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846A - 연속 압박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압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846A
KR20230023846A KR1020210105078A KR20210105078A KR20230023846A KR 20230023846 A KR20230023846 A KR 20230023846A KR 1020210105078 A KR1020210105078 A KR 1020210105078A KR 20210105078 A KR20210105078 A KR 20210105078A KR 20230023846 A KR20230023846 A KR 2023002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unit
tightening member
guid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967B1 (ko
Inventor
강성현
김승종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25Blood flowrate, e.g. by Doppler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5Contour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신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 유니트;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조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잡아당기는 압박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압박 장치{Device for continuous compression}
본 발명은 종아리 등의 신체 부위를 연속적으로 압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맥은 심장에서 동맥을 통해 각 조직에 공급했던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통로로서, 사지의 정맥은 표재정맥(superficial vein)과 심부정맥(deep vein) 및 이를 연결하는 관통정맥(communicating vein)으로 구분된다.
정맥은 동맥보다 얇고 탄력조직이 적으며 총 단면적은 높고 압력이 낮아 심장으로 혈액을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정맥판(venous valve)을 통한 역류 방지와, 하지 근육 수축으로 인한 압력 상승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정맥판의 기능 저하, 움직임 저하로 인한 혈액 순환 감소 시에 혈류 정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혈전 또는 정맥류가 발생할 수 있다. 깊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은 주로 하지정맥에 발생하게 되며, 폐색전증으로 진행 시 연간 5~10% 가량의 병원 사망 원인이 되곤 한다.
깊은정맥혈전증의 유병률은 국내의 경우 서양보다는 낮게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의 연구에서 예방 없이 인공관절치환술 시행 시 10~20% 가량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
깊은정맥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기계적인 방법과 약물적인 방법이 있다. 기계적인 방법에는 단계적 압박 스타킹의 착용과 간헐적 공기 압박 방법이 혈전 예방에 효과적임이 밝혀져 있어 대부분의 위험군 환자에게 적용할 것이 권고되고 있다.
간헐적 공기 압박 기기는 혈전증 예방의 효능이 입증되어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과 여러 압박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호흡 주기와 연동 시 효과가 상승함이 밝혀져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혈전증의 예방뿐만 아니라 하지의 림프 부종, 궤양 치료 등에도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다양한 상황에 활용되고 있다.
간헐적 공기 압박 방법의 경우 효과적인 혈전 예방을 위해 가능한 많은 시간을 착용하도록 권고되고 있으나, 공기 주입 펌프의 소음, 착용시의 불편감, 무겁고 큰 기계로 인한 움직임 불가, 기기로 인한 불면증 등의 이유로 기기 착용 시간이 기대치보다 적어 혈전 예방 효율이 기대치보다 낮다는 점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공기주입 펌프의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뿐 아니라, 가동성을 위해 크기를 축소할 시 충분한 압력과 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그 한계가 명백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72974호에는 압박 밴드와 이의 긴장도를 조절하는 구동 수단으로 구성된 휴대용 종아리 압박 장치가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72974호
본 발명은 타겟으로 하는 신체 부위 전체를 연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연속 압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신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 유니트;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조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잡아당기는 압박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 압박 장치는 다이얼 형태의 전기 모터 구동계(조절부), 와이어 및 커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종아리 등의 신체 부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한 연속적인 압박을 통해 신체의 혈액 순환 향상, 혈전 예방, 부종 제거 및 마사지 효능이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기존의 공기 주입식 압박 기기에 비해 향상된 착용감, 적은 소음 및 소형화된 사이즈 등의 이점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서로 대면되는 수 센티미터(Cm)의 거리만큼 이격된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와이어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는 압력 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프의 양 단부를 제외한 커프의 거의 대부분의 영역이 신체에 확실하게 면접촉될 수 있다.
