 거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위치홀(51)을 지나도록 배치되며,
또 상기 두 헤드분체(53A, 53B) 사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가 걸리게 되는 요입부(54)가 형성되고,
또 상기 볼트(M2-3)의 단부(端部)에는 육각 기둥부(55)가 형성되되, 상기 기둥부(55)는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가 상기 요입부(54)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비(非)맞물림 될 정도의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또 상기 기둥부(55) 중심에는 체결볼트(57)를 위한 나선홈(56)이 형성되고,
상기 중계부(2332)의 중심에는 상기 기둥부(55)가 끼워지게 되는 육각 기둥삽입부(58)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체(21)의 중심홀(211)이 상기 볼트(M2-3)에 있어, 기둥부(55)가 형성되지 않은 즉, 상기 기둥부(55)와 상기 헤드본체(53A)를 연결하는 원기둥부(55a)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입부(54)에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20)의 파지부재(233)를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가 상기 요입부(54)에서 벗어나 상기 두 헤드분체(53A, 53B) 중 상부에 위치한 헤드분체(53A)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리게 되고,
반대로, 상기 회전유닛(20)의 파지부재(233)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M2-5)의 두 밀림부(M2-52)가 상기 요입부(54)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림 해제된다.
결국 상기 각 래칫(113)과 각 대응래칫(233a), 상기 각 서브래칫(232a)과 각 대응서브래칫(233b)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는 탄성스트링(200)의 감김이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상호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탄성스트링(200)의 풀림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유닛(400)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2)는 둘레에 재봉날개부(122)가 더 형성되고, 이 재봉날개부(122)가 상기 바디(100)에 재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5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바디(100)와 함께 환부를 감싸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환부의 크기 및 형태와 상응한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전후로 관통되는 다수의 통기공(5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구조이고,
도 2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개재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 각각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구조이다.
우선, 전자(前者)의 제1 구현예 환부 지지대에 대한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홀딩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수단(600)은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상호 결합하는 재봉부(60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재봉부(601) 외에도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홀딩수단(600)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감길 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연결하는 가이드유닛(700)을 포함한다.
결국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에 위치한 트임공간부(701) 내에서 상기 조절유닛(400)의 조작에 의해 출몰(出沒)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자(後者)의 제2 구현예 환부 지지대에 대한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 언급한 상기 가이드유닛(70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연결되고, 특히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감길 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 각각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동작 된다.
결국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위치한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에서 상기 조절유닛(400)의 조작에 의해 출몰(出沒)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 이의 각 가이드유닛(7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해당 단부에 형성되는 트임공간부(701),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벽에 장착되는 돌출형 결합부재(702),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서 상기 트임공간부(701)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702)가 삽입되는 좌우 장공형 활주부(703)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해당 단부'라 함은 제1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는 상기 홀딩수단(60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고정 연결되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를 의미하고, 제2 구현예의 환부 지지대에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개재되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유닛(700)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트임공간부(701)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해당 단부에서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고, 특히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될 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상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702)와 상기 활주부(703)는 크게 일 예 및 다른 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이하에서는 일 예의 상기 결합부재와 활주부에 대한 각 도면부호를 '702', '703'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예의 상기 결합부재와 활주부에 대한 각 도면부호를 '702-1', '703-1'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일 예의 상기 결합부재(702)는 사각 또는 원형의 기둥이면서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벽에 장착되는 결합기둥부(702a)와, 상기 결합기둥부(702a) 단부에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수단인 확단부(702b)로 이루어지고,
