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764B1 -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764B1
KR101163764B1 KR1020120032277A KR20120032277A KR101163764B1 KR 101163764 B1 KR101163764 B1 KR 101163764B1 KR 1020120032277 A KR1020120032277 A KR 1020120032277A KR 20120032277 A KR20120032277 A KR 20120032277A KR 101163764 B1 KR101163764 B1 KR 10116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camera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식
배병우
강재훈
이소현
손용선
김정애
Original Assignee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01G3/1402Special supports with preselected places to mount the resistance strain gauges; Mounting of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 바닥의 양측에는 아일랜드가 돌출되며, 차량이 진입 방향에 대해 축하중검출부의 전측과 후측에 해당되는 아일랜드의 내측면에는 축하중검출부에 접한 바퀴에 이웃한 바퀴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부정진입을 판단하기 위해 부정검출센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마주하는 아일랜드에 부정검출센서부재를 구비하여 화물 차량의 랜딩바퀴를 내리며 축하중검출부로 부정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함으로써 부정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FIXED WEIGHING MEASURING DEVICE FOR AXLE WEIGHT}
본 발명은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주하는 아일랜드에 부정검출센서부재를 구비하여 화물 차량의 랜딩바퀴를 내리며 축하중검출부로 부정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함으로써 부정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중기는 도로나 교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적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즉 차량이 진행 상태에서 각 차량의 축중량을 검측, 합산하여 차량의 총중량을 검측하여 차량의 과적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축중기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시로 측정하는 고정식 축중기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를 경량화하여 이곳저곳에서 옮겨가며 측정이 가능토록 한 이동식 축중기가 있다.
여기서, 고정식 축중기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형태로 물동량이 많은 곳에 설치되며 동적(다이나믹) 계량이 가능한 장치이다. 동적계량이란 차량이 30km 이하 저속으로 축중판을 통과하면서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는 차량의 중량을 검측하기 위해 크게 차로 설비와 사무실 설비로 나뉘어진다. 차로 설비는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차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검측부에 차량 바퀴의 중량이 인가되면서 내부의 힘을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로드 셀의 변형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이고, 사무실 설비는 차도 상에 설치된 검측부에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처리하고, 임계값 이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화 구축 후 주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근무자에게 통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된다.
고정식 축중기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1095843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고정식 축중기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랜딩바퀴를 내리면서 축하중검출부로 진입하기 때문에 부정 진입에 따른 정확한 축중량 검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주하는 아일랜드에 부정검출센서부재를 구비하여 화물 차량의 랜딩바퀴를 내리며 축하중검출부로 부정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함으로써 부정 진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는: 과적 차량 적발을 위해 진입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의 축하중을 분할 감지하기 위해 도로에 구비되는 축하중검출부, 상기 축하중검출부에 대응되도록 도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부, 및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시 해당 차량의 전측을 촬영하도록 도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차량저장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양측 가장자리에는 아일랜드가 돌출되며, 차량이 진입 방향에 대해 상기 축하중검출부의 전측과 후측에 해당되는 상기 아일랜드에는 상기 축하중검출부에 접한 바퀴에 이웃한 바퀴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부정진입을 판단하기 위해 부정검출센서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하중검출부는 차량의 하부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보조바퀴의 하강에 의한 부정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로 바닥의 폭 전체에 걸쳐 매립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일랜드에는 진입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상태를 측방향에서 촬영하거나 영상 저장하기 위해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에 대응되도록 적재상태기록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일랜드 각각에는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폴(pole)이 구비되며, 상기 폴에는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와 상기 적재상태기록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하중검출부는, 상기 도로 바닥에 매립되는 피트프레임, 상기 피트프레임 내측에 안착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윤중을 검출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도록 테두리에 제 1경사면을 형성하는 로드셀, 및 상기 피트프레임의 내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결속되며,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칭되어 면접되도록 제 2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로드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블록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마주하는 아일랜드에 부정검출센서부재를 구비하여 화물 차량의 랜딩바퀴를 내리며 축하중검출부로 부정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함으로써 부정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 의 로드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의 검출플레이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플레이트에 센서 부착 공정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를 도로에 매설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가 도로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에 부정 진입 방지를 위한 도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에 부정 진입 방지를 위한 도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에 설치되는 폴의 고정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측 브라켓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측 브라켓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모듈 상하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모듈 좌우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측 브라켓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측 브라켓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모듈 상하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모듈 좌우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의 축하중검출부 의 로드셀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의 검출플레이트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플레이트에 센서 부착 공정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를 도로에 매설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가 도로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에 부정 진입 방지를 위한 도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에 부정 진입 방지를 위한 도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에 설치되는 폴의 고정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측 브라켓 확대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측 브라켓 분해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모듈 상하 각도 조절 상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카메라모듈 좌우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측 브라켓 확대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측 브라켓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모듈 상하 각도 조절 상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저장카메라부의 조명모듈 좌우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는 도로(2)에 노출되게 매설되어 진입하여 통과하는 화물 차량의 축중량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설비이다. 여기서, '축중'이란 화물 차량의 바퀴(4) 좌우 측을 동시에 계측한 무게값을 의미하며, '윤거리'는 좌측 및 우측 바퀴(4)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도로(2)는 차량의 통행하는 차도와 인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데, 인도는 도로(2)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로(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하기에서는, 차도를 도로(2)로 한정짓고, 도로(2)의 가장자리를 제 1아일랜드(510) 또는 제 2아일랜드(520)로 한정짓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는 축하중검출부(100), 진입감지센서부(200), 차량저장카메라부(300) 및 적재상태기록부(400)를 포함한다.