면접촉을 통해 의료 수준에서 요구하는 신체에 대한 압박이 확실하게 가능한 동시에, 신체에 대한 와이어 등의 선접촉이 배제됨으로써, 선접촉으로 인한 각종 의료 사고, 환자의 불편 등이 방지 또는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일부 신체 부위를 감싼 상태에서 서로 대면되는 커프의 양단부를 잡아당기는 와이어가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선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에 의해 와이어는 신체에 대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커프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공중에 뜬 상태의 와이어는 신체를 선형으로 가압하지 않고 현실적으로 압박 장치의 조임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등의 조임 부재 구조와 전기식 구동계(조절부)를 이용할 경우 기술 발전에 힘입어 작은 무게와 크기로도 충분한 외력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며, 다양한 압박 방식을 위한 활용과 조절도 더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적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기존의 공기 유압 방식보다 소음이 적고, 가동성이 높으며, 기존 방식에서는 사용할 수 없던 통기성 높은 재질의 커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장치에 대한 환자의 착용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는 곧 의료적 차원에서 환자가 착용을 거부하지 않고 장시간동안 착용할 수 있는 신체 압박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혈전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업적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압박 장치는 혈액 순환 촉진 및 부종 감소를 위한 마사지 장치로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적은 소음과 양호한 착용감은 기립 자세 혹은 좌식으로 장기간 작업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혈액 순환을 위해 주간에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비행시 기내에서 소음 부담 없이 착용할 수 있어 이코노미 증후군(economy syndrome) 예방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가내에서 사용 시 기존의 마사지 기기보다 다양한 자세 및 상황에서 쉽게 착용할 수 있어 실효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박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박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박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박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휴대용 종아리 연속 압박 장치(1)는 지지 유니트(11), 압박 유니트(12), 원격 제어 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니트(11)는 종아리, 허벅지, 팔, 팔목, 허리, 가슴 등과 같은 신체(9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지지 유니트(11)는 커프(111), 고정 부재(112) 및 연결 부재(113)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가압부(121), 조절부(122), 측정부(123) 및 전원부(124)와 이를 지지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부(121), 조절부(122), 측정부(123), 전원부(124)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3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지지 유니트(1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조임 부재를 이용하여 신체(90)를 조이는 방향으로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잡아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프(111)로 종아리를 감싼 상태에서 커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커프(111)에 의해 종아리가 조여지가 압박될 수 있다.
이때, 커프(111)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해 조임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임 부재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조임 부재는 온도에 의해 형성 또는 길이가 가변되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 부재가 와이어(21)인 경우, 와이어(21)는 지지 유니트(1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와이어의 일부 구간은 커프(111)의 일단부에 지지되고, 와이어의 다른 구간은 커프(111)의 타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가 당겨지면, 와이어(21)는 커프(111)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등의 지지점을 슬라이딩하면서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와이어(21)의 길이가 감소되면, 와이어를 지지하는 각 지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각 지지점이 형성된 커프(111)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다. 커프(111)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면, 신체의 외주면을 감싼 지지 유니트(11)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이 줄어들 수 있다. 신체를 감싼 지지 유니트 또는 커프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신체를 감싼 지지 유니트 또는 커프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이 줄어들도록 조임 부재가 당겨지는 방향이 신체를 조이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물리적으로 와이어(21)를 잡아당겨서 신체의 외주면을 감싼 지지 유니트(11)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을 줄이면서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조임 부재가 형상 기억 합금인 경우, 압박 유니트(12)는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온도에 따른 형상 기억 합금의 형상 변화 또는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신체의 외주면을 감싼 지지 유니트(11)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을 줄이면서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와이어(21)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하나, 해당 내용은 형상 기억 합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
커프(111)는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자에 따라 다양한 형상, 다양한 크기(직경)를 갖는 신체를 적응적으로 감싸기 위해 커프(111)는 플렉시블한 천,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프(111)는 커다란 붕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프(111)는 압박 유니트(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프(111)는 전기식 휴대용 종아리 연속 압박 장치(1)를 사용자의 종아리 등과 같은 신체 부위에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다. 