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774A -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774A
KR20150122774A KR1020157027099A KR20157027099A KR20150122774A KR 20150122774 A KR20150122774 A KR 20150122774A KR 1020157027099 A KR1020157027099 A KR 1020157027099A KR 20157027099 A KR20157027099 A KR 20157027099A KR 20150122774 A KR20150122774 A KR 2015012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fastener
line
fitness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722B1 (ko
Inventor
로버트 자코버스 요하네스 보케마
Original Assignee
인텔렉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인텔렉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2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발목용 밴드 (1). 상기 발목용 밴드는 패스너 (2), 베이스 요소 (3) 및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연결 부재 (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라인을 통해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한 연결을 허용한다. 탄성 부재 (51)는 상기 연결 부재 (5)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멀어질 때 용수철 힘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 (51)는 가해지는 힘이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를 되돌아가게 한다. 상기 기설정된 초기 위치는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을 상기 장치에 부착할 때 유리하다. 상기 라인은 단지 하나의 손에 의해 상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FOR GUIDING A LINE OF A FITNESS APPARATUS}
본 발명은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하체 또는 상체의 말단에 부착되는 신체용 밴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발목용 밴드이다.
프랑스 특허 번호 제 FR358.494호는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피트니스 기구를 개시한다. 상기 피트니스 기구는 발목용 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발목용 밴드는 사용자의 발목에 상기 발목용 밴드를 부착하도록 감싸질 수 있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상기 발목용 밴드는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해 도르래 (pulley)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은 상기 도르래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도르래의 휠(wheel)을 둘러싸고 라인을 감는다. 상기 도르래는 원형고리(ring)에 의해 상기 스트랩에 연결된다. 상기 원형고리는 상기 도르래에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개방성을 제공하여, 상기 피트니스 운동 중에 상기 라인의 모든 방향을 따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목용 밴드의 문제점은 현대의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있다. 사용자들은 피트니스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편리한 고성능의 장치들을 요구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도 1a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f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팽이(diabolo) 형태이다;
도 1g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h는 도 1g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i 는 사용자의 발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는 발목에 상기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양말을 포함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 는 분리형 아이템으로서 착용되는 상기 양말의 사시도이다; 및
도 2c 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통합형 아이템으로서의 도2a에 따른 상기 양말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술된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및/또는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친화적이고 운동에 더욱 다양성을 제공하는 피트니스 운동 수행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피트니스 기구를 사용하여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피트니스 기구는 하나의 라인을 포함하는데, 코드, 케이블, 무탄력성 줄, 탄력성 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이와 같은 라인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신체용 밴드, 더욱 특별하게는 발목용 밴드에 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상기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패스너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 진 것일 수 있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여 옷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입기에 편리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패스너의 외부 표면에 연결된 베이스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연결 요소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및 상기 베이스 요소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라인을 통해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상기 베이스 요소에 대해서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용수철 힘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가해진 힘이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력성 부재의 축방향 연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기설정된 초기 위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상기 이점은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을 상기 장치에 부착할 때 유리하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상기 기설정된 초기 위치에서 안정적이어서, 상기 라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라인은 하나의 손만을 사용해서도 상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초기 위치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동안에 더욱 유리하다. 