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791B1 - 모니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791B1
KR101166791B1 KR1020120018970A KR20120018970A KR101166791B1 KR 101166791 B1 KR101166791 B1 KR 101166791B1 KR 1020120018970 A KR1020120018970 A KR 1020120018970A KR 20120018970 A KR20120018970 A KR 20120018970A KR 101166791 B1 KR101166791 B1 KR 10116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support plate
fix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택
Original Assignee
임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택 filed Critical 임유택
Priority to KR102012001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지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D)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0)(20')와; 가이드부(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판(30)과; 슬라이더판(30)에 힌지(H)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받침대(M1)가 지지되는 지지판(40)과; 받침대(M1)를 지지판(40)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가정이나, 회사 또는 PC방 등에서 업무를 보거나 정보를 얻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자는 책상위에 모니터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올려 둔 상태로 의자에 앉아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비스듬하게 누운 자세로 모니터를 보면서 컴퓨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자세가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가 되면, 사용자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향하게 되고, 또한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게 되어, 모니터의 화면을 보거나 키보드를 조작하는데 불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컴퓨터용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및 그 모니터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장치는, 책상(D)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0)(20'); 상기 가이드부(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판(30); 상기 슬라이더판(30)에 힌지(H)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받침대(M1)가 지지되는 지지판(40); 및 상기 받침대(M1)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이 상기 슬라이더판(30)에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회동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동위치고정부(60)는, 상기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61)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62)과, 상기 제1고정단(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팔(63)과, 일측이 제2고정단(6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팔(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팔(64)과, 상기 제1팔(63)과 제2팔(64)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65)와, 상기 제1팔(63)과 제2팔(6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65)가 끼어지는 돌기홈(66)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회동위치고정부(160)는, 상기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161)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162)과, 상기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163)와, 상기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163)로부터 출몰되는 바아(1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지지판(40)이 회동되었을 때 그 상부에 위치되는 키보드(K)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키보드스토퍼(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마우스가 올려지는 마우스패드(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20)(20')는,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과, 상기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에 지지되는 롤러(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판(30)은, 상기 베이스판(10)과 지지판(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형성홈부(3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부(50)는,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M1)의 전방 및 후방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2고정부(51)(52)와, 상기 제1,2고정부(51)(52)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M1)의 표면을 상기 베이스판(10)에 가압함과 동시에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압착단(53)(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와 컴퓨터용 모니터 사이의 거리 및 그 모니터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의자에 정자세로 앉아 모니터 및 키보드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등받이를 젖혀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에서도 모니터 및 키보드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니터 지지장치에 컴퓨터용 모니터가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모니터 지지장치에 노트북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슬라이더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받침대고정부가 모니터의 받침대를 지지판에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지지판을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회동위치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지지판을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회동위치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VIII-VII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마우스패드가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도 6a 및 도 6b의 회동위치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채용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a 는 슬라이더판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b는 이동된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지지판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c는 도 7b의 지지판이 회동위치고정부에 의하여 회동위치가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7의 회동위치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채용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a 는 슬라이더판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b는 이동된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지지판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c는 도 9b의 지지판이 회동위치고정부에 의하여 회동위치가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니터 지지장치에 컴퓨터용 모니터가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모니터 지지장치에 노트북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슬라이더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받침대고정부가 모니터의 받침대를 지지판에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는, 책상(D)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0)(20')와; 가이드부(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판(30)과; 슬라이더판(30)에 힌지(H)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받침대(M1)가 지지되는 지지판(40)과; 받침대(M1)를 지지판(40)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고정부(50)와; 지지판(40)이 슬라이더판(30)에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회동위치고정부(60)(160)와; 지지판(40)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지지판(40)이 회동되었을 때 그 상부에 위치되는 키보드(K)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키보드스토퍼(70)와; 베이스판(10)에 형성되어 마우스가 올려지는 마우스패드(8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0)은 책상(D)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목재, 플라스틱 또는 가벼운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20)(20')는 슬라이더판(30)을 베이스판(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20)(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고정대(21)와,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과,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22)에 지지되는 롤러(23)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22)은 고정대(21)에 설치되고, 롤러(23)는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슬라이더판(30)은 베이스판(10)의 상부에서 가이드부(20)(20')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고, 지지판(40)을 힌지(H)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더판(30)에는 베이스판(10)과 지지판(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형성홈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형성홈부(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N)의 본체(N1)가 끼어져 설치된다.