커프(111)는 효과적인 가압과 원활한 압력 조절을 위해 비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프(111)는 장기간 착용을 고려하였을 때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압박을 위한 소재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는 선에서 통기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 과정이 시행될 시 커프(111)가 종아리 등의 신체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소재가 신체에 대면 접촉되는 내피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커프(111)에는 착용 시 및 가압 시의 착용감 개선 및 쓸림 방지 등을 위한 완충 소재가 내피 등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3)의 압력 센서, 길이 센서, 혈류 측정 센서 등이 커프(111)의 신체 접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커프(111)의 내피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열선 혹은 자기장 자극 패널 등이 내피에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긴급 상황시 지지 유니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신체 압박 상태를 신속하게 해제하기 위해 고정 부재(112)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고정 부재(112)는 신체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 모드로 진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112)는 커프(1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종아리에 커프(111)를 감아 종아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임 부재가 신체 외주면의 일측을 감싸는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외주면의 타측을 감싸는 제2 커프의 타단부에 연결될 때, 제1 커프의 타단부에는 제1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프의 일단부에는 제1 고정 부재에 착탈되는 제2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12)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프(111)의 일측 내피에 형성되는 수놈 벨크로(112-a)와 타단 외피에 형성되는 암놈 벨크로(112-b)를 포함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프(111)의 내피를 종아리에 접촉되도록 감싼 후에 수놈 벨크로(112-a)와 암놈 벨크로(112-b)가 접촉되도록 하여 종아리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2)의 소재는 벨크로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커프를 감아 종아리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는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구성과 소재의 응용이 가능하다. 고정 부재(112)는 고정 고리 구조 혹은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구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12)를 포함하지 않고 커프(111)가 일체형(제1 커프와 제2 커프가 일체로 형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와이어(21)의 길이 조정을 통해 사용자(환자)가 지지 유니트(11)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3)는 신체(90)를 감싼 상태에서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된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제2 커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제2 커프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3)의 일면은 신체에 대면 접촉되고, 연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조임 부재에 대면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3)는 조임 부재의 조임에 따라 변하는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제2 커프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에 맞춰 형상이 가변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3)는 일측 커프(111)에 해당하는 제1 커프와 반대측 커프(111)에 해당하는 제2 커프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커프의 단부와 제2 커프의 단부가 서로 설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3)는 와이어와 신체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와이어와 신체 간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가 신체에 접촉되려고 할 때 와이어와 신체 사이에 위치한 연결 부재(113)가 신체에 접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부재(113)에 대면되는 가압부(121)의 작동 시 와이어(21)가 신체에 직접 접촉되어 마찰로 인한 접촉 부위 쓸림 및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3)는 천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며, 양측 커프(111)에 재봉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3)는 와이어(2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가압부(121), 조절부(122), 측정부(123) 및 전원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21), 조절부(122), 측정부(123), 전원부(124) 중 적어도 하나는 커프(111)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3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조절부(122)를 덮어주는 상판(31), 와이어(21)의 기기 내 출입을 안내하는 터널, 트렌치(trench), 레일 형상의 사출부(32), 커프(111)와 직접 접촉 고정되어 압박 유니트(12)를 지지하는 하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하판(32)를 통해 커프(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판(32)은 바느질, 접착제, 핀들 등을 포함하는, 제한되지 않은 임의의 적합한 파스닝 방법(fastening methods)에 의하여 커프(111)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압박 유니트(12)의 구성과 이에 따른 필요 외력에 따라, 필요한 저항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0)에는 보빈(43)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4)이 마련되며, 수용 공간(34)의 가운데에는 보빈(4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회전축(35)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121)는 와이어(21)와 이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1)의 일단은 하우징(30) 등의 조절부(122)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커프(111)에 부착된 가이드(22)들을 통과하여 꿰어질 수 있다. 조절부(122)에 마련된 보빈(43)이 회전할 때 와이어(21)가 긴장되고 가이드(22)가 하우징(31)에 근접하게 당겨져 신체에 대한 조임 효과, 압박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커프(111)가 조여져 종아리에 증분적인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보빈(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커프(111)가 헐거워져 종아리에 가해진 압력이 증분적으로 헐거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121)는 복수의 가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이드(22)는 와이어의 경로를 정하기 위해 설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21)는 가이드(22)에 의해서 연장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저마찰의 가이드(22)와 결합된 저마찰의 와이어(21)는 가이드(22)에 대해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압부(121)는 가이드(22)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압시 와이어(21)에 균형잡힌 장력이 가해지도록 조정하여 종아리 전반에 걸쳐 균일한 조임 압력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2)들은 중심선을 따라 와이어가 교차되는 교차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수의 가이드(22)들이 커프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21)는 가이드(22)에 대한 원활한 움직임(슬라이딩)과 마모를 줄이기 위해 저마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1)는 가이드(22)를 통과하고 연결 부재(113)의 외면 또는 연결 부재(113)의 외피에 대해 쉽게 미끄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122)에 의한 자동 조임시 지지 유니트(11) 전체에 걸쳐 조임이 균형있게 수행되도록 가이드(22)는 지지 유니트 또는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커프의 일단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가 커프의 타단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압박 유니트(12)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조임 부재를 잡아당길 수 있다.
