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64B1 -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364B1
KR101166364B1 KR1020110132814A KR20110132814A KR101166364B1 KR 101166364 B1 KR101166364 B1 KR 101166364B1 KR 1020110132814 A KR1020110132814 A KR 1020110132814A KR 20110132814 A KR20110132814 A KR 20110132814A KR 101166364 B1 KR101166364 B1 KR 10116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nt
connection
sides
guid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길
Original Assignee
오성듀랄루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듀랄루민(주) filed Critical 오성듀랄루민(주)
Priority to KR102011013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의 일측부 양쪽으로 안내편을 나란히 돌설시켜 다수개의 폴들을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회전모울드의 하측부에 돌설된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중앙부에는 안착공을 형성하여 양측의 안내편 사이를 통과한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양측의 안내편 내측으로 탄력돌기들을 돌설시켜서 안착공으로 안착된 지지부의 외주면을 탄력으로 지지하여 자연적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한 다음 탄력돌기 주변의 몸체 상면부로 양측의 공간부를 형성시켜서 탄력돌기들 사이를 지지부가 통과시 탄력을 발휘하여 벌어지고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측벽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연결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편에는 텐트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THE TENT}
본 발명은 텐트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의 일측부 양쪽으로 안내편을 나란히 돌설시켜 다수개의 폴들을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회전모울드의 하측부에 돌설된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중앙부에는 안착공을 형성하여 양측의 안내편 사이를 통과한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양측의 안내편 내측으로 탄력돌기들을 돌설시켜서 안착공으로 안착된 지지부의 외주면을 탄력으로 지지하여 자연적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한 다음 탄력돌기 주변의 몸체 상면부로 양측의 공간부를 형성시켜서 탄력돌기들 사이를 지지부가 통과시 탄력을 발휘하여 벌어지고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측벽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연결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편에는 텐트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모울드는 2개의 모울드를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있고 상기의 모울드에는 폴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인서트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공들을 각각 천공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울드에 폴들이 결합되면 텐트의 형상대로 골조가 완성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모울드의 하측모울드 저면부에는 텐트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걸 수 있도록 연결공이 형성되거나 연결링등이 결합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울드의 연결공이나 연결링에 걸려 지지되는 연결고리에 의해 텐트의 지붕을 상측으로 당겨서 텐트 내부의 활동 공간부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회전모울드의 연결공이나 연결링에 텐트 지붕의 연결고리를 직접 연결시킴으로서 강풍등에 의해 회전모울드 또는 텐트에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면 연결고리가 연결공이나 연결링 내에서 심하게 요동을 치기 때문에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재로 된 연결공이나 연결링과 금속재로 된 연결고리가 직접 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완충해줄 수 있는 매개체가 없어 심한 소음이 발생한 것이며 급기야는 상기의 요동에 의해 연결고리가 연결공이나 연결링으로 부터 탈거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울드의 연결공이나 연결링에 연결고리가 결합된 구성은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구 기술로서 과학화되고 있는 텐트의 기술에 어울리지 않는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안착공으로 안착되는 회전모울드의 지지부를 양측의 안내편 내측으로 돌설된 탄력돌기들이 탄력으로 지지해 주기 때문에 강풍등에 의해 회전모울드가 흔들려도 지지부가 안착공으로 부터 자연적 탈거가 되지 않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텐트를 얻을 수 있고 상기 회전모울드의 지지부로 부터 연결부재의 몸체를 분리시에는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주어 몸체를 당기면 탄력돌기들이 몸체 상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물러나면서 지지부의 이동을 허락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텐트 철거시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으며 몸체에 하향입설된 측벽 하측부에 형성되는 연결편에는 텐트의 연결고리를 끼울수 있는 원형상의 연결공과 밴드를 끼울 수 있는 사각형상의 연결공들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고리나 연결밴드가 결합된 텐트들 모두에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텐트의 연결고리가 강풍에 의해 흔들려도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지는 연결부재의 유연성에 의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조용한 실내를 얻을 수 있고 연결고리의 탈거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부 양쪽으로 안내편을 나란히 돌설시켜 다수개의 폴들을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회전모울드의 하측부에 돌설된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중앙부에는 안착공을 형성하여 양측의 안내편 사이를 통과한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양측의 안내편 내측으로 탄력돌기들을 돌설시켜서 안착공으로 안착된 지지부의 외주면을 탄력으로 지지하여 자연적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한 다음 탄력돌기 주변의 몸체 상면부로 양측의 공간부를 형성시켜서 탄력돌기들 