축하중검출부(100)는 과적한 화물 차량을 적발하기 위해 진입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4)의 축중을 분할 감지하는 것으로서, 도로(2)에 매설되어 고정 배치된다. 그래서, 축하중검출부(100)는 화물 차량의 좌측 바퀴(4)와 후측 바퀴(4)의 축중을 각각 검출하기 위해 한 쌍씩 도로(2)에 고정 배치된다. 특히, 화물 차량은 좌측 바퀴(4)와 우측 바퀴(4)를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며, 다축(多軸)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화물 차량의 축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한 쌍씩의 축하중검출부(100)는 축거리만큼 유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진입감지센서부(200)는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축하중검출부(100)에 대응되도록 도로(2)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진입감지센서부(200)는 다양한 센서류로 적용 가능한데, 포토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진입감지센서부(200)는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2)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수광센서와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발광센서로 이루어진다.
진입감지센서부(200)가 포토센서임에 따라 진입하는 차량이 한 대 인지, 복수 대 인지를 감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에 따라, 한 쌍씩의 축하중검출부(10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되고, 진입감지센서부(200)는 한 쌍씩의 축하중검출부(100) 각 열에 대응되도록 도로(2)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로(2) 가장자리에는 축하중검출부(100)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고(車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높이감지센서부(250)가 구비된다. 이는, 도로(2)를 통행하는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차량저장카메라부(300)는 진입감지센서부(200)에 연동됨에 따라 진입감지센서부(200)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시 해당 차량의 차량등록번호를 포함한 해당 차량의 전측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도로(2)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즉, 차량저장카메라부(300)가 축하중검출부(100)로 진입하는 차량을 사진 촬영함으로써, 과적 차량 또는 설정 높이 이상으로 화물을 실은 것으로 검측된 상태로 도주시 차량등록번호와 차량 모델로 해당 차량을 검거하여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적재상태기록부(400)는 도주한 차량을 검거시에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과적을 부인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로(2)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즉, 적재상태기록부(400)는 해당 차량의 화물 적재 상태를 측방향에서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진입감지센서부(200)에 대응되도록 도로에 구비된다. 적재상태기록부(400)는 진입감지센서부(200)에 연동되어 차량 진입이 센싱된 후 일정시간동안 해당 차량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도 4, 도 5, 도 6 및 도 9에서처럼, 한 쌍씩으로 배치되는 축하중검출부(100)는 피트프레임(110), 로드셀(120) 및 결속블록(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트프레임(110)은 도로(2)에 매립된다. 특히, 도로는 콘크리트타설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2)은 콘크리트타설구조물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화물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2)에는 설치홈(610)이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피트프레임(110)은 도로(2)에 함몰된 설치홈(610)에 매설된다.
특히, 피트프레임(110)은 베이스프레임(112) 및 사이드프레임(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12)은 도로(2)에 매설된다. 즉, 베이스프레임(112)은 도로(2)의 설치홈(610)에 매설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2)은 도로(2)에서 설치홈(61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홀(113)을 통공한다. 물론 베이스프레임(11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배출홀(113)의 크기와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14)은 베이스프레임(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1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속블록(130)의 외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사이드프레임(114)은 결속블록(130)에 지지되는 로드셀(120)을 에워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사이드프레임(114)은 베이스프레임(112)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이드프레임(114)은 설치홈(61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사이드프레임(114)의 높이가 설치홈(610)의 깊이보다 낮을 경우, 도로(2) 표면의 빗물이 피트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사이드프레임(114)의 높이가 설치홈(610)의 깊이보다 높을 경우, 차량의 바퀴(4)가 사이드프레임(114)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빗물'은 우수나 도로(2) 청소를 위해 뿌려지는 물 등 다양한 물을 의미한다.
로드셀(120)은 피트프레임(110) 내측에 안착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윤중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도록 테두리에 제 1경사면(122)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속블록(130)은 피트프레임(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결속되며, 제 1경사면(122)에 대칭되어 면접되도록 제 2경사면(132)을 형성하여 로드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로드셀(120)이 피트프레임(110)에 안착되고, 제 2경사면(132)이 대칭되는 로드셀(120)의 제 1경사면(122)에 접한 상태로, 결속블록(130)이 피트프레임(110)에 결속됨으로써, 로드셀(120)은 자연적으로 피트프레임(110) 특히, 베이스프레임(112)으로부터 이탈 방지된다.
