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120B1 -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120B1
KR101164120B1 KR1020100106145A KR20100106145A KR101164120B1 KR 101164120 B1 KR101164120 B1 KR 101164120B1 KR 1020100106145 A KR1020100106145 A KR 1020100106145A KR 20100106145 A KR20100106145 A KR 20100106145A KR 101164120 B1 KR101164120 B1 KR 10116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nanoparticles
polymer
mixture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845A (ko
Inventor
정은애
성시준
김대환
손대호
강진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0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a)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두 기판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에 대한 선택적 노광을 통해 상기 전고분자를 경화시켜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과 고분자 격벽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여 액정의 구동특성이 개선된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디스플레이 기술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기존의 CRT를 이용한 고착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대체하고 있으며 노트북용 표시소자, 컴퓨터 모니터, TV 등 점점 대형화 하여 DID(PID)시장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영역에서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들은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깨지기가 쉽고, 변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리 기판 대신 유연한 기판을 사용하여 깨지지 않으며 변형이 가능한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 중 액정을 이용한 플라스틱 액정표시소자의 경우 기판을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이 휘어짐에 따라 액체 상태인 액정이 화소 내부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판 사이의 셀 갭(cell gap)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액정 표시 특성에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소별로 셀 갭을 유지하기 위한 격벽구조가 필요 하다.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작방법은 기판 위에 처음부터 격벽 구조를 제작한 뒤 경화성 물질과 액정의 혼합물을 상부에서 주입하여 기판을 합착하는 경우와 기판을 합착한 후 경화성 물질과 액정이 혼합물을 주입한 후 격벽을 형성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자와 같이 기판을 합착한 후 광경화성 단량체 및 개시제로 구성된 전고분자와 액정을 주입한 뒤 원하는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전고분자를 경화시킴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한 영역에서만 전고분자의 경화 반응이 진행되어 고분자 격벽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액정이 존재하게 하는 방식으로 격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소자들은 액정과 고분자 격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액정의 구동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격벽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액정표시 소자에 비해서 액정 구동전압이 높아지며 응답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a)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두 기판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에 대한 선택적 노광을 통해 상기 전고분자를 경화시켜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기판;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이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됨에 따라, 상기 전고분자와 상기 액정 간의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형성되는 고분자 격벽; 및 상기 고분자 격벽이 형성된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충진되는 액정 충진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가 제공된다.
도 1은 격벽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액정과 고분자의 상분리를 나타내는 편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고분자 격벽 두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액정 명암비 특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액정 구동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먼저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한다.
다음, 두 기판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한다. 상기 두 기판은 유리 기판이거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두 기판이 플라스틱 기판인 경우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플렉시블 액정표시소자가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혼합물에 대한 선택적 노광을 통해 상기 전고분자를 경화시켜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 노광을 통한 고분자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격벽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상기 두 기판 중 하나의 기판 위에 배치하고, 상기 마스크 위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이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특정 패턴을 통과한 영역에서 전고분자를 경화시킴으로써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게 된다.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는 고분자 격벽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과 고분자 격벽 간의 간섭에 의해서 액정 구동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의 경화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 격벽과 액정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나노입자가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에 도입된다.
상기 나노입자는 무기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의 구체적인 예로 실리카(SiO2), 이산화 타이타늄(TiO2), 산화아연 (ZnO), 산화주석(SnO), 산화안티몬(Sb2O5), 폴리헤드랄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금, 은, 구리, 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의 직경은 5 내지 400 나노미터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화성 물질과 나노입자의 혼합이 어려워지며, 나노입자 간의 응집이 생겨 전기-광학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화학적인 표면처리 반응을 통하여 입자 표면이 개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격벽의 표면에너지 제어를 위해서는 나노입자가 경화되는 전고분자 영역에 함께 위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나노 입자의 표면처리를 통한 전고분자와의 친화도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입자의 친화도 개선을 위하여 나노입자 표면을 알킬 사슬 화합물 또는 경화 반응이 가능한 이중결합이 포함된 알킬 사슬 화합물로 처리한 후 전고분자와 함께 사용하였다. 표면처리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경우 나노입자가 경화된 고분자 내부에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나노입자가 액정분자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고분자 격벽과 액정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의 구동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면개질은 경화성 물질과 나노입자 사이에 친화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표면개질된 상기 나노입자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Figure 112010070181147-pat00001

