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190B1 - 필름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190B1
KR101164190B1 KR1020100008610A KR20100008610A KR101164190B1 KR 101164190 B1 KR101164190 B1 KR 101164190B1 KR 1020100008610 A KR1020100008610 A KR 1020100008610A KR 20100008610 A KR20100008610 A KR 20100008610A KR 101164190 B1 KR101164190 B1 KR 10116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rame
bevel gear
hinged
low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892A (ko
Inventor
조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0000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일측이 제1상부링크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1하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 및 제1하부링크의 일측을 일측이 동시에 힌지 연결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동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상부다이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펀치와; 상기 상부다이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하부다이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다이가 제1상부링크와 제1하부링크 및 전동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서 미끄럼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한번에 비닐을 타발하여 비닐봉지를 완성함으로써 제품의 정밀도가 높아 불량품의 생산이 거의 없고, 모터의 1회전에 2번을 타발하여 비닐봉지를 완성함으로써 생산능률이 양호하며, 상부다이가 슬라이드바의 안내에 의하여 미끄럼 작용을 함으로서 상부다이가 하부다이에 가하는 압력이 일정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름재 절단장치{The Cutting Apparatus Of Film}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필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한 번의 상부다이의 타발에 의하여 비닐봉지를 완성하는 필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식품류, 세제류, 각종 생활용품 등을 유통 및 보관시키기 위해서 한 면이 개방되고 3방이 밀봉된 주머니형태의 개방형 비닐봉지나 사방이 밀봉되어 내부에 액상의 세제류 또는 음료 등을 수용하는 밀봉형 비닐봉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개방형 비닐봉지나 밀봉형 비닐봉지는 비닐(Viny),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로 된 필름재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의 필름재로 제작되는 비닐봉지를 살펴보면,
4방이 밀봉된 밀봉형 비닐봉지는 권취롤에 권취된 필름재를 이송시키면서 필름재를 가열부에서 측단과 하단을 가열한 후 이를 냉각부에 이동시켜 냉각 가압한 후 측단과 하단 및 상단을 순차적으로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된 비닐봉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시키고 다시 상단을 가열 가압으로 밀봉하여 유통, 보관되고 있다.
3방이 밀봉된 주머니형태의 개방형 비닐봉지는 권취롤에 권취된 필름재를 이송시키면서 필름재를 가열부에서 측단과 하단, 측단 또는 하단 만을 가열한 후 이를 냉각부에 이동시켜 냉각 가압한 후 측단 및 하단을 순차적으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유통된다.
상기와 같은 비닐봉지 제작장치는 도 1의 종래기술의 비닐봉지 제작장치의 개념도로서 살펴 보면,
도 1은 개방형 비닐봉지 중에서 측단 만을 밀봉하여 제작되는 개방형 비닐봉지 제작장치의 개념도로서, 비닐봉지가 되는 필름재(112)의 이송방향을 따라 가열부(120)와 냉각부(130) 및 절단장치(114)를 배치하고, 이송중인 필름재(112)를 가열부(120)에서 가열한 후 냉각부(130)에서 가열, 압착하여 절단장치(114)에서 절단하여 비닐봉지를 제작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접혀서 2겹으로 된 필름재(112)를 사용하면서 하단은 가열 가압하지 아니하고 측단 만을 가열 가압하여 비닐봉지를 제작하는 장치로서, 가열부(120)와 냉각부(130)는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2개 조의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필름재(112)의 양 측단을 동시에 가열과 냉각을 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측에 필름재(112)가 권취된 권취롤(111)에서 필름재(112)가 비닐봉지 이송라인(113)을 따라 이송되면서 가열부(120)를 통과할 때 엑추에이터에 의해 가열부(120)의 실링바(121)가 하강하여 실링베드(122)와 밀착되어 필름재(112)를 압착하면서 전류의 통전에 의해 실링바(121)가 가열되어 필름재(112)의 압착된 부분을 가열한다.