여기서, 로드셀(120)은 테두리를 따라 전체에 걸쳐 제 1경사면(122)을 형성할 수 있으나, 마주하는 양쪽 테두리에만 제 1경사면(12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속블록(130)의 제작 개수를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결속블록(130)은 체결부재(134)에 의해 피트프레임(110)의 베이스프레임(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체결부재(134)는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한편, 로드셀(120)은 화물 차량의 윤중을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으로서, 검출플레이트(141), 센서부재(143) 및 패드(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검출플레이트(141)는 차량의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센서부재(143)는 검출플레이트(141)의 하측면 구비되어 검출플레이트(141)의 외형 변형량을 통해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패드(145)는 검출플레이트(141)와 센서부재(143)를 에워싸서 보호하고, 검출플레이트(141)의 국부적 변형 후 원위치 복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검출플레이트(141)는 경질(硬質)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화물 차량의 바퀴(4)가 누르면서 통과시 외형이 너무 많이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검출플레이트(14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너무 많이 변형됨에 따른 원형 복귀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검출플레이트(141)는 패드(145)에 쌓여있기 때문에 테두리에 제 1경사면(122)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패드(145)와 함께 제 1경사면(12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검출플레이트(141)를 에워싸는 패드(145)에 절곡부위를 최대한 많이 부여함으로써 패드(145)에 작용하는 내부응력으로 인해 패드(145)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드(145)는 완충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검출플레이트(141)는 바퀴(4)의 잦은 누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바퀴(4)의 누름에 의해 변형된 검출플레이트(141)를 원형 복귀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특히, 패드(145)는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플레이트(141) 전체를 감쌀 수 있게 된다.
센서부재(143)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외형 변형량을 통해 차량의 윤중을 검출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처럼, 검출플레이트(141)는 차량 바퀴(4)의 누름에 의한 변형 집중을 위해 하측면에 함몰홈(14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함몰홈(142)은 화물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검출플레이트(141)의 하측면에 좁고 길게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좌측 바퀴(4)와 우측 바퀴(4)가 해당되는 검출플레이트(141)를 누르면서 통과시, 검출플레이트(141) 각각은 함몰홈(142)을 기준으로 양측이 소정 접히게 된다. 즉, 검출플레이트(141)는 함몰홈(142)을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된 후 평판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부재(143)는 함몰홈(14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센서부재(143)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함몰홈(142)에 고정 설치된다.
예로서, 센서부재(143)는 접착제(144)에 의해 함몰홈(142) 내측면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함몰홈(142)은 절연코팅제(146)가 도포되어 센서부재(143)를 보호하게 된다. 접착제(144)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센서부재(143)를 금속 재질인 검출플레이트(141)에 접착할 수 있는 종류이고, 절연코팅제(146)는 겔(gel)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실리콘액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절연코팅제(146)는 외부 이물질이나 빗물이 센서부재(14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센서부재(143)가 함몰홈(142)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축중량 측정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드(145)는 검출플레이트(141)를 팽팽하게 에워싼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검출플레이트(141)에 대해 패드(145)가 움직일 경우 검출플레이트(141)로 축중량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검사치가 불명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검출플레이트(141)는 덮여지도록 성형되는 패드(145)를 고정 밀착시키기 위해 패드(145)의 내측면을 끼우도록 끼움홈(149)을 형성한다. 즉, 검출플레이트(141)의 테두리에 끼움홈(149)을 함몰 형성하고, 패드(145)가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플레이트(141)의 둘레면에 씌워지도록 성형 제작되면, 패드(145)의 내측면 일부가 끼움홈(149)에 끼워짐에 따라, 패드(145)는 검출플레이트(141)를 씌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끼움홈(149)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패드(145)가 검출플레이트(141)에 밀착되도록 에워싸인 상태에서 차량의 바퀴(4)가 통과시 바퀴(4)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윤중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패드(145)는 접촉하는 차량 바퀴(4)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오목홈(147)을 함몰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바퀴(4)가 패드(145)를 지나면서 잠깐동안 오목홈(147)에 안착시, 패드(145)는 바퀴(4)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바퀴(4)의 누르는 압력을 검출플레이트(141)에 최대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윤중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다.
특히, 패드(145)가 검출플레이트(141)의 둘레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패드(145)의 상측면에 함몰 형성된 오목홈(147)은 차량 바퀴(4)의 누름에 의한 변형 집중을 위해 검출플레이트(141)의 하측면에 함몰 형성된 함몰홈(142)과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 바퀴(4)의 축중량을 오목홈(147) 부위에 집중함으로써 함몰홈(142)의 변형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정확한 축중량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오목홈(147)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검출플레이트(141)를 감싸고 있는 패드(145) 상측에만 오목홈(147)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나, 검출플레이트(141)는 패드(145)의 오목홈(147)에 대응되게 밀착홈(148)을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검출플레이트(141)와 패드(145)가 전체적으로 면접촉됨과 아울러 패드(145)의 오목홈(147)으로부터 차량 바퀴(4)의 누르는 압력을 검출플레이트(141)가 최대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무 재질인 패드(145)가 검출플레이트(141)의 둘레면에 형성되도록 고온에서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센서부재(143)가 고온에 직접적으로 노출시 고장나게 된다. 