한편 슬라이더판(30)이 가이드부(20)(20')를 따라 이동되다가 베이스판(10)의 전방에서 멈추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더판(30)의 전방측에는 스토퍼홈(32)이 형성되고, 베이스판(10)의 전방측에는 스토퍼홈(32)이 걸어지는 스토퍼(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홈(32) 및 스토퍼(12)에 의하여, 슬라이더판(30)이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40)은, 슬라이더판(30)의 단부에 설치된 힌지(H)에 연결되며, 슬라이더판(30)을 따라 함께 이송된다. 그리고 슬라이더판(30)이 베이스판(10)의 전방 단부까지 이동되면, 힌지(H)를 축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지지판(40)에는 키보드(K)가 놓여지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한 슬라이더판(30)을 앞뒤로 움직이면 지지판(40)도 함께 움직이며, 이에 따라 지지판(40)에 고정된 모니터(M)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40)에는 슬라이더판(30)의 공간형성홈부(31)에 끼어지는 서브지지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지지판에는 노트북(N)의 본체(N1)가 안착된다. 이 경우, 후술할 지지판(40)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할 때 노트북(N)은 지지판(40)과 함께 이동하고,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0)이 힌지(H)에 의하여 회동될 때 노트북(N)이 지지판(N)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받침대고정부(50)는, 지지판(4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받침대(M1)의 전방 및 후방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2고정부(51)(52)와, 제1,2고정부(51)(52) 내측에 설치되어 받침대(M1)의 표면을 베이스판(10)에 가압함과 동시에 스크래치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의 압착단(53)(54)을 포함한다.
제1,2고정부(51)(52)는 소정두께의 모니터의 받침대(M1)가 내장될 수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51)와 제2고정부(52)가 마주보는 부분에는 길이홈(51a)(52)이 형성되며, 길이홈(51a)(52a)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멍으로 받침대(M1)와 모니터의 화면을 연결하는 지지대(M2)가 끼어진다.
제1,2고정부(51)(52)의 양측에는 그 제1,2고정부(51)(52)를 지지판(40)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55)(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트(B)가 관통공(55)(56)을 관통하여 지지판(40)에 형성된 결합공(45)(46)에 결합되면, 제1,2고정부(51)(52)는 지지판(4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결합공(45)(46)은 지지판(40)에 일자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관통공(55)(56)을 관통한 볼트(B)를 특정 결합공(45)(46)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2고정부(51)(52)의 위치를 지지판(40)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할 수 있다.
회동위치고정부(60)(160)는, 지지판(40)을 슬라이더판(30)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위치고정부(60)(160)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지지판을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회동위치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위치고정부(60)의 제1실시예는, 슬라이더판(30)과 지지판(40) 사이에 설치되어 그 지지판(40)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수대로 구현된다. 이러한 수대는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61)과,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62)과, 제1고정단(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팔(63)과, 일측이 제2고정단(6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팔(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팔(64)과, 제1팔(63)과 제2팔(64)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65)와, 제1팔(63)과 제2팔(6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65)가 끼어지는 돌기홈(6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지지판(40)이 슬라이더판(30)에 대하여 회동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팔(63)(64)이 펼쳐지면서 돌기(65)가 돌기홈(66)에 끼어지고 이에 따라 지지판(40)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2팔(64)(64)이 결합된 부분을 손을 이용하여 돌기(65)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팔(63)(64)이 상호 접혀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40)은 슬라이더판(30)에 포개어진다.