엑추에이터의 후진으로 실링바(121)와 실링베드(122)의 틈새가 발생하면 필름재(112)는 냉각부(130)로 이송되어 가열된 필름재(112) 부분이 냉각부(130)에 도달하면 엑추에이터에 의해 냉각부(130)의 냉각바(131)가 하강하여 냉각베드(132)와 밀착되어 필름재(112)의 가열된 부분을 냉각 압착한다.
엑추에이터의 후진으로 냉각바(131)와 냉각베드(132)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필름재(112)는 절단장치(114)로 이송되어 압착된 필름재(112) 부분이 절단장치(114)에 도달하면 엑추에어터에 의해 절단장치(114)의 절단날이 하강하여 압착된 중앙부를 절단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 개방형 비닐봉지 제작장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때에 사용되는 필름재는 상하필름재가 별도로 공급되기 때문에 권취롤(111)이 2개가 구성되어 각각 별도의 필름재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도 1의 구성에서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2개 조로 배치된 가열부(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1개의 가열부가 추가 구성되며,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2개 조로 배치된 냉각부(13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1개의 냉각부가 추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도 1의 구성에서 상기 절단장치(114)의 후방에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2개의 절단부가 추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필름재(112)의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구성된 가열부는 필름재의 하단부를 가열하고,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구성된 냉각부는 가열된 하단부를 냉각 압착하게 되며, 추가된 절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절단부는 필름재(112)의 냉각된 하단부를 절단하고 나머지 하나의 절단부는 필름재의 상단부를 절단하게 되면 개방형 비닐봉지가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개방형 비닐봉지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 다시 포장 봉지의 상단을 밀봉하면 개방형 비닐봉지가 4방이 밀봉되어 밀폐형 비닐봉지가 되어 그 내부에 내용물이 보호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비닐봉지의 절단장치는 비닐봉지의 측단, 하단 및 상단을 각각 순차적으로 별도 절단함으로써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비닐봉지의 절단장치는 절단부에서 필름재가 처음 절단된 후 다음 절단 공정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있어서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비닐봉지의 절단장치는 작은 힘에도 신연이 잘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재는 필름재가 처음 절단된 후 다음 절단공정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남는 필름재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의 권취력에 의하여 더 신연되어 다음 절단공정에서의 절단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비닐봉지의 절단장치는 엑추에어터에 의하여 절단장치의 절단날이 작용하기 때문에 절단장치의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름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일측이 제1상부링크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1하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 및 제1하부링크의 일측을 일측이 동시에 힌지 연결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동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상부다이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펀치와; 상기 상부다이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하부다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일측이 제1상부링크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1하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 및 제1하부링크의 일측을 일측이 동시에 힌지 연결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동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과 제1하부링크 일측 및 전동링크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전동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는 수평링크와; 상기 수평링크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제1상부링크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상기 수평링크의 타측과 상기 제1상부링크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링크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2하부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측과 상기 제2하부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상부다이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상부다이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하부다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다이의 가장자리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결합된 슬라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제1하부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단면이 'Y'형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제2하부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단면이 'Y'형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동링크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링크의 타측에 감속기의 전동축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속기는, 밀폐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 내에 상기 전동축과 연결에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제1베벨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와 직결되는 제3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제3베벨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4베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4베벨기어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펀치가 한번에 비닐을 타발하여 비닐봉지를 완성함으로써 제품의 정밀도가 높아 불량품의 생산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1회전에 펀치가 2번을 타발하여 비닐봉지를 완성함으로써 생산능률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다이가 슬라이드바의 안내에 의하여 미끄럼 작용을 함으로서 상부다이가 하부다이에 가하는 압력이 일정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링크, 상?하부다이 및 슬라이드바가 하나의 프레임 내에 구성되어 셋팅 후의 영점조정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에 의하여 상부다이가 작동되므로 작동 상태가 부드럽고 조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비닐봉지 제작장치의 개념도.
도 2: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Y'형상의 링크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감속기의 상태도.