사이를 지지부가 통과시 탄력을 발휘하여 벌어지고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측벽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연결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편에는 텐트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몸체의 안착공으로 안착되는 회전모울드의 지지부를 양측의 안내편 내측으로 돌설된 탄력돌기들이 탄력으로 지지해 주기 때문에 강풍등에 의해 회전모울드가 흔들려도 지지부가 안착공으로 부터 자연적 탈거가 되지 않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텐트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회전모울드의 지지부로 부터 연결부재의 몸체를 분리시에는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주어 몸체를 당기면 탄력돌기들이 몸체 상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물러나면서 지지부의 이동을 허락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텐트 철거시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몸체에 하향 입설된 측벽 하측부에 형성되는 연결편에는 텐트의 연결고리를 끼울수 있는 원형상의 연결공과 밴드를 끼울 수 있는 사각형상의 연결공들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고리나 연결밴드가 결합된 텐트들 모두에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텐트의 연결고리가 강풍에 의해 흔들려도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지는 연결부재의 유연성에 의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조용한 실내를 얻을 수 있고 연결고리의 탈거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연결부재가 회전모울드와 텐트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연결부재에 형성된 탄력돌기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개의 폴(1)들을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회전모울드(2)의 하측부에 돌설된 지지부(3)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01)의 일측부 양쪽으로 나란히 돌설되는 안내편(103)과,
상기 안내편(103)들 사이를 통과하여 지지부(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 (101)의 중앙부로 형성되는 안착공(102)과,
상기 안착공(102)으로 안착된 지지부(3)의 외주면을 탄력으로 지지하여 자연적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안내편(103) 내측으로 돌설되는 탄력돌기(104)와,
상기 탄력돌기(104)들 사이를 지지부(3)가 통과시 탄력을 발휘하여 벌어지고 오무려질 수 있도록 탄력돌기(104) 주변의 몸체(101) 상면부로 형성되는 양측의 공간부(105)와,
상기 공간부(105)가 형성된 몸체(101)의 하측부로 텐트(11)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12)를 결합시키기 위해 몸체(101)의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측벽(106)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연결공(108)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편(107)을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제작되기 때문에 가볍고 유연성이 있는 특성과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의 연결부재는 회전모울드(2)의 지지부(3)로 몸체(101)가 결합되어지며 몸체에 하향 입설된 측벽(106)에 형성되는 연결편(107)의 연결공(108)에는 텐트 (11)의 연결고리(12)가 결합되어진다.
먼저, 상기 연결부재의 몸체(101)를 회전모울드(2)의 지지부(3)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재의 몸체(101) 일측부로 돌설된 양측의 안내편(103)사이로 지지부(3)를 위치시킨 다음 도 3 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몸체(101)를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몸체(101)를 지지부(3)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양측의 안내편 (103)중앙으로 지지부(3)가 삽입되면서 양측의 탄력돌기(104)와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 양측면과 접촉하는 탄력돌기(104)들은 몸체(101)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05)내로 물러나면서 통과를 허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는 탄력돌기(104)들의 탄력을 극복하고 그 부위를 통과하여 몸체(101)의 안착공(102)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가 몸체(101)의 안착공(102)으로 안착되는 순간 상기 공간부(105)내부로 물러나면서 벌어져 있던 양측의 탄력돌기(104)들이 자체 탄력에 의해 다시 오무려들면서 원위치를 하여 안착실(102)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부(3)의 입구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3)는 안착실(102)에 갇혀있는 상태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연결부재가 회전모울드와 텐트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단면도로서, 상기 연결부재의 몸체(101)에 하향 입설된 측벽(106)에 형성된 연결편(107)에는 원형상의 연결공(108)과 사각형상의 연결공(108)이 형성되어 있는바, 원형상의 연결공(108)에는 텐트(11)의 지붕에 결합되는 연결고리(12)를 걸 수 있고 사각형상의 연결공(108)에는 텐트(11)의 지붕에 결합되는 로킹기구가 결합된 사각밴드(도시안됨)를 삽입하여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모울드(2)와 텐트(11)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강풍등에 의해 회전모울드(2)가 흔들릴 경우 회전모울드(2)의 지지부(3)에 결합된 몸체(101)는 탄력돌기(10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부(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탈거되는 일이 없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텐트(11)의 연결고리(12)가 흔들릴 경우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본 발명 연결편(107)의 유연성에 의해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며 연결편(107)자체의 유연성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연결고리(12)가 연결공(108)으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텐트를 철거시에는 상기 조립시와 역순으로 텐트(11)의 연결고리 (12)를 연결편(107)의 연결공(108)으로 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몸체(101)를 안내편(103) 방향에서 안착공(102)방향으로 강제로 밀면 안착공(102)에 안착되어 있던 지지부(3)가 양측의 탄력돌기 (104)들을 강제로 벌리면서 분리 되어지는 것이다.
