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867B1 - 어류포획기 - Google Patents

어류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867B1
KR100506867B1 KR10-2003-0010794A KR20030010794A KR100506867B1 KR 100506867 B1 KR100506867 B1 KR 100506867B1 KR 20030010794 A KR20030010794 A KR 20030010794A KR 100506867 B1 KR100506867 B1 KR 10050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mounting
body portion
wat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268A (ko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riority to KR10-2003-001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8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5Containers with compartments formed by erecting on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6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side edg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표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으로는 개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기 개구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살이 흐르는 통로가 되는 통수공과 어류가 들어오는 통로인 유인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된 측면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로 유인되어 포획된 어류를 인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 하측에 중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결합되며 내측에 무게추가 장착되고 상측에는 어류의 먹이가 놓이게 되는 용기부재가 장착된 커버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류포획기가 물속에 설치됨에 있어서 빠르게 가라앉고 흔들림이 방지되어 어류 포획량이 증가되며, 통수공과 유인안내구를 몸체부와 별도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어류포획기{Captured apparatus for fishes}
본 발명은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돔 형상의 몸체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의 용이함과 함께 물속에 설치시 유동을 최소화 하여 물고기의 포획률을 향상시키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제작하기 힘든 측면결합부를 상기 몸체부 좌우측에 착탈구조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포획기는 물고기를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포획기 내부로 유인 안내하여 포획하는 것으로서, 종래 어류포획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내부에 깔대기형의 유인안내구(3)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개구부(5)가 마련되는 한쌍의 포획체(7a,7b)는 암체결부(9)와 수체결부(11)가 상호 체결 결합되어 종래의 어류포획기(1)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어류포획기(1)의 일측에는 결속공(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공(13)에 연결끈(15)이 연결된 연결클립(17)이 체결된다.
상기 어류포획기(1)의 유인안내구(3) 둘레를 따라서 통수공(19)이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통로가 되며, 상기 유인안내구(3)를 따라서 내측으로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상기 어류포획기(1) 내측 공간을 향한 통로가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어류포획기(1)의 사용상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포획체(7a,7b)에 형성된 유인안내구(3)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면(21)에는 물고기가 좋아하는 미끼를 부착하고 포획체(7a,7b) 내에는 소정량의 미끼를 배치시키며, 상기의 미끼는 물속에서도 흩어지지 않도록 물에 반죽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획체(7a,7b)의 암체결부(9)와 수체결부(11)를 상호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어류포획기(1)를 일체로 구성하게 되며, 상기 상태의 어류포획기(1)를 흐르는 물이나 고여있는 물에 투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류포획기(1)의 용이한 수거를 위하여 결속공(13)에 연결클립(17)을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구성과 사용상태를 갖는 종래 어류포획기(1)는 둥근 원형통 형상을 이루는 것에 의하여, 물속에 상기 어류포획기(1)를 투입하여 물고기를 잡을 경우에는 좌우로 흔들리거나 구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물고기가 상기 어류포획기(1)에 접근하는 것이 방해되어 물고기의 포획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어류포획기(1)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에 의하여,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부력이 강해 물속에 쉽게 가라앉지 않게 되므로, 물속에 상기 어류포획기(1)를 물속에 설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상기 암체결부(9)와 수체결부(11)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포획체를 일체로 하여 어류포획기(1)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호 치형이 맞물려 돌아가서 결합되는 종래 결합구조는 이물질의 삽입이나 파손등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포획체(7a,7b)에 해당하는 몸체부가 돔 형상을 이루면서 유인안내구와 통수공이 일체로 형성된 어류포획기(출원번호:10-2002-0078922)를 선출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어류포획기는 몸체부 좌우측에 형성되어 물고기가 들어오는 통로가 되는 유인안내구와 물살이 통과하는 구멍인 통수공을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작업에 있어서 제작상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비교적 세밀한 부분인 상기 유인안내구와 통수공을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하는 작업에서, 상기 몸체부는 고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합성수지계열 재료에 공압을 가하여 형상을 만드는 브로워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브로워공법에 의하여 통수공과 유인안내구를 몸체부와 일체로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상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다른 어류포획기(출원번호:10-2002-0078921)에서는 경사면이 형성된 유인안내구를 측면결합부로 하여 몸체부와 별도로 제작하였으나, 통수공을 몸체부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과, 상기 측면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몸체부에 별도의 세밀한 결합부 형상이 별도로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제작상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포획기가 물속에 설치됨에 있어서 빠르게 가라앉고 흔들림이 방지되어 어류 포획량이 증가되는 어류포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류포획기를 일체로 제작하는 공정에 있어서, 몸체부와 일체로 제작하기 어려운 통수공과 유인안내구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어류포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제작된 측면결합부와 몸체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구조를 갖는 어류포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으로는 개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기 개구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살이 흐르는 통로가 되는 통수공과 어류가 들어오는 통로인 유인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된 측면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로 유인되어 포획된 어류를 인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 하측에 중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결합되며 내측에 무게추가 장착되고 상측에는 어류의 먹이가 놓이게 되는 용기부재가 장착된 커버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결합부와 몸체부가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기 위한 장착돌기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착편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편은 외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삽입 장착시 외측을 향한 탄성적 결합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서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 상측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류포획기가 물속에 설치됨에 있어서 빠르게 가라앉고 흔들림이 방지되어 어류 포획량이 증가되며, 통수공과 유인안내구를 몸체부와 별도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어류포획기(30)는 몸체부(4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서 물속에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돔형상을 이루게되며 내측에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내부공간(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42)의 좌우측에는 개구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4)가 형성된 몸체부(40)의 내측면에는 장착홈(46)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0)의 강성 증가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40) 둘레를 따라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절곡 형성된 홈형상의 보강홈(4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40)의 상측 중심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홈(50))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50)에는 결속공(51)이 상기 몸체부(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40)의 외측면보다는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제품 보관시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요홈(50)의 길이방향으로 통기공(5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어류포획기(30)를 물속에 설치시 상기 몸체부(40) 내측에 있는 기포가 용이하게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44)에는 어류를 유인하는 깔대기 형상의 경사면(61)이 형성된 유인안내구(62)와 상기 내부공간(42)으로 물살이 흘러들어 가는 통로가 되도록 통수공(63)이 형성된 측면결합부(60)가 결합된다.