그래서, 함몰홈(142)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삽입홈(152)이 함몰 형성되고, 삽입홈(152)에는 센서부재(143)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덮개(150)가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때, 보호덮개(150)는 경질이나 열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축하중검출부(100)는 차량이 통행하며 진입하는 도로(2)에 매설되는데, 도로(2)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벗어난 양측 가장자리에 아일랜드(510,520)를 돌출 형성한다. 즉, 도로(2)는 차량 통행 가능 구간과 양측 가장자리에 아일랜드(510,520)를 돌출한 구간으로 나뉘어진다. 아일랜드(510,520)는 도로(2)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 1아일랜드(510)와 타측의 제 2아일랜드(520)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제 1아일랜드(510)는 도로(2)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것으로 하고, 제 2아일랜드(520)는 도로(2)의 중앙 분리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도로(2)는 마주하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에 한 차선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제 2아일랜드(520) 자체가 중앙 분리대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도로(2)와 아일랜드(510,520)는 콘크리트타설구조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입감지센서부(200)와 차량저장카메라부(300) 및 적재상태기록부(400)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2)의 동일 높이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으나, 화물 차량의 높은 차고(車高)로 인해 너무 높게 설치되어 풍압에 약하거나 차량의 상측을 촬영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진입감지센서부(200)와 높이감지센서부(250)와, 차량저장카메라부(300) 및 적재상태기록부(400)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에는 각각 폴(pole,700)이 구비된다. 제 1아일랜드(510)의 폴(700)과 제 2아일랜드(520)의 폴(700)은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더욱 상세히,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폴(700)에는 진입감지센서부(200)와 선택적으로 높이감지센서부(250) 및 적재상태기록부(400)가 구비된다. 이때, 진입감지센서부(200)는 포토센서이기 때문에 제 1아일랜드(510)의 폴(700)에 수광센서를 구비하고, 제 2아일랜드(520)의 폴(700)에 발광센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리고, 높이감지센서부(250)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폴(700) 각각에 복수 개 구비된다. 특히, 하나의 폴(700)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높이감지센서부(250)가 구비되고, 대응되는 폴(700)에는 동일 개수로 동일 높이에 높이감지센서부(250)가 구비된다. 특히, 대응되는 높이감지센서부(250)는 포토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축하중검출부(100)로 진입하는 화물 차량의 높이를 검출하여 차고 불량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적재상태기록부(400)는 카메라나 CCTV이기 때문에 제 1아일랜드(510)의 폴(700)과 제 2아일랜드(520)의 폴(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물론, 진입감지센서부(200)와 높이감지센서부(250)와 적재상태기록부(4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대응되는 폴(7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저장카메라부(300)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차량저장카메라부(300)는 제 1아일랜드(510)의 폴(700) 또는 제 2아일랜드(520)의 폴(700)에 다양한 방식으로써 설치된다. 물론, 진입감지센서부(200)와 높이감지센서부(250)와 차량저장카메라부(300) 및 적재상태기록부(4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축하중검출부(100)는 차량의 바퀴(4)가 지나갈 수 있도록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의 사이에 해당되는 도로(2)에 매설된다. 이에 따라, 도로(2)은 좌측 바퀴(4)에 대응되는 축하중검출부(100)와 우측 바퀴(4)에 대응되는 축하중검출부(100)를 매설할 수 있도록 설치홈(610)이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한 쌍의 축하중검출부(100)는 설치홈(610)에 매립된다. 이때, 설치홈(610)은 각각의 축하중검출부(100)에 대응되도록 한 쌍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쌍의 축하중검출부(100)를 동시에 매립하도록 하나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축하중검출부(100)를 구성하는 검출플레이트(141)와 패드(145)가 동절기에 얼거나 조직이 굳어짐으로 인해, 축하중검출부(100)는 동절기에 부정확한 축중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축하중검출부(100)는 특히 동절기에도 하절기와 같은 열을 전달받아 하절기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축하중검출부(100)를 매립한 도로가 얼거나 축하중검출부(100)가 얼 경우, 축하중검출부(100)의 축중량 검출 오류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축하중검출부(100)는 동절기에 작동 불량 방지되도록 도로(2)에 매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설치홈(610)의 바닥면에는 축하중검출부(100)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히팅부재(620)가 매설되고, 히팅부재(620)는 도포재(630)에 의해 설치홈(6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히팅부재(62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열선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고무 재질인 패드(145)와 도포재(630)가 녹지 않을 정도로 발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포재(630)는 상온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실리콘액으로서 설치홈(610)의 바닥면에 배치된 히팅부재(620) 상측에 도포됨으로써 히팅부재(620)를 빗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과 히팅부재(620)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로(2)에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파이프(640)가 매설된다. 특히, 도로(2)의 설치홈(610) 바닥에는 드레인파이프(640)가 매설된다. 드레인파이프(640)는 설치홈(61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설정된 위치로 배출 유도하고, 축하중검출부(100)의 피트프레임(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설정된 위치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설치홈(610)으로 유입된 빗물이 드레인파이프(640)로 흐를 수 있도록, 히팅부재(620)와 도포재(630)의 배치 궤적이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폴(700)은 진입감지센서부(200)와 높이감지센서부(250)와 적재상태기록부(40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아일랜드(510,52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14에서처럼, 폴(700)은 대응되는 제 1아일랜드(510) 또는 제 2아일랜드(520) 바닥에 대한 지지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평판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710)를 하측에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710)는 폴(700)의 하측에 용접될 수도 있고, 폴(700)에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710)는 앵커부재(720)에 의해 대응되는 제 1아일랜드(510) 또는 제 2아일랜드(520)에 고정 설치된다. 앵커부재(720)는 콘크리트구조물인 제 1아일랜드(510) 또는 제 2아일랜드(520)를 타설시 매설된 채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710)에 결속된다. 이때, 앵커부재(720)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물 차량은 비행기의 랜딩기어 방식의 바퀴(4)를 불법적으로 부착하여 축하중검출부(100)에 접하지 않는 바퀴(4)를 통해 축하중검출부(100)에 접하는 바퀴(4)를 소정 들어올림으로써 부정 진입을 하게 된다.