101-몸체 102-안착공
103-안내편 104-탄력돌기
105-공간부 106-측벽
107-연결편 108-연결공

Claims (1)

  1. 다수개의 폴(1)들을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회전모울드(2)의 하측부에 돌설된 지지부(3)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01)의 일측부 양쪽으로 나란히 돌설되는 안내편(103)과,
    상기 안내편(103)들 사이를 통과하여 지지부(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 (101)의 중앙부로 형성되는 안착공(102)과,
    상기 안착공(102)으로 안착된 지지부(3)의 외주면을 탄력으로 지지하여 자연적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안내편(103) 내측으로 돌설되는 탄력돌기(104)와,
    상기 탄력돌기(104)들 사이를 지지부(3)가 통과시 탄력을 발휘하여 벌어지고 오무려질 수 있도록 탄력돌기(104) 주변의 몸체(101) 상면부로 형성되는 양측의 공간부(105)와,
    상기 공간부(105)가 형성된 몸체(101)의 하측부로 텐트(11)의 지붕에 결합된 연결고리(12)를 결합시키기 위해 몸체(101)의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측벽(106)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연결공(108)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편(10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KR1020110132814A 2011-12-12 2011-12-12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KR10116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14A KR101166364B1 (ko) 2011-12-12 2011-12-12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14A KR101166364B1 (ko) 2011-12-12 2011-12-12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364B1 true KR101166364B1 (ko) 2012-07-23

Family

ID=4671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14A KR101166364B1 (ko) 2011-12-12 2011-12-12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4746A1 (en) * 2017-02-01 2018-08-09 Carter Mark C Multi-point fixed attach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769A1 (en) 2007-05-01 2008-11-06 Lah Jeh-Kun Connector for tent po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769A1 (en) 2007-05-01 2008-11-06 Lah Jeh-Kun Connector for tent pol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4746A1 (en) * 2017-02-01 2018-08-09 Carter Mark C Multi-point fixed attachment system
CN110382804A (zh) * 2017-02-01 2019-10-25 马克·C·卡特 多点固定附着系统
US10472849B2 (en) 2017-02-01 2019-11-12 International E-Z Up, Inc. Multi-point fixed attachment system
US10961742B2 (en) 2017-02-01 2021-03-30 International E-Z Up, Inc. Multi-point fixed attachment system
CN110382804B (zh) * 2017-02-01 2021-08-13 马克·C·卡特 多点固定附着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030B2 (en) Umbrella quick fram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KR101156552B1 (ko) 진공 흡착기
CA2816627C (en) Vacuum adsorbing device
US20160238060A1 (en) Vacuum absorber
JP2006123894A (ja) 車両のカップホルダ挿入型カップアダプタ構造
KR20140047035A (ko) 흡착기 구조
CN104395528A (zh) 格栅板的固定装置及用于设置其的固定结构
KR101166364B1 (ko) 텐트와 회전모울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KR20180127312A (ko)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JP2017533030A5 (ko)
KR101166441B1 (ko) 건물의 배관 지지용 측면행거
KR101161621B1 (ko)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KR102012490B1 (ko)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KR101254709B1 (ko) 그늘막 폴대
CN112515564A (zh) 清洁机器人
RU2010137618A (ru) Клапан для вакуумных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CN214712348U (zh) 清洁机器人
KR101784510B1 (ko) 텐트 폴 고정용 회전 커넥터
CN109512120A (zh) 一种可磁吸连接尾盖的吹风机
KR200447462Y1 (ko) 커버 결합구조를 개선한 천정매다는 등
KR200449472Y1 (ko) 팬의 탈착이 용이한 팬이 내장된 죽부인
CN211791988U (zh) 入耳式耳机
CN106858954B (zh) 一种快装伞盘及一种伞骨与伞盘的连接结构
KR200455213Y1 (ko) 조립식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KR20190038815A (ko) 기능 부속품을 편리하게 해체할 수 있는 요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