상기 측면결합부(60)의 형상도 돔형상의 단면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측면결합부(60)의 둘레를 따라서 개구부(4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착편(64)에는 상기 장착홈(46)과 대응하는 장착돌기(65)가 형성되어서, 상호 결합에 의하여 몸체부(40)와 측면결합부(60)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측면결합부(60)의 장착편(6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A)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44)에 장착시 외측 방향을 향한 탄성적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수공(63)이 형성된 부분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장착편(64)이 형성되어 상기 통수공(63)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살을 가지게 되는 측면결합부(60) 둘레의 강성저하를 보강하게 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0) 하측의 중앙 부분에는 중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72) 주변을 따라서 내부공간(4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길이의 너비를 가지는 지지편(7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74)에는 삽입홈(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76)과 연통되어 걸림홈(78)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어 장착부(7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삽입홈(76)에 삽입되기 위한 걸림돌기(81)는 연결부재(82)에 의하여 원형판 형상의 연장편(8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편(83)의 상측에는 커버몸체(8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몸체(85) 상측에 고정되어 떡밥등이 놓이게 되는 용기부재(87)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떡밥이 잘 떨어지지 않게 되며 냄새가 용이하게 확산된다.
상기 커버몸체(85)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88)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어류포획기(30)를 물에 투척시 빠른 속도로 내려 앉을 수 있게 되며, 커버몸체(85)와 연장편(83)으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는 사용자가 잡고 돌리기 편하게 노브(890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잡고 상기 커버부(6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70)에서 커버부(80)가 착탈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80)가 장착부(70)에 결합되는 장착구조에서는 여러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류포획기(30)를 물 속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공(51)에는 연결클립(54)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클립(54)에 와이어(56)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56)의 타단에는 탄성링(58)이 연결되어서, 상기 어류포획기(30)의 사용을 마치구 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6)를 보강홈(48)에 돌려 권취한 후에 상기 탄성링(58)을 귄취된 와이어(56) 위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어류포획기(30)에 와이어(56)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몸체부(40)의 형상은 하측이 평면형상을 이루는 기본 기술사상 안에서 삼각형 형상을 포함한 다른 형상도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40)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동작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어류포획기(30)의 몸체부(40)는 일체로 생산되며, 장착홈(46), 통기공(52), 결속공(51), 그리고, 장착부(70)의 삽입홈(76)이나 걸림홈(78) 등은 별도로 후가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40)의 좌우측 개구부(44)에는 측면결합부(60)가 장착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결합부(60)는 별도의 조립 지그로 취부한 후에 장착편(64)이 내측을 향하여 오므려지도록 힘을 가하여 상기 개구부(44)로 삽입 장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장착편(64)이 개구부(44) 내측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장착돌기(65)가 장착홈(46)에 삽입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측면결합부(60)가 몸체부(40) 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부(80)의 노브(89)를 손으로 잡아서 걸림돌기(81)가 삽입홈(76)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돌려서 걸림돌기(81)가 걸림홈(78)을 따라서 일정 길이 이동시켜 정지된 후에, 상기 지지편(74)에 걸려서 상기 장착부(70)에 커버부(8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상태를 갖는 어류포획기(30)는 물 속에 장착시, 커버몸체(85)에 있는 무게추(88)에 의하여 물속으로 빠르게 가라앉게 되어 설치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류포획기(30) 보관시 와이어(56)는 보강홈(48)에 감아서 보관하게 되며 탄성링(58)도 상기 와이어(56) 상측에 장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56)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류포획기(30)의 하측이 평면부를 이루는 것에 의하여, 물속에 상기 어류포획기(30) 설치시 물의 흐름에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의 어류포획기(3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와이어(56)를 잡아 당겨서 상기 어류포획기(30)를 꺼내게 되며, 투명재질의 어류포획기(30)의 내측에 어류가 포획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커버부(80)를 장착부(70)에서 분리하여 어류를 꺼내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89)를 상기 커버부(80) 장착시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걸림돌기(81)가 삽입홈(76)에 위치하게 한 후에, 이를 하측으로 잡아당겨서 커버부(80)와 장착부(70)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류포획기(30)의 몸체부(40)를 일체로 생산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 몸체부에 해당하는 한쌍의 포획체를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가공 공정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일체로 가공하기 힘든 통수공(63)과 유인안내구(62)를 측면결합부(60)로 별도 제작하여 상기 몸체부(4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품 생산시 불량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편(64)이 외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에 의하여 개구부(44) 내측에 삽입 장착시, 외측을 향한 탄성적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어류포획기(30)가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물속에 설치된 어류포획기(30)의 유동이 방지되며, 이로 인한 어류의 포획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무게추(88)를 상기 커버부(80) 내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어류포획기(30)가 물 속에 빠르게 가라앉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류포획기에 의하면, 몸체부를 일체로 성형하며, 이에 결합되는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측면결합부와 커버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결합부 결합시 외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장착편에 의하여 몸체부 결합시 외측을 향한 탄성적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어서 상기 측면결합부가 몸체부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돔 형상의 몸체부에 의하여 물 속에 설치시 쉽게 유동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어류포획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어류포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어류포획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측면결합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장착부와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어류포획기에 와이어와 탄성링이 권선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어류포획기 40 : 몸체부
42 : 내부공간 44 : 개구부
46 : 장착홈 50 : 요홈
51 : 결속공 52 : 통기공
54 : 연결클립 56 : 와이어
58 : 탄성링 60 : 측면결합부
61 : 경사면 62 : 유인안내구
63 : 통수공 64 : 장착편
65 : 장착돌기 70 : 장착부
72 : 중공 74 : 지지편
76 : 삽입홈 78 : 걸림홈
80 : 커버부 81 : 걸림돌기
82 : 연결부재 83 : 연장편
85 : 커버몸체 87 : 용기부재
88 : 무게추 89 : 노브