본 발명은 필름재의 절단장치로서 종이의 절단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봉지 제작장치에 사용되는 필름재를 절단하는 필름재 절단장치로서 비닐봉지 제작장치의 말미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부속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별도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필름재 또는 종이 등의 절단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10),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전동링크(23), 상부다이(31), 펀치(33), 하부다이(32), 슬라이드바(30), 수평링크(24), 제2상부링크(25), 제2하부링크(26), 회전링크(27) 및 감속기(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일정한 두께와 두께보다 월등하게 큰 폭을 갖는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상기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을 연결하는 수직판넬로 구성되는 4각형 프레임(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강성 등을 고려할 때 4각형 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부링크(21)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 즉 상부 판넬의 내면과 힌지 연결되되 상기 상부 판넬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링크(22)는 상기 제1상부링크(21)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일측이 제1상부링크(21)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되 상기 하부 판넬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상부링크(21)와 상기 제1하부링크(22)는 각각 상?하 판넬의 내면에서 한쪽 편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동력전달의 링크의 작동 등을 위하여 상?하 판넬의 내면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를 각각 복수개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복수개를 구성할 경우에는 상?하 판넬의 내면의 중앙의 가장자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링크(23)는 상기 제1상부링크(21)의 타측 및 제1하부링크(22)의 일측을 일측이 동시에 힌지 연결되면서 프레임(10)의 외부로 인출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전동링크(23)는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와 일체형으로 힌지 결합되고 프레임(10)의 수직 판넬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다이(31)가 상기 제1하부링크(22)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하부링크(22)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다이(31)의 상부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펀치(33)가 상기 상부다이(31)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제1하부링크(22)가 연결되는 상부다이(31)의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볼트 등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펀치(33)의 일측면 즉 상부다이(31)에 결합되지 아니한 면에는 비닐봉지의 형상으로 된 금형 또는 목형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하부다이(32)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다이(31)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이(32)의 일측면 즉 프레임(10)에 결합되지 아니한 면에는 비닐봉지의 형상으로 관통형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펀치(33)와 하부다이(32)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은 제작하고자 하는 비닐봉지의 외형이 다양하므로 비닐봉지의 외형이 맞게 펀치(33)와 하부다이(32)의 금형 또는 목형을 교환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다이(32)의 관통공의 크기는 비닐봉지의 필요한 치수로 하고, 하부다이(32)에는 관통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전단각을 형성하고, 펀치(33)는 비닐봉지의 필요한 치수보다 틈새(clearance) 만큼 더 작게 형성한다.
상기 상부다이(31)의 가장자리에는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슬라아드바가 삽입되고, 관통공에 삽입된 슬라이드바(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과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결합 구성된다.
상기 상부다이(31)가 상하 왕복운동을 할 때 슬라이드바(30)의 안내를 받으면서 미끄럼 작용을 하며, 상기 슬라이드바(30)를 4개로 구성하여 상부다이(31)의 4각 모서리에도 각각 관통공을 형성하여 각각의 관통공에 슬라이드바(30)를 삽입함으로써 보다더 상부다이(31)의 미끄럼작용이 원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 중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되지 아니하는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만약, 제1상부링크(21)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링크의 사각형 단면의 링크부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에 힌지 결합하고, 제1하부링크(22)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링크의 사각형 단면의 링크부를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한다.
제1상부링크(21)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제1상부링크(21)의 링크의 단면이 'V'형상의 링크부에 사각형 단면의 제1하부링크(22)가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고, 제1하부링크(22)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제1하부링크(22)의 링크의 단면이 'V'형상의 링크부에 사각형 단면의 제1상부링크(21)가 삽입되어 힌지 연결된다.
상기 회전링크(27)가 전동링크(23)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회전링크(27)의 회전운동이 전동링크(23)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화되어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에 운동을 전달한다.
상기 회전링크(27)의 타측에 감속기(40)의 전동축(46)이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40)는 밀폐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기어박스(41)와 기어박스(41) 내에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들로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40)의 기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동축(46)이 기어박스(41)의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41) 내부의 전동축(46)에 제1베벨기어(42)가 연결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42)와 치차 결합되어 제1베벨기어(42)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43)가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링크(27)와 제1베벨기어(4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베벨기어(43)는 제1베벨기어(42)의 회전방향과 직각으로 회전한다.