서로 가까워지는 커프(111)의 일단부와 타단부로 인해 커프(111)는 신체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체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압박 밴드가 복수로 마련된 판 형상의 패드에서, 압박 밴드를 잡아당기는 비교 실시와 대비하여 면접촉성이 우수하다. 다시 말해, 비교 실시예와 대비하여 커프 대부분의 면적이 신체에 면접촉되고 이를 통해 착용자의 불쾌감, 불편함, 의학적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와이어(21)는 효과적인 가압을 위해 탄성이 적은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후술할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도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순차적 가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22)는 연결 부재(113) 양단에 위치한 커프(111)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바느질, 접착제, 핀들 등을 포함하는, 제한되지 않은 임의의 적합한 파스닝 방법에 의하여 커프(111)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22)는 연속적인 가압 시행 시 마모 및 전단력 등으로 인해 변형이 될 수 있으므로, 이의 재질, 크기와 형상 등은 압박 기기의 구성과 이에 따른 필요 외력에 따라, 필요한 굽힘과 꼬임에 대한 저항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유니트(11)의 일단부에는 조임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쳐지는 제1 가이드가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는 조임 부재가 출입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이 외부에 노출된 터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제1 가이드는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멍과 제2 구멍의 사이 구간은 조임 부재가 구부러지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구간으로 인해 제1 구멍과 제2 구멍은 지지 유니트(11)의 타단부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멍, 제2 구멍, 슬라이딩 구간을 갖는 제1 가이드는 소위 중공이 형성된 마카로니(Macaroni)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통해 출입하는 조임 부재는 지지 유니트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조절부(122)는 전기 신호를 받아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식 모터(41)와 측정부(123)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 목표 압력, 압박 모드 등에 따라 모터(41)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어기(42) 및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와이어(21)을 감는 역할을 하는 보빈(43)으로 구성되며 전원부(124)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조절부(122)는 지지 유니트(1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가까워지도록 조임 부재를 잡아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22)는 설정된 목표 압력에 따라 와이어(21)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보빈이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여 가압부(121)를 통해 종아리에 압력을 가하며, 그 과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종아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이를 세밀히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2)는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보빈으로부터 와이어(21)를 증분적으로 풀어줌으로써 기존 착용 당시의 압력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조절한다.
제1 가이드가 커프의 일단부에 배치될 때, 제1 가이드에 감긴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가 커프(111)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122)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임 부재의 당김에 의해 제1 가이드는 커프(111)의 일단부와 함께 커프(111)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서로 가까워지는 커프(111)의 일단부와 타단부로 인해 커프(111)는 신체(90)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체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커프(11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또는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122)가 커프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프(111)의 일단부가 정방향을 따라 가며 신체의 일부를 감쌀 때, 제1 가이드에 지지된 조임 부재는 해당 정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2 가이드 또는 조절부에 곧바로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임 부재는 신체를 한바퀴 돌아서 제2 가이드나 조절부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제2 가이드나 조절부(122)에 지지될 수 있다.
