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407B1 -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407B1
KR101165407B1 KR1020100039052A KR20100039052A KR101165407B1 KR 101165407 B1 KR101165407 B1 KR 101165407B1 KR 1020100039052 A KR1020100039052 A KR 1020100039052A KR 20100039052 A KR20100039052 A KR 20100039052A KR 101165407 B1 KR101165407 B1 KR 10116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individual wires
jig
pull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380A (ko
Inventor
정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0003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4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로 감겨져 정렬된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고, 이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개별전선을 전측으로 인출시 테이프가 후측에 걸리게 형성되는 인출지지부, 및 이 인출지지부에 형성되어 인출지지부를 지지하고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테이프에 묶여져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개별전선을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 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JIG FOR PULLING WIRING OU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에 묶여져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개별전선을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 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와이어 하네스는 작업장이나 실험실에 공급시 일정간격으로 테이핑 처리되어 정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기존 와이어 하네스는 필요한 현장으로 최초 공급시 테이핑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묶음 중 일부의 전선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몇 가닥의 전선을 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작업자는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요청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그로써 테이프가 감겨진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고정함에 따라 타측으로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개별전선을 뽑을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자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그에 축 삽입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직경에 상관없이 항상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개별전선의 인출시 전체 와이어 하네스의 흔들림과 이로 인한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정렬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의 내측에 보호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개별전선의 인출시 와이어 하네스의 외측 피복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는: 테이프로 감겨져 정렬된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고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개별전선을 전측으로 인출시 테이프가 후측에 걸리게 형성되는 인출지지부, 및 상기 인출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지지부는, 상기 고정대의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을 갖는 바디, 상기 연통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을 자유단으로 형성하는 슬리브, 및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면에 항상 접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와의 직접적 마찰에 의해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는 종래 기술과 달리 지그로써 테이프가 감겨진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고정함에 따라 타측으로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개별전선을 뽑을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그에 축 삽입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직경에 상관없이 항상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개별전선의 인출시 전체 와이어 하네스의 흔들림과 이로 인한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정렬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의 내측에 보호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개별전선의 인출시 와이어 하네스의 외측 피복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는 인출지지부(10) 및 고정대(20)를 포함한다.
인출지지부(10)는 와이어 하네스(2)를 축 삽입하여, 이 와이어 하네스(2)를 이루는 개별전선(4)을 전측(前側)으로 인출시 와이어 하네스(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와이어 하네스(2)는 축 방향을 따라 테이프(6)로 감겨져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다.
그래서, 인출지지부(10)는 와이어 하네스(2)가 축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측인 후측(後側)에 테이프(6)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는, 와이어 하네스(2)를 이루는 개별전선(4)이 인출지지부(10)의 후측에 반대되는 전측으로 강제로 뽑혀질 경우, 와이어 하네스(2) 자체가 인출지지부(10)의 전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인출지지부(10)가 와이어 하네스(2)의 일측을지지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편리하게 와이어 하네스(2)의 타측으로 개별전선(4)을 필요 가닥 수 만큼 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대(20)는 인출지지부(10)에 형성되어 인출지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고정대(20)는 인출지지부(10)에 축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2)의 타측을 축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대(20)는 바닥이나 작업대에 고정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대(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인출지지부(10)는 바디(11), 슬리브(13) 및 누름부재(14)를 포함한다.
바디(11)는 인출지지부(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고정대(20)의 전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11)는 고정대(2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는 연통홀(12)을 형선한다.
물론, 바디(11)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슬리브(13)는 일측을 연통홀(12)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정단으로 형성하고, 타측을 자유단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슬리브(13)의 일측은 바디(11)의 전측 내부에 해당되는 연통홀(12)의 내부에 연결된다.
특히, 슬리브(13)의 일측은 바디(11)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디(11)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리브(13)의 자유단인 타측은 테이프(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고정대(20)에 삽입된 부위의 와이어 하네스(2) 둘레면에 형성된 테이프(6)가 슬리브(13)의 타측에 걸림으로써, 와이어 하네스(2)는 바디(11)의 전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슬리브(1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누름부재(14)는 바디(11)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특히, 누름부재(14)는 슬리브(13)가 와이어 하네스(2)의 둘레면에 항상 접하도록 슬리브(13)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즉, 누름부재(14)는 자유단인 슬리브(13)의 타측을 눌러 와이어 하네스(2)의 둘레면에 항상 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누름부재(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디(11)의 둘레면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와이어 하네스(2)로부터 뽑혀지는 개별전선(4)의 가닥수에 따라 전체 와이어 하네스(2)의 직경은 차이가 나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누름부재(14)를 강제 회전시켜 바디(1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누름부재(14)가 슬리브(13)의 타단을 누르는 정도를 달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슬리브(13)는 와이어 하네스(2)의 둘레면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출지지부(10)의 바디(11)는 고정대(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지 보수를 위해 고정대(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디(11)는 고정대(20)에 억지 끼움되는 고무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대(20)에 억지 끼움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2)로부터 개별전선(4)을 뽑을 경우, 와이어 하네스(2)의 연통홀(12) 내측면과 접하는 부위는 바디(11)와 마찰로 인해 벗겨지는 등 파손의 우려가 있다.
그래서, 연통홀(12)은 와이어 하네스(2)와의 직접적 마찰에 의해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1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보호부재(15)는 고무재질이나 스폰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보호부재(1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바디(11)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와이어 하네스 4: 개별전선
6: 테이프 10: 인출지지부
11: 바디 12: 연통홀
13: 슬리브 14: 누름부재
15: 보호부재 20: 고정대