제3베벨기어(44)가 제2베벨기어(43)에 동일한 축에 의하여 직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베벨기어(44)와 치차 결합되어 제3베벨기어(44)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4베벨기어(45)가 구성되며, 상기 제4베벨기어(45)는 모터(50)의 회전축(51)에 연결된다.
제2베벨기어(43)와 제3베벨기어(44)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4베벨기어(45)는 제3베벨기어(44)의 회전방향과 직각으로 회전한다.
즉, 제4베벨기어(45)에서 제3베벨기어(44)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직각으로 회전 방향이 변하고, 제3베벨기어(44)와 제2베벨기어(43)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며, 제2베벨기어(43)에서 제1베벨기어(42)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직각으로 회전 방향이 변하여 모터(50) 회전축(51)의 회전방향과 전동축(46)의 회전방향이 직각으로 변경된다.
상기 감속기(40)는 모터(50) 회전속도의 감속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제1베벨기어(42) 내지 제4베벨기어(45)를 사용하여 다단으로 감속하였으나, 제1베벨기어(42)에 제4베벨기어(45)을 바로 치차 결합하여 제4베벨기어(45)에서 제1베벨기어(42)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직각으로 회전 방향이 변하여 전동축(46)의 회전방향과 모터(50) 회전축(51)의 회전방향과 전동축(46)의 회전방향이 직각으로 변경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베벨기어(42) 내지 제4베벨기어(45)를 사용한 감속기(40)의 감속비보다 감속비가 작아 지게 된다.
또한, 유성기어를 사용하여 1번의 감속으로 소기의 감속비를 실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감속기(40)의 기술적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별도로 상기 모터(5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버터를 별도로 구비하여 모터(50)의 회전을 변경 제어함으로써 감속비를 사용하는 효과를 구할 수 있으면서 비닐봉지의 생산속도에 적응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50)의 회전이 감속기(40)에서 감속되어 회전방향이 바뀌어 전동축(46)에 전달되면 전동축(46)에 연결된 회전링크(27)가 전동축(46)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링크(27)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링크(27)에 힌지 결합된 전동링크(23)가 왕복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전동링크(23)와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가 한 곳에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동링크(23)가 타원형 운동을 하면 이 타원형 운동이 제1상부링크(21)와 제1하부링크(22)를 움직이게 되고, 제1상부링크(21)와 제1하부링크(22)가 만나는 직선의 각도가 변화되면서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가 힌지 결합된 힌지부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서 제1하부링크(22)에 결합된 상부다이(31)가 왕복운동으로 변화되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다이(31)가 제1상부링크(21)와 제1하부링크(22) 및 전동링크(2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0) 내에서 미끄럼 작용을 한다.
상기 상부다이(31)가 저점의 위치를 통과할 때 상부다이(31)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펀치(33)에 돌출된 금형 또는 목형이 상기 하부다이(32)의 관통공 내로 진입하고 후퇴하게 된다.
이때 비닐봉지 제작장치의 가열부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비닐봉지의 형상대로 가열한 후 냉각부에서 가열된 비닐봉지를 냉각한 상태의 필름재가 상기 펀치(33)와 하부다이(32)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펀치(33)가 필름재의 가열과 냉각된 부분을 타발하게 되며, 타발된 필름재는 필요한 치수와 형상으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부분이 비닐봉지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에 상기의 프레임(10),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전동링크(23)의 구성에 수평링크(24), 제2상부링크(25), 제2하부링크(26)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프레임(10),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전동링크(23)의 구성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링크(24)는 전동링크(23)에 힌지 결합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링크(24)는 제1상부링크(21)의 타측과 제1하부링크(22) 일측 및 전동링크(23)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전동링크(23)와 대향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상부링크(25)는 상기 수평링크(24)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과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제1상부링크(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제2상부링크(25)는 제1상부링크(21)와 이격되고 대향되게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 즉 상부 판넬의 내면과 힌지 연결되되 상기 상부 판넬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하부링크(26)는 제2상부링크(25)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상기 수평링크(24)의 타측과 상기 제1상부링크(21)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링크(22)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된다.