커프(111)에서 커프의 일단부와 커프의 타단부 사이의 가운데 부분이 정의될 때, 압박 유니트(12)에 의해 조임 부재가 조여지면, 조임 부재가 미경유하는 가운데 부분 전체는 신체에 면접촉되면서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조절부(122)는 원격 제어 수단(13)과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절부(122)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 압박 시간, 압박 빈도, 압박 방식 등을 입력받아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부(122)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모터(41)와 보빈(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다수의 압박 챔버(50)로 구성될 경우 이에 맞추어 다수의 조절부(122)가 각각 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와이어에 의해 신체가 직간접적으로 선접촉의 형태로 압박받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다.
커프(111)의 일면이 신체에 대면될 때, 제1 가이드는 커프(111)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로부터 제2 가이드 또는 조절부(122)를 향해 인출된 조임 부재를 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설정 높이까지 제1 가이드가 커프(111)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정부(123)는 조절부(122)에 의해 변화하는 지지 유니트(11) 또는 신체(9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조절부(122)에는 조임 부재가 감기는 보빈(43), 보빈(43)을 회전시키는 모터(41), 측정부(123)의 감지 결과에 따라 모터(41)를 제어하는 제어기(42)가 마련될 수 있다.
측정부(123)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23)는 종아리 등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는 혈류 측정 센서, 신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커프(111)의 내피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압박 챔버(50)가 마련된 경우, 각 압박 챔버(5)마다 압력 센서가 분포할 수 있다.
측정부(123)는 전원부(124)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를 조절부(122)로 송신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124)는 조절부(122)와 측정부(12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24)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우징(30)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전원부(124)가 나타나 있다. 전원부(124)는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24)는 연결 단자(45)를 통해 모터(41), 제어기(42), 측정부(12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24)는 연결 단자(45)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24)는 몇몇 실시예에서 충전식 배터리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원을 공급하는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보빈(43)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부재를 감는 제1 모드 또는 보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겨 있는 조임 부재를 푸는 제2 모드로 모터(41)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41)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제2 설정 시간동안 제2 모드를 실행하는 1주기 동작을 설정 회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 시간, 제2 설정 시간, 설정 회수는 원격 제어 수단(13) 등을 통해 사용자(환자 또는 의료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조임 부재가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되는 경우, 조절부는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하여 조임부재를 감거나 풀 수 있으며, 조절부에는 측정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1 모드는 제어기가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증가(또는 감소)시켜 형상 기억 합금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조임 부재를 감는 모드이고, 제2 모드는 제어기가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감소(또는 증가)시켜 형상 기억 합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조임 부재를 푸는 모드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3)에는 제어기(42)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3)에는 신체에 가해진 현재 압력 상태, 목표 압력 상태, 압박 모드,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의 기기 상태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표시 부재, 사용자의 설정을 지원하는 입력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3)은 디스플레이 및 다양한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이를 통해 현재 압력 상태, 목표 압력, 압박 모드, 전원부의 충전 상태 등의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격 제어 수단(13)은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에 따라 조절부(122)와 연동하여 최종 목표 압력과 이에 도달하기 위해 모터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는 속도, 조임을 풀기 시작하기까지의 압박 유지 시간, 조임을 푸는 속도, 일련의 압박과정을 시행하는 주기 및 빈도 등의 압박 수행 방식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수단(13)은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거나 사용자 개인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변경 및 응용할 수 있다.