그래서, 도 12 및 도 13에서처럼, 차량이 진입 방향에 대해 축하중검출부(100)의 전측과 후측에 해당되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의 내측면에는 축하중검출부(100)에 접한 바퀴(4)에 이웃한 바퀴(4) 즉 랜딩바퀴(8)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부정진입을 판단하기 위해 부정검출센서부재(800)가 구비된다. 즉, 화물 차량의 규격화된 축간거리만큼 한 쌍씩의 축하중검출부(100)가 도로(2)에 매설된다. 이때, 화물 차량이 규격화된 축간거리 사이에 랜딩기어 타입의 랜딩바퀴(8)가 더 구비될 경우, 랜딩바퀴(8)는 화물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축하중검출부(100) 사이 또는 축하중검출부(100)의 전측이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부정검출센서부재(800)는 랜딩바퀴(8)가 도로(2)에 접함을 센싱하는 것으로서, 마주하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의 내측면 저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부정검출센서부재(800)는 포토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아일랜드(510)에는 부정검출센서부재(800) 중 수광센서가 구비되고, 제 2아일랜드(520)에는 부정검출센서부재(800) 중 발광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동일 축에 위치한 랜딩기어 타입의 좌측 랜딩바퀴(8)와 우측 랜딩바퀴(8)는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구비됨에 따라, 부정검출센서부재(800)가 포토센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차량은 불법적으로 윤거리 중앙 부위에 보조바퀴(6)를 랜딩기어 타입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한다. 그래서, 좌측 바퀴(4)와 우측 바퀴(4)가 대응되는 축하중검출부(100)에 접할 때, 보조바퀴(6)가 도로(2)에 접함으로써, 좌측 바퀴(4)와 우측 바퀴(4)에 가해지는 축중량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축하중검출부(100)는 차량의 하부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보조바퀴(6)의 하강에 의한 부정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2)의 폭 전체에 걸쳐 매립 설치된다. 즉, 축하중검출부(100)는 도로(2)의 폭을 반으로 나눈 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윤거리 중앙 부위에 보조바퀴(6)가 하강할 경우, 한 쌍의 축하중검출부(100)는 동시에 보조바퀴(6)와 해당되는 좌측 바퀴(4) 또는 우측 바퀴(4)를 동시에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축하중검출부(100) 각각은 보조바퀴(6)와 바퀴(4)를 동시에 감지하기 때문에, 축하중검출부(100)의 축중량은 오류를 나타내게 된다. 반대로, 보조바퀴(6)가 상승해 있을 경우, 축하중검출부(100) 각각은 해당되는 바퀴(4)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축하중검출부(100)의 축중량은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조바퀴(6)만 축하중검출부(100) 끼리의 연결부위에 접하고, 양측 바퀴(4)가 상승해 있을 경우, 부정검출센서부재(800)는 보조바퀴(6)를 감지함으로써 화물 차량의 정확한 진입으로 감지할 수 있지만, 보조바퀴(6)가 축하중검출부(100)의 가장자리로 너무 치우쳐지게 진입함을 축하중검출부(100)의 센서부재(143)를 통해 인식함에 따라, 화물 차량의 부정 진입 또는 진입 오류를 검출하게 된다.
아울러, 부정검출센서부재(800)는 보조바퀴(6)가 도로(2)에 접함을 센싱하는 것으로서, 마주하는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의 내측면 저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부정검출센서부재(800)는 포토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아일랜드(510)에는 부정검출센서부재(800) 중 수광센서가 구비되고, 제 2아일랜드(520)에는 부정검출센서부재(800) 중 발광센서가 구비된다.
한편, 축하중검출부(100) 방향으로 진입하는 화물 차량은 진입감지센서부(200)의 작동시 차량저장카메라부(300)의 작동으로 촬영된다. 이는, 화물 차량의 도주 시를 대비해서 해당 차량의 등록번호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함이다.
특히,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차량저장카메라부(300)는 하우징(310), 카메라모듈(320) 및 조명모듈(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310)은 내부에 공간을 구획되도록 구비한다. 즉, 하우징(310)은 축 방향으로 내부에 격벽(317)을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320)은 격벽(317)을 기준으로 하우징(310)의 일측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조명모듈(350)은 격벽(317)을 기준으로 하우징(310)의 타측 내부 공간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은 카메라모듈(320)에 대응되는 전측에 카메라개방홀(311)을 통공하고, 조명모듈(350)에 대응되는 전측에 조명개방홀(312)을 통공한다. 하우징(310)은 카메라모듈(320)과 조명모듈(3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320)은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진입감지센서부(200)의 센싱 신호에 의해 촬상하게 된다. 조명모듈(350)은 주위가 어두워질 경우 필요한 조도를 위해 카메라모듈(320)의 촬영시 플래쉬(flash) 역할을 위해 발광하게 된다.