일 예의 활주부(703)는 상기 결합기둥부(702a)가 슬라이딩 되기 위한 상하 폭 및 좌우 길이를 갖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예의 상기 결합부재(702)의 확단부(702b)를 상기 활주부(703)에 삽입 시 상기 확단부(702b)와 상기 활주부(703)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위치시킨 후 삽입한 다음, 좌 또는 우 측으로 90도 방향 전환시키게 되면 상기 확단부(702b)가 상기 활주부(703) 주변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다른 예의 상기 결합부재(702-1)는 원형의 기둥이면서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벽에 장착되는 고정기둥부(702-1a)와, 상기 고정기둥부(702-1a) 단부에 이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수단인 확경부(702-1b)로 이루어지고,
다른 예의 상기 활주부(703-1)는 상기 고정기둥부(702-1a)가 슬라이딩 되기 위한 상하 폭 및 좌우 길이를 갖되, 일측 단부에 상기 확경부(702-1b)가 억지 끼움되기 위한 스냅부(703-1a) 및 이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냅슬릿(703-1b)을 갖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일 예 및 다른 예의 결합부재와 활주부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해당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절개부(102)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가지도록 나누어진 제1 및 제2 분체바디(100A, 10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분체바디(100A)의 단부에는 암(雌) 또는 수(雄) 벨크로(100A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체바디(100B)의 단부에는 상기 벨크로(100A1)와 탈부착을 위한 수 또는 암 대응벨크로(100B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분체바디(100A, 100B)를 손으로 잡고 환부를 감싼 후 상기 벨크로(100A1)와 상기 대응벨크로(100B1)를 이용해 각 분체바디(100A, 100B)를 연결한 후 상기 조절유닛(40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각 분체바디(100A, 100B)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500)가 환부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00A, 100B : 제1 및 제2 분체바디
100A1 : 벨크로 100B1 : 대응벨크로
101 : 공간부 102 : 절개부
200 : 탄성스트링
300 : 스트링장착수단
301 : 스트링장착부재 301a : 유통홀
400 : 조절유닛
10 : 하우징
11 : 수용체 111 : 수용공간부
112 : 중심축 113 : 래칫
116 : 슬릿 12 : 몸체
121 : 삽입부 122 : 재봉날개부
20 : 회전유닛
21 : 기둥체 211 : 중심홀
212 : 결합부 212a : 결합공
22 : 하부체 23 : 상부체
232 : 플레이트 232a : 서브래칫
233 : 파지부재 233a : 대응래칫
233a-1 : 경사체 233a-2 : 탄성지지체
233b : 대응서브래칫 2331 : 장착공간부
2332 : 중계부 2332a : 서포트
2332a-1 : 받침부 2332a-2 : 개방부
2332b : 융기부 2332c : 대응끼움부
30 : 장착수단
31 : 장착체결공 32 : 장착안착홈
321 : 단턱 33 : 장착볼트
331 : 헤드
M1 : 전환수단
M1-1 : 상부대응걸림부 M1-2 : 하부대응걸림부
M1-3 : 걸림부
M2 : 전환수단
M2-1 : 체결공 M2-2 : 안착홈
M2-3 : 볼트 M2-31 : 헤드
M2-4 : 돌기부 M2-5 : 탄성스프링
M2-51 : 외부굴곡부 M2-52 : 밀림부
M2-53 : 끼움부
51 : 위치홀 52 : 홀딩부
53A, 53B : 헤드분체 54 : 요입부
55 : 기둥부 55a : 원기둥부
56 : 나선홈 57 : 체결볼트
58 : 기둥삽입부
500 : 지지플레이트
501 : 통기공
600 : 홀딩수단
601 : 재봉부
700 : 가이드유닛
701 : 트임공간부
702, 702-1 : 결합부재 702a : 결합기둥부
702-1a : 고정기둥부 702b : 확단부
702-1b : 확경부
703, 703-1 : 활주부 703-1a : 스냅부
703-1b : 스냅슬릿

Claims (5)

  1. 내부 공간부(101) 및 이와 연결된 상하 절개부(102)를 갖고, 환부를 감싸게 되는 밴드형 가요성(可撓性)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되되,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兩端部) 각각을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탄성스트링(200);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배열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에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링장착수단(300);
    상기 바디(100)에서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배열 라인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감거나 풀기 위한 조절유닛(400);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개재되는 환부 지지플레이트(500); 및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他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감길 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연결하는 가이드유닛(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환부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홀딩수단(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700)은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는 트임공간부(701),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벽에 장착되는 돌출형 결합부재(702, 702-1),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서 상기 트임공간부(701)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702, 702-1)가 삽입되는 좌우 장공형 활주부(703, 703-1)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702, 702-1)의 단부에는 상기 활주부(703, 703-1)를 지나 이의 주변에 걸리게 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타단부에 위치한 트임공간부(701) 내에서 상기 조절유닛(400)의 조작에 의해 출몰(出沒)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2. 내부 공간부(101) 및 이와 연결된 상하 절개부(102)를 갖고, 환부를 감싸게 되는 밴드형 가요성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되되,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兩端部) 각각을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탄성스트링(200);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배열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에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링장착수단(300);
