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706B1 - 후진변속장치 - Google Patents

후진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706B1
KR101164706B1 KR1020060056752A KR20060056752A KR101164706B1 KR 101164706 B1 KR101164706 B1 KR 101164706B1 KR 1020060056752 A KR1020060056752 A KR 1020060056752A KR 20060056752 A KR20060056752 A KR 20060056752A KR 101164706 B1 KR101164706 B1 KR 10116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gear
operation arm
arm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921A (ko
Inventor
정의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06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ssentially with both gears that can be put out of gear and continuously-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8Gearings for reversal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t least one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9Spring assisted shift, e.g. springs for accumulating energy of shift movement and release it when clutch teeth are alig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진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가 리버스 시프트레버에 의해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를 따라 이동되고 입력축의 리버스 입력기어와 출력축의 리버스 출력기어에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가 동시에 치합되어 차량의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후진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는 차체에 중간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변속조작장치와 연결된 조작암과; 상기 조작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와 리버스 출력기어 사이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를 밀어 넣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과 조작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보킹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조작암에 가해지는 조작력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기어치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리버스 아이들러기어, 리버스 출력기어, 리버스 입력기어,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 리버스 시프트레버

Description

후진변속장치{ Reverse Transmission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진변속장치 중 리버스 시프트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조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 중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요부인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요부인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리버스 입력축 52 : 리버스 입력기어
61 : 리버스 출력축 62 : 리버스 출력기어
70 :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 72 : 리버스 아이들러기어
80 : 리버스 시프트레버 81 : 조작암
82 : 작동암 83 : 탄성부재
h : 힌지축 90 : 차체
100 : 변속조작장치
본 발명은 후진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진 변속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가 슬라이딩되어 리버스 입력기어 및 리버스 출력기어와 상호 맞물림될 때 기어치끝간 부딪침으로 인해 충돌이 발생되어 후진 변속이 구속되는 보킹현상을 방지한 수동변속기의 후진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는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시킨 다음 구동바퀴에 전달하여 차량의 전진 주행 및 후진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진변속장치 중 리버스 시프트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후진변속장치는 변속기 입력축(8)에 장착된 리버스 입력기어(18)와, 상기 변속기 입력축(8)과 수평하게 배치된 변속기 출력축(6)에 장착된 리버스 출력기어(16)와,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4)에 장착되어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 및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16)에 치합되는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와,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가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 및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16) 사이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리버스 시프트레버(10)로 구성된다.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10)는 차체(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에 연결되고, 타측은 변속조작기구(20)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후진 변속은 엔진(미도시)의 동력이 변속기 입력축(8)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변속조작기구(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10)가 상기 회동된다.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10)의 회동에 의해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4)를 따라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가 변속기 입력축(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리버스 입력기어(18)와 출력축(6)에 고정된 리버스 출력기어(16) 사이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 및 리버스 출력기어(16)와 상호 치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변속기 입력축(8)에 다시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에 의해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가 구동되면서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16) 및 출력축(6)을 전진 주행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후진변속장치는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가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와 리버스 출력기어(16) 사이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14)와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18) 또는 리버스 출력기어(16)의 기어치가 서로일렬로 정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기어치가 일렬로 정렬되면, 상호 치합시 기어치끝간 부딪침이 발생되어 후진 변속이 구속되는 보킹(Baulking)현상이 생기고, 상기 보킹현상에 의해 기어치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후진 변속시 보킹현상 및 부품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는 수동변속기의 후진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버스 아이들러기어가 리버스 시프트레버에 의해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를 따라 이동되고 입력축의 리버스 입력기어와 출력축의 리버스 출력기어에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가 동시에 치합되어 차량의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후진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는, 차체에 중간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변속조작장치와 연결된 조작암과; 상기 조작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와 리버스 출력기어 사이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를 밀어 넣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과 조작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조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 중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요부인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의 요부인 리버스 시프트레버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는 변속기 입력축(51)에 장착된 리버스 입력기어(52)와; 상기 변속기 입력축(51)과 수평하게 배치된 변속기 출력축(61)에 장착된 리버스 출력기어(62)와;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71)에 장착되며,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52) 및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62)에 치합되는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와;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52) 및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62) 사이에 치합되도록 하는 리버스 시프트레버(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는 차체(9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변속조작장치(100)와 연결된 조작암(81)과, 상기 조작암(81)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축(h)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에 배치되는 작동암(82)과, 상기 조작암(81)과 상기 작동암(8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52)는 상기 변속기 입력축(5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리버스 출력기어(62)는 상기 변속기 입력축(51)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된 변속기 출력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71)는 변속기 하우징(미도시)에 고정되되,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3)는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된 상기 조작암(81)과 작동암(8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암(82)과 조작암(81)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조작암(81)과 작동암(82)의 힌지결합부위에는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후진변속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이동되는 방향(S)의 반대편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탄성부재(8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S)쪽에는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작동부와 조작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조작암(81)과 상기 작동암(82)은 상호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양쪽의 공간부에 상기 탄성부재(83)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3)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작동암(82)과 조작암(81)에 양단이 고정된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 입력축(51)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변속조작장치(100)가 차체(9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작암(81)을 이동시킨다.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작암(81)은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힌지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작동암(82)과 조작암(8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83)에 의해 상기 작동암(82)이 상기 조작암(81)의 회동에 따라 회동된다.
상기 작동암(82)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변속기 입력축(51)의 리버스 입력기어(52)와 변속기 출력축의 리버스 출력기어(62)쪽으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도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52)와 리버스 출력기어(62)에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치합된다.
그러나,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가 슬라이딩될 때 보킹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52) 또는 리버스 출력기어(62)의 기어치가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의 기어치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의 슬라이딩은 구속되지만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작암(81)은 상기 변속조작장치(100)의 이동에 의해 회동을 계속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변속조작장치(100)에 의해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 작암(81)에 가해지는 조작력은 상기 탄성부재(83)가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작암(81)은 상기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게 된다.
즉, 보킹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80)의 조작암(81)만이 회동되고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에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72) 또는 리버스 입력기어(52) 또는 리버스 출력기어(62)의 기어치 마모가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변속장치는 리버스 시프트레버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한 조작암과 작동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암과 회동암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리버스 아이들러기어의 기어치가 리버스 출력기어 또는 리버스 입력기의 기어치에 부딪히는 보킹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조작암에 가해지는 조작력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 또는 리버스 출력기어 또는 리버스 입력기어의 기어치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리버스 아이들러기어가 리버스 시프트레버에 의해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를 따라 이동되고 입력축의 리버스 입력기어와 출력축의 리버스 출력기어에 리버스 아이들러샤프트가 동시에 치합되어 차량의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후진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시프트레버는, 차체에 중간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변속조작장치와 연결된 조작암과; 상기 조작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후진 변속시 상기 리버스 입력기어와 리버스 출력기어 사이로 리버스 아이들러기어를 밀어 넣는 작동암과; 상기 작동암과 조작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변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암과 작동암에는 상기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리버스 아이들러기어가 후진 변속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변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암과 작동암의 공간부는 상기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작동암이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변속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암과 작동암에 양단이 고정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변속장치.
KR1020060056752A 2006-06-23 2006-06-23 후진변속장치 KR10116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52A KR101164706B1 (ko) 2006-06-23 2006-06-23 후진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52A KR101164706B1 (ko) 2006-06-23 2006-06-23 후진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921A KR20070121921A (ko) 2007-12-28
KR101164706B1 true KR101164706B1 (ko) 2012-07-11