경화에 의해 고분자 격벽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경화성 물질은 예를 들어 광개시제, 가교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3,5,5-Trimethylhexyl acrylate),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thoxylethyl acrylate),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Isodecyl acrylate), 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Octadecyl acrylate), 터트 부틸 아크릴레이트(Tert-bu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로울리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로울리 메타 아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펜타플루오르프로필 아크릴레이트(Pentafluoropropyl acrylate),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Hexafluoroisopropyl acrylate), 트리플루오르에틸 아크릴레이트(Trifluoroethyl acrylate), 비스페놀 A 다이메틸 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dimeth acrylate), 비스페놀 A 프로폭실레이트 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propoxylate diacrylate), 트리메틸프로판 프록실레이트 트라이 아크릴레이트(Trimethylpropane propoxylate triacrylate), 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3,5,5-Trimethylhexyl acrylate), 메톡시폴리에틸렌글루코아크릴레이트( Methoxy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페녹시폴리에틸렌글루코아크릴레이트(Phenoxy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노닐페녹시 폴리에틸렌글루코 아크릴레이트(Nonylphenoxy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ydroxybuthyl acrylate) 및 다이플루오르벤질 아크릴레이트(3,5-Difluorobenz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서 Darcour 4265, Darcour 1173, Diphenyl (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Darcour MBF, IRGACURE 907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 PEGDA, HDDA, TPGDA, TMPTA, TMPTMP, TMPTM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고분자는 상기 나노입자와 상기 경화성 물질이 각각 중량비 1:99 내지 30:70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에서 나노입자와 경화성 물질의 혼합이 잘 되며, 나노입자 간의 응집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실리카 나노입자 간의 친화도 차이에 따른 격벽구조 형성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표면처리를 실시한 여러 종의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전고분자를 제조하고 격벽 형성을 실시하였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를 전고분자에 혼합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경우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중합됨에 따라 그 영역에 존재하던 실리카 나노입자가 액정과 함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으로 밀려나게 된다. 격벽의 형성에 따라 형성된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액정 영역에 함께 존재하는 실리카 나노입자는 전기장에 의해 변화하는 액정 분자의 거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액정 표시소자의 구동 특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전고분자에 사용된 나노입자의 표면처리 화학구조의 차이에 따라서 경화고분자 내에서의 나노입자 분포가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분포 차이는 고분자 격벽과 액정 간의 상호작용의 차이를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수성인 알킬 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나노입자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경화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므로 경화된 고분자 격벽 외곽에 불규칙적으로 분포하게 된다. 반면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알킬 사슬 화합물로 나노입자를 표면처리하는 경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경화 반응에 함께 참여할 수 있으므로 고분자 격벽 내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러한 고분자 격벽 내부의 나노입자 분포 차이는 액정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의 구동특성에서 차이를 유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는 고분자 격벽 내에 나노입자를 도입하여 액정과 고분자 격벽 간 상호작용을 제어함으로써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액정 구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고분자 격벽 내에서의 나노입자 분포를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표면 화학구조를 갖는 나노입자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액정표시소자의 표시특성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의 액정 고분자 복합체 형성 방법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액정 고분자 복합체의 상분리 특성 및 전기광학 특성 제어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하려 구체화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광개시제 Darocur 4265, 가교제 PEGDA(Polyethylenglycol diacrylate) 및 단량체 EHA(2-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전고분자와 표면처리되지 않은 7nm 입경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99:1, 97:3, 95: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을 E7 액정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광개시제 Darocur 4265, 가교제 PEGDA(Polyethylenglycol diacrylate) 및 단량체 EHA(2-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전고분자와 표면처리되지 않은 14nm 입경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99:1, 97:3, 95: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을 E7 액정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광개시제 Darocur 4265, 가교제 PEGDA(Polyethylenglycol diacrylate) 및 단량체 EHA(2-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전고분자와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비스[3-(트리메톡시실릴) 프로필)]아민 (Bis[3-(trimethoxysilyl) propyl] amine)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12nm 입경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99:1, 97:3, 95: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을 E7 액정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광개시제 Darocur 4265, 가교제 PEGDA(Polyethylenglycol diacrylate) 및 단량체 EHA(2-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전고분자와 알킬 사슬 및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3-(트리클로로실릴)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Trichlorosilyl) propyl methacrylate)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12nm 입경의 실리카 나노입자를 99:1, 97:3, 95: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을 E7 액정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광개시제 Darocur 4265, 가교제 PEGDA(Polyethylenglycol diacrylate) 및 단량체 EHA(2-Ethylhexyl acrylate)를 아크릴레이트계 전고분자로 사용하고 이를 E7 액정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
상기 실시 예 1~3 및 비교 예에서 제조한 액정 전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하여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를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투명전극이 코팅된 유리 기판을 세정한 후 니산(Nissan)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를 코팅하고 경화하여 배향막을 도포하였으며 배향막이 도포된 기판을 일정한 방향으로 러빙하였다. 제조된 배향막이 도포된 2매의 기판을 셀 갭(Cell Gap)을 5㎛로 유지하고 합착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이후 액정과 전고분자의 혼합물을 섭씨 100도의 온도에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셀 갭에 주입시켜 액정 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액정 셀을 사용하여 액정과 전고분자가 상분리되어 격벽구조를 포함하는 화소고립형 액정 셀을 만들기 위해서 격벽 구조에 따라 제작된 마스크를 투과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자외선 조사용 마스크의 픽셀 크기는 300㎛×300㎛이며 격벽을 형성할 부분의 폭은 30㎛이다.
