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658B1 -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658B1
KR101162658B1 KR1020110030198A KR20110030198A KR101162658B1 KR 101162658 B1 KR101162658 B1 KR 101162658B1 KR 1020110030198 A KR1020110030198 A KR 1020110030198A KR 20110030198 A KR20110030198 A KR 20110030198A KR 101162658 B1 KR101162658 B1 KR 10116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butadiene
molded article
composite mold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길
진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트로
Priority to KR102011003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6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에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formed article}
본 발명은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에 반응성 코팅용 조성물, 즉,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우리나라 특허출원 2009-80408호에서 바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허브에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성분을 코팅한 바퀴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허브와 코팅층은 하중을 계속받은 상태에서 코팅층이 이탈되거나 또는 가공단계에서 일부 탄화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장기 사용에 따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의 블랜드물을 바퀴의 허브로 사용하고 외층을 폴리우레탄이나 이의 탄성체 또는 고무를 코팅하는 경우, 장기 사용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경계면이 안정하고, 또한 가공 시에 기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부분탄화에 따른 장기 물성저하가 없는 등의 예상하지 못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에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ABS) 및 유리섬유(GF)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성형체에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BT’이라 함)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최근 플라스틱 산업의 발달로 플라스틱 제품이 범람함에 따라 폐기물의 처리가 큰 환경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재활용 PBT의 사용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줄이고, 경제적인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BT,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이하 ‘ABS'라 함)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여 접착성을 높이고, 주물과 상응되는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복합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성형체는 PBT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이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이하 ‘GF’라 함) 또는 탄소섬유(이하 ‘CF’라 함) 1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PBT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이 혼합된 혼합물은 PBT 30 ~ 70 중량%,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3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BT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이 혼합된 혼합물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상기 범위일 경우 내충격성, 내구성, 내열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성형체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나일론(nylon),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styrene-butadiene-styrene)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성형체는 PBT,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1 ~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PBT,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은 PBT 25 ~ 65 중량%,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20 ~ 55 중량% 및 필요에 따라서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1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일 경우 내충격성, 내구성, 내열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상기 성형체에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강도 및 내구성에 변화가 없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가격 또한 높아져 상용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b) 단계는 성형체에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 한 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경화 시 복합성형체의 강도 및 내구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상기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1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2용액의 2액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본 발명의 성형체와 접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저렴하여 복합성형체의 상용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복합성형체의 강도 및 내구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나이트릴 부타다이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타이렌 부타다이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 TPR),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성형체는 바퀴 허브의 주물 대신 사용가능하며, 바퀴 무게를 최소화하고, 재료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코팅용 조성물과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고, 주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주물과 상응되는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바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성형체는 바퀴 허브의 주물 대신 사용가능하며, PET, ABS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바퀴 무게를 최소화하였으며, 재료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코팅용 조성물과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고, 주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주물과 상응되는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이해시키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바퀴 접착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성형체의 시편을 사출(호성케멕스)하여 일반적인 접착제(동성화학, 5100#)를 사용하여 우레탄(TPU)을 접착시킨 후, 인장강도 측정기로 박리(접착력시험)되는 상태에 따라 복합성형체의 접착성을 확인하였다.(○;박리가 전혀 없는 경우, △;박리가 일어날 조짐이 보이는 경우, ×; 박리가 일어난 경우)
[시험예 2] 내구성, 주행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시험
바퀴 4개를 1조로 하여 750 kg의 하중을 싣고, 2 Km를 운행하여 허브와 우레탄코팅부분의 이탈이 없어야 하며, 베어링 삽입부분에 늘어나는 현상도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내구성 및 주행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이탈 및 늘어남이 전혀 없는 경우, △; 이탈 및 늘어남이 일부 일어날 조짐이 보이는 경우, ×; 이탈 및 늘어남이 일어난 경우), 내열성은 드라이 오븐에서 90 ~ 120 ℃로 온도를 조절하면서 5분 단위로 바퀴 상태를 확인하였다(○; 변형이 전혀 없는 경우, △; 110 ℃이상에서 일부 변형이 일어날 조짐이 보이는 경우, ×; 변형이 일어난 경우). 또한, 내충격성은 바퀴 4개를 1조로 하여 750kg을 싣고 높이 1 m 상에서 바퀴를 낙하하여 그 상태를 확인하였다(○; 허브부분에 크랙이 전혀 없는 경우, △;허브부분에 크랙이 일부 일어날 조짐이 보이는 경우, ×; 허브부분에 크랙이 일어난 경우).
[시험예 3] 내이탈성
60Kg의 하중에서 30,000회, 20km/hr로 굴렸을 때, 계면이탈현상 관찰
[실시예 1 ~ 실시예 12]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LG화학, 5011),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LG화학, Hi100) 및 유리섬유(한국화이바, 유리섬유 촙) 또는 탄소섬유를 혼합기를 사용하여 30분간 혼합하였다.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재활용), 폴리카보네이트(LG화학, Calibre 201), 나일론(코오롱), 열가소성폴리우레탄(호성케멕스, 5190AP),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금호석유화학, KT201)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조성과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혼합물을 210 ℃로 온도가 조절된 60m/m 싱글압출기를 사용하여 1,400 rpm으로 혼련한 후, 사출 성형기(유진유압, 20온스)를 사용해 금형온도를 220 ~ 240℃로 조절하여 일정량을 금형에 사출하여 40초간 냉각하여 성형체를 얻었다. 상기 성형체에 2액형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또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하여 경화하는 공정으로 복합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성형체의 접착성, 내구성, 주행성 및 내충격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SK케미칼, 4080), 폴리카보네이트(LG화학, PC201) 및 유리섬유(한국화이바, 유리섬유 촙)를 혼합기를 사용하여 30분간 혼합하였다. 각 조성과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혼합물을 220 ~ 250 ℃로 온도가 조절된 60m/m 싱글압출기를 사용하여 1,400 rpm으로 혼련한 후, 사출 성형기(유진유압, 20온스)를 사용해 금형온도를 220 ~ 240℃로 조절하여 일정량을 금형에 사출하여 40초간 냉각하여 성형체를 얻었다. 상기 성형체에 2액형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코팅하여 경화하는 공정으로 복합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에 따른 복합성형체의 접착성, 내구성, 주행성 및 내충격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SK케미칼, 4080),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LG화학, Hi100) 및 유리섬유(한국화이바, 유리섬유 촙), Nylon을 혼합기를 사용하여 30분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각 조성과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비교예 2에 따른 복합성형체의 접착성, 내구성, 주행성 및 내충격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23961197-pat00001
Figure 112011023961197-pat00002
이상의 실시예 1 ~ 1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성형체는 주물과 상응되는 우수한 내구성, 주행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특히 내 이탈성에서도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어 기존의 플라스틱 사출재 제품보다 향상된 물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및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함께 사용될 때 복합성형체의 물성이 극대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성형체는 종래의 금속 주물 제품보다 가벼워서에 운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수가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이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였으며, 취급이 용이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상용화 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6)