예컨데, 상기 장치를 발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런닝 운동을 하는 동안에,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상기 기설정된 초기 위치에 머무를 수 있어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사용자의 발 주위로 움직이며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는 단일 아이템으로 통합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연결 부재 안으로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설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장방형(oblong)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방사형 방향으로 굴절가능한 가늘고 긴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이스 요소로부터 상기 가이던스 요소까지 연장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축방향 축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의 근접 말단은 상기 베이스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의 원거리 말단은 상기 가이던스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굴절가능한 슬리브는 연결 부재로서 역할을 하고 추가적으로 탄성 부재를 결합하여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완전한 고체의 몸체 또는 중공관상체(tubular hollow body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는 상기 연결 부재의 제어된 원활한 굴절을 유리하게 하는 나선형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팽이(diabolo) 형태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치수 상으로 작은 중간 영역 및 더 넓은 말단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중간 영역은 탄력성을 제공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측면방향 유연성을 갖도록 도움을 주고, 축방향의 바람직하지 않은 연장을 막도록 상기 전체적 몸체는 축방향으로 충분히 견고하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단일 아이템인 연결 부재 역할을 하여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상기 베이스 요소에 연결하도록 하고, 팽이 형태 연결 부재는 방사형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는 탄력 부재 및 축방향의 허용되지 않는 연장을 막는 제한기 두 가지 모두를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탄력 부재는 별도의 아이템들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제한기로서 작용하는 연결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탄력 부재는 용수철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막대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 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수철은 상기 연결 막대를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 상기 연결 막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한기는 단일 아이템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개별 구성요소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기는 상기 탄력 부재가 축방향으로 허용되지 않는 거리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한기는 상기 탄력 부재의 경량(lightweight) 설계가 피트니스 운동 중에 가해진 힘에 의해 유발된 손상을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한기는 상기 탄력 부재에 평행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기는 상기 탄력 부재의 중앙선을 따라서 구비된다. 상기 제한기는 상기 탄력 부재의 관통 구멍 (through hole)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기는 코드 종류와 같은 철사 요소로서, 허용되지 않는 축방향 연장을 방지하면서 상기 탄력 부재와 함께 방사형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갖는다. 상기 철사 요소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및 상기 베이스 요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요소에 대해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패스너는 사용자의신체 일부의 세로 축에사용시에 대응하는 세로축 L-L을 한정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로축 L-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기 초기 위치에 있다. 실질적이란 것은 상기 세로축에 대해서 약 5도부터 10도까지 완전한 평행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치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사용자의 하부 또는 상부말단의 축방향 축에 맞춰진 초기 위치에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스너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상부영역까지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발목용 밴드로서 구비된 웨어러블 장치의 경우에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발목용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의 수직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특히,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세로축 L-L로부터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굴절한 후에 멀어진다. 작동 위치에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축방향 축은 상기 세로축L-L에 대해서 특정한 각도로 위치된다. 특히, 베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의 꼭대기의 중앙축과 상기 세로축 L-L 사이의 예각은 적어도 15도, 특히 적어도 30도, 더욱 특히 적어도 45도 이다. 상기와 같은 배치는 사용자의 발목에 발목용 밴드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부착된 경우에 특히 유리하고, 여기서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은 운동 중에 사용자의 발목을 통해 손까지 엉덩이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배치에서, 상기 라인은 상기 가이던스 요소 및 상기 연결 부재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어진다. 상기 연결 부재는 피트니스 운동 중에 발생하는 힘을 원활하게 보상하기 위한 서스펜션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초기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요소는 제1 및 제2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한 가이던스 요소의 반대 방향인 상기 베이스 요소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잠금 부재와 체결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요소는 정지된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움직여 방해가 되지 안도록 운동 중에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요소는 자석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자석 잠금 요소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안정된 위치가 되도록 붙잡을 수 있는 자성 영역을 제공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루브(groove) 및 릴(ril)의 한 쌍 또는 파인홈(recess) 및 보충 상승부 한 쌍을 포함하는 기계적 잠금 요소와 비교할 때 상기 자석 잠금 요소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더 넓은 영역 상에서 붙잡아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가이던스 부재, 특히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던스 휠은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던스 휠은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을 안내하기 위해 원주의 러닝 서피스(running surface)를 갖는다. 