도 6, 도 7, 도 8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압박 단위 혹은 압박 챔버(50)로 구성된 연속 압박 기기에 대한 예시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두 개의 압박 챔버(50)를 가지도록 구성된 연속 압박 기기의 구성에 대한 예시 도면이고, 도 8은 6개의 압박 챔버(50)를 가지도록 구성된 연속 압박 기기의 구성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각 압박 챔버(50)에는 지지 유니트(11) 및 압박 유니트(1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압박 챔버(50)가 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속되게 연결되는 것은 특정 압박 챔버의 가장자리가 다른 압박 챔버의 가장자리에 재봉질 등을 통해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압박 챔버(50)에 구비된 각 압박 유니트(12)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을 갖는 다시 말해, 직경과 형상이 위치마다 달라지는 신체에 맞춰 각 압박 챔버(50)가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압박 챔버(50)는 착용 부위에 단위 별로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는 구성 단위를 말하며, 각각의 압박 챔버(50)마다 단위 커프(501), 단위 가압부(502), 단위 조절부(503), 단위 전원부(504), 단위 하우징(505)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두 개의 압박 챔버(50)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근위 압박 챔버(51)와 원위 압박 챔버(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복수의 압박 챔버(50)가 추가될 수 있어, 몇몇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원위 압박 챔버(52)는 종아리 부위에서 발목에 가까운 부위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근위 압박 챔버(51)는 종아리 부위에서 허벅지에 가까운 부위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원위 압박 챔버(52)는 근위 압박 챔버(51)와 대비하여 심장에서 먼 신체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근위 압박 챔버(51)에는 제1 지지 유니트(511) 및 제1 가압부(512)가 마련될 수 있다. 원위 압박 챔버(52)에는 제2 지지 유니트(521) 및 제2 가압부(522)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압박 챔버(50)의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 하우징(505), 단위 조절부(503), 단위 전원부(504)가 마련될 수 있다. 단위 조절부(503)에는 근위 압박 챔버(51)를 조이는 제1 와이어(61)과 원위 압박 챔버(52)를 조이는 제2 와이어(62)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각 압박 챔버(50)마다 독립된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압박 챔버(51) 측에는 제1 조절부(513)이 마련되고, 원위 압박 챔버(52) 측에는 제2 조절부(5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절부에는 별도의 전원부가 연결되거나, 도 7과 같이 단일의 분배 전원부(524)가 제1 조절부(513) 및 제2 조절부(523)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압박 챔버(50)는 개별적으로 가압과 압박 해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일례로 도 6의 경우 혈류 순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원위 압박 챔버(52)부터 근위 압박 챔버(51)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압박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박 챔버로 구성했을 시 원위부터 근위로 순차적 조임 형태로 조절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마사지 모드의 경우 리드미컬하게 연속적인 조임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압박 챔버(50) 간의 가압 속도 및 가압 시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례로 깊은정맥혈전증 방지를 위한 혈류 순환의 목적인 경우, 원위 챔버(52)와 근위 챔버(51)의 가압 속도를 1초 이내에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두 챔버 간의 가압 시차가 1초 내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부종 제거의 경우 상기 경우보다 개별 압박 속도를 늦추고, 압박 지속 시간을 길게 하며, 각 챔버 간의 가압 시차를 늘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압박 챔버(50)를 포함한 경우 단위 가압부(512, 522)와 단위 조절부(503)의 구성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도 6의 경우 압박 챔버(51, 52)는 두 개로 구성되어, 단위 커프(511, 521)와 단위 가압부(512, 522)는 각각의 압박 챔버(51, 52)마다 포함되나, 단위 조절부(503), 단위 전원부(504), 단위 하우징(505)은 한 개로만 구성되어 두 단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개의 단위 조절부(503) 내에 두 개의 전기식 모터(41)와 두 개의 보빈(43)을 구성하여 각각의 압박 챔버(51, 52)를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타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하우징(505) 내에 전기식 모터(41)와 보빈(43)은 한 개로 구성하되, 각각의 압박 챔버(51, 52)를 지나가는 단위 와이어(61, 62)의 탄성도를 다르게 하여 각 챔버(51, 52)의 압박 속도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위 와이어(61, 62)는 한 개의 보빈(43)에 연결되어 가압시 동시에 회전하여 조임이 시작되나, 근위 와이어(61)가 원위 와이어(62)보다 탄성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하여 목표 압력까지 압박되는 시간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단위 조절부(512, 522)를 복수로 포함하여 각각의 압박 챔버(51, 52)마다 개별적으로 존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단위 전원부(504)는 추후 충전 등의 편의상 한 개로 구성하여 두 단위 조절부(512, 522)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복수의 압박 챔버(50)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예시로서, 복수의 단위 조절부(503)와 복수의 단위 가압부(502)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기의 구성이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전기식 휴대용 신체 연속 압박을 위한 기기로써, 기존의 공기압식 연속 압박 기기에 비해 소음이 적고,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며, 편리한 착용감과 높은 휴대성, 가동성을 제공해 장기간 착용을 가능하게 하여 혈액 순환, 부종 감소,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압박 장치 11...지지 유니트
12...압박 유니트 13...원격 제어 수단
21...와이어 22...가이드
30...하우징 31...상판
32...사출부 33...하판
34...수용 공간 35...회전축
41...모터 42...제어기
43...보빈 45...연결 단자
50...압박 챔버 51...근위 압박 챔버
52...원위 압박 챔버 61...제1 와이어
62...제2 와이어 90...신체
111...커프 112...고정 부재
113...연결 부재 121...가압부
122...조절부 123...측정부
124...전원부 501...단위 커프
502...단위 가압부 503...단위 조절부
504...단위 전원부 505...단위 하우징
511...제1 지지 유니트 512...제1 가압부
513...제1 조절부 521...제2 지지 유니트
522...제2 가압부 523...제2 조절부

Claims (16)

  1. 신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 유니트;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조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잡아당기는 압박 유니트;
    를 포함하는 압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마련되고,
    상기 압박 유니트는 물리적으로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겨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을 감싼 상기 지지 유니트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을 줄이면서 상기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형상 기억 합금이 마련되고,