Claims (4)

  1. 테이프로 감겨져 정렬된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개별전선을 전측으로 인출시 상기 테이프가 후측에 걸리게 형성되는 인출지지부; 및
    상기 인출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축 삽입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지지부는, 상기 고정대의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을 갖는 바디;
    상기 연통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을 자유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개별전선의 인출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를 지지하는 슬리브;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별전선의 인출로 직경이 줄어드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면에 상기 슬리브가 항상 접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와의 직접적 마찰에 의해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KR1020100039052A 2010-04-27 2010-04-27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KR10116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52A KR101165407B1 (ko) 2010-04-27 2010-04-27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52A KR101165407B1 (ko) 2010-04-27 2010-04-27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80A KR20110119380A (ko) 2011-11-02
KR101165407B1 true KR101165407B1 (ko) 2012-07-12

Family

ID=4539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052A KR101165407B1 (ko) 2010-04-27 2010-04-27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2924B (zh) * 2016-08-26 2019-03-15 郑州上河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灌胶操作平台的夹持治具
CN109515558B (zh) * 2018-12-27 2021-06-15 盐城市晟广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车灯壳体安装线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9716U (ko) * 1986-12-19 1988-06-28
JP2005033884A (ja) * 2003-07-09 2005-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KR100692102B1 (ko) *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9716U (ko) * 1986-12-19 1988-06-28
JP2005033884A (ja) * 2003-07-09 2005-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KR100692102B1 (ko) *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80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0268B2 (en) Cable pulling grip having toolless removal
US20100102286A1 (en) Pulling jacket for use while installing wires in conduit
KR101165407B1 (ko) 와이어 하네스의 개별전선 인출용 지그
JP5392327B2 (ja) 充電ケーブルの中間把持具
US20170004903A1 (en) Wire harness having fixing member
JP5619860B2 (ja) 架空光ケーブル布設方法
JP201807373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KR20120038831A (ko) 케이블 선통 장치
KR200469282Y1 (ko) 와이어링 하네스 테이핑 툴
JP5849974B2 (ja) 信号ケーブル挿通具
US4991802A (en) Suspension device for cable or a like linear body
CN103403987A (zh) 配备外部构件的电线和具有所述配备外部构件的电线的线束
KR101792666B1 (ko) 요비선용 전선 고정유닛과 이를 구비한 요비선
CN104085746A (zh) 用于仪表器的收线装置
JP6562206B2 (ja) 間接シート
KR20120073698A (ko)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KR20150102322A (ko) 스마트폰충전거치대
KR20110119381A (ko) 와이어 하네스 설치용 지그
JP2017017926A (ja) ケーブル布設治具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JP2009232572A (ja) 電力ケーブルにおける絶縁体の挿入工具および挿入方法
JP2011245974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仮置き部品
CN202381855U (zh) 管线防磨装置
JP2015076945A (ja) 通線用具
JP2017147834A (ja) 鳥害防止用索条の保持具
JP6193445B1 (ja) 合成樹脂製可とう電線管用パテ脱落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