이때, 격벽(317)은 조명모듈(350)의 발광시 바로 옆의 카메라모듈(320)의 촬영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비된다. 물론, 하우징(310)과 격벽(31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카메라모듈(320)은 차량저장카메라부(300)의 설치 위치나 차량의 등록번호판의 위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17 및 도 18에서처럼, 카메라모듈(320)은 카메라거치브라켓(320)에 의해 하우징(310) 내측에 거치되고, 카메라거치브라켓(320)은 진입하는 차량을 정위치 촬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각도조절부(340)에 의해 상하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정위치'는 카메라모듈(320)로 화물 차량을 촬영시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한 전측 전부가 찍히는 상태를 말한다.
예로서, 카메라각도조절부(340)는 카메라보조브라켓(342), 카메라힌지핀(344) 및 카메라회동안내핀(3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고정 연결되는 카메라거치브라켓(320)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하우징(310)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 연결된 채 카메라거치브라켓(320)에 대향한다. 물론, 카메라거치브라켓(320)과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카메라힌지핀(344)은 카메라보조브라켓(342)과 카메라거치브라켓(320)의 상측에 삽입된 후 카메라모듈(320)에 연결된다. 이때, 카메라힌지핀(344)은 카메라모듈(320)을 구속하거나 카메라모듈(320)의 상측에 단순히 삽입된다. 그리고, 카메라거치브라켓(320)은 카메라힌지핀(34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며,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하우징(310)의 바닥에 대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320)은 카메라거치브라켓(320)과 함께 카메라힌지핀(344)을 기준으로 카메라보조브라켓(34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카메라거치브라켓(320)과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면접된 상태로 카메라힌지핀(344)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카메라거치브라켓(320)은 카메라보조브라켓(342)에 대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카메라모듈(320)은 상하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320)의 하측은 상하 각도 조절시나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카메라거치브라켓(320)과 카메라보조브라켓(342)에 구속된 채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카메라모듈(320)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되는 카메라보조브라켓(342) 하측에는 카메라모듈(320)의 회동 궤적을 따라 카메라안내홀(347)을 통공한다. 그래서, 카메라회동안내핀(346)이 카메라안내홀(347)에 삽입 후 카메라거치브라켓(320)에 삽입되고 나서 카메라모듈(320)의 하측에 연결된다. 그래서, 카메라모듈(320)은 카메라거치브라켓(32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 카메라회동안내핀(346)은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의 카메라안내홀(347)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카메라모듈(320)은 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양측 가장자리에 카메라장홀(343)을 통공하고, 하우징(310)은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을 좌우 회동 설정 후 결속 가능하도록 카메라장홀(343)을 따라 복수 개의 카메라위치조절홀(313)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도 19 및 도 20에서처럼,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은 카메라장홀(343)과 카메라위치조절홀(313)의 대응 위치에 따라 하우징(310)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되고, 소정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방향 설정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21 및 도 22에서처럼,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의 위치가 설정된 후, 카메라장홀(343)과 설정된 카메라위치조절홀(313)에는 카메라고정핀(315)이 끼워짐으로써, 카메라보조브라켓(342)의 설정 위치는 유지된다.
한편, 조명모듈(350)도 카메라모듈(320)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310)은 조명모듈(350)을 거치하는 조명거치브라켓(360)을 구비한다.
특히, 조명모듈(350)은 카메라모듈(320)의 촬상 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야 한다.
그래서, 조명모듈(350)은 조명거치브라켓(360)에 의해 하우징(310) 내측에 거치되고, 조명거치브라켓(360)은 카메라모듈(320)의 방향에 따라 조명각도조절부(370)에 의해 상하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예로서, 조명각도조절부(370)는 조명보조브라켓(372), 조명힌지핀(374) 및 조명회동안내핀(3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명보조브라켓(372)은 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고정 연결되는 조명거치브라켓(360)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조명보조브라켓(372)은 하우징(310)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 연결된 채 조명거치브라켓(360)에 대향한다. 물론, 조명거치브라켓(360)과 조명보조브라켓(37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조명힌지핀(374)은 조명보조브라켓(372)과 조명거치브라켓(360)의 상측에 삽입된 후 조명모듈(350)에 연결된다. 이때, 조명힌지핀(374)은 조명모듈(350)을 구속하거나 조명모듈(350)의 상측에 단순히 삽입된다. 그리고, 조명거치브라켓(360)은 조명힌지핀(37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며, 조명보조브라켓(372)은 하우징(310)의 바닥에 대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조명모듈(350)은 조명거치브라켓(360)과 함께 조명힌지핀(374)을 기준으로 조명보조브라켓(37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명거치브라켓(360)과 조명보조브라켓(372)은 면접된 상태로 조명힌지핀(374)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조명거치브라켓(360)은 조명보조브라켓(372)에 대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조명모듈(350)은 상하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모듈(350)의 하측은 상하 각도 조절시나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조명거치브라켓(360)과 조명보조브라켓(372)에 구속된 채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조명모듈(350)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되는 조명보조브라켓(372) 하측에는 조명모듈(350)의 회동 궤적을 따라 조명안내홀(377)을 통공한다. 그래서, 조명회동안내핀(376)이 조명안내홀(377)에 삽입 후 조명거치브라켓(360)에 삽입되고 나서 조명모듈(350)의 하측에 연결된다. 그래서, 조명모듈(350)은 조명거치브라켓(36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 조명회동안내핀(376)은 조명보조브라켓(372)의 조명안내홀(377)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조명모듈(350)은 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조명보조브라켓(372)은 양측 가장자리에 조명장홀(373)을 통공하고, 하우징(310)은 조명보조브라켓(372)을 좌우 회동 설정 후 결속 가능하도록 조명장홀(373)을 따라 복수 개의 조명위치조절홀(314)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도 23 및 도 24에서처럼, 조명보조브라켓(372)은 조명장홀(373)과 조명위치조절홀(314)의 대응 위치에 따라 하우징(310)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되고, 소정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방향 설정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명보조브라켓(372)의 위치가 설정된 후, 조명장홀(373)과 설정된 조명위치조절홀(314)에는 조명고정핀(316)이 끼워짐으로써, 조명보조브라켓(372)의 설정 위치는 유지된다.