    상기 압박 유니트는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압박 유니트는 온도에 따른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형상 변화 또는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의 외주면을 감싼 상기 지지 유니트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지름을 줄이면서 상기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가 마련되고,
    상기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일단부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타단부를 따라 배열되며,
    상기 압박 유니트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고,
    서로 가까워지는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로 인해 상기 커프는 상기 신체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압박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가 마련되고,
    상기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프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에 감긴 상기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가 배치되며,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조임 부재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커프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하고,
    서로 가까워지는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로 인해 상기 커프는 상기 신체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압박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 상기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된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제2 커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커프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일면은 상기 신체에 대면 접촉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조임 부재에 대면되는 압박 장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조임 부재의 조임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커프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에 맞춰 형상이 가변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압박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임 부재가 상기 외주면의 일측을 감싸는 제1 커프의 일단부와 상기 외주면의 타측을 감싸는 제2 커프의 타단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커프의 타단부에는 제1 고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커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착탈되는 제2 고정 부재가 마련된 압박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조임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쳐지는 제1 가이드가 배열되고,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조임 부재가 출입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이 외부에 노출된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의 사이 구간은 상기 조임 부재가 구부러지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구간으로 인해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지지 유니트의 타단부에 대면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멍 및 상기 제2 구멍을 통해 출입하는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지지 유니트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압박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가 마련되고,
    상기 신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신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때,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또는 상기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가 상기 커프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프의 일단부가 정방향을 따라 가며 상기 신체의 일부를 감쌀 때, 상기 제1 가이드에 지지된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정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2 가이드 또는 상기 조절부에 곧바로 지지되며,
    상기 커프에서 상기 커프의 일단부와 상기 커프의 타단부 사이의 가운데 부분이 정의될 때,
    상기 압박 유니트에 의해 상기 조임 부재가 조여지면, 상기 조임 부재가 미경유하는 상기 가운데 부분 전체는 상기 신체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신체를 압박하는 압박 장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커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또는 상기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가 상기 커프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프의 일면이 상기 신체에 대면될 때,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커프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 또는 상기 조절부를 향해 인출된 상기 조임 부재를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설정 높이까지 상기 제1 가이드가 상기 커프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압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조임 부재를 잡아당기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지지 유니트 또는 상기 신체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측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조임 부재가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측정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마련되는 압박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조임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지지 유니트 또는 상기 신체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측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측정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마련되는 압박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혈류량을 측정하는 혈류 측정 센서, 신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길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압박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보빈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조임 부재를 감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보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조임 부재를 푸는 제2 모드로 상기 조임 부재를 제어하고,
    모터 또는 상기 제어기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는 1주기 동작을 설정 회수 반복하는 압박 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하는 원격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는 상기 신체에 가해진 현재 압력 상태, 목표 압력 상태, 압박 모드,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의 기기 상태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표시 부재, 사용자의 설정을 지원하는 입력 부재가 마련된 압박 장치.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니트, 상기 압박 유니트가 구비된 압박 챔버가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압박 챔버가 상기 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되게 연결되며,
    각 압박 챔버에 구비된 각 압박 유니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압박 장치.