Claims (4)

  1.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으로는 개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기 개구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살이 흐르는 통로가 되는 통수공과 어류가 들어오는 통로인 유인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된 측면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로 유인되어 포획된 어류를 인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 하측에 중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결합되며 내측에 무게추가 장착되고 상측에는 어류의 먹이가 놓이게 되는 용기부재가 장착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결합부와 몸체부가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기 위한 장착돌기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착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은 외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삽입 장착시 외측을 향한 탄성적 결합력이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서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 상측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KR10-2003-0010794A 2003-02-20 2003-02-20 어류포획기 KR10050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94A KR100506867B1 (ko) 2003-02-20 2003-02-20 어류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94A KR100506867B1 (ko) 2003-02-20 2003-02-20 어류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68A KR20040075268A (ko) 2004-08-27
KR100506867B1 true KR100506867B1 (ko) 2005-08-08

Family

ID=3736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94A KR100506867B1 (ko) 2003-02-20 2003-02-20 어류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8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41Y1 (ko) * 1981-12-25 1988-05-04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우 세이기 세이사구쇼 뮤직 박스(music box)
KR920005698Y1 (ko) * 1989-12-30 1992-08-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벨트 콘베이어용 삽입식 클리너장치
KR20040051084A (ko) * 2002-12-11 2004-06-18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040051083A (ko) * 2002-12-11 2004-06-18 전순호 어류포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41Y1 (ko) * 1981-12-25 1988-05-04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우 세이기 세이사구쇼 뮤직 박스(music box)
KR920005698Y1 (ko) * 1989-12-30 1992-08-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벨트 콘베이어용 삽입식 클리너장치
KR20040051084A (ko) * 2002-12-11 2004-06-18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040051083A (ko) * 2002-12-11 2004-06-18 전순호 어류포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68A (ko) 200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125A (en) Casting float with line stop
KR0134420Y1 (ko) 양베어링 릴의 커버 착탈장치
US8011321B2 (en) Teatcup liner
US7249435B1 (en) Device for holding a bucket of frozen chum
KR100506867B1 (ko) 어류포획기
US2758410A (en) Float
KR100516235B1 (ko) 어류포획기
GB2166631A (en) Fishing tackle
KR100516234B1 (ko) 어류포획기
US2895255A (en) Fishing float
KR900001091B1 (ko) 주우서(Juicer)
JP2939803B1 (ja) イカ用釣針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200154241Y1 (ko) 어류포획기
KR200316165Y1 (ko) 어류 포획기
KR200362948Y1 (ko) 어류포획기의 개폐구조
KR100822910B1 (ko) 어류 포획기
KR200235188Y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KR200327118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KR200301457Y1 (ko) 낚시 받침대
KR101022128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72321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00548Y1 (ko) 통발회전부재
KR0131873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장치
EP1319334B1 (en) Angling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