한편, 조명모듈(350)도 조명모듈(350)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310)은 카메라모듈(320)과 조명모듈(350)을 내측에 장착할 수 있도록 상측과 양측을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래서, 하우징(310)은 카메라모듈(320)과 조명모듈(350)을 보호하기 위해 개방된 둘레면을 커버(390)로써 개폐한다. 커버(390)를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하절기에 외부 열이 하우징(310) 내부로 너무 많이 전달시, 카메라모듈(320)과 조명모듈(350)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커버(390)는 열차단판(380)을 부가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열차단판(38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커버(3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310) 내부에는 단열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5 및 도 26에서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하중검출부(100)는 좌우측의 바퀴(4)와 접하는 도로(2)의 해당 부위에만 매설되도록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축하중검출부(100)는 서로 유격되게 설치된다. 이는, 축하중검출부(100)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빗물이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에서 도로(2)로 흐르게 되고, 도로(2)는 빗물이 고여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게 된다. 아울러, 도로(2)에 고인 물이 차량의 통행으로 옆 차선의 차량으로 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2)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아일랜드(510) 즉, 제 1아일랜드(510)에는 도로(2)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월류방지턱(530)이 구비된다. 그래서, 제 1아일랜드(510) 위의 빗물은 제 1월류방지턱(530)에 의해 도로(2)로 유입되지 않고 도로 가장자리로 흘러가게 된다. 제 1월류방지턱(530)은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에 고인 물이 이웃한 도로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리고, 도로(2)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한 아일랜드(520) 즉, 제 2아일랜드(520)에는 제 2월류방지턱(540)이 구비된다. 그래서, 제 2아일랜드(520) 위의 빗물은 제 2월류방지턱(540)에 의해 반대측 차선에 해당되는 도로(2)로 유입되지 않고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로 유입되게 된다. 아울러, 제 2월류방지턱(540)은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에 고인 물이 이웃한 도로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로 유입되는 빗물이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제 2월류방지턱(540)을 구비한 제 2아일랜드(520)에 인접한 도로(2)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 2월류방지턱(540)에 의해 도로(2)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제 3월류방지턱(5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 3월류방지턱(550)은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에 고인 물이 이웃한 도로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물론, 제 2월류방지턱(540)이 제 2아일랜드(520) 상측에 나란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어, 빗물이 제 1아일랜드(510)와 제 2아일랜드(520) 사이의 도로(2)와 반대측 차선에 해당되는 도로(2)로 흐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월류방지턱(530), 제 2월류방지턱(540) 및 제 3월류방지턱(55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도로바닥 100: 축하중검출부
110: 피트프레임 120: 로드셀
130: 결속블록 200: 진입감지센서부
300: 차량저장카메라부 310: 하우징
320: 카메라모듈 330: 카메라거치브라켓
340: 카메라각도조절부 350: 조명모듈
360: 조명거치브라켓 370: 조명각도조절부
400: 적재상태기록부 510,520: 제 1,2아일랜드
610: 설치홈 620: 히팅부재
630: 도포재 640: 드레인파이프
700: 폴 800: 부정검출센서부재

Claims (5)

  1. 과적 차량 적발을 위해 진입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의 축하중을 분할 감지하기 위해 도로에 구비되는 축하중검출부;
    상기 축하중검출부에 대응되도록 도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부; 및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시 해당 차량의 전측을 촬영하도록 도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차량저장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양측 가장자리에는 아일랜드가 돌출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상기 축하중검출부의 전측과 후측에 해당되는 상기 아일랜드에는 상기 축하중검출부에 접한 바퀴에 이웃한 바퀴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부정진입을 판단하기 위해 부정검출센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아일랜드는 진입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상태를 측방향에서 사진 또는 영상 촬영하여 저장하기 위한 적재상태기록부가 구비되며,
    상기 축하중검출부는, 도로 바닥에 매립되는 피트프레임; 및
    상기 피트프레임 내측에 안착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윤중을 검출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도록 테두리에 제 1경사면을 형성하는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은, 차량의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검출플레이트; 및
    상기 검출플레이트를 에워싸서 보호하고, 상기 검출플레이트의 국부적 변형 후 원위치 복귀를 보조하는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레이트는 차량 바퀴의 누름에 의한 변형 집중을 위해 하측면에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는 윤중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접촉하는 차량 바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오목홈을 함몰 형성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함몰홈에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패드에 형성되고,
    상기 차량저장카메라부는, 진입하는 차량 방향으로 카메라개방홀을 통공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의해 촬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거치하는 카메라거치브라켓; 및
    진입하는 차량을 정위치 촬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거치브라켓의 각도를 상하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장착하는 공간과 구획되는 별도의 공간에 조명모듈을 구비하며, 빛의 조사를 위해 조명개방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하중검출부는 차량의 하부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보조바퀴의 하강에 의한 부정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로 바닥의 폭 전체에 걸쳐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 각각에는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폴(pole)이 구비되며;