상기 원주의 러닝 서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을 포함하기 위해 파여있는 활동 트랙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던스 휠은 상기 라인을 상기 가이던스 휠 동작으로부터 막아주는 휠 프랜지들(wheel flange)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부재를 상기 홀더에 연결하기 위해 단면 연결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던스 멤버는 상기 단면 연결에 의해 상기 홀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L 자형이다. 상기 안내 부재는 단면 서스펜션을 가진다. 특히, 상기 가이던스 휠은 단 하나의 플랜지 쪽에서 상기 홀더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던스 휠의 플랜지 반대쪽은 연결 구성요소로부터 자유로워서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접속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사용자는 상기 가이던스 부재를 향하고 부재로부터 빈번하고 용이하게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한 상기 피트니스 기구를 매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정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트니스 기구가 상기 라인을 감기 위해 구비된 감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라인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어 모든 장비를 신속하게 정돈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가이던스 휠의 플랜지에 있는 상기 단면 연결에 대한 상기 측면은 피트니스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를 성취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상기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패스너, 상기 패스너에 연결된 베이스 요소,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던스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부재는 제1 및 제2 휠 플랜지를 포함하는 가이던스 휠이고,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휠은 홀더에 단면 연결을 갖고,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휠은 홀더에 제1 휠 플랜지에서 연결되고 제2휠 플랜지는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수용하기 위해 접근가능하도록 남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특허가능한 것으로 언급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향하고 장치로부터 빈번하고 용이하게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연결 및 연결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은 상기 단일면 연결로부터 반대편 상에 있는 상기 가이던스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뚜껑은 상기 가이던스 부재의 개방 방향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외측 콘투어에 돌출형 핑거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형 핑거는 상기 가이던스 부재의 외측 콘투어를 넘어서 연장된다. 상기 돌출형 핑거는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걸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돌출형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이 상기 가이던스 부재로부터 원치 않는 단절이 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패스너는 광범위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패스너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둘러싸는 패드이다. 상기 둘러싸는 패드는 신체 일부에 상기 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엘라스틱 밴드이다. 상기 엘라스틱 밴드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틱 밴드를 스트레칭함으로써,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옷감이다. 상기 패스너는 장갑, 양말 또는 신발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요소가 상기 패스너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패스너는 개별 아이템으로서 착장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베이스 요소가 상기 패스너에 스냅(snap) 단추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양말과 같은 패스너에 대한 것으로, 상기 패스너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결합하여 착장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는 별도로 신체 일부에 착장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는 제1단계에서 착장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조립된 상태가 되도록 다음 단계에서 상기 패스너에 부착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착장 장치에 부착되기 위해 구비되는 부착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상기 패스너에 부착한 후에,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스너는 패드 형태의 부착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형태의 부분은 돌출형이다. 상기 패드 형태의 부분은 기타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발목용 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패드 형태의 부착 부분은 사용자의 발목에 꼭 맞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부착 부분은 부드러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부드러운 영역은 상기 패스너의 내부 측에 구비되어, 특히 발목 부위와 같은 신체 일부에 묶이는 피로감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스너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좌측 및 우측 패스너 한 쌍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패스너는 상기 우측 패스너와 거울상 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스너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슬리브 (sleeve) 형상이다. 특히, 상기 패스너는 사용자의 다리들 둘러싸며 딱 맞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스너는 양말 형상이다. 상기 양말 형상의 패스너는 발가락-말단 개방형 및/또는 발꿈치-말단 개방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옷감, 일례로 사용자의 신발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클립핑하기 위한 클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는 상기 패스너의 상기 내측 표면 및 상기 가이던스 요소의 중앙 사이의 적어도 20mm, 특히 적어도2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30mm의 거리를 두고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사용 시에 상기의 거리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상기 라인과 거리를 두게 하여, 운동 중에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라인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신체 부위들과 상기 라인 사이의 접촉들이 적어도 25mm 인 경우부터 매우 감소한 것으로 실험결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특정 기능들은 또한 도시된 실시예로 부터 별도로 고려될 수 있고, 단지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가 아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제한하는 기능으로서 보다 광범위한 의미로 고려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 특히 신체용 밴드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상기 신체용 밴드 (1)는 도 1b 내지 도 1e 각각에서 전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에서 추가적으로 도시된다.