제2하부링크(26)는 제1하부링크(22)와 이격되고 대향되게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 즉 하부 판넬의 내면과 힌지 연결되되 상기 하부 판넬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상부링크(21)와 제1하부링크(22)가 각각 상?하 판넬의 내면에서 한쪽 편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제2상부링크(25)와 제2하부링크(26)가 각각 상?하 판넬의 내면에서 다른쪽 편으로 치우쳐 설치된다.
상기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를 각각 복수개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복수개를 구성할 경우에는 상?하 판넬의 내면의 모서리의 가장자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다이(31)가 상기 제1하부링크(22)의 타측과 상기 제2하부링크(26)의 타측에 동시 연결되고, 펀치(33)가 상기 상부다이(31)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다이(32)가 상기 상부다이(31)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구성되고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다이(31)는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전동링크(23), 수평링크(24),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0) 내에서 미끄럼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 중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되지 아니하는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만약, 제2상부링크(25)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링크의 사각형 단면의 링크부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면에 힌지 결합하고, 제2하부링크(26)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링크의 사각형 단면의 링크부를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한다.
제2상부링크(25)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제2상부링크(25)의 링크의 단면이 'V'형상의 링크부에 사각형 단면의 제2하부링크(26)가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고, 제2하부링크(26)의 단면이 'Y'형상이 경우에는 제2하부링크(26)의 링크의 단면이 'V'형상의 링크부에 사각형 단면의 제2상부링크(25)가 삽입되어 힌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펀치(33)와 상부다이(31), 하부다이(32), 감속기(40), 슬라이드바(30) 및 인버터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는 모터(50)에서 전동링크(23)까지의 동력전달 및 작용, 상부다이(31)와 펀치(33) 및 하부다이(32)에 대한 등에 대한 작용도 본 발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수평링크(24)와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링크(23)와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가 한 곳에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동링크(23)가 타원형 운동을 하면 이 타원형 직선운동이 제1상부링크(21)와 제1하부링크(22)를 작동한다.
상기 전동링크(23)와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에 일체로 힌지 결합된 수평링크(24)가 타원형 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수평링크(24)와 힌지 결합된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도 작동한다.
상기 제1상부링크(21) 및 제1하부링크(22)가 만나는 직선의 각도 및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가 만나는 직선의 각도가 변화되면서 전동링크(23)는 타원형 운동을 하고, 제1상부링크(21), 제1하부링크(22), 제2상부링크(25) 및 제2하부링크(26)가 힌지 결합된 힌지부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하부링크(22) 및 제2하부링크(26)에 결합된 상부다이(31)가 왕복운동으로 변화되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다이(31)가 제1상부링크(21), 제2상부링크(25), 제1하부링크(22), 제2하부링크(26), 수평링크(24) 및 전동링크(2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0) 내에서 미끄럼 작용을 한다.
상기 상부다이(31)가 저점의 위치를 통과할 때 상부다이(31)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펀치(33)에 돌출된 금형 또는 목형이 상기 하부다이(32)의 관통공 내로 진입하고 후퇴하게 된다.