Family

ID=3913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752A KR101164706B1 (ko) 2006-06-23 2006-06-23 후진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52A (ko) 2019-12-30 2021-07-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후진변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877A (ja) 1998-01-27 1999-08-03 Daihatsu Motor Co Ltd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877A (ja) 1998-01-27 1999-08-03 Daihatsu Motor Co Ltd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921A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627B2 (en) Drive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JP4577902B2 (ja) 4輪駆動車用駆動力配分装置
US10696358B2 (en) Electric bicycle derailleur
DE502007005668D1 (de) Elektromagnetische schalteinrichtung mit linearmotor
WO2005097540A3 (de) Stellantrieb
CN101205990B (zh) 执行元件、阀门装置以及风门装置
CN106628093B (zh) 手动、自动双模式方向盘
KR101164706B1 (ko) 후진변속장치
EP1510732A3 (en) Neutral start mechanism for a hydrostatic transmission
US4354396A (en) Speed change mechanism with load bearing saddle
KR101235554B1 (ko)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
JP5164757B2 (ja) ロボットハンドの指関節駆動機構
JP4979137B2 (ja) クラッチ操作装置
KR20090040074A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변속액츄에이터
CN111594590B (zh) 双向自张紧减速机构、p0系统及混合动力车辆
RU78146U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ивод переключения раздаточной коробки
EP3899181B1 (en) Device for moving a leaf door
KR100473211B1 (ko) 부하조절장치
JP2024503818A (ja) 変速機シフトパーキング構造及び新エネルギー自動車
JP2002317871A (ja) 変速機用電動駆動装置
KR100666540B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기어 결합구조
JP2001146964A (ja) 歯車式変速機の自動変速装置
KR20180058024A (ko) 무단변속기
KR20090005319U (ko) 수문 개폐장치용 기어 박스
JP2002323131A (ja) 自動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