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상기 신체용 밴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표시한다. 청구항 및 명세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P, Q, R 좌표계 및 중력에 대하여 수직방향, 수평방향, 세로방향 , 단면방향이라는 용어들은 제한적이지 않은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신체용 밴드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신체용 밴드는 사용자의 하체 또는 상체의 말단, 특히 손목, 발목, 무릎 또는 팔꿈치, 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체용 밴드는 상기 신체용 밴드가 신체 부위에 부드럽게 부착되게 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패드 (2)를 가진다. 상기 패드는 폐쇄형 엘라스틱 밴드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패드 (2)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벨트 (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둘러싸는 패드 (wraparound pad)이다. 상기 폐쇄 벨트 (21)는 상기 패드 (2)에 연결된다. 상기 폐쇄 벨트 (21)는 상기 패드 (2)에 박음질될 수 있다. 상기 폐쇄 벨트 (21)는 상기 벨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한 쌍의 벨트들 (21)이 신체를 둘러싸며 상기 패드를 폐쇄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도시된 신체용 밴드는 발목용 밴드로 설계된다. 상기 발목용 밴드는 발벨트 (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발벨트 (22)는 사용자의 발꿈치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발벨트 (22)는 상기 발목용 밴드의 상기 패드 (2)의 아래쪽에서 연장된다. 상기 발벨트 (22)는 상기 폐쇄 벨트 (21)에 대한 횡단 방향에서 연장된다. 상기 발벨트 (22)는 사용자의 발꿈치에 부착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벨트이다. 사용자는 상기 발목 벨트의 상기 발벨트 안으로 발꿈치를 놓을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세로축 L-L을 한정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세로축 L-L은 사용자의 종아리와 같은 말단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시에 연장된다. 상기 발목용 밴드에 세로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발목용 밴드가 상기 세로축 L-L을 따라 위로 움직이는 것을 상기 발벨트 (22)가 방지해준다. 추가적으로, 상기 발벨트 (22)는 사용 중에 상기 폐쇄 벨트 (21)에 더 약한 밀착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발목용 밴드의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상기 발목용 밴드 (1)는 베이스 요소 (3)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무탄력성 구성요소이다. 상기 베이스 요소는 상기 패드 (2)에 연결된 후면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상기 패드 (2)의 외측 표면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사출 성형된 아이템이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실질적으로 블록 (block) 형태로 된 베이스 몸체 (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전면에 가이던스 요소 (4)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대 (3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 (31)는 상기 베이스 몸체 (30)로 부터 돌출된다. 상기 지지대 (31)는 상기 베이스 몸체 (30)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대 (31)는 연결 부재 (5)를 위치시키기 위한 원통형 돌출부 (311)를 포함한다.
상기 발목용 밴드는 가이던스 요소 (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휠 (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휠은 상기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원주방향의 러닝 서피스(running surface)를 가진다. 상기 라인은 상기 가이던스 휠 (40)의 접속가능한 면으로부터 상기 러닝 서피스를 둘러싸고 배치될 수 있다. 단 하나의 면에서, 상기 가이던스 휠은 상기 가이던스 요소의 홀더 (42)에 연결된다. 상기 홀더 (42)는 L자 형이고, 세로 방향의 지지대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42)는 상기 가이던스 휠 (40)을 정리하기 위한 원통형의 돌출부 (44)를 상기 세로방향의 다리에 포함한다. 상기 가이던스 휠 (40)은 상기 홀더 (42)의 상기 세로방향의 다리에 단일면 연결을 가진다. 상기 단일면 연결은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빈번하고 빠르게 배치하기 위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던스 휠까지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단일면 연결에 반대 방향에, 상기 가이던스 휠 (40)은 뚜껑 (41)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 (41)은 상기 가이던스 휠 (40)의 측면을 덮는다. 상기 뚜껑 (41)은 상기 발목용 밴드의 세로축 방향 L-L에서 특히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형 핑거 (410)을 가진다. 상기 돌출형 핑거 (410)는 상기 가이던스 휠 (40)에 대해 방사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형 핑거 (410)는 상기 라인을 배치하는 것을 돕고, 라인이 배치된 후에 상기 라인이 상기 가이던스 휠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가이던스 휠 (40)과 상기 홀더 (42)의 상기 지지대 다리 사이의 공간을 제한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연결 부재 (5)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멀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가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자유도(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에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에 의해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세로축 L-L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작동 위치는 상기 세로축 L-L에 대해 방향이 바뀐 위치이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연결 부재 (5)를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게 하기 위한 탄력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를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거리를 두고 연결하기 위한 제한기로서의 무탄력성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력 부재 (51)로서 별도의 용수철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무탄력성 몸체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회전 가능하게 (pivotally) 연결된 막대로서 구비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별도의 용수철은 상기 무탄력성 몸체를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는 용수철 힘을 발취한다.