    상기 폴에는 상기 진입감지센서부와 상기 적재상태기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하중검출부는, 상기 피트프레임의 내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결속되며,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칭되어 면접되도록 제 2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로드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KR1020120032277A 2012-03-29 2012-03-29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KR10116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77A KR101163764B1 (ko) 2012-03-29 2012-03-29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77A KR101163764B1 (ko) 2012-03-29 2012-03-29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764B1 true KR101163764B1 (ko) 2012-07-16

Family

ID=467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77A KR101163764B1 (ko) 2012-03-29 2012-03-29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76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4408A (zh) * 2014-04-22 2014-06-25 重庆市华驰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轴型检测方法
CN105181097A (zh) * 2015-08-24 2015-12-23 无锡伊佩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车辆超重监控系统
US20210293604A1 (en) * 2020-03-18 2021-09-23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CN113607127A (zh) * 2021-10-08 2021-11-05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公路用雷视一体机安装装置、使用方法及组网安装方法
CN114018379A (zh) * 2021-10-30 2022-02-08 浙江东鼎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的动态称重角差补偿方法
CN114353922A (zh) * 2021-12-07 2022-04-15 陕西地建土地工程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衡器称重计量管控一体化系统及方法
CN116295754A (zh) * 2023-03-29 2023-06-23 徐州馨鼎物流有限公司 海关物流车辆检测装置
US11714021B2 (en) 2020-03-18 2023-08-01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11713993B2 (en) 2020-03-18 2023-08-01 Seiko Epson Corporation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US11761812B2 (en) 2020-03-18 2023-09-19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11881102B2 (en) 2020-03-18 2024-01-23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65B1 (ko) * 2007-09-21 2008-05-23 김학선 고정식 과적차량 단속용 조각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65B1 (ko) * 2007-09-21 2008-05-23 김학선 고정식 과적차량 단속용 조각패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4408A (zh) * 2014-04-22 2014-06-25 重庆市华驰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轴型检测方法
CN103884408B (zh) * 2014-04-22 2015-12-02 重庆市华驰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轴型检测方法
CN105181097A (zh) * 2015-08-24 2015-12-23 无锡伊佩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车辆超重监控系统
US11713993B2 (en) 2020-03-18 2023-08-01 Seiko Epson Corporation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US11714021B2 (en) 2020-03-18 2023-08-01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20210293604A1 (en) * 2020-03-18 2021-09-23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11761811B2 (en) * 2020-03-18 2023-09-19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11761812B2 (en) 2020-03-18 2023-09-19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US11881102B2 (en) 2020-03-18 2024-01-23 Seiko Epson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program
CN113607127A (zh) * 2021-10-08 2021-11-05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公路用雷视一体机安装装置、使用方法及组网安装方法
CN114018379A (zh) * 2021-10-30 2022-02-08 浙江东鼎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的动态称重角差补偿方法
CN114353922A (zh) * 2021-12-07 2022-04-15 陕西地建土地工程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衡器称重计量管控一体化系统及方法
CN114353922B (zh) * 2021-12-07 2024-03-19 陕西地建土地工程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衡器称重计量管控一体化系统及方法
CN116295754A (zh) * 2023-03-29 2023-06-23 徐州馨鼎物流有限公司 海关物流车辆检测装置
CN116295754B (zh) * 2023-03-29 2023-12-26 徐州馨鼎物流有限公司 海关物流车辆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764B1 (ko) 고정식 차량 부정 계중 방지장치
KR101169949B1 (ko)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
KR101169950B1 (ko) 고정식 차량 축중량 감지장치
KR101169951B1 (ko) 고정식 차량 축중량 감지용 카메라장치
CA2975534C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traffic area
EP2281287B1 (en) The combined loop type auto-mobile sensor using loop coil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the same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1082B1 (ko)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KR101163765B1 (ko) 고정식 계중 장치
CN109855711A (zh) 一种车辆超载超限动态称重系统
US20170110386A1 (en) Heat dissipating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dissipating component,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modu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202090301U (zh) 用于机动车辆轮轴识别的一体化点阵式压敏传感器装置
ES2870572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verificar el peso de la carga de un camión
KR200404844Y1 (ko) 비매설식 과적 차량 단속 장치
KR101975751B1 (ko) 도심 침수심 측정을 위한 연석
JP2013174996A (ja) 無人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14399913B (zh) 一种基于灾祸信息的智能禁行系统
KR101865076B1 (ko) 운행 중인 차량의 중량측정을 위한 트럭스케일
JP5535966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101339287B1 (ko)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RU239973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вендинг парковка
KR102593740B1 (ko) 교통 통행량 감지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교통통제 시스템
KR20020076370A (ko) 적재화물의 너비초과 경보 장치 및 방법
JPH01302498A (ja) 車両誘導装置
KR101095843B1 (ko)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