KR1020210105078A 2021-08-10 2021-08-10 연속 압박 장치 KR10255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78A KR102552967B1 (ko) 2021-08-10 2021-08-10 연속 압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78A KR102552967B1 (ko) 2021-08-10 2021-08-10 연속 압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846A true KR20230023846A (ko) 2023-02-20
KR102552967B1 KR102552967B1 (ko) 2023-07-07

Family

ID=8532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78A KR102552967B1 (ko) 2021-08-10 2021-08-10 연속 압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916A (ja) * 1994-03-17 1998-01-27 エフエフヴェー アエロテク アクティエ ボラーグ 人体に外圧を及ぼすための装置
JP2005304960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装置
KR101167957B1 (ko) * 2012-01-18 2012-07-23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KR101572974B1 (ko) 2015-08-31 2015-12-01 주식회사 디메디 휴대형 압박순환 마사지 기구
KR102140505B1 (ko) * 2019-12-17 2020-08-03 박의한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KR20210070410A (ko) * 2019-12-03 2021-06-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916A (ja) * 1994-03-17 1998-01-27 エフエフヴェー アエロテク アクティエ ボラーグ 人体に外圧を及ぼすための装置
JP2005304960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装置
KR101167957B1 (ko) * 2012-01-18 2012-07-23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지지 성능 및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환부 지지대
KR101572974B1 (ko) 2015-08-31 2015-12-01 주식회사 디메디 휴대형 압박순환 마사지 기구
KR20210070410A (ko) * 2019-12-03 2021-06-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KR102140505B1 (ko) * 2019-12-17 2020-08-03 박의한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67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1356A1 (en) Compression Device
US9326911B2 (en) Compression integument
US10441491B2 (en) Compression device
CN102440894B (zh) 具有基线压力的加压衣装置
US200701738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counterpulsation
JP7268066B2 (ja) 圧縮デバイス
US10617593B2 (en) Compression integument
US20070272250A1 (en) External pulsation treatment apparatus
US20110009795A1 (en) Hybrid compression garmet
US20200297569A1 (en) Compression devices
KR102552967B1 (ko) 연속 압박 장치
WO2021150619A1 (en) Adjustable compression treatment system
CN109998886A (zh) 基于心电控制的便携式体外反搏康复装置和康复方法
KR102470607B1 (ko) 와이어 구동 방식을 적용한 압박기 시스템
KR102470608B1 (ko)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CN215779742U (zh) 一种可穿戴气动式仿生下肢按摩仪
CN112022475A (zh) 一种基于磁振热治疗仪的慢性软组织损伤的护理装置
US8114037B2 (en) Hydraulically actuated external pulsation treatment apparatus
CN113908034A (zh) 一种可穿戴气动式仿生下肢按摩仪
US20210275394A1 (en) Compression garments for a limb of a person and method for donning them
CN220344567U (zh) 一种带有下滑报警功能的下肢牵引带
US20240180753A1 (en) Compression apparatus
KR102571143B1 (ko) 교체형 와이어 구동 방식을 적용한 경량화 압박기 시스템
CN219049344U (zh) 一种机械拉伸式体外反搏装置和系统
EP4319694A1 (en) Compres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