도1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 (5)는 플렉서블하고 결합된 탄력 부재 (51)를 가진다. 상기 연결 부재 (5) 및 상기 탄력 부재 (51)는 단일 아이템으로 통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 (51)는 슬리브 형태이다. 상기 연결 부재 (51)는 가늘고 긴 (elongated) 몸체를 가진다. 특히, 상기 가늘고 긴 몸체는 속이 비어있다. 상기 가늘고 긴 몸체는 축방향의 축을 가진다. 상기 탄력 부재 (51)의 상기 축방향의 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세로축 L-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초기 위치에 위치한다. 도1e에서, 상기 탄력 부재 (51)는 탄력성의 나선형 몸체를 가진다. 상기 나선형 몸체는 상호 간에 압축가능한 다수의 권선들을 포함한다. 견고한 몸체와 비교하여, 상기 나선형 몸체는 상기 탄력 부재를 더욱 잘 구부러지도록 만든다. 도 1f에서, 상기 연결 부재 (5)는 통합된 탄력 부재 (51) 및 통합된 제한기 (5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팽이 형태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가늘고 긴 형태이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의 상기 지지대 (41)에 연결된 제1말단 및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상기 홀더 (42)에 연결된 제2말단을 가진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상기 말단 부분들에 비해서 상태적으로 가느다란 중간 영역을 갖는데 이는 방사형 측면 방향들로 유연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력 부재 (51)는 상기 연결 부재 (5)에 결합된다. 상기 팽이 형태 몸체는 세로 방향으로 무탄력성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허용가능하지 않은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팽이 형태 몸체 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탄력 부재 (51) 및 상기 제한기 (52)를 단일 아이템으로 결합한다.
도1e에 도시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 (5)는 분리된 아이템으로서 제한기 (도1h에 추가적으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한기는 상기 연결 부재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을 보상한다. 상기 제한기는 허용가능하지 않은 축방향의 강한 힘에 의해 유발된 상기 탄력 부재 (51)에 대한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한기는 신축성 요소이고, 특히 코드선과 같은 전선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제한기는 상기 연결 부재 (5)의 중앙축을 중심으로 장착가능하다. 상기 탄력 부재 (51)는 상기 제한기의 통로로서 중앙통과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제한기의 제1말단은 클램프 연결(37)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상기 지지대 (31)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한기의 제2말단은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상기 홀더 (42)에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 연결 (37)은 상기 베이스 요소 (3)의 중간 영역에 위치된다. 도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 연결은 대안적으로 상기 베이스 요소의 상기 지지대 (31)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e는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발목용 밴드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e의 상기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 (30)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를 기설정된 초기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 요소 (38)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요소 (38)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잠금 요소 (38)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회전축에 정렬된다. 상기 잠금 요소 (38)는 제1 및 제2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잠금 요소 (38)는 제1 및 제2 자성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제2 자성 부재가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대해 상기 가이던스 요소를 위치 시키고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자성 부재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제2 자성 부재에 정렬된다.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탑재되는 자성 개체이다. 상기 제2 자성 부재 (43)는 여기서 스크류 (423)이다. 상기 스크류 (423)는 상기 가이던스 휠의 중앙축에 위치된다. 상기 스크류 (423)는 상기 가이던스 휠 (42)을 축방향으로 탑재하기 위해 상기 뚜껑 (41)에 연결된다. 도 1g는 일부 측면들에 맞춰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h는 도1g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패드를 포함하는 패스너 (2)를 가진다. 상기 패드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고, 발벨트 (22)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23)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23)은 상기 패드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패드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패드를 또 다른 웨어러블 개체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패드를 사용자의 신발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발에 상기 패드를 연결하기 위해 신발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해 메어질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패드가 사용자의 다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23)은 상기 발벨트 (22)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패드 (2)에 연결된 베이스 요소(3)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베이스 몸체 (30)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몸체 (30)는 블록 형태이다. 상기 몸체의 후방 측면은 상기 패드 (2)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 (30)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의 기설정된 높이를 한정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가이던스 요소 (4)를 상기 패드 (2)의 내측면으로부터 적어도 20mm 의 기설정된 거리에 두어서 안내 라인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노출면을 만들도록 충분히 넓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노출면은 정보를 노출하기에 적합하다. 상기의 경우에, 상기 노출면들은 상표명인 'DISQ' 라벨이 제공된다.
전방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 (30)에는 지지대 (31)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는 연결 부재 (5) 및 가이던스 요소 (4)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상기 연결 부재 (5)에 의해 상기 지지대 (3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신축성있게 구부러질 수 있고 탄력 부재 (51)를 결합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지지대 (31)에 핀-홀(pin-hole) 연결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 (5)의 돌출부가 상기 지지대 (31)의 홀 안으로 수용되는 핀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연결 부재 (5)가 상기 베이스 요소 (3)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기 (52)를 포함한다.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연결 부재 (5)의 구부러진 굴절을 허용하지만,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대한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연결 부재 (5)의 이탈을 막는다.