도 7은 지지판을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회동위치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위치고정부(160)의 제2실시예는, 슬라이더판(30)과 지지판(40) 사이에 설치되어 그 지지판(40)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쇽업쇼버(shock absorber)로 구현되며, 오일 또는 가스등이 채워지는 실린더로부터 바아가 돌출된다. 이러한 회동위치고정부(160)의 제2실시예는,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161)과,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162)과,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163)와,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린더(163)로부터 출몰되는 바아(1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163)는 제1고정단(16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바아(164)는 제2고정단(16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린더(163)로부터 돌출되는 바아는 지지판(40)이 슬라이더(30)로부터 회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모니터(M)를 지지하는 지지판(40)은 적은 힘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역회동시킬 경우, 바아(164)가 실린더(163)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많은 저항을 받으므로 그 지지판(40)이 급하게 역회동되지 않는다.
키보드스토퍼(70)는 지지판(40)이 회동되었을 때, 키보드(K)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키보드스토퍼(70)는 지지파(40)에 설치되어 키보드(K)와의 마찰력을 발생하는 고무패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VIII-VII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마우스패드가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패드(80)는 마우스(미도시)가 놓여지는 곳으로서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부터 출몰가능하다. 이를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마우스패드(80)는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공(81)과, 가이드공(81)을 관통하여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고정핀(82)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핀(82)의 머리 직경은 가이드공(81)의 직경보다 커서 마우스패드(80)는 고정핀(8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마우스패드(80)는 베이스판(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밀리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마우스패드(80)와 베이스판(10) 사이에는 패드스토퍼(93)가 설치된다. 이러한 패드스토퍼(8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판(10)과 마우스패드(8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돌기(83a)와, 베이스판(10)과 마우스패드(8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그 스토퍼돌기(83a)가 끼어지는 스토퍼홈(83c)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판(10)에 스토퍼돌기(83a)가 설치되고, 마우스패드(80)에 스토퍼홈(83c)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이때 스토퍼돌기(83a)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어 스토퍼홈(83c)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것이다.
다음, 상기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6a 및 도 6b의 회동위치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채용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a 는 슬라이더판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b는 이동된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지지판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c는 도 7b의 지지판이 회동위치고정부에 의하여 회동위치가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소 모니터(M)는 도 2 및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M1)가 받침대고정부(50)에 의하여 지지판(40)에 고정되고, 지지판(4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오랜시간동안 모니터(M) 및 키보드(K)를 사용하다 피로하게 되면 등받이를 젖혀서 비스듬하게 눕기 이전에, 도 7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판(40)을 당긴다. 이후 지지판(40)과 슬라이더판(3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가 베이스판(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위치고정부(60)가 펼쳐지게 되고, 그 회동위치고정부(60)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면 지지판(40)은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그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M)의 화면은 비스듬하게 위치된다. 또한 마우스패드(8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의자의 등받이를 젖혀 비스듬하게 누운 자세를 취함으로써, 상향을 향하는 시야를 모니터(M)의 화면에 맞춘 후 키보드(K)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0)으로부터 마우스패드(8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7의 회동위치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채용한 모니터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a 는 슬라이더판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b는 이동된 슬라이더판에 대하여 지지판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c는 도 9b의 지지판이 회동위치고정부에 의하여 회동위치가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오랜시간동안 모니터(M) 및 키보드(K)를 사용하다 피로하게 되면 등받이를 젖혀서 비스듬하게 눕기 이전에, 도 10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판(40)을 당긴다. 이후 지지판(40)과 슬라이더판(3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가 베이스판(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위치고정부(160)으 제2실시예가 펼쳐지게 되고, 그 회동위치고정부(60)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면 지지판(40)은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그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M)의 화면은 비스듬하게 위치된다. 또한 마우스패드(8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의자의 등받이를 젖혀 비스듬하게 누운 자세를 취함으로써, 상향을 향하는 시야를 모니터(M)의 화면에 맞춘 후 키보드(K)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0)으로부터 마우스패드(8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20, 20' ... 가이드부