    상기 바디(100)에서 상기 탄성스트링(200)의 배열 라인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트링(200)을 감거나 풀기 위한 조절유닛(400);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개재되는 환부 지지플레이트(500); 및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유닛(400)에 의해 상기 탄성스트링(200)이 감길 시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를 상기 지지플레이트(500) 측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게 연결하는 두 가이드유닛(7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환부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700)은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트임공간부(701),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벽에 장착되는 돌출형 결합부재(702, 702-1),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서 상기 트임공간부(701)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702, 702-1)가 삽입되는 좌우 장공형 활주부(703, 703-1)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702, 702-1)의 단부에는 상기 활주부(703, 703-1)를 지나 이의 주변에 걸리게 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바디(100)의 절개부(102) 양단부에 위치한 상기 트임공간부(701) 내에서 상기 조절유닛(400)의 조작에 의해 출몰(出沒)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절개부(102)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가지도록 나누어진 제1 및 제2 분체바디(100A, 10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체바디(100A)의 단부에는 암(雌) 또는 수(雄) 벨크로(100A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분체바디(100B)의 단부에는 상기 벨크로(100A1)와 탈부착을 위한 수 또는 암 대응벨크로(100B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KR1020120005725A 2012-01-18 2012-01-18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KR10116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25A KR101167957B1 (ko) 2012-01-18 2012-01-18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25A KR101167957B1 (ko) 2012-01-18 2012-01-18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957B1 true KR101167957B1 (ko) 2012-07-23

Family

ID=4671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725A KR101167957B1 (ko) 2012-01-18 2012-01-18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9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267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하나인시스템 허리 지지대
KR101832924B1 (ko) *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WO2020071585A1 (ko) * 2018-10-04 2020-04-09 주식회사 아이엔젤 아기 캐리어
CN113499180A (zh) * 2021-06-25 2021-10-15 西安交通大学 一种脊柱侧凸矫形器及其制造方法
KR102335847B1 (ko) * 2021-06-11 2021-12-06 주식회사 스피루스 조임 교정부를 활용한 자세 및 거북목 교정장치
KR20230023846A (ko) * 2021-08-10 2023-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압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22Y1 (ko) *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US20080066272A1 (en) * 2006-09-12 2008-03-20 Hammerslag Gary R Closure System For Braces, Protective Wear And Similar Art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22Y1 (ko) *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US20080066272A1 (en) * 2006-09-12 2008-03-20 Hammerslag Gary R Closure System For Braces, Protective Wear And Similar Articl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267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하나인시스템 허리 지지대
KR101832924B1 (ko) *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WO2020071585A1 (ko) * 2018-10-04 2020-04-09 주식회사 아이엔젤 아기 캐리어
CN111278331A (zh) * 2018-10-04 2020-06-12 爱天使 婴儿背带
KR102335847B1 (ko) * 2021-06-11 2021-12-06 주식회사 스피루스 조임 교정부를 활용한 자세 및 거북목 교정장치
CN113499180A (zh) * 2021-06-25 2021-10-15 西安交通大学 一种脊柱侧凸矫形器及其制造方法
CN113499180B (zh) * 2021-06-25 2022-08-16 西安交通大学 一种脊柱侧凸矫形器及其制造方法
KR20230023846A (ko) * 2021-08-10 2023-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압박 장치
KR102552967B1 (ko) * 2021-08-10 2023-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압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957B1 (ko)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DK2622975T3 (en) KITTEL attached with elastic bands
US6047403A (en) Decorative cast covering
US8739314B2 (en) Garment with tethering system
CN107205501B (zh) 前臂和手腕支撑袖子
US8205580B2 (en) Pet waste capture device
CA2700886A1 (en) Wearable towel
US20150173426A1 (en) Swimming Gar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of Use Thereof
KR101446270B1 (ko) 지지 성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족부 보조기
JP2009189248A (ja) 犬の四肢カバー
US20160088881A1 (en)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20210594A1 (en) Ergonomic dual towel
EP2441336A1 (en) Leg cover
KR20150122774A (ko)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EP3439757A1 (en) Discrete shoulder sleeve for a shoulder-pad system
US20110226828A1 (en) Personal item carrier
US9420761B2 (en) Dual sheet detachable hock protector
JP2016513479A (ja) 膝装具
US20160235259A1 (en) Sports towel
WO2016054623A1 (en) Amputee limb cover and fastening system therefor
CN204317522U (zh) 袜子
US8132543B2 (en) Animal hock protector
US20150237943A1 (en) Hat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CN212973198U (zh) 可减轻膝关节负荷且能快速拆装的康复限位器
US20070204379A1 (en) Garment with end clos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