상기 제한기 (52)는 전선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제한기는 하나의 코드선이다. 상기 제한기 (52)는 하나의 말단에서는 클램프 연결에 의해서, 제2 말단에서는 간단하고 안정적인 단일 말단 조립체를 허용하는 폼클로저(form closure)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연결된 제1말단을 가진다. 상기 제한기 (52)의 상기 제1말단은 클램프 연결 (37)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클램프된다. 상기 클램프 연결 (37)은 상기 베이스 몸체 (30)의 내부 공간 안에 위치된다.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베이스 요소 (3)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 (5)의 가이던스 채널 (511)을 통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를 상기 연결 부재 (5)에 추가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한기 (52)는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상기 홀더 (42)에 연결된 제2말단에 있다.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제한기 (52)에 의해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와 상기 베이스 요소 (3) 사이에 포획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연결 부재 (5)의 상기 가이던스 채널 (511)에 정렬하여 상기 연결 부재 (5) 및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의 하위조립체 내에 있다. 상기 제한기 (52)의 제2 말단은 폼클로저에 의해 상기 가이던스 요소 (4)에 연결된다. 상기 폼클로저는 상기 제2 말단이 상기 홀더 (42)의 통로 내에 좁아지는 부분과 인접 체결되는 두꺼운 부분 (521)을 포함하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좁아지는 부분은 상기 통로 내에서 상기 두꺼운 부분을 막는다.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 (4), 상기 연결 부재 (5) 및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단순한 방식에 의해 상호 간에 상기 제한기 (52)에 의해 연결된다.
도1i은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 (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를 고정하기 위한 패드 형태의 패스너 (2)를 포함한다. 폐쇄하기 위해서 벨트들 (21)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발목에 둘러 싸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사용자의 발 아래로 연장되는 발벨트 (22)를 포함한다. 상기 발벨트 (22)는 스트립 형태이다. 신발들을 신을 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패스너 (2)에 제공된 구멍들 (23)을 통해 상기 끈들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신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양말 (2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양말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를 사용자의 발목에 편하게 부착하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연결된 둘러싸는 패드 (2)를 포함하는 발목용 밴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 (2)의 조립체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둘러싸는 패드 (2) 및 상기 양말 (28)을 포함한다. 상기 양말 (28)은 상기 베이스 요소 (3)로부터 해제가능하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아이템으로서 착장될 수 있다. 상기 둘러싸는 패드 (2)는 벨크로 (Velcro) 또는 스냅 단추로 상기 양말 (2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말 (28)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패드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양말의 외측면에 발목 높이로 위치하는 두꺼운 패드 형상의 부분 (29)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형상의 부분 (29)은 상기 양말 (28)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양말 (28)의 상기 패드 형상의 부분 (29)은 더욱 편안해지도록 기능한다. 특히, 상기 패드 형상의 부분 (29)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1)의 높이 치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 치수 (상기 양말의 세로 방향 L-L로 도시됨)를 갖는 사이즈이다. 실질적으로 라는 의미는 상기 패드 형상의 부분 (29)의 상기 높이 치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1)의 둘러싸는 패드 (2)의 높이 치수 보다 최대 1센치미터, 특히 0.5센치미터가 더 크다.
한 쌍의 양말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양말은 왼쪽발에 착장되는 왼쪽 양말 및 오른쪽발에 착장되는 오른쪽 양말을 포함한다. 한 쌍의 양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왼쪽 및 오른쪽 양말들은 상기 양말의 내측 및 외측면에 발목 높이에 제1 및 제2 패드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형상의 부분 (29)은 밴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밴드는 양말의 발목 영역 전체를 둘러싸고 연장된다. 도2 a에서, 상기 둘러싸는 패드 (2)에 연결된 상기 발벨트 (22)는 상기 양말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상기 발벨트 (22)는 상기 양말 (28)의 발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2c는 상기 패스너 (2)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상기 발벨트 (22)는 상기 양말 (28)의 하부 영역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발벨트 (22)는 피트니스 운동 중에 발생하는 힘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양말의 강화된 영역이다. 상기 강화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양말 (28)은 상기 신체 일부의 세로 방향 L-L 에 작용하는 힘을 보항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양말 (28)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상기 양말 (29)에 바느질 되어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 (1)는 사용자의 발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 (1)의 고정을 강화하기 위한 둘러싸는 패드 (2)를 포함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 같이, 상기 양말 (28)은 발가락 개방 영역 및 발꿈치 개방 영역을 가진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신체용 밴드의 상기 패드는 스트립 형태의 둘러써는 패드처럼 도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는 양말 또는 신발과 같은 옷감의 형태의 패드, 신발 클립, 또는 폐쇄형 원주형 밴드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명확히 서술된다. 상기 신체용 밴드 및 특히 상기 패드는 신체 일부에 착용하는 장치를 위한 부착 수단들로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당업자들은 상술된 내용을 읽고 상술된 발명 및 이하의 청구되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기술의 관점에서 가능한 변화 또는 변경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교시된 내용을 지향하여 특정 상황 또는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가 수행되고 등가의 대상들이 개별 요소들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가이던스 요소를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한 탄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상기 라인을 빠르게 한손으로 해제하도록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나아가, 상기 가이던스 요소가 운동 중에 안정적인 위치에 유지되는 것에 있어서 유리하다. 가이던스 요소가 질서 없이 움직임으로 해서 유발되는 방해요소가 최소화된다.