  1.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0~70wt%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 30~70wt%의 혼합물 및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성형체에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나이트릴 부타다이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다이엔 고무, 열가소성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코팅한 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재활용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성형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더 포함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1용액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2용액의 2액형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퀴.
  6. 삭제
KR1020110030198A 2011-04-01 2011-04-01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6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98A KR101162658B1 (ko) 2011-04-01 2011-04-01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98A KR101162658B1 (ko) 2011-04-01 2011-04-01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658B1 true KR101162658B1 (ko) 2012-07-04

Family

ID=4671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2658B1 (ko) 2011-04-01 2011-04-01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6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17B1 (ko) * 2009-08-28 2010-03-29 (주)애린엠피테크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17B1 (ko) * 2009-08-28 2010-03-29 (주)애린엠피테크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lymer Blends Handbook by L. A. Utracki, Springer, page 35, page 721 (2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217B1 (ko)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CN104194079A (zh) 一种复合材料密封圈及其制作工艺
CN104479181A (zh) 一种新型粘合增进体系轮胎带束层及其制备方法
CN106977776A (zh) 硫可交联的胶化混合物
EP2465898A1 (en) Tire having rubber composition and a rubber component containing short fiber reinforcement with a comptabilizer
CN104693401A (zh) 一种聚氨酯低速实心轮胎的配方及其生产工艺
WO2010020237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bauteils sowie textiles halbzeug hierfür
CN101397400B (zh) 履带车辆负重轮纳米改性聚氨酯弹性体胎体材料及浇注工艺
CN102863785A (zh) 一种增强聚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929159A (zh) 用于车胎胎面的橡胶组合物和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62658B1 (ko) 복합성형체의 제조방법
CN103113658B (zh) 一种塑料颗粒增韧剂及其加工方法
JP2022513922A (ja) 極性官能基を含む少なくとも1種の官能化エラストマーと特定の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をベースとするゴム組成物
MY161594A (en) Mold conditioning rubber composition
CN102441947B (zh) 一种耐磨导轮及其生产方法
TW201520268A (zh) 高分子複合材料及其製品與製備方法
CN104262886A (zh) 一种trb高物性复合型注塑橡胶材料
CN105037673B (zh) 一种聚氨酯弹性材料及其在重载道岔中的应用
CN103992611A (zh) 一种app高聚合金复合材料防眩板及其加工工艺
CN105602014A (zh) 橡胶大底材料及其加工方法
KR100426068B1 (ko) 우레탄기를 도입한 스노우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CN103849075A (zh) 一种耐划伤改性聚苯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7435454B2 (ja) 繊維強化複合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EP4021977B1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molded parts as well as articles made therefrom
JP2019085546A (ja) 炭素繊維強化ポリウレタン複合材料の効率的な製造方法並びに製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