10: 프레임 21: 제1상부링크
22: 제1하부링크 23: 전동링크
24: 수평링크 25: 제2상부링크
26: 제2하부링크 27: 회전링크
30: 슬라이드바 31: 상부다이
32: 하부다이 33: 펀치
40: 감속기 41: 기어박스
42: 제1베벨기어 43: 제2베벨기어
44: 제3베벨기어 45: 제4베벨기어
46: 전동축 50: 모터
51: 회전축

Claims (9)

  1. 삭제
  2. 필름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된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일측이 제1상부링크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1하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 및 제1하부링크의 일측을 일측이 동시에 힌지 연결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동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측과 제1하부링크 일측 및 전동링크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전동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는 수평링크와;
    상기 수평링크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힌지 연결되면서 상기 제1상부링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단면이 'Y'형상으로 구성된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상부링크와 대향되게 구성되고, 상기 수평링크의 타측과 상기 제1상부링크의 일측을 동시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링크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2하부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측과 상기 제2하부링크의 타측에 연결되고 가장자리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이 구성된 상부다이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결합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상부다이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펀치와;
    상기 상부다이에 대응되고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면에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하부다이와;
    상기 전동링크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전동축과;
    상기 전동축과 연결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제1베벨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와 직결되는 제3베벨기어와, 상기 제3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제3베벨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4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 제2베벨기어, 제3베벨기어, 제4베벨기어를 내부공간에 형성하고 밀폐된 기어박스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다이는 기어박스에서 감속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링크, 전동링크, 제1상부링크, 제1하부링크, 수평링크, 제2상부링크 및 제2하부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서 슬라이드바의 안내를 받으면서 미끄럼 작용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재 절단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08610A 2010-01-29 2010-01-29 필름재 절단장치 KR10116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10A KR101164190B1 (ko) 2010-01-29 2010-01-29 필름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10A KR101164190B1 (ko) 2010-01-29 2010-01-29 필름재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92A KR20110088892A (ko) 2011-08-04
KR101164190B1 true KR101164190B1 (ko) 2012-07-09

Family

ID=4492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10A KR101164190B1 (ko) 2010-01-29 2010-01-29 필름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02B1 (ko) * 2013-05-09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2630A (zh) * 2017-12-11 2018-04-20 天津市川大通用机械有限公司 一种可控制的智能切袋机
CN108000575B (zh) * 2017-12-26 2024-02-27 浙江清优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泡棉裁切定位装置
CN111604953A (zh) * 2020-06-08 2020-09-01 安徽兴中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保护膜生产加工用的切膜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3087A (en) * 1995-09-27 1998-10-20 Bruderer Ag Punch press having a toggle joint mechanism drive
JPH1168022A (ja) * 1997-08-11 1999-03-09 Hitachi Cable Ltd リードフレームへのフィルム打抜き貼付け方法
JP2000202700A (ja) * 1999-01-0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3087A (en) * 1995-09-27 1998-10-20 Bruderer Ag Punch press having a toggle joint mechanism drive
JPH1168022A (ja) * 1997-08-11 1999-03-09 Hitachi Cable Ltd リードフレームへのフィルム打抜き貼付け方法
JP2000202700A (ja) * 1999-01-0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02B1 (ko) * 2013-05-09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장치
US9628882B2 (en) 2013-05-0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Sou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92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8435B (zh) 全伺服往复式包装机械
KR101164190B1 (ko) 필름재 절단장치
JPH05508142A (ja) クッション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106853880B (zh) 四边封湿巾包装机
US20030231922A1 (en) Arrangement for making textured multi film solid cleanser holders
CN111674612B (zh) 一种可自动包装的医用口罩机
CN109016641A (zh) 一种模板自适应调整的瓦楞纸箱模切机
CN105151360A (zh) 四边封包装机
CN107804500B (zh) 一种充填对叠封合一体机
CN101219593A (zh) 全自动圆压平模切机
US20040009030A1 (en) Arrangement for making textured film solid cleanser holders
US3647335A (en)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JPH1029611A (ja) 包装機械における駆動装置
JP2002019742A (ja) ブリスターパッキングマシン内のブリスターパック切断装置
KR20000010560A (ko) 시트의절곡방향성부여방법및그장치
JP2012030310A (ja) ダンボール包装ブランクの製造装置
CN212829237U (zh) 一种包装盒闭盒装置
JP5219432B2 (ja) エンドシール装置
CN210233279U (zh) 一种可调节的塑料包装箱打孔装置
CN209795969U (zh) 一种全自动透明膜三维包装机
EP075054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fliessmittelpackung über eine halbschale
CN212127003U (zh) 一种皮雕软包用皮革裁切装置
CN220096878U (zh) 一种安全性高的拉伸膜包装机
CN214056605U (zh) 一种高强度抗震包装纸箱裁剪装置
CN215664290U (zh) 一种往复式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