Claims (17)

  1.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안내되는 라인을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구를 사용하여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특히 신체용 밴드(1)인, 웨어러블 장치 (1)이되, 여기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 (1)를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부착하기 위한 패스너 (2), 상기 패스너 (2)의 외측 면에 연결된 베이스 요소 (3), 및 상기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던스 요소(guidance element) (4)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연결 부재 (5)에 의해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라인을 통해 힘이 가해질 때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상기 가이던스 요소 (4)가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힘이 부재할 때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려놓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 (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 (51)는 상기 탄성 부재 (51)의 축방향 연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기 (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리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5) 및 상기 탄성 부재 (51)는 단일 아이템으로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51)는 가늘고 긴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51)는 나선형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51)는 팽이(diabolo) 형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1)의 상기 패스너 (2)는 상기 패스너 (2)가 부착되는 신체 일부의 세로축에 사용 시에 대응되는 세로축 L-L을 한정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세로축 L-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 부재 (5)는 상기 세로축 L-L에 대해서 각 아래에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및 제2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요소 (38)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던스 요소 (4)가 초기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잠금 부재는 상기 제2 잠금 부재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부재의 체결 시에 상기 하위조립체를 잠그는 상기 연결 부재 (5) 및 상기 이동가능한 가이던스 요소 (4)의 하위조립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 (38) 는 마그네틱 잠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던스 요소 (4)는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는 가이던스 휠 (4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이던스 휠 (40)은 상기 연결 부재 (5)에 단일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2)는 둘러싸는 패드, 엘라스틱 밴드, 옷감 및 클립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2)는 상기 베이스 요소 (3)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패스너 (2)는 분리형 아이템으로서 착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 (3)는 본체 부분에 대해서 간격을 두기 위해서 적어도 20mm의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발목용 밴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결합하여 장착되도록 설계된 패스너 (2).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양말 형태이고, 상기 패스너 (2)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체결되기 위한 돌출된 패드 형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라인을 포함하는 피트니스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기구는 상기 라인을 감기 위해 배치되는 감기(winding)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기구.
KR1020157027099A 2013-03-05 2014-03-04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KR102149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0395A NL2010395C2 (en) 2013-03-05 2013-03-05 Wearable device for guiding a line of a fitness apparatus.