제작된 액정 셀의 격벽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액정 셀을 서로 직교하는 편광기 사이에 넣어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액정과 고분자 간의 상분리 구조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고분자 격벽의 두께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나노입자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액정과 고분자 간의 상분리 구조가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며 고분자 격벽의 두께 변화도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제작된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전기광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액정 셀의 명암비 및 구동전압을 측정하였다. 편광축이 직교인 2매의 편광자 사이에 액정 셀을 배치하고 633nm 파장의 레이저를 투과시킨 후 액정 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서 레이저광의 투과도 변화를 포토미터(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 및 5는 나노입자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화소고립형 액정표시소자의 명암비 특성 및 구동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표면 처리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의 명암비 특성이 낮아지고 구동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경향이 강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면처리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한 경우 명암비 특성이 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높아지며 구동전압이 감소하였으며 경화 반응이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경우 명암비 개선 효과 및 구동전압 감소 효과가 뚜렷하였다.
표면처리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의 경우 친수성을 가지므로 소수성인 전고분자와의 경화 과정 중에 고분자 격벽 외부로 이동하여 액정 영역에 존재하게 되며, 액정 영역 내의 나노입자는 액정 분자의 거동을 방해하므로 구동특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이와는 달리 표면처리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경우 소수성을 띄므로 경화 과정에서 전고분자 영역에 함께 존재하게 되어 액정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경화 반응이 가능한 작용기를 표면에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경우 전고분자의 경화 반응 시 함께 경화에 참여하여 고분자 격벽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실리카 나노입자에 의한 고분자 격벽과 액정 분자 간 상호작용 개선에 큰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a)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두 기판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에 대한 선택적 노광을 통해 상기 전고분자를 경화시켜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입자의 표면은 알킬 사슬 화합물 또는 경화 반응이 가능한 이중결합이 포함된 알킬 사슬 화합물로 처리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격벽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상기 두 기판 중 하나의 기판 위에 배치하는 단계;
    (c-2) 상기 마스크 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c-3) 상기 자외선이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특정 패턴을 통과한 영역에서 전고분자를 경화시킴으로써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무기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4. 삭제
  5. (a)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두 기판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에 대한 선택적 노광을 통해 상기 전고분자를 경화시켜 고분자 격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입자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면개질된 나노입자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Figure 112011103326214-pat00002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입자의 직경이 5 내지 400 나노미터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물질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고분자는 상기 나노입자와 상기 경화성 물질이 각각 중량비 1:99 내지 30:70으로 혼합되어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9.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기판;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고분자와 액정분자가 혼합된 액정-전고분자 혼합물이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됨에 따라, 상기 전고분자와 상기 액정 간의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형성되는 고분자 격벽; 및
    상기 고분자 격벽이 형성된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충진된 액정 충진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나노입자의 표면은 알킬 사슬 화합물 또는 경화 반응이 가능한 이중결합이 포함된 알킬 사슬 화합물로 처리된 액정표시소자.
KR1020100106145A 2010-10-28 2010-10-28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45A KR101164120B1 (ko) 2010-10-28 2010-10-28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45A KR101164120B1 (ko) 2010-10-28 2010-10-28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845A KR20120046845A (ko) 2012-05-11
KR101164120B1 true KR101164120B1 (ko) 2012-07-10

Family

ID=4626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145A KR101164120B1 (ko) 2010-10-28 2010-10-28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1595B2 (en) 2016-01-07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29B1 (ko) * 2013-11-27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3960A (ko) 2014-07-01 2016-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1073B1 (ko) * 2015-12-18 201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유전율 나노 입자가 배합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고분자학회 Vol.35 No.2 2010(2010.1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1595B2 (en) 2016-01-07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845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4615B1 (en) Photoresist resin composition, film prepared therefrom, color conversion element including the fil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lor conversion element
JP5564748B2 (ja) 屈折率調整光学部材用透明粘着剤と光学用透明粘着層及び屈折率調整光学部材用透明粘着剤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用透明粘着層の製造方法
JP6014939B2 (ja) 反射型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6285558B2 (ja) 予備パターン化像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16412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10877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flective color filter
CN106415381B (zh) 液晶显示元件用密封剂、上下导通材料及液晶显示元件
JPWO2011162078A1 (ja) コロイド結晶用組成物
TWI447159B (zh) A photohardenable resin composition having shading and adhesion, and a hardened product thereof
KR101756522B1 (ko) 양자점-수지 복합체의 제조 방법, 양자점-수지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광 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WO2019003905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EP3177110A1 (en) Organic el light-emitting device
KR101813432B1 (ko) 반도체 나노 입자 함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광학 재료 및 전자 재료
US20120164395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lastic member and plastic member
WO2011093330A1 (ja) (メタ)アクリロイル基含有ポリシロキサン樹脂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た(メタ)アクリロイル基含有ポリシロキサン樹脂を用いた調光フィルム
KR10109471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24636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device
JP201109844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882687B1 (ko) 액정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KR20180026813A (ko) 액정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US11709410B2 (en) Black barrier wall patter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248213B2 (ja) 基板の製造方法
JP2011227466A (ja) レンズ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JP562319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10209257A (ja) 有機無機複合粒子分散液及び有機無機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