21 ... 고정대 22 ... 가이드레일
23 ... 롤러 30 ... 슬라이더판
31 ... 공간형성홈부 40 ... 지지판
45, 46 ... 결합공 50 ... 받침대고정부
51, 52 ... 제1,2고정부 53, 54 ... 제1,2압착단
55, 56 ... 관통공
60 ... 회동위치고정부의 제1실시예
61 ... 제1고정단 62 ... 제2고정단
63 ... 제1팔 64 ... 제2팔
65 ... 돌기 66 ... 돌기홈
160 ... 회동위치고정부의 제2실시예
161 ... 제1고정단 182 ... 제2고정단
163 ... 실린더 164 ... 바아
70 ... 키보드스토퍼 80 ... 마우스패드
81 ... 가이드공 82 ... 고정핀
83 ... 패드스토퍼 83a ... 스토퍼돌기
83b ... 스토퍼홈

Claims (9)

  1. 책상(D)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0)(20');
    상기 가이드부(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판(30);
    상기 슬라이더판(30)에 힌지(H)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받침대(M1)가 지지되는 지지판(40); 및
    상기 받침대(M1)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이 상기 슬라이더판(30)에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회동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위치고정부(60)는,
    상기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61)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62)과, 상기 제1고정단(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팔(63)과, 일측이 제2고정단(6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팔(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팔(64)과, 상기 제1팔(63)과 제2팔(64)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65)와, 상기 제1팔(63)과 제2팔(6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65)가 끼어지는 돌기홈(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위치고정부(160)는,
    상기 슬라이더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단(161)과,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162)과, 상기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163)와, 상기 제1고정단(161)과 제2고정단(162)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163)로부터 출몰되는 바아(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지지판(40)이 회동되었을 때 그 상부에 위치되는 키보드(K)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키보드스토퍼(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마우스가 올려지는 마우스패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20')는,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과, 상기 고정대(21)와 슬라이더판(30)의 가장자리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에 지지되는 롤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판(30)은,
    상기 베이스판(10)과 지지판(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형성홈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부(50)는,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M1)의 전방 및 후방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2고정부(51)(52)와, 상기 제1,2고정부(51)(52)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M1)의 표면을 상기 베이스판(10)에 가압함과 동시에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압착단(53)(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장치.
KR1020120018970A 2012-02-24 2012-02-24 모니터 지지장치 KR10116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70A KR101166791B1 (ko) 2012-02-24 2012-02-24 모니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70A KR101166791B1 (ko) 2012-02-24 2012-02-24 모니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791B1 true KR101166791B1 (ko) 2012-07-26

Family

ID=4671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70A KR101166791B1 (ko) 2012-02-24 2012-02-24 모니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90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울트라 확장가능한 상판을 가지는 pc방 컴퓨터 책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065B1 (ko) 2005-06-01 2006-04-05 (주)비앤에스미디어 모니터 입출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065B1 (ko) 2005-06-01 2006-04-05 (주)비앤에스미디어 모니터 입출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90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울트라 확장가능한 상판을 가지는 pc방 컴퓨터 책상
KR102285052B1 (ko) * 2019-11-19 2021-08-03 주식회사 울트라 확장가능한 상판을 가지는 pc방 컴퓨터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500B2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8371237B2 (en) Computer work station with moveable monitor support
US20100201165A1 (en) Ergonomic work station
CN203731041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KR20070082795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JP6978433B2 (ja) 椅子
KR101166791B1 (ko) 모니터 지지장치
KR20150135112A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N101884469A (zh) 移动式键盘鼠标托
US7946551B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mouse, and wrist support
CN103939716A (zh) 一种大屏手机及平板电脑的支撑架
KR100865274B1 (ko) 책상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JP3194398U (ja) 椅子の底板構造
TWM478990U (zh) 攜帶型電子器件放置架
JP2004065530A (ja) 椅子
CN219845528U (zh) 一种与椅子扶手配套的笔记本电脑桌
CN218208901U (zh) 旋钮型升降结构、支架及显示器
KR101513253B1 (ko) 지지 구조 보강 기능을 구비한 의자용 메모대
KR200496272Y1 (ko) 컴퓨터 작업용 받침대
WO2018033695A1 (en) Improvements in supporting computer tablets & laptops
KR101406959B1 (ko) 누워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조체
CN209750239U (zh) 一种简易电脑桌
WO2007035032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lcd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