NL2010395 2013-03-05
PCT/NL2014/050130 WO2014137210A2 (en) 2013-03-05 2014-03-04 Wearable device for guiding a line of a fitness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774A true KR20150122774A (ko) 2015-11-02
KR102149722B1 KR102149722B1 (ko) 2020-10-27

Family

ID=4814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099A KR102149722B1 (ko) 2013-03-05 2014-03-04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14923B2 (ko)
EP (1) EP2964344A2 (ko)
JP (1) JP3203122U (ko)
KR (1) KR102149722B1 (ko)
CN (1) CN105283228B (ko)
BR (1) BR212015021382Y1 (ko)
CA (1) CA2903707C (ko)
HK (1) HK1220937A1 (ko)
NL (1) NL2010395C2 (ko)
WO (1) WO20141372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1309A1 (en) * 2012-05-04 2016-04-14 Functionwear LLC d/b/a WearBands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
US10195475B2 (en) 2012-05-04 2019-02-05 Functionwear, Llc Resistance training system
EP2998004A1 (en) * 2014-09-19 2016-03-23 Mohamed Osama Ahmed Fahmy El'Circy Apparatus for the performance of gymnastics exercises
CN108969293A (zh) * 2018-05-28 2018-12-11 徐州市儿童医院 足踝被动运动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2441A (en) * 1960-02-02 1964-12-22 Karlik Laddie Universal exerciser
US6120423A (en) * 1998-02-18 2000-09-19 Mackey; Teri R.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CN102307628A (zh) * 2009-02-09 2012-01-04 平衡体公司 中心稳定跑步训练系统和设备
US20130017935A1 (en) * 2011-07-13 2013-01-17 Balanced Body, Inc. Reformer exercis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58494A (fr) 1905-10-05 1906-02-17 Gaston Edouard Eugene Laurent Appareil pour augmenter la taille humaine
US5176377A (en) * 1991-02-19 1993-01-05 Wilkinson William T Coordinated arm-leg aerobic walking exercise device
US6280365B1 (en) * 1999-02-03 2001-08-28 Daniel J. Weber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CA2311044A1 (en) * 2000-06-21 2001-12-21 Lester A. Davis Protective sportwear
US6884202B2 (en) * 2002-08-29 2005-04-26 Stacy E. Erwin Exercise device
NO318353B1 (no) 2002-08-30 2005-03-07 Nordisk Terapi As Anordning ved treningsapparat bestaende av et tau som er forbart via en opphengbar omstyring
US7297090B2 (en) * 2005-09-20 2007-11-20 Serafino Torres Personal exercise device
US7563212B2 (en) * 2006-07-27 2009-07-21 Smith Aaron L Tension lin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ing using a tension line exercise apparatus
US8827873B2 (en) * 2009-11-30 2014-09-09 Joel Arnstein Rehabilitation exercise aid
CN102462925B (zh) 2010-11-08 2016-03-09 艾肯运动与健康公司 基于非弹性带的训练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2441A (en) * 1960-02-02 1964-12-22 Karlik Laddie Universal exerciser
US6120423A (en) * 1998-02-18 2000-09-19 Mackey; Teri R.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CN102307628A (zh) * 2009-02-09 2012-01-04 平衡体公司 中心稳定跑步训练系统和设备
US20130017935A1 (en) * 2011-07-13 2013-01-17 Balanced Body, Inc. Reformer exerci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212015021382U2 (pt) 2016-08-09
CN105283228A (zh) 2016-01-27
WO2014137210A3 (en) 2014-10-30
BR212015021382Y1 (pt) 2020-05-05
JP3203122U (ja) 2016-03-17
US20160030798A1 (en) 2016-02-04
CA2903707C (en) 2021-04-20
CA2903707A1 (en) 2014-09-12
WO2014137210A2 (en) 2014-09-12
EP2964344A2 (en) 2016-01-13
KR102149722B1 (ko) 2020-10-27
NL2010395C2 (en) 2014-09-08
HK1220937A1 (zh) 2017-05-19
US9814923B2 (en) 2017-11-14
CN105283228B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CN107205501B (zh) 前臂和手腕支撑袖子
US7354413B2 (en) Device for treating foot drop
US987301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ercising a limb of a user
KR20150122774A (ko) 피트니스 기구의 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KR20080091226A (ko) 음경을 신장시키기 위한 하네스
US20070074429A1 (en) 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a foot covering
CN108852596A (zh) 具有至少一个织物绷带的矫形器
JP4153554B1 (ja) 犬の四肢カバー
CA1061052A (en) Athletic knee protection device
JP3208786U (ja) 膝用サポーター
CN115708605A (zh) 裤子保持条带
CN105636559B (zh) 拇指矫形器
WO2020211329A1 (zh) 一种鞋子及鞋舌防歪结构
KR20120117619A (ko) 파워 워킹 보조기
JP2005500130A (ja) 膝装具皮膚挟み防止ガード
JP7012067B2 (ja) オットマン
KR20200000681U (ko) 보호대
KR200469459Y1 (ko) 듀얼 지지스트랩을 이용한 악기 지지구
KR101577139B1 (ko) 설포가 고정되는 신발
KR101770373B1 (ko) 남성 음경상향기구
JP2022030659A (ja) 膝用サポーター
KR200402932Y1 (ko) 전신운동기구를 구비한 운동복
JP2000245770A (ja) 関節部用のサポータと、サポータ用の弾性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